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927B1 -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 - Google Patents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927B1
KR101766927B1 KR1020117025865A KR20117025865A KR101766927B1 KR 101766927 B1 KR101766927 B1 KR 101766927B1 KR 1020117025865 A KR1020117025865 A KR 1020117025865A KR 20117025865 A KR20117025865 A KR 20117025865A KR 101766927 B1 KR101766927 B1 KR 10176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antigen
antagonist
insulin
le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483A (ko
Inventor
가네쉬 에이. 콜루맘
얀 휴 (헬렌)
웬준 오우양
Original Assignee
제넨테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298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6692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넨테크, 인크. filed Critical 제넨테크,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00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cytokines, lymphokines or interferons
    • C07K16/244Interleukins [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28Antiandro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IL-17A 및/또는 IL-17F와 같은 IL-17 길항제, 예를 들어, 항-IL-17A 및/또는 IL-17F 및/또는 IL-17Rc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투여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 {TREATMENT OF INSULIN-RESISTANT DISORDERS}
본 발명은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IL-17A 및/또는 IL-17F와 같은 IL-17 길항제, 예를 들어, 항-IL-17A 및/또는 IL-17F 및/또는 IL-17Rc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투여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IL -17 패밀리
인터루킨-17A(IL-17A)는 상피, 내피 및 섬유모세포를 자극하여 기타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IL-6, IL-8, G-CSF, 및 MCP-1을 포함하는 케모카인을 생성하는 T-세포 유래 전염증성(pro-inflammatory) 분자이다(Yao, Z. et al., J. Immunol., 122(12):5483-5486 (1995); Yao, Z. et al, Immunity, 3(6):811-821 (1995); Fossiez, F., et al., J. Exp. Med., 183(6): 2593-2603 (1996); Kennedy, J., et al., J. Interferon Cytokine Res., 16(8):611-7 (1996); Cai, X. Y., et al., Immunol. Lett, 62(1):51-8 (1998); Jovanovic, D.V., et al., J. Immunol., 160(7):3513-21 (1998); Laan, M., et al., J. Immunol., 162(4):2347-52 (1999); Linden, A., et al., Eur Respir J, 15(5):973-7 (2000); 및 Aggarwal, S. and Gurney, A. L., J Leukoc Biol. 71(1):1-8 (2002) 참조). IL-17은 또한 TNF-α 및 IL-1β를 포함하는 다른 사이토카인과 상승작용을 일으켜 케모카인 발현을 더 유도한다(Chabaud, M., et al., J. Immunol. 161(1):409-14 (1998)). IL-17A는 다양한 유형의 세포에 대해 다면 발현성의(pleiotropic)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IL-17A는 또한 ICAM-1 표면 발현, T 세포의 증식, 및 CD34+ 인간 전구세포의 호중구로의 성장 류머티스성 유도하는 능력이 있다. IL-17A는 또한 골 대사에 연관되어 왔으며, 류머티스성 관절염과 골 이식재의 해리(loosening)와 같은 활성화된 T 세포의 존재 및 TNF-α 생성을 특징으로 하는 병적 상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왔다(Van Bezooijen et al., J. Bone Miner. Res., 14: 1513-1521 (1999)). 류머티스성 관절염 환자로부터 유래한 활액 조직의 활성화된 T 세포는 정상 개체 또는 골관절염 환자로부터 유래한 세포보다 더 높은 함량의 IL-17A를 분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Chabaud et al., Arthritis Rheum., 42: 963-970 (1999)). 이러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류머티스성 관절염에서 활액 염증의 적극적인 원인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그 전염증성 역할 외에도, IL-17A는 또 다른 메커니즘에 의하여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병리학의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IL-17A는 조골세포에서 파골세포 분화 인자(ODF) mRNA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otake et al., J. Clin. Invest., 103: 1345-1352 (1999)). ODF는 전구세포의 골 흡수와 관련된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자극한다. 류머티스성 관절염 환자의 활액에서 IL-17A의 수치가 현저히 증가하기 때문에, IL-17A 유도된 파골세포 형성이 류머티스성 관절염에서의 골 흡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IL-17A는 또한 다발성 경화증(Matusevicius et al., Mult. Scler., 5: 101-104 (1999); Kurasawa, K., et al., Arthritis Rheu 43(11):2455-63 (2000)) 및 건선(Teunissen, M. B., et al., J Invest Dermatol 111(4):645-9 (1998); Albanesi, C., et al., J Invest Dermatol 115(1):81-7 (2000); 및 Homey, B., et al., J. Immunol. 164(12:6621-32 (2000))과 같은 다른 자가면역 장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IL-17A는 또한, 세포내 신호전달에 의해, 인간 대식세포에서 Ca2 + 유입 및 [cAMP]i의 감소를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Jovanovic et al, J. Immunol., 160:3513 (1998)). IL-17A로 처리된 섬유아세포는 NFκB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반면(Yao et al., Immunity, 3:811 (1995), Jovanovic et al), IL-17A로 처리된 대식세포는 NF-κB 및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킨다(Shalom-Barek et al, J. Biol. Chem., 273:27467 (1998)). 더욱이, IL-17A는 또한 골 및 연골 성장과 관련된 포유동물의 사이토카인 유사 인자 7과 서열 유사성을 갖는다. IL-17A 폴리펩타이드와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다른 단백질은 인간 배아 유래 인터루킨 관련 인자(EDIRF) 및 인터루킨-20이다.
IL-17A의 광범위한 효과와 일치하게도, IL-17A에 대한 세포 표면 수용체가 많은 조직 및 세포 유형에서 광범위하게 발현되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Yao et al., Cytokine, 2:794 (1997)). 인간 IL-17A 수용체(IL-R)의 아미노산 서열(866개 아미노산)이 단일 막통과 영역 및 긴 525개 아미노산 세포내 영역을 갖는 단백질을 예측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수용체 서열은 독특하며 사이토카인/성장 인자 수용체 패밀리로부터 유래한 임의의 수용체의 것과 유사하지 않다. 다른 공지된 단백질에 대한 IL-17A 자체의 유사성 부족과 연계된 이것은 IL-17A 및 그 수용체가 신호전달 단백질 및 수용체의 신규 패밀리의 부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IL-17A 활성이 그 독특한 세포 표면 수용체(본원에서 인간 IL-17R로 명명됨)에 대한 결합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입증되어 왔으며, 여기에서 종래 연구들은 T 세포를 가용성 형태의 IL-17A 수용체 폴리펩타이드와 접촉시키는 것이 PHA, 콘카나발린(concanavalin) A 및 항-TCR 단일클론 항체에 의해 유도되는 T 세포 증식 및 IL-2 생성을 억제함을 보여왔다(Yao et al., J. Immunol., 155:5483-5486 (1995)). 그와 같이, 상기 공지된 사이토카인 수용체, 특히 IL-17A 수용체에 상동성을 갖는 신규 폴리펩타이드를 확인하고 규명하는데에 상당한 관심이 있다.
인터루킨 17A는 최근 생겨난 사이토카인 패밀리의 원형(prototype) 멤버로 현재 인식되고 있다. 인간 및 다른 척추동물 게놈의 광범위한 염기서열 분석은 IL-17A와 명백히 관련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부가적인 유전자의 존재를 밝혀내었고, 이로써 새로운 사이토카인 패밀리를 정의하였다. IL-17A, IL-17B, IL-17C, IL-17D, IL-17E 및 IL-17F 뿐만 아니라, 신규 수용체 IL-17RH1, IL-17RH2, IL-17RH3 및 IL-17RH4를 포함하여 인간 및 마우스에는 적어도 6개의 IL-17 패밀리가 존재한다(2001년 6월 28일에 공개된 WO01/46420 참조). 한 가지 상기 IL-17 멤버 (IL-17F로 명명됨)는 인간 IL-17 수용체(IL-17R)에 결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Yao et al., Cytokine, 9(11):794-800 (1997)). 초기 특성규명은, IL-17A와 유사하게도, 이들 새롭게 확인된 분자들 중 몇 가지가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음을 제시한다. 이들 인자 중 몇 가지에 대해 확인된 강력한 염증 작용 및 최근 나타난 주요 인간 질환과의 연관성들은 이들 단백질이 염증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과,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인간 IL-17F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IL-17A에 인접하여 위치한다(Hymowitz, S. G., et al., Embo J, 20(19):5332-41 (2001)). IL-17A 및 IL-17F는 약 44% 아미노산 동일성을 갖는 반면, IL-17 패밀리 중 다른 멤버들은 더 제한된 15-27% 아미노산 동일성을 갖는데, 이는 IL-17A 및 IL-17F가 IL-17 패밀리 내에서 별개의 하위그룹(subgroup)을 형성한다는 것을 제시한다(Starnes, T., et al., J Immunol. 167(8):4137-40 (2001); Aggarwal, S. and Gurney, A. L., J. Leukoc Biol, 71(l):1-8 (2002)). IL-17F는 IL-17A와 유사한 생물학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광범위한 세포로부터 IL-6, IL-8, 및 G-CSF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IL-17A와 유사하게도, 이는 연골 기질 방출을 유도할 수 있고, 새로운 연골 기질 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2002년 11월 28일에 공개된 U.S. 2002-0177188-A1 참조). 따라서, IL-17A와 같이, IL-17F는 잠재적으로 염증성 장애의 병리학의 원인이 될 수 있다. IL-17A 및 IL-17F 모두는 인터루킨 23(IL-23)의 작용에 의해 T 세포에서 유도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Aggarwal, S., et al., J. Biol. Chem., 278(3):1910-4 (2003)). 보다 구체적으로, IL-17A 및 IL-17F 모두는 인간 및 인간 질환의 마우스 모델에서 여러 가지 염증성 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의 진행 및 병리학의 원인 물질로 연관되어 왔다. 사실상 IL-17A, 및 정도는 덜하지만 IL-17F는 염증성 반응을 촉발시키는 효과기(effector) 사이토카인으로 연관되어왔으며, 그 때문에 다발성 경화증(MS), 류머티스성 관절염(RA), 및 염증성 장질환(IBD)을 포함하는, 수많은 자가염증성(자가면역) 질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계통은 Th17로 명명되었고, 이들 세포의 수는 인간 자가면역 질환의 마우스 모델에서 질환 진행 및 중증도와 명백히 상호관련된다. 염증성 질환에서의 IL-17A 및 IL-17F의 관련성이 명백한 것으로 보임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 IL-17F에 대한 수용체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사실로 인해 이들 사이토카인에 대한 표적 세포들은 확인되지 않았다. 최근에, IL-17Rc가 IL-17A 및 IL-17F 모두에 대한 수용체임이 보고되었다(Presnell, et al., J. Immunol. 179(8):5462-73 (2007)).
염증 및 비만
비만의 이해에 있어서 최근의 중요한 발전은 염증 및 당뇨병이 만성 저급(low-grade) 염증 상태를 특징으로 한다는 개념의 출현이다. 이러한 견해에 대한 기초는 몇 가지 염증의 마커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급성병기(acute-phase) 단백질의 순환 수치의 증가가 비만시 상승한다는 것이며, 이들 마커는 IL-6, TNFα 시스템, C-반응성 단백질(CRP) 및 합토글로빈(haptoglobin)을 포함한다. 하지만, 전신성 또는 국소성이든 간에, 염증 부위 자체에 관해서 연관성은 불분명하다.
특정 인슐린 용량에 대하여 예상보다 적은 생물학적 반응으로 정의되는, 인슐린 저항성은 비만과 아주 흔한 연관성이 있다. 실제, 비만의 많은 병리학적 결과가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고혈압, 고지질혈증 및 특히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NIDDM)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NIDDM 환자는 비만이며, NIDDM의 발전에서의 매우 중요한 초기 요소는 인슐린 저항성이다(Moller et al., New Eng. J. Med., 325: 938 (1991)). 이 질환의 초기 단계 동안의 인슐린 수용체 하향조절 이외에도, 인슐린 저항성의 과정 동안에 수용체 결합후(post-receptor) 이상(abnormality)이 생겨나는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Olefsky et al., in Diabetes Mellitus, Rifkin and Porte, Jr., Eds.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Inc., New York, ed. 4, 1990), pp. 121-153).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IL-17 패밀리 멤버, 및 특히 IL-17A 및 IL-17F가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고지질혈증 및 대사 증후군과 같이 비만과 관련된 기타 장애에 역할을 한다는 발견, 및 IL-17 길항제, 특히 IL-17A 및 IL-17F 길항제가 이들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발견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고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IL-17A 및/또는 IL-17F 길항제를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인슐린 저항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혼합된 IL-17A 및/또는 IL-17F 길항제를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에서의 IL-17A 및/또는 IL-17F 길항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IL-17A 및/또는 IL-17F 길항제를 포함하는 용기; 및 (b) 상기 항체를 인슐린 저항성 장애를 치료하는데 투여하기 위한 라벨 또는 설명서를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모든 양태에서,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장애는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NIDDM), 비만, 난소 안드로겐과다혈증(ovarian hyperandrogenism), 및 고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장애는 NIDDM 또는 비만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이며, 상기 투여는 전신성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IL-17A 및/또는 IL-17F 길항제는 항-IL-17A, 항-IL-17F, 항-IL-17A/F, 및 항-IL-17Rc 항체,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체와 같은,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체는 키메릭,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 이중특이성, 다중특이성 또는 교차반응성 항체를 포함하는, 단일클론 항체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인슐린, IGF-1, 또는 설포닐우레아와 같은 유효량의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의 투여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딕코프-5(Dickkopf-5, Dkk-5)와 같은, 상기 인슐린 저항성 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유효량의 추가 제제의 투여를 포함한다.
도 1은 천연 서열 인간 IL-17A cDNA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서열번호: 1)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서열번호: 1의 코딩 서열로부터 유래한 천연 서열 인간 IL-17A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2)을 나타낸다.
도 3은 천연 서열 인간 IL-17F cDNA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서열번호: 3)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서열번호: 3의 코딩 서열로부터 유래한 천연 서열 인간 IL-17F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4)을 나타낸다.
도 5는 "DNA164625-2890"으로 명명된 클론으로도 알려져 있는, 천연 서열 인간 IL-17 수용체 C(IL-17Rc) 폴리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서열번호: 5)을 나타낸다.
도 6은 천연 서열 인간 IL-17Rc 폴리펩타이드(IL-17RH2 수용체로도 알려짐)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6)을 나타낸다.
도 7은 IL-17Rc KO 마우스를 이용한 고지방 식이(HFD) 모델 연구의 실험 설계이다.
도 8은 IL-17Rc KO 마우스를 이용한 고지방 식이 모델(HFD) 연구의 8주 결과이다.
도 9a 및 9b는 대조군 그룹 및 고지방 식이 그룹에서의 야생형 및 IL-17Rc KO 마우스의 당 수치이다. IL-17Rc KO 마우스는 고지방 식이(HFD)로 유도된 인슐린 저항성에 내성이다.
도 10은 10주째의 곡선하 면적이다.
도 11은 체중 결과이다.
도 12는 인슐린 저항성 HF 식이 모델에 대한 항-IL-17 및 항-IL-17F mAb의 효과이다.
도 13은 9주 투여 기간 후 당부하검사(glucose tolerance test, GTT)이다.
도 14는 플라스미드 DNA 주입 후 당부하검사(GTT)를 통한 IL-17A의 이소성(ectopic) 발현이다. 인슐린 저항성 상태에 대한 IL-17의 과발현의 효과는 GTT를 통해 평가되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A. 정의
용어 "IL-17"은 IL-17A, IL-17, IL-17B, IL-17C, IL-17D, IL-17E, IL-17F, 및 IL-17A/F를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IL-17 패밀리의 멤버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IL-17은 IL-17A, IL-17F, 및 IL-17A/F이다.
"천연 서열 IL-17 폴리펩타이드"는 자연에서 유래한 대응하는 IL-17 폴리펩타이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 서열 IL-17 폴리펩타이드는 자연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재조합 또는 합성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용어 "천연 서열 IL-17 폴리펩타이드"는 구체적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절단형 또는 분비형의 특정 IL-17 폴리펩타이드(예컨대, 세포외 영역 서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변이형(예컨대, 선택적 접합형)의 상기 폴리펩타이드 및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대립유전자 변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천연 서열 IL-17 폴리펩타이드는 도 2 및 4에 나타난 전장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2 및 4)을 포함하는 성숙한 또는 전장 천연 서열 인간 IL-17A, IL-17F, 및 IL-17A/F 폴리펩타이드이다. 개시 및 종결 코돈은 상기 도면에 볼드체 및 밑줄로 표시되어 있다.
용어 "천연 서열 IL-17Rc 폴리펩타이드" 또는 "천연 서열 IL-17Rc"는 자연으로부터 유래한 대응하는 IL-17Rc 폴리펩타이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지칭한다. 상기 천연 서열 IL-17Rc 폴리펩타이드는 자연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재조합 또는 합성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용어 "천연 서열 IL-17Rc 폴리펩타이드"는 구체적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절단형 또는 분비형의 특정 IL-17Rc 폴리펩타이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변이형(예컨대, 선택적 접합형)의 상기 폴리펩타이드 및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대립유전자 변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천연 서열 IL-17Rc 폴리펩타이드는 도 6에 나타난 전장 아미노산(서열번호: 6)을 포함하는 전장 천연 서열 인간 IL-17Rc이다.
"분리된"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폴리펩타이드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자연 환경의 한 성분으로부터 동정되고 분리되고/분리되거나 회수된 폴리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자연 환경의 오염 성분은 통상적으로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진단 또는 치료 용도를 방해할 물질로서, 효소, 호르몬, 및 다른 단백질성 또는 비단백질성 용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1) 스피닝 컵 서열분석기(spinning cup sequenator)를 사용하여, N-말단 또는 내부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15개 잔기를 얻기에 충분한 정도까지, 또는 (2) 쿠마시 블루, 또는 바람직하게는 은 염색(silver stain)을 이용하여 비환원 또는 환원 조건하에서 SDS-PAGE에 의해 동질한 정도까지 정제될 것이다. 분리된 폴리펩타이드는, IL-17 폴리펩타이드 자연 환경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재조합 세포 내에 위치에 있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한다. 하지만, 보통 분리된 폴리펩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 단계에 의해 제조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비만"은, 신장2(미터) 당 체중(kg)으로 계산되는 포유동물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적어도 25.9인 상태를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정상 체중을 갖는 사람은 19.9 내지 25.9 미만의 BMI를 갖는다. 특히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된 비만이 본 정의에 포함된다.
