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598B1 - 카테터용 핸들 - Google Patents

카테터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598B1
KR101767598B1 KR1020160138280A KR20160138280A KR101767598B1 KR 101767598 B1 KR101767598 B1 KR 101767598B1 KR 1020160138280 A KR1020160138280 A KR 1020160138280A KR 20160138280 A KR20160138280 A KR 20160138280A KR 101767598 B1 KR101767598 B1 KR 10176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lever
rotary
cent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권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주)오스테오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스테오닉 filed Critical (주)오스테오닉
Priority to KR102016013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용 핸들에 있어서, 특히 한 손으로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레버에 의한 잠금기능을 가지는 카테터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제1톱니부를 구비하는 핸들 본체, 상기 핸들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카테터 튜브의 종단 부분을 편향시키기 위한 와이어들의 일단이 고정되는 회전판, 그리고 제2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외력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2톱니부가 상기 제1톱니부에 맞물리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카테터용 핸들{Handle for catheters}
본 발명은 카테터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손으로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레버에 의한 잠금기능을 가지는 카테터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카테터는 카테터 튜브의 일단에 핸들이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카테터용 핸들은 카테터 튜브의 종단 부분을 편향시키기 위한 것으로, 핸들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판에 편향용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고 그 회전판을 회전시켜 카테터 튜브의 종단 부분의 방향을 변화시킨다(일본 특허공개 제2005-230471호 공보 참조).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카테터용 핸들은 카테터 튜브의 일단에 장착되는 핸들 본체(1), 핸들 본체(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카테터 튜브(6)의 종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편향용 와이어(2a,2b)의 일단이 고정되는 회전판(3A)을 구비한다.
도 1은 회전판(3A)의 회전축(4), 회전판(3A)의 손잡이(5), 와이어 고정구(7a,7b)를 도시하며, 회전판(3A)에는 원형의 가이드 레일(8A)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8A)은 회전판(3A)의 회전을 가이드하여 편향용 와이어(2a,2b)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카테터 튜브(6)로부터 회전판(3A) 내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2a)는 회전판(3A)의 우측으로 가이드 레일(8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와이어 고정구(7a)에 의해 회전판(3A)에 고정된다. 또한, 조작용 튜브(6)로부터 회전판(3A) 내로 연장되는 제2와이어(2b)는 회전판(3A)의 좌측으로 가이드 레일(8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와이어 고정구(7b)에 의해 회전판(3A)에 고정된다.
종래의 일 예에 따른 구조에서는, 화살표(9a) 방향으로 회전판(3A)을 회전시키면 가이드 레일(8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제1와이어(2a)가 인장됨으로써 핸들 본체(1)의 종단에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튜브(6)의 종단 부분이 우측으로 구부러진다(편향된다). 또한, 화살표(9b) 방향으로 회전판(3A)을 회전시키면 가이드 레일(8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제2와이어(2b)가 인장됨으로써 핸들 본체(1)의 종단에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튜브(6)의 종단 부분이 좌측으로 구부러진다(편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카테터용 핸들은 회전판(3A)의 손잡이(5)를 조정하여 카테터 튜브(6)의 종단 부분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 편향시킬 수 있었지만 카테터 튜브(6)의 종단 부분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편향된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locking means)은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카테터 튜브의 편향을 위해 회전하는 회전판의 레버에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카테터 튜브의 종단 부분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편향된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도록 해주는 카테터용 핸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특징은, 제1톱니부를 구비하는 핸들 본체, 상기 핸들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카테터 튜브의 종단 부분을 편향시키기 위한 와이어들의 일단이 고정되는 회전판, 그리고 제2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외력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레버에 구비되는 상기 제2톱니부가 상기 핸들 본체에 구비되는 상기 제1톱니부에 맞물리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 본체는 본체 상부와 본체 하부로 분리되게 구성되되,
상기 본체 상부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부는 상기 제1톱니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에 위치할 시에,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는 회전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관통부를 지지하면서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와이어들 중 어느 하나가 인장되어 상기 카테터 튜브의 종단 부분이 일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할 시에, 상기 제2톱니부가 상기 제1톱니부에 맞물리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레버를 제1방향으로 누름 조작하면, 상기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회전레버에 구비된 상기 제2톱니부가 상기 제1톱니부에 맞물리며, 상기 회전레버를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누름 조작하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던 상기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으로 복귀하여 상기 제1톱니부에 맞물려있던 상기 제2톱니부가 상기 제1톱니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레버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폴과 정중앙에서 결합되거나 정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타원형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원형 관통홀은 회전폴 지지턱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폴 지지턱이 상기 회전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에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테터 튜브의 편향을 위해 회전판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카테터 튜브의 종단 부분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편향된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도록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그 회전판의 레버를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 회전판의 잠김(lock)과 풀림(release)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회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회전 가능 상태와 회전 잠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회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5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은 핸들 본체(100), 회전판(200), 그리고 회전레버(300)로 구성된다.
