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562B1 - 어망용 로프 - Google Patents

어망용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562B1
KR101770562B1 KR1020150110839A KR20150110839A KR101770562B1 KR 101770562 B1 KR101770562 B1 KR 101770562B1 KR 1020150110839 A KR1020150110839 A KR 1020150110839A KR 20150110839 A KR20150110839 A KR 20150110839A KR 101770562 B1 KR101770562 B1 KR 10177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ishing
weight
center line
fish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216A (ko
Inventor
노용식
노진섭
노영섭
Original Assignee
(주)용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진산업 filed Critical (주)용진산업
Priority to KR102015011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5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어망용 로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어망용 로프는, 내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줄; 상기 중심줄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납으로 형성되는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줄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는 상기 중심줄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무게추로 형성되어 상기 어망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에 상기 로프는 어선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쉽게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용 로프.

Description

어망용 로프{ROPE FOR FISHING NET}
본 발명은 어망용 로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망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에 로프가 어선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쉽게 절단되고 어망의 크기나 표적 어류에 대응하는 로프의 굵기를 확보할 수 있는 어망용 로프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20-0155642호에서는 그물의 신속한 철강을 위하여 로프에 추를 간헐적으로 매달고 그 둘레에 여러 가닥의 섬유를 감아 내부에 위치한 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외피의 섬유 가닥은 어로 작업의 거친 환경으로 인하여 절단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로프의 수선작업이 빈번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며, 이러한 외피의 절단현상으로 인하여 내부에 위치한 추의 부식현상도 가속화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로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추를 일일이 로프에 매다는 수작업공정은 작업시간 지연과 용역비용의 증가로 귀결되어 어망용 로프의 가격경쟁력을 하락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추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납성분으로 인한 환경적인 취약점을 극복하고자 등록특허 제10-0797625호에서는 철의 소재로 형성된 어망용 로프를 개시하고 있으나, 납보다 부식이 용이한 철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외피를 꼼꼼하게 섬유소재로 감는 특징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섬유소재의 외피는 수분흡수로 인하여 로프의 무게가 증대됨으로써 어로 작업을 더욱 힘들게 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 위치한 철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테이프의 외면에 다시 섬유소재의 외피를 감는 이중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공정상의 이중작업은 로프제작비용의 증대만 초래할 뿐이어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0762호(어망용 로프)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어망용 로프는 수면 아래로의 신속한 침강이 가능하면서도 작업공정이 최대로 단순화되고, 바닷물로 인한 부식현상이 방지되며, 내부의 와이어 및 납으로 이루어진 레이어층의 구조로 인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내부의 납으로 형성된 레이어층을 마디구조로 형성하여 로프의 유연성 및 자유도를 증가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어망용 로프는 외부환경과의 걸림 현상에 의한 끊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강한 강도력을 갖도록 제2 레이어부에 의해 감싸지는 제1 레이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할되어 상호 인접 배치되는 마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어망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로프가 어선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쉽게 절단되지 않게 되므로 어선이 어망 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심할 경우에는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어망용 로프는 와이어의 외주변을 제1 레이어부로 감싸고 제1 레이어부의 외주변을 제2 레이어부로 감싸도록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큰 어망이나 표적 어류에 대응할 수 있는 로프의 굵기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어망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에 로프가 어선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고, 어망의 크기나 표적 어류에 대응하는 로프의 굵기를 확보할 수 있는 어망용 로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어망용 로프로서, 내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줄; 상기 중심줄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납으로 형성되는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줄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는 상기 중심줄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무게추로 형성되어 상기 어망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에 상기 로프는 어선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쉽게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용 로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무게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복에 의해 감싸지고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로프는, 상기 로프가 상기 어망의 크기나 표적 어류에 대응하는 굵기를 확보하도록 다양한 굵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는 수중의 장애물에 걸린 어망을 회수시 어망의 뜸줄과 발줄을 형성하는 로프가 어선에 설치된 어망 회수장치의 당김력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어선이 어망 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어 발생하는 인명피해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는 보강로프에 의해 다양한 굵기로 형성 가능하여 비교적 큰 어망이나 표적 어류에 대응할 수 있는 굵기를 충족시킴으로써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는 무게추가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무게추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어 유연성 및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줄(10)과, 중심줄(10)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무게추(20)와, 무게추(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강로프(30)와, 그리고 무게추(20) 및 보강로프(3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피복(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어망(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줄(2)과 발줄(3) 사이에 그물(4)이 설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로프는 어망(1)의 뜸줄(2)과 발줄(3)을 형성하는 것이다.