"인슐린 저항성" 또는 "인슐린 저항성 장애" 또는 "인슐린 저항 활성"은 외인성 인슐린의 작용에 대하여 말초 조직이 정상적으로 대사 반응하지 못하는 것(무감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 상태, 또는 장애로서, 즉, 인슐린의 존재가 정상 이하의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상태이다. 임상적 용어로, 인슐린 저항성은 정상적인 또는 상승된 인슐린 수치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또는 상승된 혈당 수치가 지속되는 경우이다. 이는, 본질적으로, 글리코겐 합성 억제에 해당하며, 이로써 기저의 또는 인슐린-자극된 글리코겐 합성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정상 수치 이하로 감소된다. 제2형 당뇨병에 존재하는 고혈당증이 때때로 인슐린에 대한 말초 조직의 민감성을 회복시키는데 충분한 식이 또는 체중 감소에 의해 뒤바뀔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에 주된 역할을 한다. 상기 용어는 비정상적인 당 내성(glucose tolerance) 뿐만 아니라, 비만, 당뇨병, 난소 안드로겐과다혈증(ovarian hyperandrogenism) 및 고혈압과 같은, 인슐린 저항성이 핵심 역할을 하는 많은 장애를 포함한다.
"당뇨병"은 만성 고혈당증 상태, 즉 인슐린 작용이 상대적 또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결과 발생하는, 혈당 과다를 지칭한다. 제1형 또는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DDM), 제2형 또는 비인슐린-의존성 당뇨병(NIDDM), 및 상대적으로 드물긴 하지만 A형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세 가지 기본적인 형태의 당뇨병이 있다. 제1형 또는 제2형 당뇨병 중 하나를 갖는 환자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을 통해 외인성 인슐린의 효과에 무감각해질 수 있다. A형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 수용체 유전자의 변이 또는 당 대사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후-수용체 부위의 결함 중 하나로 인해 발생한다. 당뇨병 환자는 의사에 의해 쉽게 인식될 수 있으며, 고혈당증,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당화 헤모글로빈(glycosylated hemoglobin) 및, 일부 경우, 외상 또는 병과 연관된 케톤산증(ketoacidosis)을 특징으로 한다.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또는 "NIDDM"은 제2형 당뇨병을 지칭한다. NIDDM 환자는 금식할 때와 식사 후 당의 세포 흡수가 지연될 때 또는 당부하검사로 알려진 진단 시험 후 비정상적으로 높은 혈당 농도를 갖는다. NIDDM은 알려진 기준(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Physician's Guide to Insulin-Dependent (Type I) Diabetes, 198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Physician's Guide to Non-Insulin-Dependent (Type II) Diabetes, 1988)에 기초하여 진단된다.
본원에 정의된 장애로서 치료될 당뇨병의 증상 및 합병증은 고혈당증, 만족스럽지 못한 혈당 조절, 케톤산증, 인슐린 저항성, 성장 호르몬 수치 상승, 당화 헤모글로빈 및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osylation end-products, AGE)의 수치 상승, 새벽현상(dawn phenomenon), 만족스럽지 못한 지질 프로파일, 혈관 질환(예컨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미세혈관 질환, 망막 장애(예컨대,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신장 장애, 신경병증, 임신 합병증(예컨대, 조기 중절수술(premature termination) 및 선천적 결손증(birth defects))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슐린 민감성 증가, 혈당 조절을 유지하면서 인슐린 투여의 감소, HbA1c의 감소, 혈당 조절의 개선, 혈관, 신장, 신경, 망막, 및 다른 당뇨병 합병증의 감소, "새벽 현상(dawn phenomenon)"의 예방 또는 감소, 지질 프로파일의 개선, 임신 합병증의 감소, 및 케톤산증의 감소와 같은 최종 산물이 상기 치료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 조성물" 또는 "조성물"은 Dkk-5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를 들어, 물, 단백질, 및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기타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치료의 목적으로 용어 "포유동물"은 포유동물로 분류되는 임의의 동물을 지칭하며, 인간, 설치류, 스포츠 동물, 동물원 동물과, 개, 고양이, 소, 양, 돼지, 말과 같은 애완 동물 및 가축, 및 원숭이와 같은 비인간 영장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치류는 마우스 또는 랫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이며, 본원에서 환자로도 불린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하는 것"은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고인슐린혈증, 저인슐린혈증, 또는 비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본 발명에 따른 표적이 되는 임의의 질환 또는 상태와 싸우기 위해 포유동물을 관리하고 돌보는 것을 기술하며, 증상 또는 합병증의 개시를 방지하거나, 증상 또는 합병증을 완화시키거나, 표적이 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없애기 위한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위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익한 또는 희망하는 임상적 "치료" 결과는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증상의 완화, 인슐린 저항성의 증상 범위의 축소, 인슐린 저항성의 증상의 안정화(즉, 악화되지 않는 것)(예컨대, 인슐린 요구도의 감소), 섬세포 기능상실을 방지하는 인슐린 민감도 및/또는 인슐린 분비의 증가, 및 인슐린-저항성 진행, 예컨대, 당뇨병 진행의 지연 또는 늦춤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만과 관련하여, "치료"는 일반적으로 포유동물의 BMI를 약 25.9 미만까지 낮추는 것과 적어도 6개월 동안 상기 체중을 유지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상기 치료는 적절하게는 포유동물에 의한 식품 또는 칼로리 섭취의 감소를 야기한다. 또한, 본 문맥에서의 치료는, 비만 상태가 개시되기 이전에 상기 치료가 투여되면, 비만이 발생하지 않도록 막는 것을 지칭한다. 치료는 비만인 포유동물에서 지질형성, 즉 인간 및 동물 비만의 주된 특징 중 하나인 지방 세포에 지질이 과당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고/하거나 완전히 억제하는 것 외에도 총 체중 감소를 포함한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은 상기 장애를 이미 가지고 있는 포유동물 뿐만 아니라, 상기 장애가 예방될 대상을 포함하여, 상기 장애에 취약한 대상을 포함한다.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는 예를 들어, 딕코프-5(Dickkopf-5, Dkk-5)(예컨대, 미국 출원공개 제2005/0170440호 참조), 및 혈당강하제와 같이, 인슐린 저항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IL-17에 대한 길항제 이외의 제제이다. 상기 치료제의 예로는 인슐린(하나 이상의 상이한 인슐린); 소분자 인슐린, 예컨대, L-783,281과 같은 인슐린 모방체; 인슐린 유사체(예컨대, HUMALOG® 인슐린(Eli Lilly Co.), LysB28 인슐린, ProB29 인슐린, 또는 AspB21 인슐린 또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149,777호 및 제5,514,646호에 기술된 것), 또는 이의 생리활성 단편; 인슐린 관련 펩타이드(C-peptide, GLP-1,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IGE-1), 또는 IGF-1/IGFBP-3 복합체)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단편; 에르고세트(ergoset); 프람린티드(pramlintide); 렙틴(leptin); BAY-27-9955; T-1095; 인슐린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에 대한 길항제; TNF-α 기능에 대한 길항제; 성장 호르몬 방출제; 아밀린(amylin) 또는 아밀린에 대한 항체;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엔글리타존(englitazone), 및 관련 화합물과 같이, 미국 특허 제5,753,681호에 기술된 것을 포함하는, 글리타존 패밀리 화합물과 같은, 인슐린 감작제; 리날올(Linalol) 단독 또는 비타민 E와 동시에(미국 특허 제6,187,333호); 나테글리니드(nateglinide)(AY-4166), 칼슘 (2S)-2-벤질-3-(cis-헥사하이드로-2-이소인돌리닐카보닐)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레이트(미티글리니드(mitiglinide), KAD-1229), 및 레파글리니드(repaglinide)와 같은 인슐린 분비 개선제; 설포닐우레아 약물, 예를 들어, 아세토헥사미드(acetohexamide), 클로로프로파미드(chlorpropamide), 톨라자미드(tolazamide), 톨부타미드(tolbutamide), 글리클로피라미드(glyclopyramide) 및 그의 암모늄염,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 글리보무리드(glibomuride), 글리클라지드(gliclazide), 1-부틸-3-메타닐릴우레아(1-butyl-3-metanilylurea), 카르부타미드(carbutamide), 글리피지드(glipizide), 글리퀴돈(gliquidone), 글리속세피드(glisoxepid), 글리부티아졸(glybuthiazole), 글리부졸(glibuzole), 글리헥사미드(glyhexamide), 글리미딘(glymidine), 글리핀아미드(glypinamide), 펜부타미드(phenbutamide), 톨시클라미드(tolcyclamide),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 등; 비구아니드(biguanide)(예를 들어, 펜포민(phenformin), 메트포민(metformin), 부포민(buformin) 등);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예를 들어, 아카보스, 보글리보스(voglibose), 미글리톨(miglitol), 에미글리테이트(emiglitate) 등), 및 췌장 이식편 또는 자가면역 시약과 같은 비전형적 치료를 포함한다.
"체중 감소제"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분자를 지칭한다. 상기 분자는 예컨대, 호르몬(카테콜라민(catecholamine), 글루카곤, ACTH, 및 IGF-1과 결합된 성장 호르몬); Ob 단백질; 클로피브레이트(clofibrate); 할로게네이트(halogenate); 신코카인(cinchocaine);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 마진돌(mazindol) 및 펜에틸아민의 유도체, 예컨대, 페닐프로판올아민, 디에틸프로피온, 펜터민(phentermine),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벤즈페타민(benzphetamine), 암페타민(amphetamine), 메탐페타민(methamphetamine), 및 펜메트라진(phenmetrazine)과 같은, 노르아드레날린성 신경전달물질에 작용하는 식욕억제 약물; 펜플루라민(fenfluramine), 트립토판, 5-하이드록시트립토판, 플루옥센틴(fluoxetine), 및 서트랄린(sertraline)과 같은 세로토닌 신경전달물질에 작용하는 약물; 날록손(naloxone), 신경펩타이드-Y, 갈라닌(galanin), 코르티코트로핀(corticotropin)-방출 호르몬, 및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과 같은 중추 작용성 약물; 피리도스티그민(pyridostigmine)과 같은 콜린성 효능제; 리소스핑고리피드(lysosphingolipid) 또는 이의 유도체와 같은 스핑고리피드; 갑상선 호르몬과 같은 열생성 약물(thermogenic drug); 에페드린(ephedrine);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제(beta-adrenergic agonist); 효소 억제제,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리포스타틴(tetrahydrolipostatin), 수크로오스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비소화성 식품, 및 트레오-클로로시트릭산(threo-chlorocitric acid) 또는 그 유도체와 같은 위배출(gastric emptying) 억제제와 같은, 위장관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 및 요힘빈(yohimbine)과 같은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제; 요힘빈의 베타-아드레날린-유사 효과를 증가시키는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단독 또는 성장 호르몬 방출 펩타이드와 조합된 클로니딘(clonidine)과 같은 α2-아드레날린성 차단 약물; 메트포민 및 펜포민과 같은 비구아니드와 같은 장내 흡수를 방해하는 약물; 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벌크 충진제; 하이드록시시트레이트와 같은 대사 차단 약물; 프로게스테론; 콜레시스토키닌 효능제; 케토산 모방 소분자; 코르티코트로핀 방출 호르몬에 대한 효능제; 체지방 축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에르고트(ergot) 관련 프로락틴 억제 화합물(1988년 11월 8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4,783,469호); 베타-3-효능제; 브로모크립틴(bromocriptine); 오피오이드 펩타이드에 대한 길항제; 신경펩타이드 Y에 대한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 성장 호르몬 효능제; 이의 조합;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인슐린"은 인슐린 작용을 갖는 임의의 물질 및 모든 물질을 지칭하며, 그 예로는, 예를 들어, 소 또는 돼지 췌장으로부터 추출된 동물 인슐린, 소 췌장으로부터 추출된 인슐린으로부터 효소적으로 합성된 반-합성 인간 인슐린, 및 통상적으로 대장균(E. coli) 또는 효모 등을 이용하여 유전자 조작 기법에 의해 합성된 인간 인슐린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슐린은 약 0.45 내지 0.9(w/w)%의 아연을 함유하는 인슐린-아연 복합체, 염화 아연으로부터 생성된 프로타민-인슐린-아연, 프로타민 설페이트 및 인슐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린은 그 단편 또는 유도체의 형태일 수 있으며, 예컨대, INS-1일 수 있다. 인슐린은 또한 L83281 및 인슐린 효능제와 같은 인슐린-유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린은 초속효성(super immediate-acting), 속효성(immediate-acting), 이중 작용형(bimodal-acting), 중간 작용형(intermediate-acting), 지속형(long-acting)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이용가능하지만, 이들 유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 조성물"은 IL-17 길항제(IL-17A 및 IL-17F 길항제를 포함)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를 들어, 물, 미네랄, 단백질, 및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기타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표현, "길항제," "IL-17(A 및/또는 F)에 대한 길항제," 및 "IL-17(A 및/또는 F) 길항제" 등은 치료될 징후에 따라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든 간에 IL-17A 및/또는 IL-17F와 같은 IL-17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IL-17(예를 들어, IL-17A 및/또는 F)의 관련 활성을 차단 또는 중화시키는 임의의 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IL-17(IL-17 및 IL-17F 포함)과 하나 이상의 그 수용체 간의 상호작용을 막을 수 있다. 그러한 제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러한 효과를 달성한다. 예를 들어, IL-17 활성을 "중화시키는" 길항제 계열은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은 IL-17을 방해하는 충분한 친화도 및 특이성으로, IL-17, 또는 IL-17의 수용체에 결합할 것이다. IL-17, 또는 IL-17의 수용체(예컨대 IL-17Rc)에 "결합하는" 항체는 충분한 친화도로 상기 항원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치료제로서 IL-17 또는 IL-17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데 유용하다. 용어 "IL-17 길항제"는 IL-17A, IL-17F 및 IL-17A/F 길항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길항제의 그룹에는, 예를 들어, IL-17 또는 IL-17 수용체 또는 이의 부분과 반응하는, IL-17 또는 이의 부분에 대한 항체가 포함되며, 구체적으로 IL-17A 및/또는 IL-17F 및 IL-17Rc에 대한 항체가 포함된다. 상기 용어는 또한 IL-17A 및/또는 IL-17F의 과잉생산에 간섭하거나, IL-17Rc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IL-17(예컨대 IL-17A 및/또는 IL-17F) 수용체에 길항작용을 할 임의의 제제를 포함한다. 상기 길항제는 키메릭 하이브리드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치료제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거나 종간 내성을 부여하는 담체 단백질과 상기 제제의 기능을 결합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상기 길항제의 예로는 생물유기 분자(예컨대, 펩타이드 모방체(peptidomimetics)), 항체, 단백질, 펩타이드, 당단백질, 당펩타이드, 당지질, 다당류, 올리고당류, 핵산, 약리학적 제제 및 이들의 대사산물, 전사 및 번역 조절 서열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길항제는 IL-17A 및/또는 IL-17F에 결합하고, 수용체, 바람직하게는 IL-17Rc과의 상호작용을 막는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항체이다.
용어 "항체"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단일 항-IL-17A/F 또는 항-IL-17A 또는 항-IL-17F 단일클론 항체(효능제, 길항제, 및 중화 항체 포함), 다중에피토프(polyepitopic) 특이성을 갖는 대응 항체 조성물, 다중클론 항체, 단일 사슬 항체, 및 원하는 생물학적 또는 면역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항체 단편(하기 참조)을 포함한다.
기본적인 4-사슬 항체 단위는 두 개의 동일한 경쇄(L) 및 두 개의 동일한 중쇄(H)로 구성된 이종사량체(heterotetramer) 당단백질이다(IgM 항체는 J 사슬로 불리는 부가적인 폴리펩타이드와 함께 5개의 기본적인 이종사량체 단위로 구성되어, 10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반면, 분비된 IgA 항체는 중합되어 J 사슬과 함께 2-5개의 기본적인 4-사슬 단위를 포함하는 다가(polyvalent) 집합을 형성할 수 있다). IgG의 경우, 상기 4-사슬 단위는 일반적으로 약 150,000 달톤이다. 각각의 L 사슬은 하나의 공유 이황화 결합에 의해 H 사슬에 연결되는 반면, 두 개의 H 사슬은 H 사슬의 동종형(isotype)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황화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H 및 L 사슬은 또한 규칙적인 간격의 사슬내 이황화 다리를 갖는다. 각각의 H 사슬은 N-말단에, 가변 영역(VH)을 가지며, 그 다음으로 α 및 γ 사슬 각각에 대한 3개의 불변 영역(CH) 및 μ 및 ε 동종형에 대한 4개의 CH 영역을 갖는다. 각각의 L 사슬은 N-말단에, 가변 영역(VL)을 가지며, 그 다음으로 다른 말단에 불변 영역(CL)을 갖는다. 상기 VL은 VH와 일렬로 배열되며, CL은 중쇄의 제1 불변 영역(CH1)과 일렬로 배열된다. 특정 아미노산 잔기들이 상기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 사이에 계면(interface)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VH 및 VL은 쌍을 이뤄 단일 항원-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상이한 계열의 항체의 구조 및 특성의 경우에는 예컨대, 문헌[Basic and Clinical Immunology, 8th edition, Daniel P. Stites, Abba I. Terr and Tristram G. Parslow (eds.), Appleton & Lange, Norwalk, Conn., 1994, page 71 and Chapter 6]을 참조한다
임의의 척추동물 종으로부터 얻은 L 사슬은,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에 근거하여, 카파 및 람다로 불리는 두 개의 명확히 구별되는 유형 중 하나로 할당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은 중쇄 불변 영역(CH)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상이한 계열 또는 동종형으로 할당될 수 있다. 각각 α, δ, ε, γ, 및 μ로 명명된 중쇄를 갖는, 5가지 계열의 면역글로불린: IgA, IgD, IgE, IgG, 및 IgM이 존재한다. 상기 γ 및 α 계열은, CH 서열 및 기능에서의 상대적 미차에 기초하여 하위계열로 더 분류되며, 예컨대 인간은 하기 하위계열: IgG1, IgG2, IgG3, IgG4, IgA1, 및 IgA2를 발현한다.
