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568B1 -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568B1
KR101768568B1 KR1020140191039A KR20140191039A KR101768568B1 KR 101768568 B1 KR101768568 B1 KR 101768568B1 KR 1020140191039 A KR1020140191039 A KR 1020140191039A KR 20140191039 A KR20140191039 A KR 20140191039A KR 101768568 B1 KR101768568 B1 KR 10176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ulate
present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immu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535A (ko
Inventor
김정봉
이성현
장환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9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5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는 골수유래 대식세포의 증식을 현저히 촉진하는 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면역력 저하 질환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시, 대식 세포의 현저히 증가시켜 면역 증진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MUNOLOGICAL ENGANCEMENT COMPRISING SITOSTERYL FERULATE}
본 발명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 기능을 증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는 일차적으로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물질 및 이의 활성기작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오고 있다.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항원의 흡수 및 세포독성의 기능이 현저히 향상될 뿐 아니라 인터루킨-1(Interlukin-1)과 같은 각종 물질을 분비하여 다른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함으로써 면역계 전반의 활성화를 유도하게 된다.
골수로부터 생산되는 대식세포(macrophage)는 크게 3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 대식세포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이물질을 직접 흡입하는 식작용(phagocytosis)을 하며, 둘째로 함입된 병원체를 활성산소(superoxide)를 이용하여 분해 및 제거하며, 셋째로 외부 항원을 변형시킨 후 이를 세포표면으로 표현하여 T세포로 항원을 인식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항체를 형성시킨다. 또한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T세포, B세포를 포함한 다른 여러 세포를 자극하며 새로운 반응을 유도한다.
대식세포의 식작용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용체 단백질들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 수용체 단백질로는 IgG를 인지하는 Fc 수용체와 보체(complement)를 인지하는 보체 수용체가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Aderem A and Underhill DM. Mechanisms of phagocytosis in macrophage. Annu Rev Immunol 1999;17:593-623), 세포 내에 엑틴 필라멘트를 조절하는 작은 GTPase들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on E and Hall A. Identification of two distinct mechanisms of phagocytosis controlled by different Rho GTPases. Science 1998;282:1717-21).
대식세포는 림포카인, 엔도톡신 또는 RNA와 같은 인터페론 유도물질을 포함하는 외부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식작용과 종양세포 파괴기능이 항진되며, 세포의 크기가 증가하고 여러 가지의 물질을 다량 분비한다. 또한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표면에는 클라스 I MHC 단백질, Mac-1 또는 Fc 수용체와 같은 표면 단백질이 증가한다. 뿐만 아니라, 대식세포는 활성산소를 이용하여 세포내 함입된 병원체를 분해한다. 따라서 대식세포의 활성산소 생성능이 감소 또는 소실되는 경우 심각한 면역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대식세포는 종양세포와 접촉하여 H2O2나 OH 라디칼을 분비함으로써 종양세포를 제거한다. 활성산소는 NADPH-옥시데이즈라는 단백질 복합체인 효소작용에 의해 생성되며,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 도 1과 같이 세포내의 단백질인 Rac, p67phox, p47phox 및 p40phox이 막단백질인 Rap, p22 및 gp91 단백질들과 결합하여 활성산소를 생성시킨다(Babior BM. NADPH oxidase: anupdate. Blood 1999;93:1464-76).
