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758A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4758A KR20170014758A KR1020150108612A KR20150108612A KR20170014758A KR 20170014758 A KR20170014758 A KR 20170014758A KR 1020150108612 A KR1020150108612 A KR 1020150108612A KR 20150108612 A KR20150108612 A KR 20150108612A KR 20170014758 A KR20170014758 A KR 201700147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present
- chronic inflammatory
- composition
- psoriasi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08000037976 chronic inflammation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08000037893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12676 herbal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0628997 Flo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01000004681 Psoria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41000218378 Magnol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1000001263 Psoriatic 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36824 Psoriatic arthropat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22559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02556 Ankylosing Spondyl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11231 Croh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2481 Myos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6417 multiple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6545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09900 Colitis ulcerativ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1000006704 Ulcerative Col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13643 idiopathic inflammatory myopat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1000000596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iseases 0.000 claims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08000026278 immune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108050003558 Interleukin-17 Proteins 0.000 description 28
- 102000013691 Interleukin-17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7
- 108090001005 Interleukin-6 Proteins 0.000 description 26
- 102000004889 Interleukin-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5
- 102100040247 Tumor necrosis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5
- 108060008682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MZOFCQQQCNRIBI-VMXHOPILSA-N (3s)-4-[[(2s)-1-[[(2s)-1-[[(1s)-1-carboxy-2-hydroxyeth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3-[[2-[[(2s)-2,6-diaminohexanoyl]amino]acetyl]amino]-4-ox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C)NC(=O)[C@H](CCCN=C(N)N)NC(=O)[C@H](CC(O)=O)NC(=O)CNC(=O)[C@@H](N)CCCCN MZOFCQQQCNRIBI-VMXHOPILSA-N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1161 mammalian embryo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102000013264 Interleukin-2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3
- 108010065637 Interleukin-23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012 Tofacitini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UJLAWZDWDVHWOW-YPMHNXCESA-N tofacitinib Chemical compound C[C@@H]1CCN(C(=O)CC#N)C[C@@H]1N(C)C1=NC=NC2=C1C=CN2 UJLAWZDWDVHWOW-YPMHNXCESA-N 0.000 description 9
- 229960001350 tofacitinib Drug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7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510 kerat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29920006008 lipo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06010015150 Ery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102100033511 Keratin, type I cytoskeletal 17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66325 Keratin-17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321 erythema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969 inflammatory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052200 mold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HMUNWXXNJPVALC-UHFFFAOYSA-N 1-[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N1CC2=C(CC1)NN=N2)=O HMUNWXXNJPVA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DXJRKWFNNFDSA-UHFFFAOYSA-N 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N(CC2=NNN=C21)CC(=O)N3CCN(CC3)C4=CN=C(N=C4)NCC5=CC(=CC=C5)OC(F)(F)F LDXJRKWFNNFD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020 chronic inflam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519 immonomod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5135 lupus erythematosu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72 mouse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1000001245 periodo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989 splee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988 sple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8157 ELISA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3121 Inula britan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673966 Magnolia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1001076414 Mus musculus Interleukin-6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648740 Mus musculus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OSASVXMJTNOKOY-UHFFFAOYSA-N chlorobutanol Chemical compound CC(C)(O)C(Cl)(Cl)Cl OSASVXMJTNOK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277 chronic periodo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33 cyt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72 cyt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12 dispersion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WSXRVCMGQZWBV-WDSKDSINSA-N glutathio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O)N[C@@H](CS)C(=O)NCC(O)=O RWSXRVCMGQZWBV-WDSKDSIN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18 immun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85 psori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679 serum free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CSJYZPVAKXKNQ-HZYVHMACSA-N streptomycin Chemical compound CN[C@H]1[C@H](O)[C@@H](O)[C@H](CO)O[C@H]1O[C@@H]1[C@](C=O)(O)[C@H](C)O[C@H]1O[C@@H]1[C@@H](NC(N)=N)[C@H](O)[C@@H](NC(N)=N)[C@H](O)[C@H]1O UCSJYZPVAKXKNQ-HZYVHMAC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LNAZSHAWQACDHT-XIYTZBAFSA-N (2r,3r,4s,5r,6s)-4,5-dimethoxy-2-(methoxymethyl)-3-[(2s,3r,4s,5r,6r)-3,4,5-trimethoxy-6-(methoxymethyl)oxan-2-yl]oxy-6-[(2r,3r,4s,5r,6r)-4,5,6-trimethoxy-2-(methoxymethyl)oxan-3-yl]oxyoxane Chemical compound CO[C@@H]1[C@@H](OC)[C@H](OC)[C@@H](COC)O[C@H]1O[C@H]1[C@H](OC)[C@@H](OC)[C@H](O[C@H]2[C@@H]([C@@H](OC)[C@H](OC)O[C@@H]2COC)OC)O[C@@H]1COC LNAZSHAWQACDHT-XIYTZBAFSA-N 0.000 description 1
- DDMOUSALMHHKOS-UHFFFAOYSA-N 1,2-dichloro-1,1,2,2-tetrafluoroethane Chemical compound FC(F)(Cl)C(F)(F)Cl DDMOUSALMHHKO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XPNQXFRVYWDDI-UHFFFAOYSA-N 1-methyl-2,4-dioxo-1,3-diazinane-5-carboximidamide Chemical compound CN1CC(C(N)=N)C(=O)NC1=O IXPNQXFRVYWD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2091 Ana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94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275 Autoimmu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079 Bronchial Sp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482 Bronchosp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64374 Caly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69772 Celithemis eli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362614 Cr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QTVWNMPRSA-N D-mann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QTVWNMPR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7 Dextr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2495 Dietary Plan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786 Dry sk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86 ELISA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4636 Glutathi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226 Hyperlipid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923 Lam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779 Listeria monocytogen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67230 Lonicer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377 Magno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45 Metabolic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03 Ovis ar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3 Pecti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4719 Personality chan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57 Pi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69298 Pseudaulacaspis pentago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575 Pustular psor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80 RPMI-1640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51376 Schizonepeta tenu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4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SEJCLTVZPLZKY-UHFFFAOYSA-N Triethanolamine Chemical compound OCCN(CCO)CCO GSEJCLTVZPLZ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VNJLUVGTFULAE-UHFFFAOYSA-N [NH4+].