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006B1 -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006B1
KR101771006B1 KR1020110004821A KR20110004821A KR101771006B1 KR 101771006 B1 KR101771006 B1 KR 101771006B1 KR 1020110004821 A KR1020110004821 A KR 1020110004821A KR 20110004821 A KR20110004821 A KR 20110004821A KR 101771006 B1 KR101771006 B1 KR 101771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d
product
user terminal
goods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612A (ko
Inventor
김현호
김윤경
박준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0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매할 상품들을 Wish List에 관심상품으로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할 때,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Wish List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을 추가적으로 보여주고, 사용자의 상품 선택 시 해당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줌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관심상품 영역과 구매상품 영역을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도록 된,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쇼핑 시스템은,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판매관리장치에 접속하고,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선택하면,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에 등록받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선택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정보에 대해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품 선택 시,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판매관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Shopping method and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and image search}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관심상품 등록을 통해 공동구매를 실행하는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매할 상품들을 Wish List에 관심상품으로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할 때,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Wish List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을 추가적으로 보여주고, 사용자의 상품 선택 시 해당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줌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관심상품 영역과 구매상품 영역을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구매는 다수의 계열사 또는 지점을 거느린 기업집단이나 동종분야의 소비자들이 결성한 조합 등 큰 구매력을 가진 집단이 구매력을 무기로 판매자들의 경쟁을 유도하여 유리한 구매 조건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이였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공동구매가 시도되고 있는데, 공동구매 주관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하기를 희망하는 구매자를 모집하고, 일정 규모 이상의 구매력이 모이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유리한 구매조건을 제시하는 판매자를 물색하여 공동구매를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공동구매 방식의 경우, 판매자는 자신의 판매조건, 특히 공동구매에 적용되는 할인된 판매가격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을 꺼리는 실정이므로 최적의 구매조건을 파악하기 어렵고, 판매자들이 담합하는 판매자들의 저항을 막을 방법이 없다.
또한, 판매자를 선정하는 당사자는 공동구매를 주관하는 소수의 공동구매 주최자이므로, 이 소수의 인원이 아주 많은 판매자 중에서 가장 유리한 판매자를 탐색하고 그중에서 최적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것이 어렵고, 공개 구매방식을 취한다고 하더라도 여기에 참여하는 판매자의 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파악되지 않은 진정한 최적 조건의 판매자를 찾아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공동구매 주관자와 판매자가 유착하여 부정을 저지르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공동구매의 경우, 공동구매 희망자는 일정규모 이상의 구매력이 형성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적기에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공동구매의 경우 각 상품별로 최적의 판매자를 찾아야 하는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다양할 경우 소수의 공동구매 주최자가 많은 종류의 상품에 대하여 모두 최적의 판매자를 찾아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동구매 물품의 종류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매할 상품들을 Wish List에 관심상품으로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할 때,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Wish List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을 추가적으로 보여주고, 사용자의 상품 선택 시 해당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줌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관심상품 영역과 구매상품 영역을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도록 된,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판매관리장치에 접속하고,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선택하면,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에 등록받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선택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정보에 대해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품 선택 시,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판매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쇼핑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품 및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상품 검색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를 제공하는 구매예정리스트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구매예정리스트에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 요청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구매할 상품에 대해 분석하여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상품 중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경우, 선택된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쇼핑 처리부;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제공부를 포함하는 판매관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신체모습을 수신하여 상기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상기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쇼핑 처리부는, 상기 구매할 상품에 대해 연령층과 지역별, 종류별, 수량별로 분석하여,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을 판매 및 관리하는 판매관리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구매할 상품들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하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 요청할 때, 상기 구매할 상품에 대해 분석하여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상품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부; 상기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한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상기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구매할 상품에 대해 연령층과 지역별, 종류별, 수량별로 분석하여,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들이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판매관리장치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받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등록받거나 요청받은 구매할 상품을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해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제공된 상품의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및 (e) 상기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매관리장치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f)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해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상품의 비용 결제 및 판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구매할 상품에 대해 연령층과 지역별, 종류별, 수량별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 단계는, 