감마-오리자놀은 쌀겨 또는 미강에 포함된 성분으로서, 항산화 효능이 알려진 물질이다. 상기 감마-오리자놀은 여러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데, 감마-오리자놀에 포함된 물질들 중 하나인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sitosteryl ferulate)는 그 효능에 관해 아직 정확히 규명된 것이 없는 바, 새로운 효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의 효능을 연구하던 중,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가 대식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면역을 증진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는 골수유래 대식세포의 증식을 현저히 촉진하는 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면역력 저하 질환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시, 대식 세포의 현저히 증가시켜 면역 증진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미강으로부터 왁스 및 인지질이 제거된 미강유를 추출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왁스 및 인지질이 제거된 미강유로부터 고순도의 감마-오리자놀 결정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은 감마-오리자놀에 포함된 분리된 개별성분들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감마-오리자놀로부터 분리된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각 성분들의 대식세포 증식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sitosteryl ferul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26596862-pat00001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는 감마-오리자놀보다 대식세포 증식능이 우수하다. 감마-오리자놀에 포함된 성분인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는 대식세포의 증식을 오히려 감소시키고,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물질은 대식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감마-오리자놀에 속하는 성분들이라고 해서 대식세포 증식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는 대식세포 증식능이 우수하므로, 면역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 이외에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 증진은 생체 내 면역 시스템의 면역 반응 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 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을 포함하는 모든 알려진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형들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면역기능 증진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유효성분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sitosteryl ferul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은 면역 기능이 떨어져서 정상인보다 더 쉽게 걸리게 되는 질환 또는 면역 기능 저하로 인해 치료가 어려운 질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감기, 알레르기 및 만성피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알레르기는 아토피, 천식 및 알러지성 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 이외에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서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는 그 자체 또는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 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피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세포 또는 피부에 투여하여 본 발명 조성물에 함유된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말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30 게이지의 가는 주사 바늘로 피부를 가볍게 단자(prick)하는 방법, 또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ug 내지 1,0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ug 내지 100 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효성분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면역기능 증진제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 이외에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는 대식 세포 증식을 억제시키고,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는 대식 세포 증식 효과가 없다. 그러나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와 혼합하면,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보다 더 우수한 대식 세포 증식 효과를 보이므로, 상기 세 물질 간에 면역 증진에 있어서 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의 혼합 중량 비율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0.5~2 : 1~3 : 2~5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1.5 : 1.5~2.5 : 2.5~4 일 수 있다. 상기 세 가지 물질이 0.5~1.5 : 1.5~2.5 : 2.5~4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때, 상승 효과가 더 뚜렷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감마-오리자놀 개별 성분들의 정제
운광벼의 미강 200g을 1.5L 헥산에 넣은 후, 초음파 추출기(47 KHz, 30분, 3회)에서 2회 추출하였다. 상기 초음파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아세톤으로 재용해시킨 후, 60℃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고, 다시 5℃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켰다. 생성된 고체상은 버리고, 액체상은 다시 60℃, 1시간 및 5℃, 24시간 동안 방치시켜 생성된 고체상을 폐기하였다. 이러한 반복 과정은 왁스 및 인지질을 결정화시켜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식화하여 표시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왁스 및 인지질이 제거된 미강유를 메탄올과 아세톤이 60:40의 부피비로 혼합된 용매에 재용해시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60℃에서 24시간동안 방치하여 생성된 액체상은 버리고, 고체상을 수득하였다. 상기 과정을 2번 실시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은 감마-오리자놀을 제외한 기타 지용성 성분(triglyceride, 지방산, 비타민 E, 피토스테롤, 스쿠알렌)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득된 고체상을 48시 간동안 실온에 방치시켜 고순도의 감마-오리자놀 결정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도 2에 도식화하여 표시하였다.
상기 고순도 감마-오리자놀 결정에 포함된 여러 가지 개별성분들을 자동 정제 프렙(auto purification prep, Waters ZQ, PDA; Waters 2998, gradient pump; waters 2525, MA, USA) LC-MS으로 정제하였고, 감마-오리자놀에 포함된 19가지 물질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도 3에 표시하였고,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sitosteryl ferulate)를 나타내는 HPLC 크로마토그램을 도 4에 표시하였다. 도 3에서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는 피크(peak) 3이고,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는 피크 6,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는 피크 8이다.