[Cl-].[K] Chemical compound [NH4+].[Cl-].[K] PVNJLUVGTFUL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690 abdominal obesity-metabolic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3017 acquired idiopathic inflammatory my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3476 aga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9 a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961 allergic rea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NROFYMDJYEPJX-UHFFFAOYSA-K alumi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OH-].[Al+3] WNROFYMDJYEPJ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05 anaesth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46 anticoagul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219 anticoagulant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29 antifung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44 atroph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3 autoimmu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33 azeotropic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74 cann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24 carbon diox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26 chlorobut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85 chronic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887 co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10 cook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112 corn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MNKXPULIDJLSU-UHFFFAOYSA-N dichloro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Cl)Cl UMNKXPULIDJLS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364 dichlorofluorometha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7091 dichlorotetrafluoroetha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43 digestive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51 drug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36 dry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2 embryoid bod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57 embryonic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50 endocri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 et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EFDCLMNVWHSGT-UHFFFAOYSA-N ethenylcyclopentane Chemical compound C=CC1CCCC1 BEFDCLMNVWHS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1 frozen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685 gastrointestinal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80 glutathi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54 horm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610 hyper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29 immune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121 immunoconjug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61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3 intrathe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ZWBNHMXJMCXLU-BLAUPYHCSA-N isomaltotr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H](OC[C@@H](O)[C@@H](O)[C@H](O)[C@@H](O)C=O)O1 FZWBNHMXJMCXLU-BLAUPYHC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4 isotonic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51 isotonicity adj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65 lin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2 liposo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37 lozen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9 lys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64 marga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0 margar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5 micro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89 micr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9 nebu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47 new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99 optical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68 organ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98 organs belonging to the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07 p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222 peritoneal dialysis isotonic soluti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5 persist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742 phe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317 potato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0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486 rice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7 scallo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8 secr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890 sinu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3 sodium algi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1 sodium algi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5550 sodium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27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4 s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5582 s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199 s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7 sterile water for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9 stop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34 stratum corne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TKIYNMVFMVABJ-UHFFFAOYSA-L thimerosal Chemical compound [Na+].CC[Hg]SC1=CC=CC=C1C([O-])=O RTKIYNMVFMVAB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663 thimerosa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4008 tonsil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371 tooth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11 transdermal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71 transdermal drug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YRMSUTZVYGINF-UHFFFAOYSA-N trichloro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Cl)(Cl)Cl CYRMSUTZVYGI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284 trichlorofluorometha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827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072 type 2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445 wheat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후박(Magnolia Cortex)의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그리고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 조성물은 면역 질환에 영향을 주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여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그리고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 염증은 지속적인 염증이 일어나는 상태로, 면역체계가 특정한 노출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부적절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자가면역 질환은 면역 체계의 혼란으로 인해 장기를 공격하면서 발생한다. 만성 염증은 단일 또는 복합적인 유전 요소 또는 음식이나 매연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염증이 발생했다 진정되기도 하나,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때로는 치료가 큰 효과가 없게 되기도 한다. 만성 염증성 질환은 체내 조직에 상당한 손상을 주게 되고 위치에 따라서는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간이나 소화기관에 만성염증이 올 경우 뇌에 변화를 일으켜 피로함이나 성격변화, 장기의 기능장애를 일으키며 전신으로 염증을 확산시키기도 한다.
