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804B1 -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804B1
KR101765804B1 KR1020170039171A KR20170039171A KR101765804B1 KR 101765804 B1 KR101765804 B1 KR 101765804B1 KR 1020170039171 A KR1020170039171 A KR 1020170039171A KR 20170039171 A KR20170039171 A KR 20170039171A KR 101765804 B1 KR101765804 B1 KR 10176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pole
scale
measuring
endoscop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39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4Means for exchanging focusing screen and light sensitiv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자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장소 및 원거리에 균열이 발생되어 있을 때 객관적이고 편리하게 균열 폭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소균열 부터 대규모 균열까지 각각의 균열폭 두께 만큼의 굵기의 실선들을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선으로 다수 개수 마킹되어 있어 균열눈금자 설치대의 회전을 통해 균열폭을 측정할 수 있는 원형 균열눈금자, 내시경 카메라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대, 폴대 내부에 구비되는 내시경 카메라과 내시경 카메라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조합하여 점검자가 접근할 수 없는 곳에 발생한 균열도 원거리에서 간편하고 정학하게 균열폭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보수보강 대책수립을 위한 정량적인 자료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crack width of long range structures}
본 발명은 구조물 점검자가 간편하게 접근할 수 없는 원거리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소균열부터 대규모 균열까지 각각의 균열폭만큼의 두께를 갖는 실선들을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선으로 다수 마킹되어 있는 원형 균열눈금자와 이를 촬영할 수 있는 내시경 카메라를 길이조절이 가능한 봉의 선단에 설치하여 점검자가 접근하기 곤란한 곳의 균열에 원형 균열눈금자를 접촉시켜 내시경 카메라를 통한 균열 폭을 확인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간편하게 균열폭을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보수보강 대책수립을 위한 정량적인 자료 확보할 수 있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내구성 및 구조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균열의 발생이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강도가 낮은 재료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다.
콘크리트의 균열은 구조물의 건조 수축이나 과다한 응력의 발생 또는 재료적인 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점이 내재된 상태에서 발생되며, 콘크리트의 파괴는 항상 균열에 의해 시작된 후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서 반드시 균열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고 특히 진행 중인 균열은 관심을 가지고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균열조사는 구조물에 발생하는 균열을 평가하여 보수, 보강 여부의 판정, 그리고 보수, 보강공법의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균열이 발생한 위치, 균열의 유형과 형상, 균열의 최대폭과 길이, 균열의 진행 여부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균열 조사항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균열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균열폭을 조사하기 위해서 균열자, 균열게이지나 마이크로 스코프, 균열현미경 등을 균열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열폭을 조사하기 위해 접근장비 혹은 사다리를 이용하여 균열이 발생된 위치까지 접근한 후 균열표면에 균열게이지를 접촉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나, 이것마저도 불가능한 경우에는 4~5m 떨어진 원거리에서 육안으로 균열폭을 추정하고 있다.
또한, 상시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발생한 균열의 폭을 측정을 위하여 접근장비로 균열에 접근한다 할지라도 위험하고 열악한 조건에서 균열게이지를 균열에 직접 접촉시켜야 하므로 사고발생 가능이 내재 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손실 및 비용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육안으로 균열폭을 추정하는 경우 균열폭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0391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소균열 부터 대규모 균열까지 각각의 균열폭 만큼의 두께를 갖는 실선들을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선으로 다수 마킹되어 있는 원형 균열눈금자를 형성하고,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 폭에 원형 균열 눈금자를 맞추어 보므로서 균열 폭의 크기를 객관적이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보수보강 대책수립을 위한 정량적인 자료 확보할 수 있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접근이 곤란한 원거리에 떨어진 균열이라고 할지라도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폴대에 의해 원형 균열눈금자를 접촉시켜 장비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조건에 발생된 균열폭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원거리에 떨어진 균열은 폴대 일단에 원형 균열 눈금자와 내시경 카메라로 구성하고 폴대 다른 일단에 내시경 카메라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여 균열을 실시간으로 촬영 및 영상 확인을 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도 객관적인 균열폭 측정이 가능한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경사면에 발생된 균열은 직선형 폴대만으로는 원형 균열 눈금자를 균열에 접촉시킬 수 없으므로 원형 균열눈금자와 내시경 카메라의 각도를 폴대와 소정의 각도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면에 발생된 균열도 조사할 수 있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폴대와;
상기 폴대의 내부 관통홀에 삽입되어 구조물의 균열을 촬영하기 위한 내시경 카메라와;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구조물 내의 밝기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보조 조명장치와;
상기 폴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내부를 관통한 상기 내시경 카메라 및 보조 조명장치를 다방향, 다각도로 굽혀서 고정시키도록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다굴절 연결대와;
상기 다굴절 연결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확관되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 카메라 및 보조 조명장치의 조명을 일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조명 반사경 설치대와;
