KR101771224B1 -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224B1
KR101771224B1 KR1020150107496A KR20150107496A KR101771224B1 KR 101771224 B1 KR101771224 B1 KR 101771224B1 KR 1020150107496 A KR1020150107496 A KR 1020150107496A KR 20150107496 A KR20150107496 A KR 20150107496A KR 101771224 B1 KR101771224 B1 KR 10177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od
packaging material
carbon dioxide
foo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636A (ko
Inventor
이준영
황기섭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0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2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H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2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made of special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재 내부부터, 1개 이상의 천공을 구비한 제1층; 식품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제2층; 및 비천공 제3층을 포함하는 다층 식품 포장재로서, 제2층은 식품 신선도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pH 지시제(indicator)가 함침되어 있는 다공성 기재인 것이 특징인 다층 식품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식품 포장재를 뜯지 않고서도 포장재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내용물의 신선도가 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Food packaging material for detecting an occurrence of carbon dioxid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품의 신선도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선식품, 가공식품 등은 출하, 판매기간 중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품의 신선도가 떨어지며 균 등에 의한 부패 과정 중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식품의 부패 정도, 발효 정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 측정기, 키트 등을 포장 용기 안쪽에 스티커 형태로 부착하였으며, 그로 인해 측정기, 키트 등에 내용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식품과의 접촉에 의한 식품 오염 등 위생상, 외관상의 문제가 있어 사용자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품의 포장재를 뜯어야만 상기 측정기, 키트 등의 변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식품을 구매하기 전이거나 사용하기 전에는 포장재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신선도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나아가, 포장 용기 안쪽에 측정기, 키트 등을 삽입하거나 부착하는 종래 방식의 경우 이를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97482호
이에, 본 발명은 제품의 포장재를 개봉하지 않고도 육안으로 포장재 내부의 이산화탄소 발생에 따른 내용물의 부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층 필름으로 된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식품 포장재 내부부터, 1개 이상의 천공을 구비한 제1층; 식품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제2층; 및 비천공 제3층을 포함하는 다층 식품 포장재로서, 제2층은 식품 신선도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pH 지시제(indicator)가 함침되어 있는 다공성 기재인 것이 특징인 다층 식품 포장재를 제공한다. 다층 식품 포장재의 층 구성은 도 1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제1양태에 따른 다층 식품 포장재에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식품으로서, 식품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는 제1양태에 따른 다층 식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으로서,
1개 이상의 천공을 구비한 제1층, 제2층, 및 비천공 제3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층, 제2층 및 제 3층을 적층하여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하는 단계는 제1층에 천공을 형성하고, 다공성 기재에 pH 지시제를 염색하여 제2층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다층 식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품의 신선도 변화 정도를 식품 포장재를 뜯지 않고서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식품 포장재 발명으로서, 식품의 발효, 미생물의 증식 등으로 인해 식품의 신선도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 정도 여부를 pH 지시제(indicator)가 함침되어 있는 다공성 기재의 색 변화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는 수분과 만나서 탄산(H2CO3)인 산성을 나타내며, pH 지시제(indicator)의 색을 변화시킨다.
식품 포장재 내부층 즉 제1층은 1개 이상의 천공을 구비하고 있어 식품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제2층은 제1층의 천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pH 지시제가 함침되어 있는 다공성 기재로서 이산화탄소와 만나면 다공성 기재의 색이 변화한다.