만성 염증성 질환 중 대표적인 건선(psoriasis)은 피부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가 빠르게 증식하고 피부염증을 동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미상의 만성 재발성 피부질환으로서, 홍반, 인설, 구진 또는 농포 등의 병변이 피부면 어디에서든 나타날 수 있다. 임상적으로 판상 건선, 물방울양 건선, 농포성 건선, 역위 건선, 홍피성 건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건선은 유전적인 원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그 원인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호르몬의 변화,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측면, 외상, 편도선염과 같은 감염, 면역, 내분비, 염증, 대사능력, 기후, 건조한 피부, 약물, 유전 등으로 그 발병소인이 다양하다. 또한,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면역계의 과민화 또는 환자의 자가면역 이상에 의해 분화된 T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IL-23, IL-17, IL-6. TNF-α 등의 사이토카인들이 과도하게 발현되면 피부의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각질형성세포의 과다증식 및 분열을 촉진시키고 분화는 억제시킨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피부 각질층의 세포가 정상세포보다 6~7배 빠르게 증식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이렇게 과다하면서도 불완전하게 증식된 각질 세포가 하얀 인설의 비늘로 겹겹이 쌓여 떨어져 나가게 된다. 건선은 다른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동반 질환이라 지칭하며 건선성 관절염, 심혈관 질환, 우울증, 크론병 등이 건선 환자에게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질환이다. 건선성 관절염은 통증을 동반한 만성 염증질환으로 건선 환자 중 최대 30%가 관절염 증상을 보이며, 그 중 건선이 관절염에 선행하는 경우는 85%이며 최근의 연구에서는 관절염과 건선의 동시 발병 사례도 보고되어 아직 선후 관계의 원인은 뚜렷하지 않다. 또한 중증의 건선은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그리고 제 2형 당뇨병 등의 대사증후군과 사망률 증가와도 연관이 있고,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도 증가하는데, 이는 만성 염증 반응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그 밖에도 건선피부는 미관상 좋지 않아 손이나 얼굴 등 눈에 띄는 부위에 발생할 경우 대인관계에도 위축을 가져와 우울증이나 불안증을 앓는 이들의 비율이 일반인보다 40% 가량 높다는 보고가 있다.
염증성 질환, 특히 건선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체내 면역 반응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T 세포를 포함한 전반적인 면역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피부에 존재하는 미지의 항원을 잘 제거할 수 있도록 환자들의 면역을 약화시키는 요인들을 교정하고 면역이 평형을 유지하도록 조절하여 인체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온 약물들은 단순히 면역을 억제함으로써 암, 결핵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독성이 심하여 장기간 복용이 불가능하고, 약물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에는 건선이 급격히 악화되는 반동현상(rebound phenomenon)이 일어나거나, 치료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만성염증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 중 상당수는 현재의 표준적인 약물 치료 방법만으로는 충분한 임상적 호전을 얻지 못하는 경우도 흔하다. 또한 대부분의 약물이 고가이며, 치료 과정이 길고 복잡할 뿐더러 각종 부작용을 수반하며, 어느 정도 치료되더라도 재발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 약물들보다는 부작용이 적고 치료 효율이 우수한 새로운 약물의 처방이 필요하다.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경우, 부작용이 없거나 줄이면서 우수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IL-17, IL-6와 TNF-α의 기능을 저해하는 물질은 만성 염증성 면역질환인 건선을 포함하여 건선성 관절염, 류머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홍반루프스,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치주염, 및 특발성 염증성 근육병증 등에 대한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IL-17, IL-6, TNF-α를 복합적으로 억제하는 치료 약물은 현재까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 IL-6 및 TNF-α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천연물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만성 염증성 질환 치료의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복화, 형개, 후박의 추출물이 IL-17, IL-6 및 TNF-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이들의 혼합물은 단독 추출물에 비해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의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생약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물이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탁월한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선복화, 형개, 후박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갖는 만성 염증성 질환, 특히 건선의 치료 효과는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공개하는 것이다.