상기 조명 반사경 설치대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내부를 관통한 내시경 카메라(20) 및 보조 조명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소켓과;
상기 내시경 카메라와 대응되는 조명 반사경 설치대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나의 치수눈금당 균열 폭의 크기별로 마킹되어 있어 회전을 통해 치수눈금을 구조물의 균열에 접촉한 뒤, 내시경 카메라로 촬영하여 측정하되, 상기 내시경 카메라로 구조물을 촬영시, 구조물의 균열 폭 치수를 측정하기 위한 치수눈금이 중앙부를 중심하여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원형 균열눈금자와;
상기 조명 반사경 설치대의 선단부 가장자리에 탈부착되고,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주연에 원형 균열눈금자가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조명 반사경 설치대 및 원형 균열눈금자가 구조물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형 균열 눈금자 고정링과;
상기 내시경 카메라와 연결되어 내시경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균열 폭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폴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내시경 카메라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를 고정시키는 홀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더장치는, 상기 폴대의 끼워져서 연결되는 몸통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조임부재에 의해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홀더부와;
상기 몸통부와 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홀더부에 고정된 디스플레이장치가 다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짐벌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대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면서 폴대를 길게 늘리는 경우 폴더의 전후, 좌우 및 회전 등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어깨걸이 장치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 조명장치는 폴대의 외측에 설치된 스위치 및 배터리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는 원형 균열눈금자의 중앙부를 중심하여 치수눈금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하나의 치수눈금당 균열 폭의 크기별로 마킹됨으로써, 종래의 직선방향으로 눈금이 형성된 자에 비해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 폭에 원형 균열눈금자의 치수눈금을 대봐서 균열 폭의 크기를 빠르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보수보강 대책수립을 위한 정량적인 자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폴대에 의해 높은 곳에 발생한 균열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폴대 내부에 구비되는 내시경 카메라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조물을 실시간으로 촬영 및 영상 확인을 할 수 있어 휴대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한 다굴절 연결대가 마련됨으로써, 점검자의 진입이 불가능한 협소부나 고소부는 물론, 고 교각 받침부, 협소한 배수관, 교대 벽체, 신축이음부, 방음벽 후면부 등의 점검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명 반사경 설치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굴절용 측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카메라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형 균열눈금자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리 측정장치와 롤러부의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리 측정장치와 롤러부를 나타낸 내부 정면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명 반사경 설치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굴절용 측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카메라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형 균열눈금자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리 측정장치와 롤러부의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리 측정장치와 롤러부를 나타낸 내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는 폴대(10)와, 내시경 카메라(20)와, 고정소켓(30)과, 다굴절 연결대(100)와,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와, 원형 균열눈금자(50)로 구성된다.
상기 폴대(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데, 다수개의 폴대(10)가 내부에 겹치게 삽입되는 구조로 일측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즉, 가장 둘레가 큰 폴대(10)의 내부에 작은 둘레의 폴대(10)가 삽입되고, 그 상태에서 작은 둘레의 폴대가 일측으로 구동되면서 폴대(10)의 길이가 길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폴대(10)가 상호 겹쳐지는 부위에는 작은 둘레의 폴대(10)가 일측으로 구동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위해 고정장치(11)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장치(11)는 외측에 형성된 고정핀(미도시)을 눌러서 폴대의 외주연에 감겨있는 보호대가 조여지면서 외곽에 있는 폴대(10)가 내측에 구비된 폴대(10)를 눌러 고정시키며, 반대로 고정핀을 반대측으로 풀면 보호대가 풀리면서 내측 폴대(10)에 가해지는 압착이 풀려서 일측/타측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폴대(10)의 일측 외주연에는 내시경 카메라(2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90)가 연결되도록 홀더장치(6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홀더장치(60)는 폴대의 끼워져서 연결되는 몸통부(61)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90)가 조임부재에 의해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홀더부(62)와; 상기 몸통부(61)와 홀더부(62) 사이를 연결하면서 홀더부(62)에 고정된 디스플레이장치(90)가 다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짐벌(64)이 형성되는 연결부(6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61)는 폴대(10)의 외주연에 구비된 상태에서 조임부재(미도시)에 의해 폴대(10)의 외주연에 고정되거나 풀어질 수 있어 폴대(10)의 외주연 중 원하는 위치에 맞춰 탈부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62)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90)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에 의해 일측("ㄴ")이 구동되어 디스플레이장치(90)에 고정 및 풀림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63)의 짐벌(gimbal)은 통상 물 위에 떠 있는 구조물의 동요에 관계없이 기기나 장비가 수평 및 연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전후 좌우 방향 축에 대하여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 허용 지지틀로써, 홀더부(62)가 자유반경으로 회전 가능하기에 디스플레이장치(90)의 영상확인이 편리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9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뜻한다.