사용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상기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들이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관리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받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c) 상기 등록받거나 요청받은 구매할 상품을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해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제공된 상품의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및 (f) 상기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들이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판매관리장치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으로서, (a) 실제로 존재하지 않고 앞으로 입고될 가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공된 상품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AR)과 이미지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c) 상기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상의 상품에 대한 선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선구매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판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매관리장치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들이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관리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실제로 존재하지 않고 앞으로 입고될 가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리스트를 제공받는 단계; (c) 상기 제공된 상품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가상의 상품을 선택하여 증강현실(AR)과 이미지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이미지 검색을 요청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e) 상기 증강현실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가상의 상품에 대해 상기 판매관리장치에 선구매를 요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선구매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일정 할인율을 적용받아 구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사 구매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 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영역과 구매 이력 기반의 신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유사 관심도 기반의 그룹(카페/동호회) 활동을 지원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구매예정목록(Wish List)에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을 검색하는 것만으로도,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목록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자신이 구매할 상품을 빠른 시간 내에 선택할 수 있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쇼핑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관리장치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관리장치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상품판매장치 간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쇼핑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쇼핑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114), 통신망(120) 및 판매관리장치(130)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판매관리장치(130)에 접속하고,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선택하면, 판매관리장치(130)로부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해 판매관리장치(130)로부터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10)에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망(12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에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통신망(120)이 인터넷이나 PSTN 등의 유선 통신망일 경우 예컨대, 컴퓨터 단말기일 수 있다.
통신망(120)은 CDMA나 WCDMA, HSPA 등의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과 PSTN 등의 유선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관리장치(130)는 예컨대, 통신망(120)에 연결된 서버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나,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판매관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에 등록받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선택받으면, 사용자 단말기(110)가 선택한 정보에 대해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이때 사용자 단말기(110)의 상품 선택 시,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관리장치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매관리장치(130)는, 통신부(210),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상품 검색부(230), 구매예정목록(Wish List) 제공부(240), 쇼핑 처리부(250) 및 증강현실 제공부(26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한다.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품 검색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상품 및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구매예정목록 제공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를 제공한다. 즉, 구매예정목록 제공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구매예정리스트에 구매할 상품을 등록받아 저장한다.
쇼핑 처리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구매예정리스트에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 요청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가 선택한 구매할 상품에 대해 분석하여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제공된 상품 중 하나가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또한, 쇼핑 처리부(250)는, 구매할 상품에 대해 연령층과 지역별, 종류별, 수량별로 분석하여,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증강현실 제공부(260)는 선택된 상품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증강현실 방식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증강현실 제공부(26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신체모습을 수신하여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폰 등 사용자 단말기가 판매관리장치(130)와 같이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어플리케이션부(330), 디스플레이부(340), 저장부(350) 및 촬영부(36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상품을 판매 및 관리하는 판매관리장치(130)와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한다.
입력부(320)는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여기서, 입력부(320)는 디스플레이부(340)로 일체로 되어, 예컨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버튼 입력 방식 또는 터치 입력 방식 등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부(330)는 예를 들면, 서버 기능의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입력부(320)를 통해 구매할 상품들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 요청할 때, 구매할 상품에 대해 분석하여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판매관리장치(130)로부터 획득하여 화면 상에 제공하고, 제공된 상품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상품을 화면 상에 증강현실 방식으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350)는 판매관리장치(130)로부터 획득한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촬영부(360)는 예컨대, 소형 카메라를 구비하여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부(330)는 촬영부(360)를 통해 사용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부(330)는 구매할 상품에 대해 연령층과 지역별, 종류별, 수량별로 분석하여,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관리장치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매관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들이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받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 검색을 요청받는다(S410).
이어, 판매관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등록받거나 요청받은 구매할 상품을 분석한다(S420).
예를 들면, 판매관리장치(130)는 구매할 상품에 대해 연령층과 지역별, 종류별, 수량별로 분석할 수 있다.
이어, 판매관리장치(130)는 분석 결과에 근거해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43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공받은 상품에 대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다(S440).
이어, 판매관리장치(130)는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450).