용어 "가변"은 가변 영역의 특정 절편이 항체 사이의 서열에 있어 상당히 다르다는 사실을 지칭한다. 상기 V 영역은 항원 결합을 매개하며, 특정 항원에 대한 특정 항체의 특이성을 정의한다. 하지만, 상기 가변성은 가변 영역의 110개 아미노산 범위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는 않다. 대신에, 상기 V 영역은 각각 9-12개의 아미노산 길이인 "극가변 부위(hypervariable region)"로 불리는 극도로 가변적인 짧은 부위들에 의해 분리된, 15-30개의 아미노산의 프레임워크 부위(framework region, FR)로 불리는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는 구간들(stretches)로 이뤄진다. 천연 중쇄 및 경쇄의 가변 영역은 각각 4개의 FR을 포함하며, 루프 연결을 형성하는 세 개의 극가변 부위에 의해 연결된 베타-시트 배열을 주로 채택하며, 일부 경우 베타-시트 구조의 일부를 형성한다. 각 사슬에서 극가변 부위는 FR에 의하여 아주 근접하여 뭉쳐져 있고, 다른 사슬의 극가변 부위와 함께, 항체의 항원-결합 부위의 형성에 기여한다(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 참조). 상기 불변 영역은 항원에 대한 항체의 결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지만, 항체가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ADCC)에 참여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효과기 기능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되는 경우 용어 "극가변 부위"는 항원-결합을 담당하는 항체의 아미노산 잔기를 지칭한다. 극가변 부위는 일반적으로 "상보성 결정 부위" 또는 "CDR"(예컨대, VL에서는 대략 잔기 24-34(L1), 50-56(L2) 및 89-97(L3)이며, VH에서는 대략 1-35(H1), 50-65(H2) 및 95-102(H3)임; 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 및/또는 "극가변 루프"로부터 유래된 상기 잔기(예컨대, VL에서는 26-32(L1), 50-52(L2) 및 91-96(L3)이며, VH에서는 26-32(H1), 53-55(H2) 및 96-101(H3)임; Chothia and Lesk J. Mol. Biol. 196:901-917 (1987)).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단일클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종인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득한 항체를 지칭하며, 즉, 상기 집단을 구성하는 각 항체는 미량으로 존재할 수도 있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돌연변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단일클론 항체는 매우 특이적이며, 단일 항원 부위에 대응한다. 더욱이, 상이한 결정부위(determinant, 에피토프)에 대응하는 상이한 항체들을 포함하는 다중클론 항체 제제와는 달리, 각 단일클론 항체는 항원 상의 단일 결정부위에 대응한다. 이들의 특이성 뿐만 아니라, 단일클론 항체는 다른 항체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합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단일클론 항체는 통상적으로 표적에 결합하는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항체는 다수의 항체로부터 항체를 선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수득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선별 과정은 하이브리도마 클론, 파아지 클론 또는 재조합 DNA 클론의 풀(pool)과 같이, 다수의 클론으로부터 특별한 클론을 선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선별된 항체는, 예를 들어, 표적에 대한 친화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항체를 인간화하기 위하여, 세포 배양시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생체내 면역원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중특이성 항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추가로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변형된 가변 부위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역시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의 특이성 뿐만 아니라, 단일클론 항체 제제는 통상적으로 다른 면역글로불린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수식어 "단일클론"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항체 집단으로부터 수득되는 항체의 특성을 가리키며, 임의의 특정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단일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방법(예컨대, Kohler et al., Nature, 256:495 (1975); Harlow et al.,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nd ed. 1988); Hammerling et al., in: Monoclonal Antibodies and T-Cell Hybridomas 563-681, (Elsevier, N.Y., 1981)), 재조합 DNA 방법(예컨대, 미국 특허 제4,816,567호 참조), 파아지 디스플레이 기술(예컨대, Clackson et al., Nature, 352:624-628 (1991); Marks et al., J. Mol. Biol., 222:581-597 (1991); Sidhu et al., J. Mol. Biol. 338(2):299-310 (2004); Lee et al., J. Mol. Biol. 340(5):1073-1093 (2004); Fellouse, Proc. Nat. Acad. Sci. USA 101(34):12467-12472 (2004); 및 Lee et al. J. Immunol. Methods 284(1-2):119-132 (2004)) 및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암호화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위치(locus) 및 유전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 동물로부터 인간 항체 또는 인간-유사 항체를 생산하는 기술(예컨대, WO98/24893호, WO/9634096호, WO/9633735호, 및 WO/91 10741호, Jakobovit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2551 (1993); Jakobovits et al., Nature, 362:255-258 (1993); Bruggemann et al., Year in Immuno., 7:33 (1993); 미국 ㅌ특허 제5,545,806호, 제5,569,825호, 제5,591,669호(GenPharm); 제5,545,807호; WO 97/17852호, 미국 특허 제5,545,807호; 제5,545,806호; 제5,569,825호; 제5,625,126호; 제5,633,425호; 및 제5,661,016호, 및 Marks et al., Bio/Technology, 10: 779-783 (1992); Lonberg et al., Nature, 368: 856-859 (1994); Morrison, Nature, 368: 812-813 (1994); Fishwild et al., Nature Biotechnology, 14: 845-851 (1996); Neuberger, Nature Biotechnology, 14: 826 (1996); 및 Lonberg and Huszar, Intern. Rev. Immunol., 13: 65-93 (1995))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단일클론 항체는 중쇄 및/또는 경쇄의 일부가 특정 종으로부터 유래된 항체 또는 특정 항체 계열 또는 하위계열에 속하는 항체에서의 대응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동인 반면, 상기 사슬의 나머지가 또 다른 종으로부터 유래된 항체 또는 또 다른 항체 계열 또는 하위계열에 속하는 항체 뿐만 아니라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상기 항체의 단편의 대응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동인, "키메릭" 항체를 지칭한다(미국 특허 제4,816,567호; 및 Morr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6851-6855 (1984) 참조). 본원에서 관심대상인 키메릭 항체는 비인간 영장류(예컨대 구세계 원숭이(Old World Monkey), 유인원 등)로부터 유래된 가변 영역 항원-결합 서열, 및 인간 불변 부위 서열을 포함하는 "영장류화" 항체를 포함한다.
"온전한(intact)" 항체는 항원-결합 부위뿐만 아니라 CL 및 적어도 중쇄 불변 영역인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항체이다. 상기 불변 영역은 천연 서열 불변 영역(예컨대, 인간 천연 서열 불변 영역) 또는 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variant)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전한 항체는 하나 이상의 효과기 기능을 갖는다.
"항체 단편"은 온전한 항체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온전한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 또는 가변 부위를 포함한다. 항체 단편의 예로는 Fab, Fab', F(ab')2, 및 Fv 단편; 디아바디(diabody); 선형 항체(미국 특허 제5,641,870호, 실시예 2; Zapata et al., Protein Eng. 8(10): 1057-1062 [1995] 참조); 단일 사슬 항체 분자; 및 항체 단편으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성 항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단편은 "기능적"이며, 즉, 표적 IL-17A 및 IL-17F 폴리펩타이드에 결합하는 온전한 대응 항체의 능력을 질적으로 보유하며, 만일 상기 온전한 항체가 또한 IL-17A/F 생물학적 활성 또는 기능을 억제하는 경우, 상기 억제 특성 역시 질적으로 보유한다. 질적 보유는 성질상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결합 친화도 및/또는 활성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항체의 파파인(papain) 분해는 "Fab" 단편으로 불리는 두 개의 동일한 항원-결합 단편, 및 쉽게 결정화되는 능력을 반영하는 명칭인 나머지의 "Fc" 단편을 생성한다. 상기 Fab 단편은 H 사슬의 가변 부위 영역(VH)과 함께 L 사슬 전체, 및 하나의 중쇄의 제1 불변 영역(CH1)으로 구성된다. 각 Fab 단편은 항원 결합에 대해 1가이며, 즉 단일 항원-결합 부위를 갖는다. 항체의 펩신 처리는 2가 항원-결합 활성을 갖는 2개의 이황화 결합된 Fab 단편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며, 항원을 여전히 교차결합시킬 수 있는 단일의 거대한 F(ab')2 단편을 생성한다. Fab' 단편은 상기 항체 힌지(hinge) 부위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CH1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부가적인 몇 개의 잔기를 가짐으로써 Fab 단편과는 상이하다. Fab'-SH는 불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자유 티올 그룹을 갖는 Fab'에 대한 본원에서의 명칭이다. F(ab')2 항체 단편들은 원래 이들 사이에 힌지 시스테인을 갖는 Fab' 단편들의 쌍으로서 생성되었다. 항체 단편들의 다른 화학적 결합 역시 알려져 있다.
Fc 단편은 이황화에 의해 합쳐진 두 가지 H 사슬의 카르복시-말단 부분을 포함한다. 항체의 효과기 기능은 상기 Fc 부위의 서열에 의해 결정되며, 이 부위는 또한 특정 유형의 세포 상에 발견되는 Fc 수용체(FcR)에 의해 인식되는 부분이다.
"Fv"는 완전한 항체-인식 부위 및 항체-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최소 항체 단편이다. 이 단편은 하나의 중쇄 가변 부위 영역과 하나의 경쇄 가변 부위 영역이 단단한 비공유 결합된 이량체(dimer)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두 가지 영역의 접힘(folding)으로부터, 아미노산 잔기의 항원 결합에 기여하며 항체에 대한 항원 결합 특이성을 부여하는 6개의 극가변 루프(H 및 L 사슬로부터 각각 3 루프)가 생성된다. 하지만, 전체 결합 부위에 비해 친화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단일 가변 영역(또는 항원에 특이적인 단지 세 개의 CDR을 포함하는 Fv의 절반)조차도 항원을 인식하고 결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sFv" 또는 "scFv"로도 축약되는 "단일-사슬 Fv"는 단일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연결되는 VH 및 VL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 단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Fv 폴리펩타이드는 VH 및 VL 영역 사이에 폴리펩타이드 링커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는 sFv가 항원 결합을 위한 원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해준다. sFv의 검토를 위해, 하기 문헌[Pluckthun in The Pharmacology of Monoclonal Antibodies, vol. 113, Rosenburg and Moore eds., Springer-Verlag, New York, pp. 269-315 (1994); Borrebaeck 1995]을 참조한다.
용어 "디아바디(diabody)"는, V 영역의 사슬내 쌍형성이 아닌 사슬간 쌍형성이 이뤄져 2가 단편, 즉 두 개의 항원-결합 부위를 갖는 단편이 생성되도록, VH 및 VL 영역 사이에 짧은 링커(약 5-10 잔기)를 갖는 sFv 단편(전 단락 참조)을 구축함으로써 제조된 작은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이중특이성 디아바디는 두 개의 항체의 VH 및 VL 영역이 상이한 폴리펩타이드 사슬 상에 존재하는 두 개의 "교차형(crossover)" sFv 단편들의 이종이량체(heterodimer)이다. 디아바디는, 예를 들어, EP 제404,097호; WO 93/11161호; 및 Holling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6444-6448 (1993)에 좀더 충분히 기술되어 있다.
비-인간(예컨대, 설치류) 항체의 "인간화" 형태는 비인간 항체로부터 유래된 최소의 서열을 함유하는 키메릭 항체이다. 대부분, 인간화 항체는 수용자의 극가변 부위의 잔기가, 원하는 항체 특이성, 친화성 및 능력을 갖는 마우스, 랫트, 토끼 또는 비인간 영장류와 같은 비인간 종(공여자 항체)의 극가변 부위의 잔기로 치환된 인간 면역글로불린(수용자 항체)이다. 일부 경우,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프레임워크 부위(FR) 잔기는 대응하는 비인간 잔기에 의해 치환된다. 더욱이, 인간화 항체는 수용자 항체나 공여자 항체에서 발견되지 않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변형은 항체 성능을 좀 더 개량하기 위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인간화 항체는 실질적으로 모든 적어도 하나, 및 통상적으로 두 개의 가변 영역을 포함할 것이며, 여기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극가변 루프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극가변 루프에 대응되며,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FR은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FR일 것이다. 인간화 항체는 임의로 면역글로불린 불변 부위(Fc) 중 적어도 일부, 통상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일부를 또한 포함할 것이다. 추가 세부사항을 위해, 문헌[Jones et al., Nature 321:522-525 (1986); Riechmann et al., Nature 332:323-329 (1988); 및 Presta, Curr. Op. Struct. Biol. 2:593-596 (1992)]을 참조한다.
용어 "다중특이성 항체"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중쇄 가변 영역(VH) 및 경쇄 가변 영역(VL)을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VHVL 단위는 다중에피토프 특이성을 갖는다(즉, 하나의 생물학적 분자 상의 2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하거나, 상이한 생물학적 분자 상의 각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음). 그러한 다중특이성 항체는 전장 항체, 둘 이상의 VL 및 VH 영역을 갖는 항체, Fab, Fv, dsFv, scFv, 디아바디, 이중 특이성 디아바디 및 트리아바디(triabody)와 같은 항체 단편,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연결된 항체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중에피토프 특이성(polyepitopic specificity)"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표적 상의 둘 이상의 상이한 표적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을 지칭한다.
"단일특이적(monospecific)"은 단지 하나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능력을 지칭한다.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IgG1 형태의 다중특이적 항체는 각 에피토프에 5μM 내지 0.001pM, 3μM 내지 0.001pM, 1μM 내지 0.001pM, 0.5μM 내지 0.001pM 또는 0.1μM 내지 0.001pM의 친화도로 결합한다.
"교차반응성(cross-reactive) 항체"는 둘 이상의 항원 상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항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차반응성 항체는 IL-17A 및 IL-17F 양쪽에 존재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에피토프를 인식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교차반응성 항체는 IL-17A 및 IL-17F 양쪽에 결합하는 동일하거나 본질적으로 동일한 파라토프(paratope)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서 교차반응성 항체는 또한 IL-17A 및 IL-17F 양쪽의 기능(활성)을 차단한다.
용어 "파라토프(paratope)"는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의 일부를 지칭하는데 본원에 사용된다.
"종-의존성(species-dependent) 항체", 예컨대, 포유동물의 항-IL-17A/F 항체는 제1 포유동물 종의 항원에 대한 결합 친화도가 제2 포유동물 종의 항원의 상동체에 대한 것보다 더 큰 항체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종-의존성 항체는 인간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지만(즉, 단지 약 1×10-7M, 바람직하게는 단지 약 1×10-8 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지 약 1×10-9M의 결합 치환도(Kd) 수치를 가짐), 제2 비인간 포유동물 종의 항원의 상동체에 대해서는 인간 항원에 대한 결합 친화도보다 적어도 약 50배, 또는 적어도 약 500배, 또는 적어도 약 1000배나 약한 결합 친화도를 갖는다. 상기 종-의존성 항체는 상기 정의된 다양한 유형의 항체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이다.
관심대상인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는, 진단 및/또는 치료제로서 상기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 또는 조직을 표적으로 하는데 유용하도록 충분한 친화도로 항원에 결합하며, 다른 단백질과 크게 상호작용하지 않는 항체이다. 그러한 구체예에서, "비표적" 단백질에 대한 항체의 결합 정도는 형광이용 세포 분류(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분석법 또는 방사성 면역침강법(radio immunoprecipitation; RIA)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와 같이, 특정 표적 단백질에 대하여 10% 미만의 항체 결합일 것이다. 표적 분자에 대한 항체의 결합과 관련하여, 특정 폴리펩타이드 또는 특정 폴리펩타이드 표적 상의 에피토프에 대한 용어 "특이적 결합" 또는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또는 "특이적이다"라는 것은 비특이적 상호작용과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상이한 결합을 의미한다. 특이적 결합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결합 활성을 갖지 않는 유사 구조 분자인 대조군 분자의 결합과 비교하여, 분자의 결합을 결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이적 결합은 표적, 예를 들어, 표지되지 않은 과량의 표적에 유사한 대조군 분자와의 경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브에 대한 상기 표지된 타겟의 결합이 과량의 표지되지 않은 표적에 의해 경쟁적으로 억제되는 경우 특이적 결합으로 표시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특정 폴리펩타이드 또는 특정 폴리펩타이드 표적 상의 에피토프에 대한 용어 "특이적 결합" 또는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또는 "특이적이다"라는 것은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0-4M,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0-5M,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0-6M,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0-7M,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0-8M,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0-9M,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0-10M,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0-11M,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0-12M, 또는 그 이상으로 표적에 대한 Kd를 갖는 분자에 의해 나타내어 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용어 "특이적 결합"은 분자가 임의의 다른 폴리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 에피토프에 실질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특정 폴리펩타이드 또는 특정 폴리펩타이드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결합을 지칭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특이적 결합 친화도는 적어도 약 10-10M이다.
항체 "효과기 기능"은 항체의 Fc 부위(천연 서열 Fc 부위 또는 아미노산 서열 변이 Fc 부위)에 기인하는 상기 생물학적 활성을 지칭하며, 항체 동종형에 따라 달라진다. 항체 효과기 기능의 예로는 C1q 결합 및 보체의존성 세포독성(complement dependent cytotoxicity); Fc 수용체 결합; 항체-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ADCC); 식세포작용(phagocytosis); 세포 표면 수용체(예컨대, B 세포 수용체)의 하향 조절; 및 B 세포 활성화를 포함한다.
"항체-의존성 세포-매개성 세포독성" 또는 "ADCC"는 특정 세포독성 세포(예컨대, 자연살해(NK) 세포, 호중구, 및 대식세포) 상에 존재하는 Fc 수용체(FcR) 위로 결합된 분비 Ig이 이들 세포독성 효과기 세포를 항원을 갖는 표적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세포독소로 상기 표적 세포를 살해하는 세포독성 형태를 지칭한다. 항체는 상기 세포독성 세포를 "폭발하게 만들고(arm)", 상기 살해가 절대절대적으로 요구된다. ADCC를 매개하기 위한 일차 세포인 NK 세포는 FcγRIII 만을 발현하는 반면, 단핵구는 FcγRI, FcγRII 및 FcγRIII을 발현한다. 조혈 세포 상에서의 FcR 발현이 문헌[Ravetch and Kinet, Annu. Rev. Immunol. 9:457-92 (1991)]의 464페이지의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관심대상인 분자의 ADCC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미국 특허 제5,500,362호 또는 제5,821,337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시험관내 ADCC 분석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석법을 위한 유용한 효과기 세포로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 및 자연살해(NK) 세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관심대상 분자의 ADCC 활성은 생체내에서, 예컨대, 문헌[Clyne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652-656 (1998)]에 개시된 것과 같은 동물 모델에서 평가될 수 있다.