한편, 상기 폴대(10)에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어깨걸이 장치(12)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깨걸이 장치(12)는 일 실시예로써, 사용자의 어깨에 멜빵 벨트가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멜빵 벨트의 일측에 폴대(10)가 결착되도록 결착부가 형성되어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의 하중이 사용자의 몸에 지지되어 분산된다.
그리고, 상기 어깨걸이 장치(12)는 다른 실시예로써, 폴대(10)의 일측에 "ㄱ"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결착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어깨에 접촉되는 부위에는 쿠션부재가 더 설치된다.
상기 내시경 카메라(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대(10)의 내부 관통홀에 삽입되어 구조물의 균열을 촬영하는 내시경 카메라(20)로써, 구조물을 촬영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와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부와, 상기 전선 케이블부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90)와 연결되는 포트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에는 구조물을 밝혀주는 조명부가 더 형성된 내시경 카메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내시경 카메라와 유사하기에 내부 구조 및 작동방식 등의 상세한 기술은 별도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조명 반사경 설치대(40) 내에 구비된 내시경 카메라(20)의 외주연 즉, 렌즈부의 외주연에는 조명부 이외에 별도의 보조 조명장치(21)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보조 조명장치(21)는 폴대(10)의 외측에 설치된 스위치(22) 및 배터리(22)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스위치(22)를 작동시켜 보조 조명장치(21)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조명장치(21)는 렌즈부의 조명부로 밝힘이 부족할 때 사용된다.
상기 고정소켓(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하측부에 형성되는데,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내부를 관통한 내시경 카메라(20) 및 보조 조명장치(21)를 고정하도록 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은 내시경 카메라(20) 및 보조 조명장치(21)의 수량에 맞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소켓(30)은 상기 홀의 내주연과 내시경 카메라(20) 사이에는 내시경 카메라(20)를 탄력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고무, 스펀지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다굴절 연결대(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대(10)와 조명 반사경 설치대(40) 사이를 연결하고, 내부를 관통한 내시경 카메라(20)를 다방향, 다각도로 굽힌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주름관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굴절 연결대(100)는 몸통 전체가 주름관(Corrugate Tube)으로 이루어지는데,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내부에 구비된 내시경 카메라(20)를 보호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굴절 연결대(100)는 주름관 또는 일명 코브라관이라 칭하는 관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일측이 다방향 및 다각도로 굽혀지고, 그 굽혀진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이기에 다굴절 연결대(100)의 내부에 구비된 내시경 카메라(20)가 굽혀진 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즉, 상기 다굴절 연결대(100)는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점검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내시경 카메라(20)를 취부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내시경 카메라(20)가 점검자가 원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유롭게 변형되는 다굴절 연결대(100)에 의해 방음벽의 이면이나 높은 구조물의 내측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명 반사경 설치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굴절 연결대(10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내시경 카메라(20)의 끝단부를 보호하고, 내시경 카메라(20) 및 보조 조명장치(21)의 조명을 일측 방향으로 유도한다. 이때, 상기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내부면에는 반사지 등과 같은 반사부재가 부착되어 내시경 카메라(20) 및 보조 조명장치(21)에서 조사되는 빛을 일측방향으로 집중시켜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명 반사경 설치대(40)는 고정소켓(30)에서 외측으로 확관되는 깔대기 형태 또는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 카메라(20)와 대응되는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일면에는 도 2의 (a)에서처럼, 원형 균열눈금자(50)가 부착 형성되어 구조물의 균열에 원형 균열눈금자(50)를 접촉하여 균열 폭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원형 균열눈금자(50)가 부착된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일면은 도 2의 (b)에서처럼, 원형 균열눈금자(50)가 구조물의 균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면 스크래치 등의 파손에 의해 치수눈금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어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상측부 가장자리에 원형 균열 눈금자 고정링(41)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원형 균열 눈금자 고정링(41)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원형 균열눈금자(50)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균열 눈금자 고정링(41)의 탈부착에 의해 원형 균열눈금자(50)가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에 탈부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원형 균열눈금자(50)의 외주연에 원형 균열 눈금자 고정링(4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 균열 눈금자 고정링(41)의 하단면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형 균열 눈금자 고정링(41)는 고무패킹 또는 스펀지부재 등으로 사용되어 구조물에 접촉시 완충작용 및 파손 등을 방지한다.