선복화(旋覆花, Inulae Flos)는 전통적으로 한약재로 사용되어 온 식물로서, 국화과(Compositae)의 금불초(Inula japonica Thunberg) 또는 구아선복화(Inula britannica Linne)의 꽃을 기원으로 하며(생약규격집), 지름은 10~15㎜이고 구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 한의학적 측면에서 선복화는 진토(鎭吐)작용, 거담(祛痰)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기관지 경련을 풀어주고, 이뇨 작용이 있어, 가래가 나오는 증상이나 위장신경기능 문란증, 흉복부 창만, 소화불량, 딸국질 등에 사용되어 왔다.
형개(荊芥, Schizonepetae Spica)는 꿀풀과(Labiatae) 식물인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의 꽃이삭으로서(대한민국약전), 형태는 가늘고 긴 보리이삭 모양이고 길이 5~10cm이며 보라색을 띈 녹갈색이다. 작은 순형화와 때로 열매를 가지는 꽃받침 통이 붙어 있고 전주에 유백색의 짧은 털을 볼 수 있으며, 해표(解表), 거풍(祛風), 이혈(理血)의 효능이 있다(정보섭 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 863-864, (1998)).
후박(厚朴, Magnoliae Cortex)은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일본목련(Magnolia ovobata Thunberg),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er et Wilson) 또는 요엽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er et Wilson var. biloba Rehder et Wilson)의 줄기껍질이다(대한민국약전).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두통, 치통, 축농증, 혈압강하 등에 사용하여 왔다(한국약용식물도감, 1993, 179-180, 아카데미서적). 본 발명에서의 후박은 Magnolia Cortex에서 유래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복화와 형개, 선복화와 후박, 또는 형개와 후박 등 두 가지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것일 수도 있고, 선복화, 형개 그리고 후박 세 가지 생약의 추출물을 모두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둘 이상 생약의 단독 추출물을 혼합한 것일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생약을 혼합한 다음 추출한 복합 추출물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독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복합 추출물을 모두 혼합 추출물로 통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의 혼합 방식에 제한받지 아니한다. 상기 추출물의 형태나 성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용액, 농축물일 수도 있고, 추출물 제조에 사용된 용매를 제거한 고형분 또는 분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복화, 형개 그리고 후박의 단독 추출물을 1 : 0.1~10 : 0.1~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두 가지 생약의 단독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즉 선복화와 형개, 선복화와 후박, 또는 형개와 후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두 가지 생약 추출물을 1 : 0.1~10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선복화, 형개 그리고 후박을 1 : 0.1~10 : 0.1~1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추출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두 가지 생약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두 가지 생약을 1: 0.1~1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생약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인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인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수용액의 농도는 10 내지 100%(v/v)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v/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용매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95%(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추출 용매는 건조 생약 중량의 약 3배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5배 내지 20배로 준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의 추출은 2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의 추출은 약 1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할 수 있다. 추출은 1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4시간씩 2회 추출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의 추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냉침,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방법이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생약의 추출물은 여과하여 여액을 모으고, 다시 잔사에 생약 원료 중량의 4 내지 7배의 추출 용매, 예컨대 알코올 수용액을 가하여 환류냉각 추출 조건으로 4시간 동안 재추출하고 여과하여 이전의 여액과 혼합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차 추출 후 다시 재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와 같이 2차에 걸친 추출 및 각각의 추출 후 얻어진 여과액을 혼합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추출물이 추출의 횟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2차 추출 후 합한 여액은 40 내지 60℃에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 중에 잔존하는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농축된 농축물 중량의 25 내지 50배의 물로 2 내지 3회 공비 농축한 후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후 최종 추출물은 추가적으로 더욱 정제할 수도 있고, 동결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고형화하거나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선복화, 형개, 후박의 단독 추출물이 비장세포, 대식세포 등 면역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 IL-6 및 TNF-α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생약의 단독 추출물은 이 같은 면역 조절을 통해 상기 사이토카인들에 의해 유발되거나 매개되는 면역 질환 또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IL-17은 건선을 유발하는 피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이상 세포증식과 활성을 심화시키기 때문에 선복화, 형개 그리고 후박의 추출물 각각이 건선과 건선 관련 동반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생약 추출물의 IL-17, IL-6 및 TNF-α 분비 억제 효과는 각 생약의 단독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보다 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혼합했을 때 더욱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통해 각 생약 단독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의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혼합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건선 등 만성 염증성 질환에 대하여 더욱 현저한 동반 상승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생약의 복합 추출물의 만성 염증성 질환인 건선에 대한 치료 효과를 건선의 마우스 모델에서 확인하였다. 