"Fc 수용체" 또는 "FcR"은 항체의 Fc 부위에 결합하는 수용체를 기술한다. 바람직한 FcR은 천연 서열 인간 FcR이다. 더욱이, 바람직한 FcR은 IgG 항체에 결합하는 것(감마 수용체)이며, FcγRI, FcγRII 및 FcγRIII 하위계열의 수용체를 포함하며, 이들 수용체의 대립유전자 변이 및 대안적으로 접합형도 포함한다. FcγRII 수용체는 FcγRIIA("활성화 수용체") 및 FcγRIIB("억제 수용체")를 포함하며, 이들은 주로 세포질 영역이 상이한 유사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활성화 수용체 FcγRIIA는 그 세포질 영역에 면역수용체 타이로신-기반의 활성화 모티프(ITAM)를 함유한다. 억제 수용체 FcγRIIB는 그 세포질 영역에 면역수용체 타이로신-기반의 억제 모티프(ITIM)를 함유한다(M. in Daeron, Annu. Rev. Immunol. 15:203-234 (1997) 참조). FcR은 문헌[Ravetch and Kinet, Annu. Rev. Immunol. 9:457-492 (1991); Capel et al., Immunomethods 4:25-34 (1994); and de Haas et al., J. Lab. Clin. Med. 126:330-41 (1995)]에서 검토된다. 훗날 동정될 것을 포함하는 다른 FcR이 본원의 용어 "FcR"에 포함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어머니의 IgG를 태아에게 전달하는데 관여하는 신생아(neonatal) 수용체, FcRn를 포함한다(Guyer et al., J. Immunol. 117:587 (1976) and Kim et al., J. Immunol. 24:249 (1994)).
"인간 효과기 세포"는 하나 이상의 FcR을 발현하고 효과기 기능을 수행하는 백혈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는 적어도 FcγRIII을 발현하고 ADCC 효과기 기능을 수행한다. ADCC를 매개하는 인간 백혈구의 예로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 자연살해(NK) 세포, 단핵구, 세포독성 T 세포 및 호중구를 포함하며, PBMC 및 NK 세포가 바람직하다. 상기 효과기 세포는 천연 공급원, 예컨대, 혈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omplement dependent cytotoxicity)" 또는 "CDC"는 보체의 존재하에 표적 세포의 용해를 지칭한다. 전형적인 보체 경로의 활성화는 동족 항원에 결합된 항체(적절한 하위계열의 항체)에 대한 보체 시스템의 제1 성분(C1q)의 결합에 의해 개시된다. 보체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예컨대, 문헌[Gazzano-Santoro et al., Immunol. Methods 202:163 (1996)]에 기술된 바와 같이, CDC 분석법이 수행될 수 있다.
용어 "중화시키다", 및 "활성을 중화시키다"는, 예를 들어, 활성을 차단하거나 막거나 감소시키거나 반작용하거나, 또는 임의의 메커니즘에 의해 IL-17(예컨대 IL-17A 및/또는 IL-17F)을 효과가 없게 만드는 것을 의미하고자 본원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길항제는 IL-17의 활성화에 필요한 결합 사건을 막을 수 있다.
"중화 항체"는 IL-17(IL-17A 및/또는 IL-17F 포함)의 효과기 기능을 차단하거나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화 항체는 IL-17(예컨대 IL-17A 및/또는 IL-17F)의 능력을 억제하거나 감소시켜 IL-17Rc와 같은 IL-17 수용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중화 항체는 IL-17의 능력을 억제하거나 감소시켜 IL-17 수용체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중화 항체는 또한 IL-17 활성의 면역분석법에서 IL-17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시험관내 및 생체내 상황 모두에서 그 기능적 활성을 유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중화 항체"의 특징이다.
B. 상세한 설명
1. 치료 용도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의 존재가 정상이하의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상태이다. 임상적 용어로, 인슐린 저항성은 정상적인 또는 상승된 인슐린 수치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또는 상승된 혈당 수치가 지속되는 경우이다. 이는, 본질적으로, 글리코겐 합성 억제에 해당하며, 이로써 기저의 또는 인슐린-자극된 글리코겐 합성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정상 수치 이하로 감소된다. 제2형 당뇨병에 존재하는 고혈당증이 때때로 인슐린에 대한 말초 조직의 민감성을 회복시키는데 충분한 식이 또는 체중 감소에 의해 뒤바뀔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에 주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IL-17A 및/또는 IL-17F 길항제의 투여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또는 제2형 당뇨병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IL-17A 및/또는 IL-17F 길항제는 치료될 징후에 따라,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든 간에 IL-17A 및/또는 IL-17F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IL-17A 및/또는 F의 관련 활성을 차단하거나 중화시키는 임의의 분자일 수 있다. 이는 IL-17A 및/또는 IL-17F와 하나 이상의 그 수용체, 특히 IL-17Rc 사이의 상호작용을 막을 수 있다. 그러한 제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러한 효과를 달성한다. 예를 들어, IL-17A 및/또는 IL-17F 활성을 중화시키는 길항제 계열은 IL-17A 및/또는 IL-17F을 방해하기에 충분한 친화도 및 특이성으로, IL-17A 및/또는 IL-17F, 또는 IL-17A 및/또는 IL-17F의 수용체, 특히 IL-17Rc에 결합할 것이다.
2. 투여 및 제형
IL-17 길항제는, 제한되지 않는, 정맥내(IV), 근육내(IM), 피하(SC), 및 복강내(IP)와 같은 비경구 투여 경로 뿐만 아니라, 경피, 구강, 설하, 직장내, 비강내, 및 흡입제 경로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IV, IM, SC, 및 IP 투여는 볼루스(bolus) 또는 주입에 의할 수 있고, SC의 경우 펌프, 서방형(slow-release) 제형, 및 기계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서방형 이식 장치에 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여는 전신성이다.
하나의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IL-17 길항제의 투여 방법은 특히 펌프와 같은 계량기가 장착된 주입 장치를 이용한, 피하 주입에 의한 것이다. 상기 펌프는 재사용되거나 사용후 처분될 수 있으며, 이식되거나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는 약물 주입 펌프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37,095호; 제5,569,186호; 및 제5,527,307호에 개시된 펌프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상기 장치로부터 연속적으로 투여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보관에 적합한 IL-17 길항제의 치료 제형은 동결건조 제형 또는 수용액 형태로서, 원하는 정도의 순도를 갖는 길항제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ol, A. Ed. (1980))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는 사용된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무독성으로서,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기타 유기산과 같은 완충액; 아스코브산 및 메티오닌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보존제(예를 들어, 옥타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octadecyldimethylbenzyl ammonium chloride);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hexamethonium chloride);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벤제토늄 클로라이드(benzethonium chloride); 페놀, 부틸 또는 벤질알콜;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과 같은 알킬 파라벤; 카테콜; 레소르시놀(resorcinol); 사이클로헥사놀; 3-펜타놀; 및 m-크레솔); 저분자량(약 10 잔기 미만) 폴리펩타이드;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단백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히스티딘, 아르기닌, 또는 리신과 같은 아미노산;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단당류, 이당류, 및 기타 탄수화물; EDTA와 같은 킬레이트화제; 수크로스, 만니톨, 트레할로스 또는 솔비톨과 같은 당류; 나트륨과 같은 염-형성 반대이온; 금속 착화물(예컨대, Zn-단백질 착화물); 및/또는 TWEENT™, PLURONICS™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동결건조된 항-IL-17 항체 제형이 WO 97/0480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조성물은 약 0.1 내지 90 중량%의 활성 길항제를, 바람직하게는 가용성 형태로,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약 10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는 IL-17에 대한 길항제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각각 콜로이드성 약물 전달 시스템(예를 들어, 리포좀, 알부민 미세구체, 미세유화액, 나노입자 및 나노캡슐)에서 또는 거대유화액에서, 예를 들어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기술에 의해 또는 계면중합(interfacial polymerization)에 의해 제조된 미세캡슐,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미세캡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세캡슐 내에 포획될 수 있다. 상기 기술은 위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항-IL-17 항체와 같은, IL-17A 및/또는 IL-17F 길항제는 또한 면역리포좀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항체를 함유하는 리포좀은 문헌[Epstei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 3688 (1985); Hwa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7: 4030 (1980); 미국 특허 제4,485,045호 및 제4,544,545호; 및 1997년 10월 23일에 공개된 WO97/38731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특히 유용한 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 콜레스테롤 및 PEG-유도체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G-PE)을 포함하는 지질 조성물을 이용한 역상 증발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리포좀은 원하는 직경을 갖는 리포좀을 생성하기 위해 규정된 공극 크기의 필터를 통해 압출된다. 본 발명의 항체의 Fab' 단편은 이황화 교환 반응을 통해 문헌[Martin et al., J. Biol. Chem., 257: 286-288 (1982)]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포좀에 결합될 수 있다.
서방형 제제가 제조될 수 있다. 서방형 제제의 적합한 예로는 항체를 함유하는 고체 소수성 중합체의 반투과성 기질(matrix)을 포함하며, 상기 기질은 형상을 가진 물품, 예컨대 필름 또는 미세캡슐의 형태이다. 서방형 기질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하이드로겔(예를 들어, 폴리(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락타이드(미국 특허 제3,773,919호), L-글루탐산 및 γ-에틸-L-글루타메이트의 공중합체, 비분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LUPRON DEPOT™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및 루프롤리드 아세테이트(leuprolide acetate)로 구성된 주사가능한 미세구체)와 같은 분해성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및 폴리-D-(-)-3-하이드록시부티르산을 포함한다.
임의의 특정 길항제가 치료 길항제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담체 단백질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가용성 면역글로불린 키메라가 미국 특허 제5,116,96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특정 IL-17 길항제 또는 이의 길항제 부분을 위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면역글로불린 키메라는 IgG-결합 단백질 A-세파로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쉽게 정제된다. 상기 키메라는 부수적인 높은 결합능 및 혈청 반감기를 갖는 면역글로불린-유사 이량체를 형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생체내 투여에 사용될 제형은 멸균 상태이어야 한다. 이는 멸균 여과막을 통한 여과에 의해 손쉽게 달성된다.
본원에서 제형은 또한 치료될 특정 징후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서로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호보완적인 활성을 갖는 것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 화합물은 치료될 포유동물에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징후를 위한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식이 및 체중 감소에 반응하지 못하는 제2형 당뇨병은 IL-17 길항제와 함께 설포닐유레아를 이용한 치료요법에 반응할 수 있다. 설포닐우레아 계열 약물로는 아세토헥사마이드, 클로르프로파미드(chlorpropamide), 톨라자미드(tolazamide), 톨부타미드(tolbutamide), 글리벤클라민드(glibenclaminde), 글리보무리드(glibomuride), 글리클라지드(gliclazide), 글리피지드(glipizide), 글리퀴돈(gliquidone) 및 글리미딘(glymidine)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한 다른 제제로는 자가면역 시약,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엔들리타존(englitazone), 및 관련 화합물과 같이, 미국 특허 제5,753,681호에 기술된 것을 포함하는 글리타존 패밀리 화합물과 같은 인슐린 감작제, 인슐린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에 대한 길항제(미국 특허 제5,939,269호 및 제5,939,269호), IGF-1/IGFBP-3 복합체(미국 특허 제6,040,292호), TNF-알파 기능에 대한 길항제(미국 특허 제6,015,558호), 성장 호르몬 방출 제제(미국 특허 제5,939,387호), 및 아밀린에 대한 항체(미국 특허 제5,942,227호)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화합물로는 인슐린(하나 이상의 상이한 인슐린), 소분자 인슐린과 같은 인슐린 모방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인슐린 유사체 또는 이의 생리적으로 활성인 단편,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인슐린-관련 펩타이드,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단편을 포함한다. 제제들이 상기 정의에 추가로 명시되어 있다.
저인슐린혈증을 치료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인슐린은 IL-17에 대한 길항제와 함께 또는 별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부가적인 분자는 의도하는 목적에 효과적인 양으로, 통상적으로 IL-17에 대한 길항제 없이 단독으로 투여되는 경우의 사용량보다 적은 양으로, 병용되어 적합하게 존재하거나 투여된다. 이들이 함께 제형화되는 경우, 이들은 예를 들어, 징후의 유형, 대상, 대상의 연령 및 체중, 현재 임상학적 상태, 투여 시간, 투여 형태, 투여 방법 등에 따라 결정된 양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수적인 약물은 본원에서 IL-17에 대한 길항제의 1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001 내지 10,00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IL-17에 대한 길항제를 인슐린과 병용하여 사용하면 인슐린 단독 투여 시점의 용량과 비교하여, 인슐린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다량의 인슐린 투여의 문제점일 수 있는 혈관 합병증 및 저혈당증 유도의 위험성이 낮다. 성인 당뇨병 환자(체중 약 50 kg)에 인슐린을 투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일일 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100 U(유닛),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U이지만, 이는 의사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더 적을 수 있다. 동일한 유형의 환자에게 인슐린 분비 개선제를 투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일일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00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0 mg이다. 동일한 유형의 환자에게 비구아니드를 투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일일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50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1000 mg이다. 동일한 유형의 환자에게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를 투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일일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40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6 내지 300 mg이다. 상기 환자에게 에르고세트, 프람린티드, 렙틴, BAY-27-9955, 또는 T-1095를 투여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250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000 mg의 용량에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용량 모두는 하루에 일회 내지 수회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IL-17 길항제는 또한 췌장 이식과 같은 인슐린 저항성을 위한 적합한 비약물 치료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인슐린 저항성 또는 저인슐린혈증 포유동물에 투여되는 길항제의 투여량은 포유동물의 상태, 길항제 유형, 징후의 유형, 및 선택된 투여 경로를 포함하는, 관련 상황을 고려하여 의사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상기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어떤 심각한 정도까지 체중 증가를 야기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수치이며, 의사는 상기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인간 제2형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 승인된 글리타존(로시글리타존/아반디아 및 피오글리타존/악토스)은 약간의 체중 증가를 유발하지만, 이들은 치료 지수에 의해 이로운 것으로 판명되었기 때문에 상기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사용되고 있다. 본원에 제공된 투여량 범위는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저인슐린혈증 및 인슐린 저항성을 위한 "치료적 유효"량은 상기 인자들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0 mg/kg 체중/일이다. 바람직한 용량은 약 0.1-50 mg/kg/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25 mg/kg/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IL-17 길항제가 매일 투여되는 경우, 인간을 위한 정맥내 또는 근육내 용량은 하루당 체중의 약 0.3 내지 1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 mg/kg이다. 피하 투여의 경우,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정맥내 또는 근육내로 제공되는 치료적 동등량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위한 일일 피하 용량은 양 징후의 경우 약 0.3 내지 2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 mg/kg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투여 스케줄을 고려한다. 본 발명은 IL-17 길항제가 상당한 중단 없이 규칙적으로(용량 및 투여 형태에 따라 매일, 매주, 또는 매달) 투여되는, 연속 투여 스케줄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연속 투여 스케줄은 IL-17 길항제가 매일 주입되는 매일 연속 주입, 및 IL-17 길항제가 볼루스 주사 또는 흡입제 또는 비강내 경로에 의해 하루에 적어도 1회 투여되는 연속 볼루스 투여 스케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불연속 투여 스케줄을 포함한다. 불연속 투여 스케줄의 정확한 변수는 제형, 전달 방법 및 치료될 포유동물의 임상학적 요구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IL-17 길항제가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 투여 스케줄은 1차 투여 시기 이후, 2차 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2차 투여는 IL-17 길항제가 1차 시기보다 많거나 동일하거나 적은 양으로 투여된다.
상기 투여가 볼루스 주사, 특히 서방형 제형의 볼루스 주사에 의한 경우, 투여 스케줄은 IL-17 길항제가 매일 투여된다는 점에서 연속적일 수 있거나,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1차 및 2차 시기로 인해 불연속적일 수 있다.
임의의 방법에 의한 연속 및 불연속 투여 스케줄은 또한, 예를 들어, 1차 시기 초기에는 용량이 낮고 1차 시기 말까지 증가하는 것, 용량이 초기에는 높다가 1차 시기 내내 감소하는 것, 용량이 초기에는 낮다가 종점까지 증가한 다음 1차 시기 말로 가면서 감소하는 것, 및 이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1차 시기에 걸쳐 용량이 조절되는 투여 스케줄을 포함한다.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IL-17 길항제의 투여 효과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분석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당뇨병 효과의 완화는, 혈당 조절의 개선(혈당의 연속적 시험에 의해 측정됨), 우수한 혈당 조절을 유지하기 위한 인슐린에 대한 요구도 감소, 당화 헤모글로빈의 감소, 최종당화산물(AGE)의 혈중 수치 감소, "새벽 현상"의 감소, 케톤산증의 감소, 및 지질 프로파일 개선을 야기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IL-17 길항제의 투여는 혈당 수치의 감소, 인슐린 요구도의 감소, 당화 헤모글로빈 및 혈중 AGE의 감소, 혈관, 신장, 신경 및 망막 합병증의 감소, 임신 합병증의 감소, 및 지질 프로파일 개선을 야기할 수 있다.
IL-17 길항제의 혈당 저하 효과는 투여 전후에 대상의 정맥혈 혈장에서의 당 또는 Hb(헤모글로빈)A1c의 농도를 결정한 다음, 상기 얻어진 투여 전후 농도를 비교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HbA1c는 당화 헤모글로빈을 의미하며, 혈당 농도에 반응하여 점진적으로 생성된다. 그러므로, HbA1c는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혈당 변화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지 않는 혈당 조절의 지수로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저인슐린혈증의 치료 증거는, 예를 들어, 환자에서 인슐린의 순환 수치의 증가에 의해 나타난다.
근육 회복 및 재생을 위한 용량은 환자의 상태, 원하는 근육 회복의 특정 유형 등에 따라, 통상적으로 약 0.01 내지 100 mg/k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g/kg이다. 상기 투여 스케줄은 이 분야에서의 임상의에 의해 사용되는 표준 스케줄에 따른다. 근육 회복 및 재생의 증거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측정 시험법에 의해 나타나며, 이들은 근육 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위한 분석법 및 중합효소 연쇄 반응 시험법(예컨대, 문헌[Best et al., J. Orthop. Res., 19: 565-572 (2001)] 참조, 상기 문헌은 정량적 역전사-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토끼 골격근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근아세포 유래 및 섬유아세포 유래 유전자 산물들의 mRNA 수치 변화의분석을 제공함)을 포함한다.