한편, 일 실시예로써, 도 6 내지 도 7에서처럼, 상기 원형 균열눈금자(50)가 부착된 원형 균열눈금자 설치대(40)의 일면에는 균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장치(70)가 부착되고, 상기 거리 측정장치(70)는 원형 균열눈금자 설치대(40)의 일면 외측에 돌출되는 바퀴부(71)와, 상기 바퀴부(7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바퀴부(71)의 회전수에 맞춰 거리를 수치로 표시하는 카운터부(7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부(72)는 원형 균열눈금자 설치대(40)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시경 카메라(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90)에 영상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상기 바퀴부(71)는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 측정장치가 균열의 길이만큼 이동하면서 균열의 길이를 잴 수 있는 동시에 원형 균열눈금자 설치대(40)가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 측정장치(70)는 통상적인 워킹 카운터기와 유사하기에 구조적인 결합관계 및 원리 등은 별도의 기술하지 않으며, 상기 거리 측정장치(70)는 원형 균열눈금자 설치대(40)의 재질과 폴대(10)의 강도에 맞춰 경량화하여 제작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써, 도 6 내지 도 7에서처럼, 상기 원형 균열눈금자(50)가 부착된 원형 균열눈금자 설치대(40)의 일면에는 원형 균열눈금자 설치대(40)가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롤러부(80)가 별도로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80)는 원형 균열눈금자 설치대(40)의 재질과 폴대(10)의 강도에 맞춰 경량화하여 제작된다.
상기 원형 균열눈금자(5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일면에 형성되어 내시경 카메라(20)가 구조물을 촬영시, 구조물의 균열 폭 치수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원형 균열눈금자(50)는 중앙부를 중심하여 치수눈금(51)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하나의 치수눈금(51)당 균열 폭의 크기별로 마킹되어 구조물의 균열에 치수눈금(51)을 대서 측정할 수 있다. 즉, 치수눈금(51)이 크기별(0.1mm, 0.2mm,....1.5mm, 2.0mm, 3.0mm) 폭만큼 마킹이 되어 있어 균열에 치수눈금을 회전해가면서 대보고 균열 폭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 균열눈금자(50)는 내시경 카메라(20)와 3 ~ 8cm 간격(H)으로 이격 형성되어 균열의 정확한 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원형 균열눈금자(50)와 내시경 카메라(20)와의 간격(H)을 5cm로 이격하여 형성한다.
10 : 폴대 11 : 고정장치
12 : 어깨걸이 장치
20 : 내시경 카메라 21 : 보조 조명장치
22 : 스위치 및 배터리
30 : 고정소켓
40 : 조명 반사경 설치대 41 : 원형 균열 눈금자 고정링
50 : 원형 균열눈금자 51 : 치수눈금
60 : 홀더장치 61 : 몸통부
62 : 홀더부 63 : 연결부
64 : 짐벌
70 : 거리 측정장치 71 : 바퀴부
72 : 카운터부
80 : 롤러부 90 : 디스플레이장치
100 : 다굴절 연결대

Claims (4)

  1.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폴대(10)와;
    상기 폴대(10)의 내부 관통홀에 삽입되어 구조물의 균열을 촬영하기 위한 내시경 카메라(20)와;
    상기 내시경 카메라(2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구조물 내의 밝기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보조 조명장치(21)와;
    상기 폴대(1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내부를 관통한 상기 내시경 카메라(20) 및 보조 조명장치(21)를 다방향, 다각도로 굽혀서 고정시키도록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다굴절 연결대(100)와;
    상기 다굴절 연결대(10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확관되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 카메라(20) 및 보조 조명장치(21)의 조명을 일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와;
    상기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내부를 관통한 내시경 카메라(20) 및 보조 조명장치(21)를 고정하는 고정소켓(30)과;
    상기 내시경 카메라(20)와 대응되는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나의 치수눈금(51)당 균열 폭의 크기별로 마킹되어 있어 회전을 통해 치수눈금(51)을 구조물의 균열에 접촉한 뒤, 내시경 카메라(20)로 촬영하여 측정하되, 상기 내시경 카메라(20)로 구조물을 촬영시, 구조물의 균열 폭 치수를 측정하기 위한 치수눈금(51)이 중앙부를 중심하여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원형 균열눈금자(50)와;
    상기 조명 반사경 설치대(40)의 선단부 가장자리에 탈부착되고,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주연에 원형 균열눈금자(50)가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조명 반사경 설치대(40) 및 원형 균열눈금자(50)가 구조물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형 균열 눈금자 고정링(41)과;