선복화와 후박 또는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은 IL-23으로 유발되는 건선의 마우스 모델에서 귀 두께와 쥐 조직 표피 두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염증세포의 침윤을 억제하였으며, 건선 관련 바이오마커인 keratin 17, IL-17, IL-23, TNF-α, IL-6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둘 이상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상기 면역 조절 기작을 통하여 건선 또는 IL-23으로 유발 또는 매개되는 면역 질환이나 만성 염증성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고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생체에서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특히 IL-17, IL-6, IL-23, TNF-α 등에 의해 매개 또는 심화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을 예방, 완화하거나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특히 IL-17, IL-6, TNF-α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건선 유발에 중요한 각질형성세포의 이상 증식과 활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이 건선과 관련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있어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만성 염증성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건선,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홍반루프스,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치주염 및 특발성 염증성 근육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생약 추출물의 면역 조절과 염증 억제 효과를 내기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투여 경로로는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경구 투여용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30게이지의 가는 주사 바늘로 피부를 가볍게 단자(prick)하거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추출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트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즈, 슈크로즈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및/또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만성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이 만성 염증성 질환의 개선 효과가 있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증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의 만성 염증성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건선,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홍반루프스,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치주염 및 특발성 염증성 근육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 식품(health food)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 식품으로는 상기 조성물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등에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 중 상기 추출물의 바람직한 함량은 식품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00g의 선복화, 형개, 후박을 각각 4L의 95% 에탄올을 가하여 환류냉각 추출 조건에서 4시간씩 2회 반복 추출한 뒤, 추출용액을 거름 장치로 여과한 후 감압장치로 에탄올을 제거하여 단독 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한 단독 추출물과 혼합 추출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ICR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비장세포는 IL-23으로 자극하고 IL-17의 분비량을 측정하였으며, 대식세포는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하고 IL-6와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각 생약의 단독 추출물도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두 가지 이상 단독 추출물의 혼합했을 때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가 더욱 현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생약 추출물 간의 염증 억제의 동반 상승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함량비를 알아보았다. 선복화, 형개 및 후박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을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고, 각 추출물의 IL-17, IL-6, TNF-α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억제 효과를 생약 중량비에 따라 비장세포와 대식세포에서 비교하고, 최적의 생약의 조성비를 도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만성 염증성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확인하였다. C57BL/6 마우스의 귀에 IL-23을 격일로 피내 투여하여 건선 증상을 유발하고, 선복화와 형개 또는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의 치료 효과를 귀 두께, 귀 표피 두께,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 건선의 바이오마커인 keratin 17, IL-17, IL-23, IL-6, TNF-α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양성대조군인 토파시티닙(tofacitinib)에 대등한 정도로 건선의 마우스 모델에서 건선 증상을 완화하고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 세포에서 IL-17, IL-6, TNF-α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합성된 의약품보다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극히 적다.
도 1은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 그리고 토파시티닙(tofacitinib, 양성대조군)이 귀 두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 토파시티닙(tofacitinib, 양성대조군)을 처리했을 때 귀 조직 내 표피 두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대표 슬라이드 사진이다.
도 3은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과 토파시티닙(tofacitinib, 양성대조군)을 처리하였을 때 귀 조직 내 염증세포 침윤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염증세포 침윤도는 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염증세포 침윤 정도를 평가하였다. 무증상은 0, 가벼운 정도는 1, 중간 정도는 2, 심한 정도는 3으로 평가하였다.
도 4a는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과 토파시티닙(tofacitinib, 양성대조군)을 처리하였을 때 귀 조직 내 keratin 17, IL-17 유전자의 PBS 대조군 대비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과 토파시티닙(tofacitinib, 양성대조군)을 처리하였을 때 귀 조직 내 IL-23, TNF-α, IL-6 유전자의 PBS 대조군 대비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 토파시티닙(tofacitinib, 양성대조군)을 처리했을 때 귀 조직 내 표피 두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대표 슬라이드 사진이다.
도 3은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과 토파시티닙(tofacitinib, 양성대조군)을 처리하였을 때 귀 조직 내 염증세포 침윤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염증세포 침윤도는 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염증세포 침윤 정도를 평가하였다. 무증상은 0, 가벼운 정도는 1, 중간 정도는 2, 심한 정도는 3으로 평가하였다.