3. 제조 물품 및 키트
본 발명은 또한 인슐린 저항성 및 저인슐린혈증의 치료를 위한, 그리고 근육 회복 및 재생을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 또는 저인슐린혈증의 치료를 위한, 또는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된 임의의 다른 표적 질환의 치료를 위한 IL-17 길항제의 사용 및 투여량에 관한 설명, 일반적으로 설명서 세트와 함께, IL-17 길항제, 바람직하게는 항체의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키트에 포함된 설명은 인슐린 저항성 또는 저인슐린혈증 장애와 같은 표적 질환의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스케줄, 및 투여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IL-17 길항제의 용기는 단위 용량, 벌크 포장(예컨대, 다중-용량 포장), 또는 하위-단위 용량일 수 있다.
제조 물품은 용기, 및 상기 용기 상에 위치하거나 이와 관계된 라벨 또는 포장 삽입물(package insert)을 포함한다. 적합한 용기는, 예를 들어, 병, 바이알, 주사기 등을 포함한다. 용기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여러 가지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용기에는 상기 상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조성물이 들어가며, 용기는 멸균 접근 포트(access port)(예를 들어 상기 용기는 피하 주사 바늘에 의해 뚫릴 수 있는 마개를 갖는 정맥내 용액 백 또는 바이알일 수 있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의 적어도 하나의 활성 물질은 본 발명의 IL-17 길항제이다. 상기 라벨 또는 포장 삽입물은 조성물이 특정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상기 라벨 또는 포장 삽입물은 환자에게 항체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을 추가로 포함할 것이다. 본원에 설명된 병용 요법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 및 키트 역시 고려된다.
포장 삽입물은 징후, 용법, 투여량, 투여, 사용금지 사유 및/또는 치료 제품의 사용과 관련된 경고에 대한 정보를 함유하는 치료 제품의 상업용 포장 내에 관습적으로 포함되는 설명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제조 물품은 세균발육 저지 주사수(BWFI), 인산염 완충 식염수, 링거액 및 덱스트로스 용액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완충액을 포함하는 제2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다른 완충액, 희석제, 필터, 바늘 및 주사기를 포함하여, 상업적인 관점 및 사용자 관점에 적합한 다른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4. 항체의 제조
단일클론 항체
단일클론 항체는 문헌[Kohler et al., Nature, 256:495 (1975)]에 의해 최초로 기술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거나, 재조합 DNA 방법(미국 특허 제4,816,567호)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방법에서는, 마우스, 또는 햄스터나 짧은꼬리 원숭이(macaque monkey)와 같은 기타 적절한 숙주 동물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면역화되어, 면역화에 사용되는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항체를 생산하거나 생산할 수 있는 림프구를 유도한다. 대안적으로, 림프구는 시험관내에서 면역화될 수 있다. 이후, 림프구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적합한 융제(fusing agent)를 이용하여 골수종 세포와 융합되어,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형성한다(Goding, Monoclonal Antibodies: Principles and Practice, pp.59-103 (Academic Press, 1986)).
상기 제조된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융합되지 않은 골수종 모세포의 성장 또는 생존을 억제하는 물질을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 함유하는 적합한 배양 배지에 도말되어 성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골수종 모세포가 효소 하이포잔틴 구아닌 포스포리보실 트랜스퍼라아제(HGPRT 또는 HPRT)가 부족한 경우, 하이브로도마용 배양 배지는 통상적으로 하이포잔틴, 아미노프테린(aminopterin) 및 티미딘(HAT 배지)을 포함할 것이며, 이들 물질은 HGPRT-결핍 세포의 성장을 막는다.
바람직한 골수종 세포는 효과적으로 융합하고, 선별된 항체 생성 세포에 의한 안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항체 생산을 지원하며, HAT 배지와 같은 배지에 민감한 세포이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골수종 세포주는 Salk Institute Cell Distribution Center(San Diego, Calif. USA)로부터 이용가능한 MOPC-21 및 MPC-11 마우스 종양으로부터 유래된 것과 미국 미생물 보존센터(ATCC, Rockville, Md. USA)로부터 이용가능한 SP-2 또는 X63-Ag8-653 세포와 같은, 쥣과 골수종 세포주이다. 인간 골수종 및 마우스-인간 이종골수종 세포주 역시 인간 단일클론 항체의 생성을 위해 기술되어 왔다(Kozbor, J. Immunol., 133:3001 (1984); Brodeur et al,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51-63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7)).
하이브리도마 세포가 성장하는 배양 배지를 대상으로, 항원에 대응하는 단일클론 항체의 생성이 분석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단일클론 항체의 결합 특이성이 방사성면역분석법(RIA) 또는 효소-결합 면역흡착분석법(ELISA)과 같은, 면역침전에 의해 또는 시험관내 결합 분석법에 의해 결정된다.
하이브리도마 세포가 원하는 특이성, 친화도, 및/또는 활성을 갖는 항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된 이후, 상기 클론은 한계 희석 과정에 의해 서브클로닝되고 표준 방법에 의해 성장할 수 있다(Goding, MonoclonalAntibodies: Principles and Practice, pp.59-103 (Academic Press, 1986)). 이 목적을 위한 적합한 배양 배지로는, 예를 들어, D-MEM 또는 RPMI-1640 배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동물에서 복수 종양으로서 생체내에서 성장할 수 있다.
상기 서브클론에 의해 분비된 단일클론 항체는, 예를 들어, 단백질 A-세파로스, 하이드록실아파티트(hydroxylapatite)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투석, 또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통상적인 면역글로불린 정제 과정에 의해, 배양 배지, 복수액, 또는 혈청으로부터 적절하게 분리된다.
상기 단일클론 항체를 암호화하는 DNA는 통상적인 과정을 이용하여(예컨대, 단일클론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이용하여), 쉽게 분리되고 서열분석된다.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상기 DNA의 바람직한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일단 분리되면, DNA는 발현 벡터 내로 들어간 다음, 그렇지 않은 경우 면역글로불린 단백질을 생성하지 않는 대장균(E. coli) 세포, 시미안(simian) COS 세포,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세포, 또는 골수종 세포와 같은 숙주 세포 내로 형질감염되어, 상기 재조합 숙주 세포에서 단일클론 항체를 합성한다. 항체의 재조합 생성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추가의 구체예예서,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은 문헌[McCafferty et al., Nature, 348:552-554 (1990)]에 기술된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항체 파아지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문헌[Clackson et al., Nature, 352:624-628 (1991) 및 Marks et al., J. Mol. Biol., 222:581-597 (1991)]은 파아지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각각 쥐 항체 및 인간 항체의 분리를 기술하고 있다. 이후의 문헌들은 연쇄 셔플링(chain shuffling)(Marks et al., Bio/Technology, 10:779-783 (1992)) 뿐만 아니라, 매우 거대한 파아지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조합 감염 및 생체내 재조합 (Waterhouse et al., Nuc. Acids. Res., 21:2265-2266 (1993))에 의해, 고친화성(nM 범위) 인간 항체를 생성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술은 단일클론 항체의 분리를 위한 전형적인 단일클론 항체 하이브리도마 기술의 실행가능한 대안들이다.
상기 DNA는 상동하는 쥣과 서열 대신에 인간 중쇄 및 경쇄 불변 영역에 대한 코딩 서열을 치환함으로써(미국 특허 제4,816,567호; Morr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6851 (1984)), 또는 비-면역글로불린 폴리펩타이드에 대한 코딩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역글로불린 코딩 서열에 공유 결합시킴으로써 변형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항체의 불변 영역이 상기 비-면역글로불린 폴리펩타이드로 치환되거나, 항체의 하나의 항원-결합 부위의 가변 영역이 이들로 치환되어, 하나의 항원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 하나의 항원-결합 부위 및 상이한 항원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 또 다른 항원-결합 부위를 갖는 키메릭 2가 항체가 생성된다.
인간화 및 인간 항체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 공급원으로부터 도입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다. 이들 비인간 아미노산 잔기는 종종 "수입(import)" 잔기로 지칭되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수입" 가변 영역으로부터 얻어진다. 인간화는 인간 항체의 대응 서열을 설치류 CDR 또는 CDR 서열로 치환함으로써, 문헌[Winter and co-workers (Jones et al., Nature, 321:522-525 (1986); Riechmann et al., Nature, 332:323-327 (1988); Verhoeyen et al., Science, 239:1534-1536 (1988)]의 방법에 따라 근본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간화" 항체는 실질적으로 온전하지 않은 인간 가변 영역이 비인간 종으로부터 유래한 대응 서열에 의해 치환된 키메릭 항체(미국 특허 제4,816,567호)이다. 실제로는, 인간화 항체는 통상적으로 일부 CDR 잔기 및 아마도 일부 FR 잔기가 설치류 항체의 유사 부위의 잔기에 의해 치환된 인간 항체이다.
인간화 항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인간 가변 영역인 경쇄 및 중쇄의 선택은 항원성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른바 "최적-맞춤(best-fit)" 방법에 따르면, 공지된 인간 가변-영역 서열의 전체 라이브러리에 비교하여 설치류 항체의 가변 영역의 서열이 선별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설치류의 것과 가장 근접한 인간 서열이 인간화 항체를 위한 인간 프레임워크(FR)로서 사용된다(Sims et al., J. Immunol., 151:2296 (1993); Chothia et al., J. Mol. Biol., 196:901 (1987)). 또 다른 방법은 특정 하위그룹의 경쇄 또는 중쇄의 모든 인간 항체의 공통 서열(consensus sequnece)로부터 유래된 특정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동일한 프레임워크가 몇 가지 상이한 인간화 항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Cart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9:4285 (1992); Presta et al., J. Immnol., 151:2623 (1993)).
항체가 항원에 대한 높은 친화도 및 다른 유리한 생물학적 특성을 보유하면서 인간화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인간화 항체는 모 서열(parental sequence)과 인간화 서열의 삼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모 서열과 다양한 개념적 인간화 산물을 분석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삼차원 면역글로불린 모델은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익숙하다. 선별된 후보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예상되는 삼차원 형태 구조를 도식화하고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표시의 조사는 후보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기능에서의 잔기의 가능성있는 역할의 분석, 즉 항원에 결합하는 후보 면역글로불린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의 분석을 가능케한다. 이 방식으로, 수용자로로부터 FR 잔기가 선별 및 결합되며, 이들은 원하는 항체 특성, 예를 들어, 표적 항원에 대한 친화도의 증가가 달성되도록 서열을 수입한다. 일반적으로, CDR 잔기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가장 실질적으로 항원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데 관여한다.
대안적으로, 면역시, 내인성 면역글로불린 생성 없이 인간 항체 전체를 생성할 수 있는, 형질전환 동물(예컨대, 마우스)을 생성하는 것이 현재 가능하다. 예를 들어, 키메릭 및 생식계열 변이 마우스에서 항체 중쇄 연결 부위(JH) 유전자를 동형접합적으로 결실시키면 내인성 항체 생성이 완전히 억제된다고 기술되어 왔다. 상기 생식계열 변이 마우스에서의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배열의 이동(transfer)은 항원 접종시 인간 항체의 생성을 야기할 것이다. 예컨대, 문헌[Jakobovit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2551 (1993); Jakobovits et al., Nature, 362:255-258 (1993); Bruggermann et al., Year in Immuno., 7:33 (1993); and Duchosal et al. Nature 355:258 (1992)]을 참조한다. 인간 항체는 또한 파아지-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Hoogenboom et al, J. Mol. Biol., 227:381 (1991); Marks et al, J. MoL Biol., 222:581-597 (1991); Vaughan et al. Nature Biotech 14:309 (1996)). 항체 파아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로부터 인간 항체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에 추가로 설명된다.
항체 단편
항체 단편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전통적으로, 이들 단편은 온전한 항체의 단백질 분해를 통해 파생되었다(예컨대, Morimoto et al., Journal of Biochemical and Biophysical Methods 24:107-117 (1992) 및 Brennan et al., Science, 229:81 (1985) 참조). 하지만, 이들 단편은 이제 재조합 숙주 세포에 의해 직접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 단편은 상기 논의된 항체 파아지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Fab'-SH 단편은 대장균(E. coli)으로부터 직접 회수된 다음,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F(ab')2 단편을 형성할 수 있다(Carter et al., Bio/Technology 10:163-167 (1992)). 하기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또 다른 구체예에서, F(ab')2는 F(ab')2 분자의 조립을 촉진하는 류신 지퍼 GCN4(leucine zipper GCN4)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 다른 접근법에 따르면, F(ab')2 단편은 재조합 숙주 세포 배양으로부터 직접 분리될 수 있다. 항체 단편을 생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은 숙련된 전문가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선택되는 항체는 단일 사슬 Fv 단편(scFv)이다. WO93/16185호를 참조한다.
다중특이성 항체
다중특이성 항체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항원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대해 결합 특이성을 갖는다. 상기 분자들은 정상적으로 두 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단지 결합하지만(즉, 이중특이성 항체, BsAb), 삼중특이성 항체와 같이 부가적인 특이성을 갖는 항체가 본원에 사용시 이 표현에 포함된다. 이중특이성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전장 이중특이성 항체의 전통적인 생산방법은 상이한 특이성을 갖는 두 개의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의 동시발현에 기초한다(Millstein et al., Nature, 305:537-539 (1983)). 면역글로불린 중쇄 및 경쇄의 무작위 조합으로 인해, 이들 하이브리도마(quadroma)는 단지 하나가 정확한 이중특이성 구조를 갖는, 10개의 상이한 항체분자들의 잠재적 혼합물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정확한 분자의 정제는 오히려 번거로우며, 생성 수율은 낮다. 유사한 과정이 WO 93/08829호, 및 문헌[Traunecker et al., EMBO J., 10:3655-3659 (1991)]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접근법에 따르면, 원하는 결합 특이성를 갖는 항체 가변 영역들(항체-항원 결합 부위들)이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서열들에 융합된다. 상기 융합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의 힌지, CH2, 및 CH3 부위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중쇄 불변 영역과 이뤄진다. 경쇄 결합에 필요한 부위를 함유하는 제1 중쇄 불변 부위(CH1)가 적어도 하나의 융합에 존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역글로불린 중쇄 융합, 및 필요한 경우 면역글로불린 경쇄를 암호화하는 DNA가 별개의 발현 벡터 내로 삽입되며, 이들은 적합한 숙주 생물 내로 동시-형질감염된다. 이는 상기 제조에 사용된 세 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의 동등하지 않은 비율이 최적 수율을 제공하는 구체예에서 상기 세 개의 폴리펩타이드 단편의 상호 비율을 조절함에 있어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동등한 비율의 적어도 두 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의 발현이 높은 수율을 야기하거나 또는 상기 비율이 특별한 유의성이 없는 경우, 하나의 발현 벡터에 2개 또는 3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에 대한 코딩 서열을 삽입시킬 수 있다.
이 접근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이중특이성 항체는 하나의 팔에 제1 결합 특이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면역글로불린 중쇄, 및 다른 팔에 하이브리드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제2 결합 특이성을 제공함)으로 구성된다. 이 비대칭 구조가 원하지 않는 면역글로불린 사슬 조합으로부터 원하는 이중특이성 화합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고 밝혀졌는데, 상기 이중특이성 분자 중 단지 반쪽에 면역글로불린 경쇄가 존재하는 것이 손쉬운 분리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접근법은 WO 94/0469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특이성 항체를 생성하는 추가 세부사항을 위해, 예를 들어, 문헌[Suresh et al., Methods in Enzymology, 121:210 (1986)]을 참조한다.
WO96/27011호에 기술된 또 다른 접근법에 따르면, 한 쌍의 항체 분자 사이의 계면을 조작하여 재조합 세포 배양으로부터 회수되는 이종이량체의 비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바람직한 계면은 항체 불변 영역의 CH3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제1 항체 분자의 계면의 하나 이상의 작은 아미노산 결사슬이 보다 큰 결 사슬(예컨대 타이로신 또는 트립토판)로 치환된다. 거대 아미노산 곁사슬을 보다 작은 것(예컨대 알라닌 또는 트레오닌)으로 치환함으로써 제2 항체 분자의 계면 상에 상기 거대 결사슬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의 보충적인 "구멍(cavity)"이 생성된다. 이는 동종이량체와 같은 원하지 않는 기타 최종 산물에 비해 이종이량체의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중특이성 항체는 교차 결합된 항체 또는 "이종결합(heteroconjugate)" 항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종결합에서 항체 중 하나는 아비딘에 결합할 수 있고, 다른 항체는 바이오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항체들은 원하지 않는 세포보다 면역 시스템 세포를 표적으로 하며(미국 특허 제4,676,980호), HIV 감염의 치료를 위한 것으로(WO 91/00360호, WO 92/200373호) 제안되어 왔다. 이종결합 항체는 임의의 간편한 교차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수많은 교차 결합 기술과 함께, 적합한 교차 결합제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미국 특허 제4,676,980호에 개시되어 있다.
항체 단편으로부터 이중특이성 항체를 생성하는 기술 역시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중특이성 항체는 화학 결합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문헌[Brennan et al., Science 229: 81 (1985)]은 온전한 항체가 단백질 분해되어 F(ab')2 단편을 생성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이들 단편은 인접 디티올을 안정화시키고 분자내 이황화 형성을 막는 디티올 착화제 나트륨 아르세니트(arsenite)의 존재시 축소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생성된 Fab' 단편은 티오니트로벤조에이트(thionitrobenzoate, TNB) 유도체로 변환된다. 그후, 상기 Fab'-TNB 유도체 중 하나는 메캅토에틸아민과의 환원에 의해 Fab'-티올로 재변환되고, 동일한 몰량의 다른 Fab'-TNB 유도체와 혼합되어 이중특이성 항체를 형성한다. 상기 생성된 이중특이성 항체는 효소의 선택적 고정화를 위한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Fab'-SH 단편은 또한 대장균(E. coli)으로부터 직접 회수될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이중특이성 항체를 형성할 수 있다. 문헌[Shalaby et al., J. Exp. Med ., 175: 217-225 (1992)]은 완전히 인간화된 이중특이성 항체 F(ab')2 분자의 생성을 기술한다. 각 Fab' 단편은 대장균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비되었고, 시험관내 유도(directed) 화학 결합을 하여 이중특이성 항체를 형성하였다.