    상기 내시경 카메라(20)와 연결되어 내시경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균열 폭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90)와;
    상기 폴대(1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내시경 카메라(2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90)를 고정시키는 홀더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더장치(60)는, 상기 폴대(10)의 끼워져서 연결되는 몸통부(61)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90)가 조임부재에 의해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홀더부(62)와;
    상기 몸통부(61)와 홀더부(62) 사이를 연결하면서 홀더부(62)에 고정된 디스플레이장치(90)가 다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짐벌(64)이 형성되는 연결부(6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10)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면서 폴대(10)를 길게 늘리는 경우 폴더의 전후, 좌우 및 회전 등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어깨걸이 장치(1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9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조명장치(21)는 폴대(10)의 외측에 설치된 스위치(22) 및 배터리(22)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스위치(22)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KR1020170039171A 2017-03-28 2017-03-28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KR10176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71A KR101765804B1 (ko) 2017-03-28 2017-03-28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71A KR101765804B1 (ko) 2017-03-28 2017-03-28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804B1 true KR101765804B1 (ko) 2017-08-08

Family

ID=5965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71A KR101765804B1 (ko) 2017-03-28 2017-03-28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80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952A (zh) * 2019-01-18 2019-04-05 山东东泰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隧道二衬裂缝处理钻孔孔位检测工具及其工作方法
KR102165782B1 (ko) * 2020-05-29 2020-10-14 (주)한국건설안전진단 안전진단용 휴대용 구조물 균열 계측장치
KR102195855B1 (ko) * 2020-05-29 2020-12-28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균열정보의 계측이 용이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균열측정장치
CN112378356A (zh) * 2020-11-12 2021-02-19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混凝土内部裂缝宽度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2234863B1 (ko) * 2020-06-26 2021-04-05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 폭 측정장치
KR102272939B1 (ko) 2020-12-16 2021-07-05 주식회사 선진이엔씨 구조물용 균열 측정장치
KR102315766B1 (ko) * 2021-04-05 2021-10-21 주식회사 천세이엔지 시설물 점검용 다굴절봉 및 이를 이용한 점검방법
KR20220045502A (ko) * 2020-10-05 2022-04-12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휴대용 전자 균열 측정기
CN114740614A (zh) * 2022-05-07 2022-07-12 深圳市微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辅助测量的内窥镜探头
KR102456564B1 (ko) * 2022-07-21 2022-10-24 (주)창성시설기술단 촬영거리 고정형 구조물 촬영 장치
KR102473339B1 (ko) * 2022-08-19 2022-12-05 주식회사 명성엔지니어링 구조물 촬영용 표척 표시장치
CN115575138A (zh) * 2022-10-12 2023-01-06 嘉泰检验认证有限公司 一种保险业务现场评估用的测量检测设备
KR102632882B1 (ko) * 2023-04-25 2024-02-05 주식회사 광익기술단 구조물의 균열 진행여부 측정이 용이한 균열폭 측정장치
CN117571722A (zh) * 2024-01-16 2024-02-20 河南豫昶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裂缝测量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20B1 (ko) 2011-03-10 2013-03-04 (주)코세코 크랙모니터링시스템
KR101352070B1 (ko) 2011-12-29 2014-01-16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휴대용 영상 점검 시스템
KR101556205B1 (ko) 2014-08-25 2015-10-13 트레스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 거치형 산업용 내시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20B1 (ko) 2011-03-10 2013-03-04 (주)코세코 크랙모니터링시스템