도 4a는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과 토파시티닙(tofacitinib, 양성대조군)을 처리하였을 때 귀 조직 내 keratin 17, IL-17 유전자의 PBS 대조군 대비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과 토파시티닙(tofacitinib, 양성대조군)을 처리하였을 때 귀 조직 내 IL-23, TNF-α, IL-6 유전자의 PBS 대조군 대비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 단독 추출물의 제조
<1-1> 선복화 단독 추출물의 제조
선복화(Inulae Flos)를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완전히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준비된 선복화 200g을 4L의 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씩 2회 환류냉각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였다. 대부분의 용매가 증발된 상태에서 0.2L의 물을 가하여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시켜서 분말 상태의 선복화 추출물 26g을 얻었다.
<1-2> 형개 단독 추출물의 제조
형개(Schizonepetae Spica)를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완전히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준비된 형개 200g을 4L의 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씩 2회 환류냉각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였다. 대부분의 용매가 증발된 상태에서 0.2L의 물을 가하여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시켜서, 분말 상태의 형개 추출물 10g을 얻었다.
<1-3> 후박 단독 추출물의 제조
후박(Magnolia Cortex)을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완전히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준비된 후박 200g을 4L의 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씩 2회 환류냉각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였다. 대부분의 용매가 증발된 상태에서 0.2L의 물을 가하여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시켜서 분말 상태의 후박 추출물 34g을 얻었다.
<실시예 2>
생약 단독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2-1> 선복화와 형개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선복화 단독 추출물과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형개 단독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2-2> 선복화와 후박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선복화 단독 추출물과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후박 단독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2-3> 형개와 후박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형개 단독 추출물과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후박 단독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3>
생약 복합 추출물의 제조
<3-1> 선복화와 형개 복합 추출물의 제조
선복화와 형개를 1:15, 1:9, 1:6, 1:3, 1:1, 1.6: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혼합물에 9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4시간 환류냉각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9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4시간 동안 80℃에서 재가온 추출하여 얻어진 여액을 이전에 모아놓은 여액과 혼합하여 감압농축하였다.
<3-2> 선복화와 후박 복합 추출물의 제조
선복화와 후박을 3:1, 2:1, 1:1, 1:2,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혼합물에 9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4시간 환류냉각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9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4시간 동안 80℃에서 재가온 추출하여 얻어진 여액을 이전에 모아놓은 여액과 혼합하여 감압농축하였다.
<3-3> 형개와 후박 복합 추출물의 제조
형개와 후박을 3:1, 1:1, 1:1.6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혼합물에 9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4시간 환류냉각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9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4시간 동안 80℃에서 재가온 추출하여 얻어진 여액을 이전에 모아놓은 여액과 혼합하여 감압농축하였다.
<3-4> 선복화, 형개, 후박 복합 추출물의 제조
선복화, 형개 및 후박을 3:1: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혼합물에 9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4시간 환류냉각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95%(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4시간 동안 80℃에서 재가온 추출하여 얻어진 여액을 이전에 모아놓은 여액과 혼합하여 감압농축하였다.
<
실시예
4>
생약 추출물의 약리 활성 실험
<4-1> 생약 추출물이
IL
-23로 유발되는
IL
-17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생약의 단독 추출물과 <실시예 2>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생약 혼합 추출물이 IL-17의 분비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확인하였다.
실험동물(ICR 마우스)을 CO2 마취 또는 경추탈구 방법으로 안락사시켰다. 70% 에탄올로 복부를 닦고, 수술 가위를 이용하여 개복하여 비장을 적출하고 주변부 조직을 제거한 뒤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에 담고 추후 분리는 아이스박스 상에서 진행하였다. 분리한 비장을 PBS로 2회 세척 후 배양접시로 비장을 옮기고, 메스(scalpel blade)로 1~2㎜ 크기로 조각낸 뒤 셀 스트레이너(cell strainer)와 주사기를 사용하여 세포를 분리하였다. 스트레이너 아래쪽에 분리된 용액을 마이크로 튜브에 옮기고 800g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ACK 용해 완충제(Ammonium-Chloride-Potassium lysis buffer)를 5㎖ 가하고 뭉쳐진 pellet을 재분산시킨 후 4℃에서 5분간 배양하였다. PBS 40㎖을 가한 후 800g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다시 상층액을 제거하고, RPMI-1640 완전 배지(complete media) 5㎖를 첨가하고 부드럽게 재분산(resuspension)하였다. 이후 셀 스트레이너로 여과하여 덩어리(clump)를 제거한 다음 세포 수를 측정하여 96 well plate에 6 x 105/well의 농도로 100㎕ 접종(seeding)하였다. 시험물질을 처리한 후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IL-23 10ng/㎖ 처리한 후 72시간 배양하였다. 상등액은 수거하여 바로 사용하거나, -70℃에 보관하였고 이를 이용한 ELISA 분석(assay)은 R&D IL-17(Cat No. DY421)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방법대로 수행하였다. 사이토카인 억제율은 세포독성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1과 표 2의 IL-17 열에 각각의 생약 추출물이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IL-17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율(억제율, %)로 표시하였다.