예를 들면, 판매관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신체모습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 판매관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S460), 선택된 상품의 비용 결제 및 판매를 실행한다(S47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버 기능의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이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관리장치(130)와 통신망(120)을 통해 연동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510).
이어,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로부터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받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 검색을 요청받는다(S520).
이어, 사용자 단말기(300)는 등록받거나 요청받은 구매할 상품을 분석한다(S530).
이어,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품의 분석 결과를 판매관리장치(130)에 전송한다(S540).
이에, 판매관리장치(130)는 분석 결과에 근거해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한다(S550).
이어, 사용자 단말기(300)는 제공받은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제공하고, 제공된 상품에 대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하나가 선택된다(S560).
이어, 사용자 단말기(300)는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화면 상에 제공한다(S570).
즉, 사용자 단말기(300)는 예를 들면, 촬영부(360)를 통해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신체모습을 획득하고, 획득한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상품판매장치 간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매관리장치(130)는 현재 존재하지 않고 앞으로 입고될 가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들(110~114)에 제공한다(S610).
이에, 사용자 단말기(110)는 판매관리장치(130)로부터 제공된 상품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가상의 상품을 선택하고(S620), 선택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AR)과 이미지 검색을 요청한다(S630).
이어, 판매관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640).
이어, 가상의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증강현실 방식으로 확인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10)는 선택한 하나 이상의 가상의 상품에 대한 선구매 요청을 판매관리장치(130)에 전송한다(S650).
이어, 판매관리장치(130)는 선구매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판매를 실행한다(S660).
따라서, 판매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상품과 함께 나중에 입고될 가상의 상품을 증강현실(AR)을 통해 판매할 수 있고, 구매자의 경우에는 동일한 상품에 대해 미리 선구매함으로써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매할 상품들을 Wish List에 관심상품으로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할 때,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Wish List와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을 추가적으로 보여주고, 사용자의 상품 선택 시 해당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줌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관심상품 영역과 구매상품 영역을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도록 된,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대형 할인 마트 등에서 구매할 상품들을 미리 메모해 둘 수 있는 휴대용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단말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할 상품들을 구매예정목록에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을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나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할 상품들 중 선택된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나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소셜 쇼핑 시스템 110 ~ 114 : 사용자 단말기
120 : 통신망 130 : 판매관리장치
210 : 통신부 220 :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상품 검색부 240 : 구매예정목록 제공부
250 : 쇼핑 처리부 260 : 증강현실 제공부
300 : 사용자 단말기 310 : 통신부
320 : 입력부 330 : 어플리케이션부
340 : 디스플레이부 350 : 저장부
360 : 촬영부

Claims (14)

  1.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판매관리장치에 접속하고,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하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선택하면,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에 등록받거나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선택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정보에 대해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품 선택 시,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판매관리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판매관리장치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고 앞으로 입고될 가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가상의 상품에 대한 선구매 요청을 수신받으며, 상기 선구매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판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쇼핑 시스템.
  2.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품 및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상품 검색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를 제공하는 구매예정리스트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구매예정리스트에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 요청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구매할 상품에 대해 분석하여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상품 중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경우, 선택된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쇼핑 처리부;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제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신체모습을 수신하여 상기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상기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처리하고,
    상기 쇼핑 처리부는, 상기 구매할 상품에 대해 연령층과 지역별, 종류별, 수량별로 분석하여,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실제로 존재하지 않고 앞으로 입고될 가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가상의 상품에 대한 선구매 요청을 수신받으며, 상기 선구매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판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관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상품을 판매 및 관리하는 판매관리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구매할 상품을 등록하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구매할 상품들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하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를 검색 요청할 때, 상기 구매할 상품에 대해 분석하여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여 화면 상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상품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상품을 화면 상에 증강현실 방식으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부;