핸들 본체(100)는 회전판(200)과 회전레버(300)를 내부에 수용하며, 본체 상부(110)와 본체 하부(120)로 분리되게 구성된다. 본체 상부(110)는 가이드 홈(111)을 구비하며, 회전판(200)에 구비되는 회전 가이드(210)가 가이드 홈(111)을 따라 회전한다. 본체 하부(120)는 회전판(200)의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관통부(220)를 통한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회전레버(300)에 구비되는 제2톱니부(310)에 맞물려 회전판(200)의 회전을 구속 가능하게 마련된 가이드 레일(121)을 구비한다.
본체 상부(110)와 본체 하부(120)는 각각 회전레버(300)를 외측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홈(112,113,122,123)이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며, 그에 따라 본체 상부(110)와 본체 하부(120)가 결합된 시에는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홈(112,113,122,123)에 의해 회전레버(300)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관통홀(130)을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시킨다.
본체 상부(110)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111)은 회전판(200)의 외측부를 형성하는 회전 가이드(210)를 지지하면서 회전판(2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본체 하부(120)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121)은 회전판(200)의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관통부(220)를 지지하면서 회전을 가이드하는 레일부(121a)를 구비하며, 또한 레일부(121a)에 의한 회전궤도의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한다. 함몰부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그 함몰부는 또한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톱니부(121b)를 구비한다. 제1톱니부(121b)는 회전판(2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레일부(121a)에 의한 회전궤도를 벗어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톱니부(121b)는 회전레버(300)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치우치게 배치될 때, 회전레버(300)에 구비되는 제2톱니부(310)에 맞물려 회전판(200) 및 회전레버(300)의 회전을 구속한다.
본체 상부(110)와 본체 하부(120)에는 회전폴(1)이 삽입 고정되는 홈(114, 124)을 또한 구비하며, 그 홈(114,124)에 고정된 회전폴(1)은 회전레버(300)의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레버(300)가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레버(300)가 안착된 회전판(200)이 회전하고, 회전판(200)의 회전에 따라 고정부(230a,230b)에 일단이 고정된 편향용 와이어(2,3) 중 어느 하나가 인장됨으로써 카테터 튜브(미도시)의 종단 부분이 일측으로 구부러진다(편향된다).
회전판(20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판(200)은 본체 상부(110)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111)을 따라 가이드되는 회전 가이드(210)를 구비하며, 본체 하부(120)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121)에 안착되고 지지되어 가이드 레일(121)의 레일부(121a)를 따라 가이드되는 관통부(220)를 구비하며, 카테터 튜브(미도시)의 종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편향용 와이어(2,3)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30a,230b)를 구비한다. 고정부(230a,230b)는 나사 결합에 의해 편향용 와이어(2,3)의 일단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가이드(210)는 회전레버(300)가 안착되는 레버관통홈(240a,240b)을 측방향으로 구비하며, 고정부(230a,230b)에 일단이 고정된 편향용 와이어(2,3)가 통과하기 위한 와이어관통홈(250)을 더 구비한다. 레버관통홈(240a,240b)은 본체 상부(110)와 본체 하부(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홀(130)과 연통된다. 그에 따라, 회전레버(300)가 레버관통홈(240a,240b)에 안착되면서 회전레버(300)의 손잡이(320a,320b)가 관통홀(13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관통홀(130)은 레버관통홈(240a,240b)과 연통되나 회전판(300)이 손잡이(320a,320b)의 조작에 따라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검지와 엄지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관통홀(13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회전레버(300)의 손잡이(320a,320b)를 조작할 수 있다.