재조합 세포 배양으로부터 직접 이중특이성 항체 단편을 제조하고 분리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기술되어왔다. 예를 들어, 이중특이성 항체는 류신 지퍼를 이용하여 생산되어 왔다(Kostelny et al., J. Immunol ., 148(5):1547-1553 (1992)). Fos 및 Jun 단백질로부터 얻은 류신 지퍼 펩타이드는 유전자 융합에 의해 2개의 상이한 항체의 Fab' 부분에 연결되었다. 상기 항체 동종이량체들은 힌지 부위에서 축소되어 단량체를 형성한 다음, 다시 산화되어 항체 이종이량체를 형성하였다. 이 방법은 또한 항체 동종이량체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문헌[Hollinger et al., Proc . Nati . Acad . Sci . USA, 90:6444-6448 (1993)]에 기술된 "디아바디(diabody)" 기법은 이중특이성 항체 단편을 제조하기 위한 대안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하였다. 상기 단편은 동일 사슬 상의 두 개의 영역 사이의 쌍형성을 가능케하는 매우 짧은 링커에 의해 경쇄 가변 영역(VL)에 연결된 중쇄 가변 영역(VH)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단편의 VH 및 VL 영역이 또 다른 단편의 상보적인 VL 및 VH 영역과 쌍을 이루게 되며, 이로써 2개의 항원-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단일 사슬 Fv(sFv) 이량체를 사용하여 이중특이성 항체 단편을 제조하는 또 다른 전략이 또한 보고되어 왔다. 문헌[Gruber et al, J. Immunol , 152:5368 (1994)]을 참조한다.
2가 이상의 항체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삼중특이성 항체가 제조될 수 있다[Tuft et al. J. Immunol . 147: 60 (1991)].
효과기 기능 조작
항체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기 기능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항체를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테인 잔기를 Fc 부위에 도입함으로써, 이 부위에서 사슬간 이황화 결합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동종이량체 항체는 개선된 내재화 능력 및/또는 증가된 보체-매개 세포 살해 및 항체-의존성 세포독성(ADCC)을 가질 수 있다. 문헌[Caron et al., J. Exp Med. 176:1191-1195 (1992) and Shopes, B. J. Immunol. 148:2918-2922 (1992)]을 참조한다. 향상된 항-종양 활성을 갖는 동종이량체 항체는 또한 문헌[Wolff et al. Cancer Research 53:2560-2565 (199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종이기능성(heterobifunctional) 교차 링커(cross-linker)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항체가 조작되어 두 개의 Fc 부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향상된 보체 용해 및 ADCC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문헌[Stevenson et al Anti-Cancer Drug Design 3:219-230 (1989)]을 참조한다.
항체-구제( salvage ) 수용체 결합 에피토프 융합 .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온전한 항체보다 항체 단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항체 단편을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항체 단편 내로 구제(salvage) 수용체 결합 에피토프를 혼입시킴으로써(예컨대 항체 단편 내 적절한 부위를 변이시킴으로써, 또는, 에피토프를 펩타이드 태그(tag) 내로 혼입한 다음, 예컨대, DNA 또는 펩타이드 합성에 의해 한쪽 말단 또는 중간에 항체 단편에 융합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제 수용체 결합 에피토프는, 바람직하게는 Fc 영역의 하나 이상의 루프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상기 항체 단편의 유사 위치로 이동한 부위를 구성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Fc 영역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루프의 세 개 이상의 잔기들이 이동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피토프는 Fc 부위(예컨대, IgG의 Fc 부위)의 CH2 영역으로부터 얻어지며 상기 항체의 CH1, CH3, 또는 VH 부위, 또는 둘 이상의 상기 부위로 이동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에피토프는 Fc 부위의 CH2 영역으로부터 얻어져 항체 단편의 CL 부위 또는 VL 부위, 또는 이들 모두로 이동된다.
항체의 다른 공유결합 변형
항체의 공유결합 변형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해당되는 경우, 상기 변형은 항체의 화학적 합성에 의하거나 효소적 또는 화학적 절단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항체의 다른 유형의 공유결합 변형은 항체의 표적 아미노산 잔기를 선별된 결사슬 또는 N- 또는 C-말단 잔기와 반응할 수 있는 유기 유도체화 제제와 반응시킴으로써 분자 내로 도입된다. 공유결합 변형의 예가 특히 참조로써 본원에 통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534,615호에 기술되어 있다. 항체의 공유결합 변형의 바람직한 유형은, 미국 특허 제4,640,835호; 제4,496,689호; 제4,301,144호; 제4,670,417호; 제4,791,192호 또는 제4,179,337호에 제시된 방식으로, 항체를 다양한 비단백질성 중합체 중 하나,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옥시알킬렌에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합성 항체 파아지 라이브러리로부터의 항체의 생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독특한 파아지 디스플레이 접근법을 이용하여 신규 항체를 생성하고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접근법은 단일 프레임워크 주형, 가변 영역 내에 충분한 다양성의 설계, 다양한 가변 영역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의 디스플레이, 높은 친화도로 항원을 표적하는 후보 항체의 선별, 및 선별된 항체의 분리에 기초한 합성 항체 파아지 라이브러리의 생성을 포함한다.
파아지 디스플레이 방법의 세부사항은, 예를 들어, 전체가 참조로써 명확히 본원에 통합되어 있는, 2003년 11월 11일에 공개된 WO 03/102157호에서 발견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체 라이브러리는 항체 가변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CDR 내의 용매가 접근가능한/하거나 고도로 다양한 위치를 변이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기 CDR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이용하여 변이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CDRH1, CDRH2 및 CDRH3 내의 위치를 변이시켜 단일 라이브러리를 생성시키거나, CDRL3 및 CDRH3 내의 위치를 변이시켜 단일 라이브러리를 형성시키거나, CDRL3 및 CDRH1, CDRH2 및 CDRH3 내의 위치를 변이시켜 단일 라이브러리를 형성시킴으로써 다양한 항체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RH1, CDRH2 및 CDRH3의 용매가 접근가능한/하거나 고도로 다양한 위치에서 변이를 갖는, 항체 가변 영역의 라이브러리가 생성될 수 있다. CDRL1, CDRL2 및 CDRL3에 변이를 갖는 또 다른 라이브러리가 생성될 수 있다. 원하는 친화도의 바인더(binder)를 생성하기 위해 이들 라이브러리들은 또한 서로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적 항원에 대한 결합에 대하여 중쇄 라이브러리를 1회 이상 선별한 후, 경쇄 라이브러리가 추가 선별 단계를 위하여 상기 중쇄 바인더 집단으로 대체되어 상기 바인더의 친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이브러리는 원래의 아미노산을 중쇄 서열의 가변 부위의 CDRH3 부위 내의 변이 아미노산으로 치환함으로써 생성된다. 얻어진 라이브러리는 다수의 항체 서열을 함유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서열 다양성은 주로 중쇄 서열의 CDRH3 부위에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라이브러리는 인간화 항체 4D5 서열, 또는 인간화 항체 4D5 서열의 프레임워크 아미노산의 서열의 맥락 내에서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브러리는 중쇄의 적어도 95-100a 잔기를 DVK 코돈 세트에 의해 암호화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함으로써 생성되며, 여기에서, DVK 코돈 세트는 이들 위치의 모든 것에 대한 변이 아미노산의 셋트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치환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세트의 예는 서열 (DVK)7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잔기 95-100a를 DVK NNK 코돈 세트 모두에 의해 암호화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함으로써 라이브러리가 생성된다. 이들 치환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세트의 예는 서열 (DVK ) 6 ( NNK)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잔기 95-100a를 DVK NNK 코돈 세트 모두에 의해 암호화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함으로써 라이브러리가 생성된다. 이들 치환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세트의 예는 서열 (DVK ) 5 ( NNK)를 포함한다. 이들 치환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세트의 또 다른 예는 서열 (NNK)6을 포함한다. 적합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다른 예는 본원에 기술된 기준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이한 CDRH3 설계가 고친화도 바인더를 분리하고 다양한 에피토프에 대한 바인더를 분리하는데에 사용된다. 상이한 길이가 생성될 수 있지만, 이 라이브러리에서 생성된 CDRH3의 길이 범위는 11 내지 13 아미노산이다. H3 다양성은 NNK , DVK NVK 코돈 세트뿐만 아니라, N 및/또는 C-말단에서의 보다 제한된 다양성을 이용하여 확장될 수 있다.
다양성은 또한 CDRH1 및 CDRH2에서 생성될 수 있다. CDR-H1 및 H2 다양성의 설계는 종래 설계보다 자연적인 다양성에 보다 근접하게 일치된 다양성에 초점을 맞운 변형을 이용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천연 항체 목록을 모방하는 것을 표적으로 하는 전략을 따른다.
CDRH3에서의 다양성을 위해, 다양한 길이의 H3을 이용하여 많은 라이브러리가 구축된 다음 결합되어, 표적 항원에 대한 바인더를 선별할 수 있다. 많은 라이브러리들이 모아져 상기 및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고체 지지체 선별 및 용액 분류 방법을 이용하여 분류될 수 있다. 많은 분류 전략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가지 변형은 고체에 결합된 표적을 분류한 다음, 상기 융합 폴리펩타이드(예컨대, 항-gD 태그) 상에 존재할 수 있는 태그를 분류하고, 고체에 결합된 표적을 또 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라이브러리는 고체 표면에 결합된 표적으로 일차적으로 분류될 수 있고, 그 다음 용출된 바인더가 표적 항원의 감소하는 농도로 용액상 결합(solution phase binding)을 이용하여 분류된다. 상이한 분류 방법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은 고도로 발현된 서열만의 선별을 최소화해주며, 수많은 상이한 고친화도 클론의 선별을 가능케 한다.
표적 항원에 대한 고친화도 바인더가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H1/H2 부위의 다양성을 제한하는 것은 약 104 내지 105 배로 축퇴성(degeneracy)을 감소시키고 H3 다양성을 더 허용하는 것은 더 많은 고친화도 바인더를 제공한다. CDRH3에 상이한 유형의 다양성을 갖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것(예컨대, DVK 또는 NVT를 이용하는 것)은 표적 항원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는 바인더를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라이브러리 풀로부터 분리된 결합제 중에는, 경쇄에서의 제한된 다양성을 제공함으로써 친화도가 좀 더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쇄 다양성은 하기와 같이 본 구체예에서 생성되는데, CDRL1에서: 아미노산 위치 28은 RDT에 의해 암호화되며; 아미노산 위치 29는 RKT에 의해 암호화되며; 아미노산 위치 30은 RVW에 의해 암호화되며; 아미노산 위치 31은 ANW에 의해 암호화되며; 아미노산 위치 32는 THT에 의해 암호화되며; 선택적으로, 아미노산 위치 33은 CTG에 의해 암호화되며; CDRL2에서: 아미노산 위치 50은 KBG에 의해 암호화되며; 아미노산 위치 53은 AVC에 의해 암호화되며; 및 선택적으로, 아미노산 위치 55는 GMA에 의해 암호화되며; CDRL3에서: 아미노산 위치 91은 TMT 또는 SRT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해 암호화되며; 아미노산 위치 92는 DMC에 의해 암호화되며; 아미노산 위치 93은 RVT에 의해 암호화되며; 아미노산 위치 94는 NHT에 의해 암호화되고; 및 아미노산 위치 96은 TWT 또는 YKG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해 암호화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CDRH1, CDRH2 및 CDRH3 부위에 다양성을 갖는 라이브러리가 생성된다. 본 구체예에서, CDRH3에서의 다양성은 다양한 길이의 H3 부위를 이용하여, 그리고 일차적으로 코돈 세트 XYZ NNK 또는 NNS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라이브러리는 각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모아지거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모아져 라이브러리의 하위세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구체예의 라이브러리는 고체에 결합된 표적에 대응하여 분류될 수 있다. 다중 분류로부터 분리된 클론들은 ELISA 분석법을 이용하여 특이성 및 친화도로 선별될 수 있다. 특이성을 위해, 상기 클론들은 원하는 표적 항원 뿐만 아니라 다른 비표적 항원에 대응하여 선별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표적 항원에 대한 바인더가 용액 결합 경쟁 ELISA 분석법 또는 점 경쟁 분석법(spot competition assay)에서 친화도로 선별될 수 있다. 고친화도 바인더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XYZ 코돈 세트를 이용하여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들 바인더는 세포 배양에서 고수율로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으로서 쉽게 생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CDRH3 부위의 길이가 매우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7 내지 19 아미노산 범위의 CDRH3 부위를 갖는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구체예의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된 고친화도 바인더는 세균 및 진핵 세포 배양에서 고수율로 쉽게 생성된다. gD 태그, 바이러스 코트 단백질 성분 서열과 같은 서열을 손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및/또는 고수율로 전장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의 생성을 제공하기 위해 불변 부위 서열 내에 추가하기 위해, 벡터가 설계될 수 있다.
CDRH3에 변이를 갖는 라이브러리가 다른 CDR, 예를 들어 CDRL1, CDRL2, CDRL3, CDRH1 및/또는 CDRH2의 변이형을 함유하는 라이브러리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의 구체예에서, CDRH3 라이브러리는 미리 결정된 코돈 세트를 이용하여 위치 28, 29, 30, 31, 및/또는 32에 변이 아미노산을 갖는 인간화 4D5 항체 서열의 맥락 내에서 생성된 CDRL3 라이브러리와 결합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CDRH3에 변이를 갖는 라이브러리가 변이 CDRH1 및/또는 CDRH2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와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CDRH1 라이브러리는 위치 28, 30, 31, 32 및 33에 변이 아미노산을 갖는 인간화 항체 4D5 서열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CDRH2 라이브러리는 미리 결정된 코돈 세트를 이용하여 위치 50, 52, 53, 54, 56 및 58에 변이 아미노산을 갖는 인간화 항체 4D5의 서열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충분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본원에 나타나고 설명된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은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내에 속할 것이다.
실시예에 언급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약들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되었다. ATCC 등록번호에 의해 하기 실시예에서, 그리고 명세서 전반에 걸쳐 확인된 세포들의 공급원은 미국 미생물보존센터(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이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상기와 하기 교과서[Sambrook et al ., supra; Ausubel et al .,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Green Publishing Associates and Wiley Interscience, N.Y., 1989); Innis et al ., PCR Protocols :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Inc.: N.Y., 1990); Harlow et al ., Antibodies :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Press: Cold Spring Harbor, 1988); Gait, Oligonucleotide Synthesis (IRL Press: Oxford, 1984); Freshney, Animal Cell Culture, 1987; Coligan et al .,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1991]에 기술된 것과 같이, 재조합 DNA 기술의 표준 과정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사항이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제공된다.
내용 전반에 걸쳐 언급된 모든 문헌들은 전체가 참조로써 명확히 본원에 통합된다.
실시예 1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에서의 IL -17 패밀리 멤버의 역할.
IL -17 Rc KO 마우스 및 고지방 식이 모델 연구
8주령 수컷 IL-17Rc(UNQ6118.KO.lex) 넉아웃(Knockout) 및 한배 새끼(littermate) 야생형(WT) 대조군 마우스에 일반 식이(chow diet) 또는 60% 고지방 식이(HFD) 중 하나를 공급하였다.
그룹 1: 고지방 식이 중인 IL-17Rc 넉아웃(KO) 마우스(5 마리)
그룹 2: 고지방 식이 중인 IL-17Rc, WT 한배 새끼 대조군(5 마리)
그룹 3: 일반 식이 중인 IL-17Rc KO 마우스(3 마리)
그룹 4: 일반 식이 중인 IL-17Rc WT 한배 새끼 대조군(3 마리).
상기 실험 설계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마우스에 당부하검사(Glucose tolerance test, GTT)를 실시하여 그들의 인슐린 저항성 상태를 평가하였다.
GTT는 하기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혈당 및 인슐린 측정: 혈액 시료를 복재 정맥(saphenous vein) 채혈에 의해 수득하고, 즉시 당측정기(glucometer, OneTouch Glucometer made by Lifescan, USA)를 이용하여 당 농도를 분석하였다. 혈청 인슐린을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당부하검사(GTT): 하룻밤 동안 단식(14 시간)시킨 후, 아침 9시에 동물을 시험하였다. 각 동물의 1.5 mg/gram 체중으로 당을 복강내로 주사하기 이전과, 당 투여 후 30, 60, 120 및 150분 후에, 복재 정맥 채혈로부터 얻은 시료에 대해 혈당을 측정하였다. 상기 수치를 mg/dL의 당으로 계산하였다.
기준선(고지방 식이 이전) 뿐만 아니라 고지방 식이 이후 8주, 10주, 12주 및 14주 그룹에 대하여 GTT를 수행하였다. 일반 식이를 공급받은 마우스를 대조군 그룹으로 사용하였다. 나머지 조건들은 넉아웃 및 야생형(WT) 한배 새끼 대조군 마우스 양쪽에서 비슷하였다.
GTT 외에도, 동물의 총 체중 뿐만 아니라, 단식후 혈청 인슐린 및 혈당 수치를 매주 관찰하였다.
상기 결과가 도 8-11에 나타나 있다.
IL-17Rc WT 한배 새끼 대조군 마우스는 유의한 체중 증가를 나타내었고, 인슐린 저항성 표현형을 나타낸 반면, IL-17Rc 넉아웃 마우스는 유의하게 야위었고, 그들의 WT 한배 새끼 대조군보다 훨씬 더 잘 당을 제거하였다. 12주가 넘는 동안 고지방 식이를 공급한 이후에도, 넉아웃 마우스는 체중이 증가하지 않았다. 양쪽 그룹은 비슷한 수준의 단식후 순환하는 인슐린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조군 식이 공급 그룹에서 KO 및 WT 마우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IL-17 Rc KO 마우스를 이용한 상기 기술된 실험 이외에도,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17A 및 IL-17F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두 가지 별개 방식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실시예 2
인슐린 저항성 고지방 식이 모델 마우스에 대한 항- IL -17 및 항- IL -17F mAb 의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예방적이고 확립된 인슐린 저항성 모델에서의 항-IL-17 및 항-IL-17F mAb의 효능을 조사하고 muTNFRII-Fc의 치료 효과와 비교하는 것이었다.