먼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생약의 단독 추출물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약 혼합 추출물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각 생약의 단독 추출물도 IL-17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생약의 단독 추출물보다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IL-17의 분비 억제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각 생약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의 분비를 억제하는 동반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약 추출물의 가장 바람직한 조성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생약 복합 추출물의 IL-17 분비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은 두 생약이 1:6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을 때 특히 IL-17의 억제 효과가 뛰어났으며,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은 두 생약이 3:1 또는 2:1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을 때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개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은 두 생약이 3:1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을 때 IL-17 억제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2> 생약 추출물이
LPS
처리로 유발되는 IL-
6와
TNF
-α 분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생약의 단독 추출물과 <실시예 2>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생약 혼합 추출물이 IL-6와 TNF-α 분비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쥐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는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실험 당일에는 스크래퍼(scrapper)로 세포를 수집한 후 혈구계 (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계측해서 96 well plate에 5x104 cell/well로 접종(seeding)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생약 시료처리는 무혈청배지(serum free medium)를 조건배지로 사용하여 DMSO(dimethyl sulfoxide)에 완전히 녹인 후 처리하였다. 시료처리가 끝난 이후 1시간 뒤에 LPS(lipopolysaccharide)를 100ng/㎖가 되도록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뒤 쥐 대식세포의 배지 상등액을 수집하여 쥐 IL-6와 TNF-α 면역측정 키트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배지 상등액은 무혈청배지(serum free medium)로 적당량 희석하고, 기준치 농도를 15.625~1000pg/㎖까지 희석한다. 희석한 용액을 96 well plate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후 세척용액으로 5번 세척을 하고 각각의 항체 결합물을 첨가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후 세척액으로 7번 세척을 하고, 기질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다. 정지 용액으로 반응을 멈추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상기 면역측정키트(mouse IL-6 ELISA kit, BD science 및 mouse TNF-α ELISA kit, BD science)를 이용하였고 시료처리농도는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진행되었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생약의 단독 추출물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약 혼합 추출물의 IL-6와 TNF-α의 분비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각 생약의 단독 추출물도 IL-6와 TNF-α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생약의 단독 추출물보다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IL-6와 TNF-α의 분비 억제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각 생약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α 분비 억제의 동반 상승 효과를 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약 추출물의 가장 바람직한 조성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생약 복합 추출물의 IL-6와 TNF-α의 분비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은 대부분의 중량비에서 IL-6의 분비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TNF-α의 분비 억제 효과는 1:1과 1.6:1의 중량비의 복합 추출물의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은 대부분의 중량비에서 IL-6와 TNF-α의 분비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형개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의 경우, 선복화와의 복합 추출물 보다는 IL-6나 TNF-α의 분비 억제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3> 건선의 동물 모델에서의 생약 추출물의 치료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뛰어난 IL-17, IL-6 및 TNF-α의 분비 억제의 상승 효과를 보인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3-1>, 중량비 1:6)과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을 이용하여 체내 건선 치료 효과를 Ma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J. Clin. Cell Immunol. 4:6.(2013)].