천공을 구비하지 않은 제3층은 적어도 제1층의 천공에 대응하는 위치가 투명하여 식품 포장재를 뜯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육안으로 pH 지시제의 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층은 이산화탄소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천공을 가지며, 상기 천공은 미세 열침 등을 사용한 기계적 처리, 레이저를 사용한 방식, 정전기적 방전, 고에너지 입자를 사용한 처리, 감압의 지점 적용(point application) 등 통상의 천공 형성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필름에 공극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미세 열침 등을 사용한 기계적 처리는 도 2와 같이 제조된 필름을 장비에 투입하고, 필름이 장비를 통과함에 따라 장비에 부착 되어진 미세 바늘이 회전하여, 필름에 천공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또한, 레이저를 사용한 방식은 도 3과 같이 CO2 레이저를 이용하여 필름 표면의 spot에 레이저 조사를 통해 필름 표면을 뜯어내는 공정으로서, 조사 횟수에 따라 비천공 또는 천공이 가능하고, 천공(hole)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천공의 크기, 면적, 형상, 직경 및 개수는 식품 포장재 내부의 내용물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천공의 크기, 면적, 형상, 직경 및 개수는 내용물의 종류, 신선도의 감소 속도, 신선도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량, pH 지시제의 색 변화 정도, 식품 포장재를 구성하는 필름의 구성 또는 종류, 사용자의 의도 또는 목적 등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층에 형성되는 천공의 크기는 약 10㎛ 이하일 수 있다.
식품 포장재의 제1층 또는 제3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테네이트(PEN), 폴리락트산(PL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미드(PA),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염화비닐(PVC), 나일론(NY),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IPP), 염화 폴리프로필렌(CPP),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선형 저점도 폴리프로필렌(LLDPE), 아크릴 수지, 금속 호일 또는 그의 혼합일 수 있으며, 제1층과 제3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공성 기재는 오일 페이퍼(oil paper), 한지, 종이, 고분자 필터, 또는 그의 혼합일 수 있으며, 다공성을 가진 물질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pH 지시제(indicator)는 산(pH 7 이하)과 반응하여 색 변화가 가능한 지시제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며, 예컨대 알리자린 블루 (Alizarin Blue), 메틸 바이올렛 (Methyl Violet), o-크레졸 레드 (ο-Cresol Red), 크리스털 바이올렛 (Crystal Violet), 에리트로신 (Erythrosin), 티몰 블루 (Thymol Blue), m-크레졸 레드 (m-Cresol Red), 메틸 바이올렛 6B (Methyl Violet 6B), 아미노아조벤젠 (Aminoazobenzene), 알리자린 옐로 R (Alizarin Yellow R), β-디니트로페놀 (β-Dinitrophenol(2,6-Dinitrophenol)), 메틸 오렌지 (Methyl Orange), 콩고 레드 (Congo Red), p-에틸 오렌지 (p-Ethyl Orange), 나프틸 레드 (Naphthyl Red), 메틸 레드 (Methyl Red), 카르민산 (Carminic acid), 클로로페놀 레드 (Chlorophenol Red) 및 리트머스 (litm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식품 포장재를 구성하는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도 4와 같이 열접착, 공압출 또는 접착제에 의해 합지될 수 있으며, 통상의 포장재 제조에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다층 필름을 합지하는 방식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접착제의 의한 합지의 경우, 각 층의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합지할 수 있다. 접착제는 무용제형 또는 솔벤트형 드라이 모두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접착제는 아크릴계, 폴리아마이드계, 비닐 클로라이드 및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고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등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는 별도의 층으로서 제1층과 제3층 사이에 삽입되어 식품 포장재를 구성할 수 있다.