회전레버(300)는 회전 또는 회전 잠김을 위해 외력이 인가되는 구성으로, 회전레버(30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톱니부(310), 양측부에 형성되는 손잡이(320a,320b), 그리고 중앙에서 회전폴(1)과 결합하는 타원형 관통홀(330)을 구비한다. 제2톱니부(310)는 회전폴(1)이 타원형 관통홀(330)과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회전판(200)에 구비되는 제1톱니부(121b)와 맞물리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회전폴(1)이 타원형 관통홀(330)의 정중앙에 위치할 시에는 제2톱니부(310)는 제1톱니부(121b)와 맞물리지 않고, 그에 따라 회전판(200)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다. 그러나, 회전폴(1)이 타원형 관통홀(330)의 정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할 시에는 제2톱니부(310)는 제1톱니부(121b)와 맞물리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판(200) 및 회전레버(300)의 회전을 구속한다. 타원형 관통홀(330)은 회전폴(1)과 정중앙에서 결합되거나 정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결합되도록, 정중앙을 규정하는 회전폴 지지턱(331)을 구비한다. 회전폴(1)이 회전폴 지지턱(331)에 의해 지지되면 회전폴(1)이 타원형 관통홀(330)의 정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폴(1)이 회전폴 지지턱(331)으로부터 일측으로 이탈되면 회전폴(1)이 타원형 관통홀(330)의 정중앙으로부터 치우치게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용 핸들의 회전 가능 상태와 회전 잠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테터용 핸들의 회전 가능 상태와 회전 잠김 상태는 회전폴(1)이 타원형 관통홀(330)의 정중앙에 위치하느냐 위치하지 않느냐에 따라 정해진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폴(1)이 회전폴 지지턱(331)에 지지되어 타원형 관통홀(330)의 정중앙에 위치할 시에는, 회전레버(300)에 구비되는 손잡이(320a,320b)가 관통홀(130)을 따라 회전 조작될 수 있으며, 손잡이(320a,320b)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레버(300)가 회전판(200)을 회전시킨다. 즉, 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회전판(200)은 그에 구비되는 회전 가이드(210)가 본체 상부(110)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111)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또한 그에 구비되는 관통부(220)가 본체 하부(120)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121)의 레일부(121a)를 따라 가이드되어 회전한다. 회전판(200)이 회전됨에 따라 그에 구비되는 고정부(230a,230b)에 일단이 고정된 편향용 와이어(2,3) 중 어느 하나가 인장됨으로써 카테터 튜브(미도시)의 종단 부분이 일측으로 구부러진다(편향된다).
카테터 튜브(미도시)의 종단 부분이 요구하는 만큼 편향된 상태에서, 회전레버(300)에 구비되는 손잡이(320a,320b) 중 제1손잡이(320a)를 일정 압력으로 누름 조작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폴(1)이 회전폴 지지턱(331)으로부터 일측으로 이탈한다. 회전폴(1)이 회전폴 지지턱(331)으로부터 일측으로 이탈되어 회전폴(1)이 타원형 관통홀(330)의 정중앙으로부터 치우치게 위치할 시에는, 제1톱니부(121b)와 제2톱니부(310)가 맞물리게 되어 회전레버(300)의 회전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즉, 잠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잠김 상태에서는 회전레버(300)의 회전 조작은 물론 회전판(200)의 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편향용 와이어(2,3)에 의해 편향된 카테터 튜브(미도시)의 종단 부분이 현재 휘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카테터 튜브(미도시)의 종단 부분을 자유롭게 편향하고자 한다면, 회전레버(300)에 구비되는 손잡이(320a,320b) 중 제2손잡이(320b)를 일정 압력으로 누름 조작하면, 일측으로 이탈되어 있던 회전폴(1)이 회전폴 지지턱(331)에 지지되어 타원형 관통홀(330)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맞물려있던 제1톱니부(121b)와 제2톱니부(310)가 이격되면서 회전레버(300)의 회전 조작이 가능해진다. 즉, 잠김이 해제되어 회전 가능 상태로 복귀한다.