C57BL/6 마우스(6주령, 오리엔트바이오)의 귀에 500ng의 IL-23을 격일로 피내 투여하여 건선을 유발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서 경구제인 토파시티닙(tofacitinib)을 사용하였고 문헌을 참고하여 10㎎/㎏ b.i.d, 30㎎/㎏ b.i.d 투여를 시행하였다. 선복화와 형개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과 선복화와 후박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의 투여 방식은 양성대조군과 동일 적용하여 b.i.d 경구 투여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투여 용량은 각각 100㎎/㎏ b.i.d, 200㎎/㎏ b.i.d로 투여하였다. 약물이나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군(Vehicle)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PBS control은 IL-23 대신 PBS 처리한 대조군이다. 총 16일간 14번 투여하였으며 투여 시작 17일째 실험을 종료하였다. 실험이 종료된 후 마우스의 귀 두께를 측정하였고, 이후 귀 조직을 적출하여 표피 두께, 염증세포 침윤도, mRNA 발현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과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은 건선 동물 모델에서 귀 두께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귀 두께 감소 부분에서 양성대조군인 토파시티닙(tofacitinib)과의 효능을 비교했을 때 비열등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복화와 형개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과 선복화와 후박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은 토파시티닙(tofacitinib)을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건선 동물 모델에서 귀 조직 내 표피 두께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과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은 건선 동물 모델에서 염증세포의 침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복화와 형개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의 효능이 선복화와 후박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보다 상대적으로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복화와 형개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1>, 중량비 1:6)과 선복화와 후박의 복합 추출물(실시예 <3-2>, 중량비 2:1)은 건선 동물 모델의 귀 조직에서 건선 관련 바이오마커인 keratin 17, IL-17, IL-23, TNF-α, IL-6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중 양성대조군과 비교시 좀 더 건선특이적인 기전에 해당하는 keratin 17, IL-17, IL-23 유전자의 발현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복화, 형개 및 후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인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염증성 질환은 건선,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홍반루프스,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치주염 및 특발성 염증성 근육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선복화(Inulae Flos), 형개(Schizonepetae Spica) 및 후박(Magnolia Corte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612A KR101760512B1 (ko) | 2015-07-31 | 2015-07-31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PCT/KR2016/008130 WO2017023000A1 (ko) | 2015-07-31 | 2016-07-26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612A KR101760512B1 (ko) | 2015-07-31 | 2015-07-31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4758A true KR20170014758A (ko) | 2017-02-08 |
KR101760512B1 KR101760512B1 (ko) | 2017-07-21 |
Family
ID=5794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8612A KR101760512B1 (ko) | 2015-07-31 | 2015-07-31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0512B1 (ko) |
WO (1) | WO2017023000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22470A1 (ko) * | 2019-04-29 | 2020-11-05 |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 황련 및 형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WO2021071269A1 (ko) * | 2019-10-10 | 2021-04-15 |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WO2022086127A1 (ko) * | 2020-10-21 | 2022-04-28 |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3917A (ko) * | 2017-12-19 | 2019-06-27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터류킨-17 억제제 및 종양괴사인자-알파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중구성 폐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KR102210566B1 (ko) | 2018-03-16 | 2021-02-03 |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7923B1 (ko) * | 1992-09-09 | 1996-06-17 | 주식회사 대웅제약 | 후박 추출성분인 마그놀올 및 호노키올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
JP3154285B2 (ja) * | 1992-09-18 | 2001-04-09 | カネボウ株式会社 | 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 |
KR100307947B1 (ko) * | 1999-10-06 | 2001-09-13 | 서경배 | 식물 추출물 파우더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 추출물 파우더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
KR100999598B1 (ko) * | 2008-05-07 | 2010-12-10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101456044B1 (ko) * | 2013-12-02 | 2014-11-04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2015
- 2015-07-31 KR KR1020150108612A patent/KR1017605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7-26 WO PCT/KR2016/008130 patent/WO201702300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22470A1 (ko) * | 2019-04-29 | 2020-11-05 |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 황련 및 형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KR20200126913A (ko) * | 2019-04-29 | 2020-11-09 |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 황련 및 형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JP2022530643A (ja) * | 2019-04-29 | 2022-06-30 | ヘリックスミ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黄連及び荊芥混合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炎症性腸疾患予防又は治療用薬剤学的組成物 |
WO2021071269A1 (ko) * | 2019-10-10 | 2021-04-15 |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WO2022086127A1 (ko) * | 2020-10-21 | 2022-04-28 |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0512B1 (ko) | 2017-07-21 |
WO2017023000A1 (ko) | 2017-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2326B1 (ko) |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 |
KR101944985B1 (ko) |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US10960040B2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 |
KR101760512B1 (ko)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1997060B1 (ko) |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 |
WO2002045733A2 (fr) | Preparations orales ayant une action de soulagement des demageaisons ou un effet antiprurigineux | |
JP2024096957A (ja) | 抗カンジダ活性を有する組成物 | |
KR102519649B1 (ko) |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7161064B2 (ja) | エルダーベリー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男性更年期症候群の予防、治療または改善用の組成物 | |
KR20130047458A (ko) |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6524222B2 (ja) | キレノール又はシーゲスベッキアハーブ抽出物を含む筋機能改善用又は運動能力増強用組成物 | |
KR20130083427A (ko) |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70124426A (ko) |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 |
EP3025721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j. poiss. ex franch extract or fraction thereof | |
KR102158134B1 (ko) |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 |
JP4537024B2 (ja) | 炎症疾患予防・治療剤 | |
JP4371431B2 (ja) |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 |
KR20150058698A (ko) |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조성물 | |
KR20150041968A (ko) |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의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20153B1 (ko) |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217264B1 (ko) | 코디움 속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6045369B2 (ja) | 一酸化窒素産生抑制剤 | |
KR20230017389A (ko) |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50113709A (ko) |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633488B1 (ko) |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