열접착은 열에 의해 다층 필름이 합지되는 방식으로서, 열접착 수지층을 합지하고자 하는 필름 사이에 두고 열을 가하여 합지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재는 제1층 보다 내부층 또는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함유 증기, 또는 탄산수 증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재는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여, 시간에 따른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신선도 확인 대상인 식품은 육류, 생선, 야채, 유제품, 커피, 발효식품, 이의 혼합물 및 이의 혼합가공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신선도가 떨어질 때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를 발생하는 식품이면 제한없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품은 김치 등의 발효 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재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인 포장재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즉, 전체 포장재 중 일부에만 본 발명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된 다층 식품 포장재를 적용하더라도, pH 지시제의 색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내부의 이산화탄소 가스 발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품 포장재를 뜯지 않고서도 포장재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신선도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식품 포장재를 밀봉한 상태에서도 육안으로 내부 내용물의 변질 또는 숙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1개 이상의 천공을 구비하는 내부층(제1층)과 다공성 기재로 구성된 중간층(제2층)을 사용하여 가스 상태의 매우 적은 양의 이산화탄소의 발생 여부도 빠른 시간 내에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식품 포장재를 구성하는 다층 필름이 합지된 형태로 제조됨으로써 종래 기술보다 제조 공정이 보다 간단하며 그 자체로 포장재로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식품 포장재의 층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미세 열침에 의한 천공 방식의 바늘 롤러의 모습(a), 공정의 모식도(b) 및 미세 열침에 의해 필름에 형성된 천공의 현미경 측정 사진(c)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레이저를 사용한 천공 방식의 모식도 및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천공의 현미경 측정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필름을 합지하는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실험예의 장치 설비의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선형 저점도 폴리프로필렌(LLDPE)에 미세 열침을 사용하여 천공을 형성하였다. 다음, 한지에 리트머스(오세린(Orcein), 7-하이드록시페녹사존 크로모포어(7-hydroxyphenoxazone chromophore), 에리스로리트민(erythrolitmin), 아졸리트민(azolitmin), 스파니오리트민(spaniolitmin), 류코오세인(leucoorcein) 및 류카졸리트민(leucazolitmin)의 혼합물)을 수용액으로 만들고 이를 함침시켰다. 상기 천공이 형성된 선형 저점도 폴리프로필렌, 리트머스가 함침된 한지, 및 선형 저점도 폴리프로필렌을 적층하여 수성 EVA계 접착제 (㈜삼원화학 제품, MO-40 그레이드)를 사용하여 합지하여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식품의 발효 또는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농도 증대 시를 가정하여, 수조에 상온의 물을 저장하고, 고순도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기포화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설치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식품 포장재를 수조 상부에 잘 접착하여 이산화탄소 주입 시 물속에서 일어나는 거품들이 닿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산화탄소 주입 속도는 300 ml/min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산화탄소 주입 시간에 따라 수조 내의 pH는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른 식품 포장재 내 pH 지시제의 색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73959621-pat00001

Claims (12)

  1. 식품 포장재 내부부터, 1개 이상의 천공을 구비한 제1층; 식품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제2층; 및 비천공 제3층을 포함하는 다층 식품 포장재로서,
    제2층은 식품 신선도가 떨어질 때 식품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pH 지시제(indicator)가 함침되어 있는 다공성 기재이며,
    상기 제1층의 천공은, 식품의 종류, 신선도의 감소 속도, 이산화탄소의 발생량, pH 지시제의 색 변화 정도, 식품 포장재를 구성하는 필름의 구성 또는 종류에 따라 크기, 면적, 형상, 직경 및 개수가 조절되도록 레이저 조사를 통해 필름 표면을 뜯어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층은 제1층의 천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pH 지시제가 함침되어 있는 다공성 기재이고,
    상기 다공성 기재는 오일 페이퍼(oil paper), 한지, 종이, 고분자 필터, 또는 그의 혼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층은 적어도 제1층의 천공에 대응하는 위치가 투명하여, 식품 포장재 외부에서도 pH 지시제의 색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접착제에 의해 합지된 것이며,
    가스 상태의 이산화탄소 발생 감지 능력이 향상된 것이 특징인 다층 식품 포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제는 알리자린 블루 (Alizarin Blue), 메틸 바이올렛 (Methyl Violet), o-크레졸 레드 (ο-Cresol Red), 크리스털 바이올렛 (Crystal Violet), 에리트로신 (Erythrosin), 티몰 블루 (Thymol Blue), m-크레졸 레드 (m-Cresol Red), 메틸 바이올렛 6B (Methyl Violet 6B), 아미노아조벤젠 (Aminoazobenzene), 알리자린 옐로 R (Alizarin Yellow R), β-디니트로페놀 (β-Dinitrophenol(2,6-Dinitrophenol)), 메틸 오렌지 (Methyl Orange), 콩고 레드 (Congo Red), p-에틸 오렌지 (p-Ethyl Orange), 나프틸 레드 (Naphthyl Red), 메틸 레드 (Methyl Red), 카르민산 (Carminic acid), 클로로페놀 레드 (Chlorophenol Red) 및 리트머스 (litm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이 특징인 다층 식품 포장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보다 내부층 또는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함유 증기, 또는 탄산수 증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다층 식품 포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또는 제3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테네이트(PEN), 폴리락트산(PL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미드(PA),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염화비닐(PVC), 나일론(NY),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IPP), 염화 폴리프로필렌(CPP),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선형 저점도 폴리프로필렌(LLDPE), 아크릴 수지, 금속 호일 또는 그의 혼합인 것이 특징인 다층 식품 포장재.