실험 설계 및 그룹:
그룹 1: 10주간 매주 3회씩 복강내로 100 μL 식염수 중에 돼지풀(ragweed) 6 mg/kg(n=10).
그룹 2: 10주간 매주 3회씩 100 μL 식염수 중에 MuTNFRII-IgG2a 4 mg/kg(n=10).
그룹 3: 10주간 매주 3회씩 복강내로 100 μL 식염수 중에 MuAnti-IL-17 6 mg/kg(n=10).
그룹 4: 10주간 매주 3회씩 복강내로 100 μL 식염수 중에 MuAnti-IL-17 + MuAnti-IL-17F mAb 6mg/kg(n=10).
그룹 5: 18주 및 24주에 MuTNFRII-Fc 4 mg/kg = MuAnti-IL-17 6 mg/kg + MuAnti-IL17F mAb 6 mg/kg(10 마리)
모든 그룹에 고지방 식이를 공급하였다. 마우스의 인슐린 저항성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HFD 및 항체 투여 이후 2주마다 당부하검사(GTT)를 실시하였다.
상기 프로토콜이 도 12에 예시되어 있다. 9주 투여 후 당부하에 대한 항-IL-17A 및 항-IL-17F MAb의 효과가 도 13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3
GTT 를 통해 평가된 인슐린 저항성 상태에 대한 IL -17의 과발현의 효과
본 연구는 정상 식이 및 고지방 식이가 공급된 마우스에서 천연 쥣과 IL-17A 및 IL-17F 단백질을 발현시키기 위한 플라스미드 DNA를 유체역학적으로 꼬리 정맥(HTV)에 주사함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에서의 역할을 연구하기 위한 마우스에서 높은 수치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쥣과 IL-17A 및 IL-17F가 발현되는 것에 기초하였다.
그룹 1: 플라스미드 없음
그룹 2: pRK 벡터 단독
그룹 3: pRK-IL-17A
그룹 4: pRK-IL-17F
각 그룹 내에서, 5개의 마우스 하위그룹으로부터 다양한 시점(DNA 주사 후 0시간, 2 시간, 6 시간, 및 72시간)에 채혈하여 혈청내 순환하는 사이토카인 수치를 측정하였다. 일단 이것이 확립되면, IL-17A 및 IL-17F가 인슐린 저항성 상태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고지방 식이(HFD) 마우스에서 과발현되었다.
꼬리 정맥 주사 실험:
1) DNA 컨스트럭트(pRK 벡터 또는 pRK-IL-17A 및 pRK-IL-17F)를 50 μg/마우스/주사의 최종 용량을 생성할 농도로 식염수(링거액이 바람직함)에 희석하였다.
2) 식염수 또는 링거액 중에 DNA를 함유하는 용액 약 1.6 ml을 각 마우스의 꼬리 정맥내로 주사하였다.
3) 최대 DNA 흡수를 위하여 4-5초의 기간(최대 8초)에 걸쳐 볼루스 정맥내 주사(꼬리 정맥)으로서 용량을 투여하였다.
상기 결과가 도 14에 나타나 있다. A) 8주령 c57BL/6 마우스에 50 μg의 플라스미드 DNA(pRK-IL-17A) 또는 pRK 벡터 단독을 주사하였다. 48시간 후, 각 그룹으로부터 혈청을 회수하여 ELISA에 의해 혈청 내 IL-17 수치를 측정하였다. B) 세 그룹의 마우스를 하룻밤 동안 단식시키고 복강내 GTT를 수행하여, 결과를 당 주사 후 시간에 따라 도식화하였다(*p>0.05).
본 발명이 특정 구체예로 간주되는 것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의미 및 범주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SEQUENCE LISTING <110> GENENTECH, INC. <120> TREATMENT OF INSULIN-RESISTANT DISORDERS <130> GNE-0344.PCT <140> <141> <150> 61/165,677 <151> 2009-04-01 <160> 6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859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gcaggcacaa actcatccat ccccagttga ttggaagaaa caacgatgac tcctgggaag 60 acctcattgg tgtcactgct actgctgctg agcctggagg ccatagtgaa ggcaggaatc 120 acaatcccac gaaatccagg atgcccaaat tctgaggaca agaacttccc ccggactgtg 180 atggtcaacc tgaacatcca taaccggaat accaatacca atcccaaaag gtcctcagat 240 tactacaacc gatccacctc accttggaat ctccaccgca atgaggaccc tgagagatat 300 ccctctgtga tctgggaggc aaagtgccgc cacttgggct gcatcaacgc tgatgggaac 360 gtggactacc acatgaactc tgtccccatc cagcaagaga tcctggtcct gcgcagggag 420 cctccacact gccccaactc cttccggctg gagaagatac tggtgtccgt gggctgcacc 480 tgtgtcaccc cgattgtcca ccatgtggcc taagagctct ggggagccca cactccccaa 540 agcagttaga ctatggagag ccgacccagc ccctcaggaa ccctcatcct tcaaagacag 600 cctcatttcg gactaaactc attagagttc ttaaggcagt ttgtccaatt aaagcttcag 660 aggtaacact tggccaagat atgagatctg aattaccttt ccctctttcc aagaaggaag 720 gtttgactga gtaccaattt gcttcttgtt tactttttta agggctttaa gttatttatg 780 tatttaatat gccctgagat aactttgggg tataagattc cattttaatg aattacctac 840 tttattttgt ttgtcttttt aaagaagata agattctggg cttgggaatt ttattattta 900 aaaggtaaaa cctgtattta tttgagctat ttaaggatct atttatgttt aagtatttag 960 aaaaaggtga aaaagcacta ttatcagttc tgcctaggta aatgtaagat agaattaaat 1020 ggcagtgcaa aatttctgag tctttacaac atacggatat agtatttcct cctctttgtt 1080 tttaaaagtt ataacatggc tgaaaagaaa gattaaacct actttcatat gtattaattt 1140 aaattttgca atttgttgag gttttacaag agatacagca agtctaactc tctgttccat 1200 taaaccctta taataaaatc cttctgtaat aataaagttt caaaagaaaa tgtttatttg 1260 ttctcattaa atgtatttta gcaaactcag ctcttcccta ttgggaagag ttatgcaaat 1320 tctcctataa gcaaaacaaa gcatgtcttt gagtaacaat gacctggaaa tacccaaaat 1380 tccaagttct cgatttcaca tgccttcaag actgaacacc gactaaggtt ttcatactat 1440 tagccaatgc tgtagacaga agcattttga taggaataga gcaaataaga taatggccct 1500 gaggaatggc atgtcattat taaagatcat atggggaaaa tgaaaccctc cccaaaatac 1560 aagaagttct gggaggagac attgtcttca gactacaatg tccagtttct cccctagact 1620 caggcttcct ttggagatta aggcccctca gagatcaaca gaccaacatt tttctcttcc 1680 tcaagcaaca ctcctagggc ctggcttctg tctgatcaag gcaccacaca acccagaaag 1740 gagctgatgg ggcagaacga actttaagta tgagaaaagt tcagcccaag taaaataaaa 1800 actcaatcac attcaattcc agagtagttt caagtttcac atcgtaacca ttttcgccc 1859 <210> 2 <211> 15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Met Thr Pro Gly Lys Thr Ser Leu Val Ser Leu Leu Leu Leu Leu Ser 1 5 10 15 Leu Glu Ala Ile Val Lys Ala Gly Ile Thr Ile Pro Arg Asn Pro Gly 20 25 30 Cys Pro Asn Ser Glu Asp Lys Asn Phe Pro Arg Thr Val Met Val Asn 35 40 45 Leu Asn Ile His Asn Arg Asn Thr Asn Thr Asn Pro Lys Arg Ser Ser 50 55 60 Asp Tyr Tyr Asn Arg Ser Thr Ser Pro Trp Asn Leu His Arg Asn Glu 65 70 75 80 Asp Pro Glu Arg Tyr Pro Ser Val Ile Trp Glu Ala Lys Cys Arg His 85 90 95 Leu Gly Cys Ile Asn Ala Asp Gly Asn Val Asp Tyr His Met Asn Ser 100 105 110 Val Pro Ile Gln Gln Glu Ile Leu Val Leu Arg Arg Glu Pro Pro His 115 120 125 Cys Pro Asn Ser Phe Arg Leu Glu Lys Ile Leu Val Ser Val Gly Cys 130 135 140 Thr Cys Val Thr Pro Ile Val His His Val Ala 145 150 155 <210> 3 <211> 535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3 agccaccagc gcaacatgac agtgaagacc ctgcatggcc cagccatggt caagtacttg 60 ctgctgtcga tattggggct tgcctttctg agtgaggcgg cagctcggaa aatccccaaa 120 gtaggacata cttttttcca aaagcctgag agttgcccgc ctgtgccagg aggtagtatg 180 aagcttgaca ttggcatcat caatgaaaac cagcgcgttt ccatgtcacg taacatcgag 240 agccgctcca cctccccctg gaattacact gtcacttggg accccaaccg gtacccctcg 300 gaagttgtac aggcccagtg taggaacttg ggctgcatca atgctcaagg aaaggaagac 360 atctccatga attccgttcc catccagcaa gagaccctgg tcgtccggag gaagcaccaa 420 ggctgctctg tttctttcca gttggagaag gtgctggtga ctgttggctg cacctgcgtc 480 acccctgtca tccaccatgt gcagtaagag gtgcatatcc actcagctga agaag 535 <210> 4 <211> 16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Met Thr Val Lys Thr Leu His Gly Pro Ala Met Val Lys Tyr Leu Leu 1 5 10 15 Leu Ser Ile Leu Gly Leu Ala Phe Leu Ser Glu Ala Ala Ala Arg Lys 20 25 30 Ile Pro Lys Val Gly His Thr Phe Phe Gln Lys Pro Glu Ser Cys Pro 35 40 45 Pro Val Pro Gly Gly Ser Met Lys Leu Asp Ile Gly Ile Ile Asn Glu 50 55 60 Asn Gln Arg Val Ser Met Ser Arg Asn Ile Glu Ser Arg Ser Thr Ser 65 70 75 80 Pro Trp Asn Tyr Thr Val Thr Trp Asp Pro Asn Arg Tyr Pro Ser Glu 85 90 95 Val Val Gln Ala Gln Cys Arg Asn Leu Gly Cys Ile Asn Ala Gln Gly 100 105 110 Lys Glu Asp Ile Ser Met Asn Ser Val Pro Ile Gln Gln Glu Thr Leu 115 120 125 Val Val Arg Arg Lys His Gln Gly Cys Ser Val Ser Phe Gln Leu Glu 130 135 140 Lys Val Leu Val Thr Val Gly Cys Thr Cys Val Thr Pro Val Ile His 145 150 155 160 His Val Gln <210> 5 <211> 238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 acactggcca aacaaaaacg aaagcactcc gtgctggaag taggaggaga gtcaggactc 60 ccaggacaga gagtgcacaa actacccagc acagccccct ccgccccctc tggaggctga 120 agagggattc cagcccctgc cacccacaga cacgggctga ctggggtgtc tgcccccctt 180 gggggggggc agcacagggc ctcaggcctg ggtgccacct ggcacctaga agatgcctgt 240 gccctggttc ttgctgtcct tggcactggg ccgaagccca gtggtccttt ctctggagag 300 gcttgtgggg cctcaggacg ctacccactg ctctccgggc ctctcctgcc gcctctggga 360 cagtgacata ctctgcctgc ctggggacat cgtgcctgct ccgggccccg tgctggcgcc 420 tacgcacctg cagacagagc tggtgctgag gtgccagaag gagaccgact gtgacctctg 480 tctgcgtgtg gctgtccact tggccgtgca tgggcactgg gaagagcctg aagatgagga 540 aaagtttgga ggagcagctg actcaggggt ggaggagcct aggaatgcct ctctccaggc 600 ccaagtcgtg ctctccttcc aggcctaccc tactgcccgc tgcgtcctgc tggaggtgca 660 agtgcctgct gcccttgtgc agtttggtca gtctgtgggc tctgtggtat atgactgctt 720 cgaggctgcc ctagggagtg aggtacgaat ctggtcctat actcagccca ggtacgagaa 780 ggaactcaac cacacacagc agctgcctgc cctgccctgg ctcaacgtgt cagcagatgg 840 tgacaacgtg catctggttc tgaatgtctc tgaggagcag cacttcggcc tctccctgta 900 ctggaatcag gtccagggcc ccccaaaacc ccggtggcac aaaaacctga ctggaccgca 960 gatcattacc ttgaaccaca cagacctggt tccctgcctc tgtattcagg tgtggcctct 1020 ggaacctgac tccgttagga cgaacatctg ccccttcagg gaggaccccc gcgcacacca 1080 gaacctctgg caagccgccc gactgcgact gctgaccctg cagagctggc tgctggacgc 1140 accgtgctcg ctgcccgcag aagcggcact gtgctggcgg gctccgggtg gggacccctg 1200 ccagccactg gtcccaccgc tttcctggga gaacgtcact gtggacaagg ttctcgagtt 1260 cccattgctg aaaggccacc ctaacctctg tgttcaggtg aacagctcgg agaagctgca 1320 gctgcaggag tgcttgtggg ctgactccct ggggcctctc aaagacgatg tgctactgtt 1380 ggagacacga ggcccccagg acaacagatc cctctgtgcc ttggaaccca gtggctgtac 1440 ttcactaccc agcaaagcct ccacgagggc agctcgcctt ggagagtact tactacaaga 1500 cctgcagtca ggccagtgtc tgcagctatg ggacgatgac ttgggagcgc tatgggcctg 1560 ccccatggac aaatacatcc acaagcgctg ggccctcgtg tggctggcct gcctactctt 1620 tgccgctgcg ctttccctca tcctccttct caaaaaggat cacgcgaaag ggtggctgag 1680 gctcttgaaa caggacgtcc gctcgggggc ggccgccagg ggccgcgcgg ctctgctcct 1740 ctactcagcc gatgactcgg gtttcgagcg cctggtgggc gccctggcgt cggccctgtg 1800 ccagctgccg ctgcgcgtgg ccgtagacct gtggagccgt cgtgaactga gcgcgcaggg 1860 gcccgtggct tggtttcacg cgcagcggcg ccagaccctg caggagggcg gcgtggtggt 1920 cttgctcttc tctcccggtg cggtggcgct gtgcagcgag tggctacagg atggggtgtc 1980 cgggcccggg gcgcacggcc cgcacgacgc cttccgcgcc tcgctcagct gcgtgctgcc 2040 cgacttcttg cagggccggg cgcccggcag ctacgtgggg gcctgcttcg acaggctgct 2100 ccacccggac gccgtacccg cccttttccg caccgtgccc gtcttcacac tgccctccca 2160 actgccagac ttcctggggg ccctgcagca gcctcgcgcc ccgcgttccg ggcggctcca 2220 agagagagcg gagcaagtgt cccgggccct tcagccagcc ctggatagct acttccatcc 2280 cccggggact cccgcgccgg gacgcggggt gggaccaggg gcgggacctg gggcggggga 2340 cgggacttaa ataaaggcag acgctgtttt tctaaaaaaa 2380 <210> 6 <211> 70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 Met Pro Val Pro Trp Phe Leu Leu Ser Leu Ala Leu Gly Arg Ser Pro 1 5 10 15 Val Val Leu Ser Leu Glu Arg Leu Val Gly Pro Gln Asp Ala Thr His 20 25 30 Cys Ser Pro Gly Leu Ser Cys Arg Leu Trp Asp Ser Asp Ile Leu Cys 35 40 45 Leu Pro Gly Asp Ile Val Pro Ala Pro Gly Pro Val Leu Ala Pro Thr 50 55 60 His Leu Gln Thr Glu Leu Val Leu Arg Cys Gln Lys Glu Thr Asp Cys 65 70 75 80 Asp Leu Cys Leu Arg Val Ala Val His Leu Ala Val His Gly His Trp 85 90 95 Glu Glu Pro Glu Asp Glu Glu Lys Phe Gly Gly Ala Ala Asp Ser Gly 100 105 110 Val Glu Glu Pro Arg Asn Ala Ser Leu Gln Ala Gln Val Val Leu Ser 115 120 125 Phe Gln Ala Tyr Pro Thr Ala Arg Cys Val Leu Leu Glu Val Gln Val 130 135 140 Pro Ala Ala Leu Val Gln Phe Gly Gln Ser Val Gly Ser Val Val Tyr 145 150 155 160 Asp Cys Phe Glu Ala Ala Leu Gly Ser Glu Val Arg Ile Trp Ser Tyr 165 170 175 Thr Gln Pro Arg Tyr Glu Lys Glu Leu Asn His Thr Gln Gln Leu Pro 180 185 190 Ala Leu Pro Trp Leu Asn Val Ser Ala Asp Gly Asp Asn Val His Leu 195 200 205 Val Leu Asn Val Ser Glu Glu Gln His Phe Gly Leu Ser Leu Tyr Trp 210 215 220 Asn Gln Val Gln Gly Pro Pro Lys Pro Arg Trp His Lys Asn Leu Thr 225 230 235 240 Gly Pro Gln Ile Ile Thr Leu Asn His Thr Asp Leu Val Pro Cys Leu 245 250 255 Cys Ile Gln Val Trp Pro Leu Glu Pro Asp Ser Val Arg Thr Asn Ile 260 265 270 Cys Pro Phe Arg Glu Asp Pro Arg Ala His Gln Asn Leu Trp Gln Ala 275 280 285 Ala Arg Leu Arg Leu Leu Thr Leu Gln Ser Trp Leu Leu Asp Ala Pro 290 295 300 Cys Ser Leu Pro Ala Glu Ala Ala Leu Cys Trp Arg Ala Pro Gly Gly 305 310 315 320 Asp Pro Cys Gln Pro Leu Val Pro Pro Leu Ser Trp Glu Asn Val Thr 325 330 335 Val Asp Lys Val Leu Glu Phe Pro Leu Leu Lys Gly His Pro Asn Leu 340 345 350 Cys Val Gln Val Asn Ser Ser Glu Lys Leu Gln Leu Gln Glu Cys Leu 355 360 365 Trp Ala Asp Ser Leu Gly Pro Leu Lys Asp Asp Val Leu Leu Leu Glu 370 375 380 Thr Arg Gly Pro Gln Asp Asn Arg Ser Leu Cys Ala Leu Glu Pro Ser 385 390 395 400 Gly Cys Thr Ser Leu Pro Ser Lys Ala Ser Thr Arg Ala Ala Arg Leu 405 410 415 Gly Glu Tyr Leu Leu Gln Asp Leu Gln Ser Gly Gln Cys Leu Gln Leu 420 425 430 Trp Asp Asp Asp Leu Gly Ala Leu Trp Ala Cys Pro Met Asp Lys Tyr 435 440 445 Ile His Lys Arg Trp Ala Leu Val Trp Leu Ala Cys Leu Leu Phe Ala 450 455 460 Ala Ala Leu Ser Leu Ile Leu Leu Leu Lys Lys Asp His Ala Lys Gly 465 470 475 480 Trp Leu Arg Leu Leu Lys Gln Asp Val Arg Ser Gly Ala Ala Ala Arg 485 490 495 Gly Arg Ala Ala Leu Leu Leu Tyr Ser Ala Asp Asp Ser Gly Phe Glu 500 505 510 Arg Leu Val Gly Ala Leu Ala Ser Ala Leu Cys Gln Leu Pro Leu Arg 515 520 525 Val Ala Val Asp Leu Trp Ser Arg Arg Glu Leu Ser Ala Gln Gly Pro 530 535 540 Val Ala Trp Phe His Ala Gln Arg Arg Gln Thr Leu Gln Glu Gly Gly 545 550 555 560 Val Val Val Leu Leu Phe Ser Pro Gly Ala Val Ala Leu Cys Ser Glu 565 570 575 Trp Leu Gln Asp Gly Val Ser Gly Pro Gly Ala His Gly Pro His Asp 580 585 590 Ala Phe Arg Ala Ser Leu Ser Cys Val Leu Pro Asp Phe Leu Gln Gly 595 600 605 Arg Ala Pro Gly Ser Tyr Val Gly Ala Cys Phe Asp Arg Leu Leu His 610 615 620 Pro Asp Ala Val Pro Ala Leu Phe Arg Thr Val Pro Val Phe Thr Leu 625 630 635 640 Pro Ser Gln Leu Pro Asp Phe Leu Gly Ala Leu Gln Gln Pro Arg Ala 645 650 655 Pro Arg Ser Gly Arg Leu Gln Glu Arg Ala Glu Gln Val Ser Arg Ala 660 665 670 Leu Gln Pro Ala Leu Asp Ser Tyr Phe His Pro Pro Gly Thr Pro Ala 675 680 685 Pro Gly Arg Gly Val Gly Pro Gly Ala Gly Pro Gly Ala Gly Asp Gly 690 695 700 Thr 705

Claims (22)

  1. IL-17A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IL-17F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치료 후 포유동물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포유동물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의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이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NIDDM), 비만, 난소 안드로겐과다혈증(ovarian hyperandrogenism), 및 고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장애를 갖는 것인 제약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가 NIDDM 또는 비만인 제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이 인간이며
    상기 IL-17A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상기 IL-17F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하나 이상이 전신성으로 투여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17A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상기 IL-17F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하나 이상이
    IL-17A, IL-17F, 및 IL-17A/IL-17F 이종이량체 복합체 중 하나 이상에 결합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L-17A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상기 IL-17F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L-17A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상기 IL-17F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하나 이상이 IL-17A 및 IL-17F의 길항제인 제약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단일클론 항체인 제약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키메릭,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인 제약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이중특이성, 다중특이성 또는 교차반응성 항체인 제약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와 병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가 인슐린, IGF-1, 또는 설포닐우레아인 제약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 저항성을 치료할 수 있는 유효량의 추가의 제제와 병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제제가 딕코프-5(Dickkopf-5, Dkk-5)인 제약 조성물.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단일클론 항체인 제약 조성물.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키메릭,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인 제약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이중특이성, 다중특이성 또는 교차반응성 항체인 제약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와 병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가 인슐린, IGF-1, 또는 설포닐우레아인 제약 조성물.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 저항성을 치료할 수 있는 유효량의 추가의 제제와 병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제제가 딕코프-5(Dickkopf-5, Dkk-5)인 제약 조성물.