실험예 - 골수유래 대식세포 증식 효과
골수 유래 대식세포 (Bone marrow derived macrophages, BMDM)를 준비하기 위해서 야생형 C57BL/6 생쥐의 대퇴골에서 골수 세포를 추출 하였다. 추출된 골수 세포들을 대식세포로 배양하기 위해 대식세포 자극 인자가 함유된 L929 세포 배양액 (20%)과 열처리된 우태아 혈청(10%)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7일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분화된 대식세포를 5x105cells/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이들 세포에 감마-오리자놀,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peak 3 물질),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peak 6 물질) 및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peak 8 물질)을 각 농도별 (1, 5, 10, 20μM)로 처리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에 배양액을 버리고 각 웰(well)에 DMEM에 녹인 0.5mg/mL의 MTT(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용액을 100㎕/well로 가하고 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버리고 DMSO 100㎕/well씩 넣어 프로마잔(formazan)을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는 평균표준 편차로 기록 하였고, 그룹 간 유의성 검정은 원-웨이 아노바(One-way ANOVA)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 하였다. 상기 도 5에서 DMEM은 BMDM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이며, DMSO는 시료를 녹일 때 사용한 용매로서, DMSO를 BMDM에 처리한 대조군(vehicle control)인 것이다.
상기 도 5에서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peak 3 물질)는 대식세포의 증식을 오히려 현저히 억제하고,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peak 6 물질)은 대식세포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peak 8 물질)를 처리한 실험군은 대식세포가 대조군보다 현저히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추출물을 녹일 때 쓰인 DMSO 처리한 군에서의 흡광도를 100%로 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와 1 : 2 : 3 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단독물질로 처리할 때와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자,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만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대식세포의 증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상기 도 5에서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가 대식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캠세프테릴 페룰레이트는 대식세포를 증식시키지 않으므로, 혼합 처리하면 시토시트렐 페룰레이트를 단독 처리할 때보다 증식 효과가 더 나빠야 하지만, 오히려 대식 세포 증식이 더 증가하였다는 것은, 상기 세 물질 간에 면역 증진에 있어서 상승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6)

  1.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sitosteryl ferul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의 혼합 중량 비율이 0.5~2 : 1~3 : 2~5 인, 식품 조성물.
  4.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sitosteryl ferul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이 감기, 알레르기 및 만성피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캠페스테릴 페룰레이트 및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40191039A 2014-12-26 2014-12-26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176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039A KR101768568B1 (ko) 2014-12-26 2014-12-26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039A KR101768568B1 (ko) 2014-12-26 2014-12-26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535A KR20160079535A (ko) 2016-07-06
KR101768568B1 true KR101768568B1 (ko) 2017-08-22

Family

ID=5650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039A KR101768568B1 (ko) 2014-12-26 2014-12-26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5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6259A1 (en) 2006-06-14 2009-12-31 Tokyo University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NF-Kappabeta Activation Inhibi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6259A1 (en) 2006-06-14 2009-12-31 Tokyo University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NF-Kappabeta Activation Inhibit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Pharmacol Sci. 2009, Vol.111, pp.328-33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535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424B2 (en) Muscle atrophy inhibitor
KR20170014758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46388B1 (ko) 쑥부쟁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JP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87008B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이리도이드 유도체로 구성된 화합물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95917B1 (ko) 강글리오사이드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80134161A (ko) 타트체리추출물 및 미배아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8568B1 (ko) 시토스테릴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1708843B1 (ko) 계피 추출물 및 비파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파-글루코시다제 활성 억제제
JP6273440B2 (ja) Glp−1産生促進剤、dppiv阻害剤及びグルコース吸収阻害剤
EP2939672B1 (en) Igf-1 production promoter
KR102114271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JP2022001029A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及びそれを含む食品組成物
KR20210085627A (ko) 쌍별귀뚜라미 및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29642B1 (ko)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KR102203626B1 (ko) 포스비틴 및 리소자임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895158B1 (ko) 두충과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894657B1 (ko) 맥문동과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EP4248957A1 (en) Method f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rough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derivative and tgf-? receptor inhibitor
KR101987821B1 (ko) 육계와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886802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1826214B1 (ko) 미강 유래 당단백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 및 알러지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