중심줄(10)은 로프의 내부 중심부에 마련된다. 이때, 중심줄(10)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어망(1)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중심줄(10)은 로프가 어선에 설치된 어망 회수장치에서 발생하는 당김력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중심줄(10)은 기존의 어망용 로프에서 나일론 재질로 형성되는 것과 달리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어선에 설치된 어망 회수장치로부터 발생하는 당김력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수의 무게추(20)는 중심줄(10)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즉, 다수의 무게추(20)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납으로 형성되어 중심줄(10)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어망(1)을 수중에 전개시 로프는 무게추(20)에 의해 수면 아래로의 침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무게추(20)는 중심줄(10)에 상호 일정한 간격(S)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어망(1)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로프가 어선에 설치된 어망 회수장치에서 발생하는 당김력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무게추(20)는 기존의 어망용 로프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가 분할 형성되어 마디 구조로 상호 밀집되게 인접 배치되는 구조와 달리, 무게추(2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S)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어망(1)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로프가 무게추(20)의 배치구조에 따라 어선에 설치된 어망 회수장치의 당김력에 의해 쉽게 절단되는 구조를 제공하면서도 로프의 유연성 및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강로프(30)는 무게추(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보강로프(3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되어 무게추(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보강로프(30)는 다양한 굵기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로프는 어망(1)의 크기 및 표적 어류에 대응하는 굵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로프는 기존의 어망용 로프가 일정한 굵기로 형성되는 구조와 달리, 보강로프(30)에 의해 다양한 굵기로 형성될 수 있게 됨으로써 비교적 큰 어망이나 표적 어류를 어획하기 위한 굵기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강로프(30)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어망(1)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중심줄(10)과 마찬가지로 어선에 설치된 어망 회수장치로부터 발생하는 당김력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피복(40)은 무게추(20)와 보강로프(30)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즉, 피복(40)은 피브이씨 재질로 형성되고 무게추(20)와 보강로프(30)를 감싸는 형성되며 이에 따라 피복(40)은 어망(1)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로프가 어선에 설치된 어망 회수장치의 당김력에 의해 쉽게 절단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로프의 내부로 바닷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무게추(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망(1)은 뜸줄(2)과 발줄(3) 사이에 그물(4)이 설치되고, 뜸줄(2)에는 일정한 부력을 갖는 부구(2A)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에 따라, 어망(1)은 수중에 전개시 부구(2A)에 의해 일정한 부력을 갖는 뜸줄(2)과 수중의 아래 방향으로 침강되는 발줄(3)에 의해 그물(4)을 수직상태로 직립 배치할 있게 된다. 이러한 어망 구조에서 본 발명의 로프는 뜸줄(2)과 발줄(3)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어망(1)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린 상태로 어선에서 회수하는 경우, 어망(1)의 뜸줄(2)과 발줄(3)을 형성하는 로프는 어선에 설치된 어망 회수장치의 당김력에 의해 절단되게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를 형성하는 중심줄(10)이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고, 무게추(20)는 로프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S)을 두고 배치되며, 보강로프(30)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고, 피복(40)은 피브이씨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
이에 따라, 어망(1)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린 상태로 어선에서 회수시 로프가 쉽게 절단됨으로써 어선이 어망 회수장치의 당김력에 의해 어망 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어 발생하는 인명피해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로프는 보강로프(30)에 의해 다양한 굵기로 형성되어 비교적 큰 어망(1)이나 표적 어류에 대응할 수 있는 굵기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는, 외부환경과의 걸림 현상에 의한 끊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강한 강도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종래기술과 달리, 수중의 장애물에 걸린 어망을 회수시 어망의 뜸줄(2)과 발줄(3)을 형성하는 로프가 어선에 설치된 어망 회수장치의 당김력에 의해 쉽게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어선이 어망 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어 발생하는 인명피해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는, 보강로프(30)에 의해 다양한 굵기로 형성 가능하여 비교적 큰 어망이나 표적 어류에 대응할 수 있는 굵기를 충족시킴으로써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로프는, 무게추(20)가 상호 일정한 간격(S)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무게추(2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어 유연성 및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중심줄
20: 무게추
30: 보강로프
40: 피복