KR101352070B1 (ko) 2011-12-29 2014-01-16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휴대용 영상 점검 시스템
KR101556205B1 (ko) 2014-08-25 2015-10-13 트레스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 거치형 산업용 내시경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952A (zh) * 2019-01-18 2019-04-05 山东东泰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隧道二衬裂缝处理钻孔孔位检测工具及其工作方法
CN109577952B (zh) * 2019-01-18 2023-10-03 山东东泰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隧道二衬裂缝处理钻孔孔位检测工具及其工作方法
KR102165782B1 (ko) * 2020-05-29 2020-10-14 (주)한국건설안전진단 안전진단용 휴대용 구조물 균열 계측장치
KR102195855B1 (ko) * 2020-05-29 2020-12-28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균열정보의 계측이 용이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균열측정장치
KR102234863B1 (ko) * 2020-06-26 2021-04-05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 폭 측정장치
KR102456652B1 (ko) * 2020-10-05 2022-10-21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휴대용 전자 균열 측정기
KR20220045502A (ko) * 2020-10-05 2022-04-12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휴대용 전자 균열 측정기
CN112378356A (zh) * 2020-11-12 2021-02-19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混凝土内部裂缝宽度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2272939B1 (ko) 2020-12-16 2021-07-05 주식회사 선진이엔씨 구조물용 균열 측정장치
KR102315766B1 (ko) * 2021-04-05 2021-10-21 주식회사 천세이엔지 시설물 점검용 다굴절봉 및 이를 이용한 점검방법
CN114740614A (zh) * 2022-05-07 2022-07-12 深圳市微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辅助测量的内窥镜探头
CN114740614B (zh) * 2022-05-07 2024-04-19 深圳市微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辅助测量的内窥镜探头
KR102456564B1 (ko) * 2022-07-21 2022-10-24 (주)창성시설기술단 촬영거리 고정형 구조물 촬영 장치
KR102473339B1 (ko) * 2022-08-19 2022-12-05 주식회사 명성엔지니어링 구조물 촬영용 표척 표시장치
KR102549110B1 (ko) * 2022-08-19 2023-06-29 주식회사 명성엔지니어링 촬영 거리 조절형 구조물 촬영용 표척 표시장치
CN115575138A (zh) * 2022-10-12 2023-01-06 嘉泰检验认证有限公司 一种保险业务现场评估用的测量检测设备
CN115575138B (zh) * 2022-10-12 2023-09-19 嘉泰检验认证有限公司 一种保险业务现场评估用的测量检测设备
KR102632882B1 (ko) * 2023-04-25 2024-02-05 주식회사 광익기술단 구조물의 균열 진행여부 측정이 용이한 균열폭 측정장치
CN117571722A (zh) * 2024-01-16 2024-02-20 河南豫昶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裂缝测量装置
CN117571722B (zh) * 2024-01-16 2024-03-22 河南豫昶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裂缝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804B1 (ko)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JP3197435U (ja) ネジ応力感知装置
KR100788230B1 (ko) 구조물 점검용 휴대용균열측정기
CN109443946B (zh) 一种点荷载试验仪及点荷载试验方法
KR102165782B1 (ko) 안전진단용 휴대용 구조물 균열 계측장치
KR101503692B1 (ko) 토목구조물 및 건축물 안전진단시 광학렌즈 및 망원렌즈를 이용한 정밀안전진단 장비
KR10232803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1765806B1 (ko) 내시경을 이용한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 측정장치
JP4266064B2 (ja) 測量ターゲット器具、測量器具取付装置および鉄塔測量方法
CN210441825U (zh) 一种桥梁检测用裂缝测宽仪
CN209799949U (zh) 一种不停抽卡光杆激光式无线功图传感器
CN215573005U (zh) 一种工程测量用地红外测量设备
CN216977830U (zh) 一种超声波测厚仪
CN211954415U (zh) 基于激光测振的变压器振动测量装置
KR102272939B1 (ko) 구조물용 균열 측정장치
CN216847428U (zh) 一种万向显微检测装置
KR102419691B1 (ko) 원격 균열 측정시스템
CN217032311U (zh) 测定单桩预埋海底深度的测试装置
CN213828669U (zh) 一种可调节的汽车检具
CN216899339U (zh) 一种智能母线专用测温装置
CN217717218U (zh) 一种点荷载试验仪
CN213277836U (zh) 绝缘操作杆
CN213544397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建筑工程用检测镜
CN205826407U (zh) 一种用于拉拔设备的外置型支承结构
CN214096943U (zh) 一种便于使用的机械拉力试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