    상기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한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상기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제공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구매할 상품에 대해 연령층과 지역별, 종류별, 수량별로 분석하여,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실제로 존재하지 않고 앞으로 입고될 가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리스트를 제공 받고,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가상의 상품에 대한 선구매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판매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선구매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구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사용자 단말기들이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판매관리장치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받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등록받거나 요청받은 구매할 상품을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해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제공된 상품의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e) 상기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f)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해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상품의 비용 결제 및 판매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구매할 상품에 대해 연령층과 지역별, 종류별, 수량별로 분석하고,
    상기 (e) 단계는, 사용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신체모습을 배경으로 상기 선택된 상품을 배합하여 증강현실로 제공하며,
    상기 판매관리장치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고 앞으로 입고될 가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가상의 상품에 대한 선구매 요청을 수신받으며, 상기 선구매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판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관리장치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사용자 단말기들이 구매한 상품들에 대해 분석된 구매성향과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관리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할 상품을 구매예정리스트(Wish List)에 등록받거나 상기 구매할 상품의 이미지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c) 상기 등록받거나 요청받은 구매할 상품을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해 상기 판매관리장치로부터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의 구매예정리스트와 상기 구매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제공된 상품의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및
    (f) 상기 선택된 상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판매관리장치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고 앞으로 입고될 가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가상의 상품에 대해 증강현실 방식으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가상의 상품에 대한 선구매 요청을 수신받으며, 상기 선구매 요청된 가상의 상품에 대해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판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소셜 쇼핑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04821A 2011-01-18 2011-01-18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101771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21A KR101771006B1 (ko) 2011-01-18 2011-01-18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21A KR101771006B1 (ko) 2011-01-18 2011-01-18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443A Division KR20160128965A (ko) 2016-10-28 2016-10-28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12A KR20120083612A (ko) 2012-07-26
KR101771006B1 true KR101771006B1 (ko) 2017-09-05

Family

ID=4671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821A KR101771006B1 (ko) 2011-01-18 2011-01-18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0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240A (ko) 2018-10-28 2020-05-07 주식회사 디바스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쥬얼리 판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쥬얼리 판매 방법
KR20200047241A (ko) 2018-10-28 2020-05-07 주식회사 디바스 증강현실(ar)을 위한 마커용 링
KR20230095653A (ko) 2021-12-22 2023-06-2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상품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618364B1 (ko) 2023-07-05 2023-12-28 주식회사 디씨엠 온라인 쥬얼리 시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65B1 (ko) 2016-09-23 2017-01-25 (주) 천기화생활과학연구소 상품 구매자가 촬영한 사진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
KR101887081B1 (ko) * 2017-05-08 2018-08-13 주식회사 브리즘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11010742B2 (en) * 2018-01-23 2021-05-18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gmented reality point-of-sale
KR102456370B1 (ko) * 2020-08-19 2022-10-20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무인 매장 장치
CN112581232A (zh) * 2020-12-24 2021-03-30 崔亚鹏 一种基于图像的电商商品推荐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240A (ko) 2018-10-28 2020-05-07 주식회사 디바스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쥬얼리 판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쥬얼리 판매 방법
KR20200047241A (ko) 2018-10-28 2020-05-07 주식회사 디바스 증강현실(ar)을 위한 마커용 링
KR20230095653A (ko) 2021-12-22 2023-06-2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상품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618364B1 (ko) 2023-07-05 2023-12-28 주식회사 디씨엠 온라인 쥬얼리 시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12A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006B1 (ko)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US11259072B2 (en) Online live video sales management system
US2010026531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 smart fixture
US20110106653A1 (en) Merchandise displa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231946B1 (ko) 코디네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및 경영관리시스템
US20150317719A1 (en) Determining customer intent in an online retail environment
KR20190056075A (ko)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평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60128965A (ko)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3457A (ko) 공동구매 실시간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1078A (ko) 온라인 상품 구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89011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11762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7183847A1 (ko) 객체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91175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2649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90056076A (ko) 할인견적 산출을 통한 사업자, 구매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0501A (ko) 상품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72175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4046A (ko) 라이브 영상 스트리밍과 이미지 검색을 통한 의류상품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8966A (ko) 지역판매자 대상 판매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0610A (ko) 검색과 연계된 위시리스트 활용 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4454113B2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1306860A (ja) 販売仲介システム
CN113505148A (zh) 一种基于互助分值的排序方法、搜索排序方法及装置
JP2008083945A (ja) 商品発注処理システム、商品情報提供装置、商品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及び商品発注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