전술된 회전 잠김을 위한 제1손잡이(320a)의 누름 조작과 회전 잠김을 해제하기 위한 제2손잡이(320b)의 누름 조작은 서로 다른 손가락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행해진다. 예를 들어, 회전 잠김을 위한 제1손잡이(320a)의 누름 조작은 엄지손가락으로 제1손잡이(320a)를 일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행해지고, 잠김 해제를 위한 제2손잡이(320b)의 누름 조작은 검지손가락으로 제2손잡이(320b)를 제1손잡이(320a)의 누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행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회전폴
2,3: 편향용 와이어
100: 핸들 본체
200: 회전판
300: 회전레버

Claims (10)

  1.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본체 상부와 제1톱니부를 구비하는 본체 하부로 분리되게 구성되는 핸들 본체;
    상기 핸들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카테터 튜브의 종단 부분을 편향시키기 위한 와이어들의 일단이 고정되는 회전판; 그리고
    제2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외력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에 위치할 시에,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할 시에, 상기 회전레버에 구비되는 상기 제2톱니부가 상기 핸들 본체에 구비되는 상기 제1톱니부에 맞물리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에 위치할 시에,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는 회전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관통부를 지지하면서 회전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와이어들 중 어느 하나가 인장되어 상기 카테터 튜브의 종단 부분이 일측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를 제1방향으로 누름 조작하면, 상기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회전레버에 구비된 상기 제2톱니부가 상기 제1톱니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를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누름 조작하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던 상기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으로 복귀하여 상기 제1톱니부에 맞물려있던 상기 제2톱니부가 상기 제1톱니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폴과 정중앙에서 결합되거나 정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타원형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관통홀은 회전폴 지지턱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폴 지지턱이 상기 회전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회전폴이 상기 회전레버의 정중앙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KR1020160138280A 2016-10-24 2016-10-24 카테터용 핸들 KR10176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80A KR101767598B1 (ko) 2016-10-24 2016-10-24 카테터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80A KR101767598B1 (ko) 2016-10-24 2016-10-24 카테터용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598B1 true KR101767598B1 (ko) 2017-08-11

Family

ID=5965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280A KR101767598B1 (ko) 2016-10-24 2016-10-24 카테터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5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1050B2 (ja) 2005-06-28 2011-05-11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エイトリアル・フィブリレーション・ディ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テーテル用作動ハンドル
US8162897B2 (en) 2003-12-19 2012-04-24 Ethicon Endo-Surgery, Inc. Audible and tactile feedback
US20150196736A1 (en) 2014-01-13 2015-07-16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Catheter deflection actuator providing mechanical advant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2897B2 (en) 2003-12-19 2012-04-24 Ethicon Endo-Surgery, Inc. Audible and tactile feedback
JP4681050B2 (ja) 2005-06-28 2011-05-11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エイトリアル・フィブリレーション・ディ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テーテル用作動ハンドル
US20150196736A1 (en) 2014-01-13 2015-07-16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Catheter deflection actuator providing mechanical advant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5010B2 (ja) 内視鏡の湾曲操作装置、内視鏡
JP5629039B2 (ja) 内視鏡の湾曲操作装置、該湾曲操作装置を具備する内視鏡
TWI421401B (zh) 具重設機構之安全裝置
JP6661788B2 (ja) 内視鏡制御装置および内視鏡
US6209368B1 (en) Combination lock
JP6306415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6228954B2 (ja) レバー装置
US20120022567A1 (en) Blood Lancet Device Including Adjustment of the Pricking Depth
KR101767598B1 (ko) 카테터용 핸들
JP2022008351A (ja) ラチェット機構を備えた回転駆動装置
US10029074B2 (en) Steerable catheter handle with slide lock
JP5009385B2 (ja) ダイヤル錠機構内蔵型南京錠とチェンジキーとの組み合せ
JP4991226B2 (ja) ワイヤー錠
US20090100960A1 (en) Ratchet mechanism including lockable pinion assembly
KR20060046375A (ko) 조작을 방지하는 조합식 자물쇠
JP2013204238A (ja) レバーハンドル
CN109223126B (zh) 一种能单手按压解锁的锁环结构、套管组件及穿刺器
CN115190774A (zh) 可旋转的医疗装置
JP2863143B2 (ja) 錠前等の回転クリック機構
JP3655813B2 (ja) 内視鏡の操作装置
JPH09220193A (ja) アングル操作部のロック装置
JP6026121B2 (ja) アンチパニック式錠
JPH01283997A (ja) パネル回動装置
JP2019512292A (ja) 遠位の柔軟性が制御された操向ツール
JP4682293B2 (ja) レバーの位置調整機構およびその原理を用いたハンドル回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