  22. (a) IL-17A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IL-17F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기; 및
    (b) 상기 IL-17A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상기 IL-17F 길항제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하나 이상을 인슐린 저항성을 치료하는데 투여하기 위한 라벨 또는 설명을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을 치료하기 위한 키트.
KR1020117025865A 2009-04-01 2010-03-30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 KR101766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67709P 2009-04-01 2009-04-01
US61/165,677 2009-04-01
PCT/US2010/029280 WO2010114859A1 (en) 2009-04-01 2010-03-30 Treatment of insulin-resistant disor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83A KR20120005483A (ko) 2012-01-16
KR101766927B1 true KR101766927B1 (ko) 2017-08-09

Family

ID=4222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865A KR101766927B1 (ko) 2009-04-01 2010-03-30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20100266595A1 (ko)
EP (1) EP2413967A1 (ko)
JP (1) JP5795306B2 (ko)
KR (1) KR101766927B1 (ko)
CN (1) CN102448493B (ko)
AR (1) AR075998A1 (ko)
AU (1) AU2010232692C1 (ko)
BR (1) BRPI1011535A2 (ko)
CA (1) CA2752908A1 (ko)
CL (1) CL2011002416A1 (ko)
CO (1) CO6410313A2 (ko)
CR (1) CR20110552A (ko)
EC (1) ECSP11011429A (ko)
IL (1) IL214745A0 (ko)
MA (1) MA33248B1 (ko)
MX (1) MX347978B (ko)
NZ (1) NZ595005A (ko)
PE (1) PE20120628A1 (ko)
RU (1) RU2537142C2 (ko)
SG (1) SG174891A1 (ko)
TW (1) TWI474833B (ko)
UA (1) UA105384C2 (ko)
WO (1) WO2010114859A1 (ko)
ZA (1) ZA2011060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8232A1 (en) * 2002-02-12 2005-06-02 Elvira Pistolesi N-acyl-phosphatidyl-ethanolamines and/or mixtures of n-acyl-ethanolamines with phosphatidic acids or lysophosphatidic acids
KR101508086B1 (ko) 2008-05-05 2015-04-07 노비뮨 에스 에이 항-il-17a/il-17f 교차-반응성 항체 및 그의 사용 방법
US8790642B2 (en) 2008-08-29 2014-07-29 Genentech, Inc. Cross-reactive and bispecific anti-IL-17A/F antibodies
WO2012061129A1 (en) 2010-10-25 2012-05-10 Genentech, Inc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flammation and psoriasis a
US9117641B2 (en) 2012-10-29 2015-08-25 Perkinelmer Health Sciences, Inc. Direct sample analysis device adapters and methods of using them
RU2019128331A (ru) * 2013-02-04 2019-12-16 Санофи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составы аналогов инсулина и/или производные инсулина
TWI641381B (zh) * 2013-02-04 2018-11-21 法商賽諾菲公司 胰島素類似物及/或胰島素衍生物之穩定化醫藥調配物
AU2015205624A1 (en) 2014-01-09 2016-07-14 Sanofi Stabilize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insulin analogues and/or insulin derivatives
AU2017402210B2 (en) * 2017-03-10 2021-08-19 Suzhou Kanova Biopharmaceutical Co., Ltd. Monoclonal antibody against both IL-17A and IL-17F and use of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0440A1 (en) * 2001-10-15 2005-08-04 Genentech, Inc. Treatment and diagnosis of insulin-resistant states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3919A (en) 1969-10-23 1973-11-20 Du Pont Polylactide-drug mixtures
US4179337A (en) 1973-07-20 1979-12-18 Davis Frank F Non-immunogenic polypeptides
JPS6023084B2 (ja) 1979-07-11 1985-06-05 味の素株式会社 代用血液
US4485045A (en) 1981-07-06 1984-11-27 Research Corporation Synthetic phosphatidyl cholines useful in forming liposomes
US4640835A (en) 1981-10-30 1987-02-03 Nippon Chemiphar Company, Ltd. Plasminogen activator derivatives
US4816567A (en)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US4544545A (en) 1983-06-20 1985-10-01 Trustee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iposomes containing modified cholesterol for organ targeting
US4496689A (en) 1983-12-27 1985-01-29 Miles Laboratories, Inc. Covalently attached complex of alpha-1-proteinase inhibitor with a water soluble polymer
EP0206448B1 (en) 1985-06-19 1990-11-14 Ajinomoto Co., Inc. Hemoglobin combined with a poly(alkylene oxide)
US4676980A (en) 1985-09-23 1987-06-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arget specific cross-linked heteroantibodies
US4783469A (en) 1986-03-07 1988-11-08 Meier Albert H Method of inhibiting body fat stores
US4791192A (en) 1986-06-26 1988-12-1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hemically modified protein with polyethyleneglycol
IL85035A0 (en) 1987-01-08 1988-06-30 Int Genetic Eng Polynucleotide molecule,a chimeric antibody with specificity for human b cell surface antigen,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methods utilizing the same
US5266561A (en) 1988-01-11 1993-11-30 Amylin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JPH03506023A (ja) 1988-07-20 1991-12-26 ノボ ノルデイスク アクツイエセルスカプ ポリペプチド
GB8823869D0 (en) 1988-10-12 1988-11-16 Medical Res Council Production of antibodies
US5175384A (en) 1988-12-05 1992-12-29 Genpharm International Transgenic mice depleted in mature t-cells and methods for making transgenic mice
US5514646A (en) 1989-02-09 1996-05-07 Chance; Ronald E. Insulin analogs modified at position 29 of the B chain
US5116964A (en) 1989-02-23 1992-05-26 Genentech, Inc. Hybrid immunoglobulins
DE3920358A1 (de) 1989-06-22 1991-01-17 Behringwerke Ag Bispezifische und oligospezifische, mono- und oligovalente antikoerperkonstruk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U641673B2 (en) 1989-06-29 1993-09-30 Medarex, Inc. Bispecific reagents for aids therapy
US5013556A (en) 1989-10-20 1991-05-07 Liposome Technology, Inc. Liposomes with enhanced circulation time
ES2087997T3 (es) 1990-01-12 1996-08-01 Cell Genesys Inc Generacion de anticuerpos xenogenicos.
US5633425A (en) 1990-08-29 1997-05-27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25126A (en) 1990-08-29 1997-04-29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61016A (en) 1990-08-29 1997-08-26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of various isotypes
EP0546073B1 (en) 1990-08-29 1997-09-10 GenPharm International, Inc. production and use of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545806A (en) 1990-08-29 1996-08-13 Genpharm International, Inc. 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EP0586505A1 (en) 1991-05-14 1994-03-16 Repligen Corporation Heteroconjugate antibodies for treatment of hiv infection
LU91067I2 (fr) 1991-06-14 2004-04-02 Genentech Inc Trastuzumab et ses variantes et dérivés immuno chimiques y compris les immotoxines
WO1993008829A1 (en) 1991-11-04 1993-05-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s that mediate killing of hiv-infected cells
DE69233528T2 (de) 1991-11-25 2006-03-16 Enzon,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ultivalenten antigenbindenden Proteinen
EP0625200B1 (en) 1992-02-06 2005-05-11 Chiron Corporation Biosynthetic binding protein for cancer marker
AU668423B2 (en) 1992-08-17 1996-05-02 Genentech Inc. Bispecific immunoadhesins
JPH08509203A (ja) 1992-10-15 1996-10-01 ダナ−ファーバー キャンサー インステテュ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NF−α作用の拮抗剤を用いる肥満関連糖尿病▲II▼型のインスリン耐性の治療
US5527307A (en) 1994-04-01 1996-06-18 Minimed Inc. Implantable medication infusion pump with discharge side port
US5569186A (en) 1994-04-25 1996-10-29 Minimed Inc. Closed loop infusion pump system with removable glucose sensor
US5534615A (en) 1994-04-25 1996-07-09 Genentech, Inc. Cardiac hypertrophy factor and uses therefor
US6214388B1 (en) 1994-11-09 2001-04-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mmunoliposomes that optimize internalization into target cells
US5939269A (en) 1994-12-28 1999-08-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tagonists to insulin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
US5637095A (en) 1995-01-13 1997-06-10 Minimed Inc. Medication infusion pump with flexible drive plunger
US5731168A (en) 1995-03-01 1998-03-24 Genentech, Inc. Method for making heteromultimeric polypeptides
US5641870A (en) 1995-04-20 1997-06-24 Genentech, Inc. Low pH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for antibody purification
ATE390933T1 (de) 1995-04-27 2008-04-15 Amgen Fremont Inc Aus immunisierten xenomäusen stammende menschliche antikörper gegen il-8
EP0823941A4 (en) 1995-04-28 2001-09-19 Abgenix Inc HUMAN ANTIBODIES DERIVED FROM IMMUNIZED XENO MOUSES
RU2497500C2 (ru) 1995-07-27 2013-11-10 Джинентех, Инк Стабильная изотоническая лиофилизированная протеи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EP0766966A3 (en) 1995-09-08 2001-02-28 Eli Lilly And Company Method of treating insulin resistance
DE19544393A1 (de) 1995-11-15 1997-05-22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Synergistische herbizide Mischungen
NZ314406A (en) 1996-03-18 2000-12-22 Sankyo Co Treatment or prophylaxis of pancreatitis with a medicament containing an insulin sensitiser including oxazoles and thiazoles
PT942968E (pt) 1996-12-03 2008-03-27 Amgen Fremont Inc Anticorpos totalmente humanos que se ligam ao egfr
US20020177188A1 (en) * 1998-05-15 2002-11-28 Genentech, Inc. IL-17 homologous polypeptid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6040292A (en) 1999-06-04 2000-03-21 Celtrix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ing diabetes
US6187333B1 (en) 1999-09-20 2001-02-13 Diabex, Inc. Method for treating, controlling, and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TE541930T1 (de) 1999-12-23 2012-02-15 Genentech Inc Il-17-homologe polypeptide und ihre therapeutische verwendung
US20070160576A1 (en) * 2001-06-05 2007-07-12 Genentech, Inc. IL-17A/F heterologous polypeptid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CA2488441C (en) 2002-06-03 2015-01-27 Genentech, Inc. Synthetic antibody phage libraries
DE602005013805D1 (de) * 2004-09-21 2009-05-20 Merck Serono Sa Coinsins Verwendung von il-17f zur behandlung und/oder prävention von neurologischen erkrankungen
DE602006009834D1 (de) * 2005-09-01 2009-11-26 Schering Corp Verwendung von il-23 und il-17-antagonisten zur behandlung von autoimmuner entzündlicher augenerkrankung
US7790163B2 (en) * 2006-03-10 2010-09-07 Zymogenetics, Inc. Antibodies that bind both IL-17A and IL-17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910703B2 (en) * 2006-03-10 2011-03-22 Zymogenetics, Inc. Antagonists to IL-17A, IL-17F, and IL-23P19 and methods of use
TW200902064A (en) * 2007-03-28 2009-01-16 Wyeth Corp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IL-17F/IL-17A biological activity
EP2150564A2 (en) * 2007-04-27 2010-02-10 ZymoGenetics, Inc. Antagonists to il-17a, il-17f, and il-23p19 and methods of use
WO2008133684A1 (en) * 2007-04-27 2008-11-06 Zymogenetics, Inc. Antibodies that bind both il-17a and il-17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0534664A (ja) * 2007-07-23 2010-11-11 セントコア・オーソ・バイオテツク・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Il−17拮抗薬を用いた線維症関連疾患治療の方法及び組成物
CA2701494A1 (en) * 2007-10-02 2009-04-09 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Method of regulating the th17 pathway and its associated metabolic impa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0440A1 (en) * 2001-10-15 2005-08-04 Genentech, Inc. Treatment and diagnosis of insulin-resistant state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ell Mol. Life Sci. 62(22): 2658-2668(2005.11.)
Int. J. Obes. 33(1): 151-156 (2008.11.04.)*
J. Exp. Med. 205(1): 207-218 (2008.01.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3967A1 (en) 2012-02-08
AU2010232692A1 (en) 2011-09-08
JP2012522788A (ja) 2012-09-27
NZ595005A (en) 2014-04-30
CL2011002416A1 (es) 2012-04-20
RU2011144122A (ru) 2013-05-10
CA2752908A1 (en) 2010-10-07
AU2010232692C1 (en) 2017-06-01
WO2010114859A1 (en) 2010-10-07
CR20110552A (es) 2011-12-07
TWI474833B (zh) 2015-03-01
SG174891A1 (en) 2011-11-28
CO6410313A2 (es) 2012-03-30
AR075998A1 (es) 2011-05-11
US20100266595A1 (en) 2010-10-21
CN102448493B (zh) 2014-04-30
JP5795306B2 (ja) 2015-10-14
UA105384C2 (ru) 2014-05-12
KR20120005483A (ko) 2012-01-16
CN102448493A (zh) 2012-05-09
MX2011010273A (es) 2011-10-17
PE20120628A1 (es) 2012-05-26
ZA201106076B (en) 2012-11-28
MA33248B1 (fr) 2012-05-02
AU2010232692B2 (en) 2016-12-01
IL214745A0 (en) 2011-11-30
RU2537142C2 (ru) 2014-12-27
BRPI1011535A2 (pt) 2016-03-29
ECSP11011429A (es) 2011-12-30
MX347978B (es) 2017-05-22
TW201038284A (en)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927B1 (ko) 인슐린 저항성 장애의 치료
KR100895749B1 (ko) Nkg2d의 조절
KR100557258B1 (ko) 면역학적 질병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 가용성림포톡신-베타 수용체 및 항-림포톡신 수용체 및 리간드항체
KR101453570B1 (ko) Il-22 및 il-22r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사이토카인 신호 전달과 관련된 질환 및 장애 치료용조성물 및 치료 방법
EP2040730B1 (en) Modulation of nkg2d in hbv patients
JP2008524241A (ja) 従来の治療の効果がなかった患者の自己免疫性疾患の血管新生阻害治療
KR20080100806A (ko) 항­cd40 항체의 용도
JP2009534297A (ja) Il−17aおよびil−17fの両方に結合する抗体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CN114671952A (zh) 具有改善的结合、功能和安全性特征的抗cd154抗体及其在人免疫治疗中的用途
CA2585156A1 (en) Duffy antigen receptor for chemokines and use thereof
US20090226440A1 (en)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Method for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
EP2054075A1 (en) Treatment of graft-versus-host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