  10. 제1항, 제5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식품 포장재에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식품으로서, 식품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식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신선도 확인 대상인 식품은 육류, 생선, 야채, 유제품, 커피, 발효식품, 이의 혼합물 및 이의 혼합가공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식품.
  12. 제1항, 제5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식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으로서,
    1개 이상의 천공을 구비한 제1층, 제2층, 및 비천공 제3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을 적층하여 접착제로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하는 단계는 제1층에 천공을 형성하고, 다공성 기재에 pH 지시제를 염색하여 제2층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다층 식품 포장재의 제조방법.
KR1020150107496A 2015-07-29 2015-07-29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71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496A KR101771224B1 (ko) 2015-07-29 2015-07-29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496A KR101771224B1 (ko) 2015-07-29 2015-07-29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636A KR20170015636A (ko) 2017-02-09
KR101771224B1 true KR101771224B1 (ko) 2017-08-25

Family

ID=5815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496A KR101771224B1 (ko) 2015-07-29 2015-07-29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98A1 (ko) * 2019-12-24 2021-07-01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597B1 (ko) * 2017-07-27 2018-01-17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신선 또는 발효 식품 포장지의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20230024546A (ko) * 2021-08-12 2023-02-21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포장재 부착용 김치 숙성도 인디케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98A1 (ko) * 2019-12-24 2021-07-01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KR20210081654A (ko) * 2019-12-24 2021-07-02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KR102272491B1 (ko) * 2019-12-24 2021-07-05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CN114787896A (zh) * 2019-12-24 2022-07-22 Cj第一制糖株式会社 食品指示剂的制备方法
JP2023509885A (ja) * 2019-12-24 2023-03-10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ーション 食品用指示計の製造方法
JP7481452B2 (ja) 2019-12-24 2024-05-10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ーション 食品用指示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636A (ko)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904B1 (ko) 자가-배기 중합체 필름
US4212153A (en) Time color indicator
Mangaraj et al. Applications of plastic films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ruits and vegetables: a review
KR101771224B1 (ko)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8051998B1 (en) Product container with integral selective membrane
EP2540634B1 (en) Food packaging container
RU2701578C2 (ru) Упаковка, упакованный продукт, способ высвобожд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вещества в камеру упаковки и способ упаковывания
CA2518996A1 (en) Films having a desiccant material incorporated therein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Mangaraj et al. Modeling of gas transmission properties of polymeric films used for MA packaging of fruits
US20110311688A1 (en) Package comprising on-demand collapsible support member
Fereydoon et al. Development of high-barrier film for food packaging
CN109982943A (zh) 香袋
JP2017124841A (ja) 内容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Richter et al. High pressure-induced structural effects in plastic packaging
US20040191476A1 (en) Multilayer packaging structure having one or more microperforated layers
RU2453439C2 (ru)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07291145U (zh) 一种食品医药包装用聚烯烃薄膜
CN104385770B (zh) 一种基于药用包装的三层复合膜的剥离方法
US20180072974A1 (en) Stand-up gusseted filter bag
US10569514B2 (en) Packaging foil comprising a luminescent compound
US20060255055A1 (en) Container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EP3377319A1 (en) Method for ripening or heat treating packaged food
US20150056342A1 (en) Package With Ridged Do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207745Y1 (ko) 김치제품의 팽창방지 포장재
JP5499505B2 (ja) 凍結真空乾燥用包装袋及び凍結真空乾燥用包装袋を用いた凍結真空乾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