Claims (3)

  1. 어망용 로프로서,
    내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줄;
    상기 중심줄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납으로 형성되는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줄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는 상기 중심줄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무게추로 형성되어 상기 어망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에 상기 로프는 어선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쉽게 절단되고,
    상기 무게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복에 의해 감싸지고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로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로프는 상기 로프가 상기 어망의 크기나 표적 어류에 대응하는 굵기를 확보하도록 다양한 굵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용 로프.
  2. 삭제
  3. 삭제
KR1020150110839A 2015-08-06 2015-08-06 어망용 로프 KR101770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839A KR101770562B1 (ko) 2015-08-06 2015-08-06 어망용 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839A KR101770562B1 (ko) 2015-08-06 2015-08-06 어망용 로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216A KR20170017216A (ko) 2017-02-15
KR101770562B1 true KR101770562B1 (ko) 2017-08-23

Family

ID=5811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839A KR101770562B1 (ko) 2015-08-06 2015-08-06 어망용 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399B1 (ko) * 2020-08-20 2021-02-19 김정호 어업용 로프
KR20210132356A (ko) 2020-04-27 2021-11-04 김용선 코어사가 삽입된 납실의 제조방법 및 자동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25B1 (ko) 2007-07-18 2008-01-24 진득성 어로용 추 기능을 갖는 어망용 로우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25B1 (ko) 2007-07-18 2008-01-24 진득성 어로용 추 기능을 갖는 어망용 로우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356A (ko) 2020-04-27 2021-11-04 김용선 코어사가 삽입된 납실의 제조방법 및 자동제조장치
KR102218399B1 (ko) * 2020-08-20 2021-02-19 김정호 어업용 로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216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4366A (en) Lead lines for fish nets
JP5241856B2 (ja) 高張力鋼線を有する水産養殖ネット
EP2230898B1 (en) Aquaculture net with different densities of weight
KR101770562B1 (ko) 어망용 로프
CA2906797C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CN107535402B (zh) 内嵌于圆形浮式网箱内部的网衣固定装置
US9185887B2 (en) Aquaculture net with isotropic bottom mesh
JP5881484B2 (ja) 水中浮魚礁およびその回収方法
EP2348825B1 (en) A device for treatment of fish in net cages
EP3031319A1 (en) Aquaculture system with rigid structure
JP3121845U (ja) 魚類捕獲装置
KR20160131874A (ko) 삿갓형 어초
CN104813971A (zh) 一种用于深水养殖网箱
KR20130061159A (ko) 바다에서 어족자원 보호 위한 저인망 어선 조업 방지용 인공어초
KR101599232B1 (ko) 자망 구조
KR101300762B1 (ko) 어망용 로프
JP2008161096A (ja) 海洋水産増殖用の保護礁およびズワイガニの保護育成施設ならびに海洋水産増殖域の保護方法
US2731759A (en) Fish net float
CA3012135A1 (en) Weak rope fishing trap locator
JP4476571B2 (ja) 沈降力を変化させた編組状シンカーラインおよび浮力を変化させた編組状フロートライン並びにこれらを使用する漁網
JP6234495B2 (ja) 漁網
KR200373267Y1 (ko) 봉돌 걸림 방지 캡(280)
KR101022128B1 (ko) 낚시용 수중찌
CN203167846U (zh) 渔网浮标结构
KR101043442B1 (ko) 낚시대용 소품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