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035B1 -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035B1
KR102328035B1 KR1020210015586A KR20210015586A KR102328035B1 KR 102328035 B1 KR102328035 B1 KR 102328035B1 KR 1020210015586 A KR1020210015586 A KR 1020210015586A KR 20210015586 A KR20210015586 A KR 20210015586A KR 102328035 B1 KR102328035 B1 KR 102328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rack
diagnosis
measurer
safety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명선
남용혁
황현성
Original Assignee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01B5/14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between holes on a workpie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01B3/006Scales; Graduations having both coarse and fine grad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4Measuring microsc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84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 G01B2003/1087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for illumin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 하우징의 하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를 갖는 눈금들이 상호 이격되게 표시된 측정자를 구비한 균열 측정부; 및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된 확대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CRACK WIDTH MEASURING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OF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터널, 건축물 등 구조물의 균열 원인은 구조물의 건조 수축이나 과다한 응력의 발생 또는 재료적인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현상은 균열의 폭이 미세하여 조기에 발견하기가 어렵고, 균열의 진행속도 또한 매우 느린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시공자나 사용자가 구조물의 안전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무심코 지나쳐 버리기 쉬운 면이 있다.
그러나, 어떠한 균열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시키고 종국적으로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진단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균열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 또한 구조물의 안정성을 진단하는 매우 중요한 장치 중의 하나이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을 측정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균열 변형 게이지, 디지털 균열 측정기, 균열자 등의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측정장치는 미세한 균열을 측정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균열 측정장치 외에 미세 균열을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확대경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02060호(2001.01.05.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물에 발생된 미세한 균열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를 갖는 눈금들이 상호 이격되게 표시된 측정자를 구비한 균열 측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된 확대경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균열 측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측정자에 결합된 이동블록;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스크류에 결합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다이얼;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벽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측정자의 양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자와 상기 이동블록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균열 측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에 상기 다이얼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되,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상기 눈금의 두께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치수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가 삽입되되, 중심부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벽에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외벽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며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단말기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상기 제1 개구부에 인라인되게 배치하여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과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상기 눈금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파지부의 내벽에 형성된 삽입홈에 걸림결합되고 중심부가 돌출된 탄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파지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가압되어 상기 탄성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파지부에 삽입 완료된 경우에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가 가압해제되어 상기 탄성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상기 삽입홈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안착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본체부;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끝단부가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의 상단부에 확대경을 설치하고 하우징의 하단부에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다양한 두께를 갖는 눈금들이 표시된 측정자를 구비함으로서, 구조물에 발생된 미세한 균열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에 확대경과 측정자를 결합하고 단말기 안착부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착시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균열의 폭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설치된 확대경(12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조명부(130)와,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균열 측정부(140)와, 하우징(110)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150)와, 파지부(150)에 연결되며 이동통신 단말기(P)가 안착되는 단말기 안착부(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0)에는 확대경(120)과 조명부(130)와 균열 측정부(140)가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확대경(120)은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 및 후술할 균열 측정부(140)의 측정자(141)에 표시된 눈금(142)을 확대하여 보여준다.
확대경(120)은 하우징(110)의 상단부 내부에 설치되거나,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균열의 폭 및 측정자(141)의 눈금(142)을 확대하기 위해 확대경(120)은 하우징(11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130)는 어두운 장소에서 구조물의 균열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조명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조명등(130)과, 하우징(110)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조명등(130)을 점멸시키는 스위치(미도시)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위치 및 조명등(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등(1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등(130)은 전구, LE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균열 측정부(140)를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부 측벽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은 휴대가 용이한 건전지 또는 전원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균열 측정부(140)는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균열 측정부(140)는 하우징(110)의 하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측정자(141)와, 측정자(141)에 연결되어 측정자(141)를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측정자 이동부(143)를 포함한다.
측정자(141)는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측정자(141)의 표면에는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실제 축적대로 측정할 수 있도록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눈금(142)들이 상호 이격되게 표시된다.
측정자(141)에 표시된 눈금(142)들은 균열의 폭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를 갖는다. 예를들어, 측정자(141)에 표시된 눈금(142)들은 최소두께 0.1부터 최대두께 2mm까지 0.1mm 두께의 차이를 가질 수 있으나, 최소두께 및 최대두께 그리고 두께의 차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측정자(141)에 표시된 눈금(142) 및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은 확대경(120)에 의해 확대되므로, 확대경(120)에 의한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측정자(141)는 구조물의 표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균열의 폭을 측정하기 위해 하우징(110)을 균열이 발생된 구조물에 밀착시킨 후 측정자(141)를 수평방향으로 하우징(110)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두께의 눈금(142)을 일치시킨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자(14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측정자 이동부(143)가 마련된다.
측정자 이동부(143)는 측정자(141)에 결합된 이동블록(144)과, 하우징(1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이동블록(144)에 결합된 이동스크류(145)와, 이동스크류(145)에 결합되고 하우징(110)의 외측에 배치된 다이얼(146)을 포함한다.
이동블록(144)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측정자(141)에 결합된다. 또한 이동블록(144)은 측정자(1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블록(144)와 측정자(141)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 이동스크류(145)가 하우징(110)에 관통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하우징(110)에 삽입된 후 이동스크류(145)에 이동블록(144)이 결합되고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블록(144)은 직육면체, 원기둥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동블록(144)은 조명이 투과될 수 있는 아크릴, 유리 재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스크류(145)는 하우징(110)의 측벽을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하단부 내부에 배치되고 이동블록(144)에 결합된다. 이동스크류(145)의 일단부는 하우징(110)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스크류(145)의 타단부는 하우징(110)의 일측벽에 설치된 베어링부재(미도시)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스크류(145)의 양단부가 하우징(110)의 대향되는 측부에 설치된 베어링부재(미도시)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다이얼(146)은 하우징(110)의 외측에 배치된 이동스크류(145)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다이얼(146)을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되어 이동스크류(145)도 함께 회전된다.
또한 균열 측정부(140)는 하우징(110)의 하단부 내벽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지지부재(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47)는 측정자(141)의 양단부 하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이얼(146)을 회전시키면 다이얼(146)에 결합된 이동스크류(145)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이동블록(144)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이동스크류(145)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블록(144)에 결합된 측정자(141)도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이동블록(144)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측정자(141)의 양단부 하면은 지지부재(147)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균열 측정부(140)는 하우징(110)의 외측벽에 다이얼(146)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치수선(148)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치수선(148) 각각은 복수의 눈금(142) 각각의 두께를 나타낸다. 다이얼(146)을 회전시켜 측정자(14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눈금(142)의 두께와 균열의 폭을 일치시킨 경우에 사용자는 치수선(148)을 통해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눈금(142)의 두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내벽에는 기준선이 마련될 수 있으며 기준선과 균열과 눈금(142)이 일치될 때의 치수선(148)을 통해 균열의 폭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50)는 하우징(11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파지부(150)에 하우징(1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경우에 하우징(110)은 파지부(150)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상단부 외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111)이 형성되고, 파지부(150)의 내벽에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152)가 형성된다.
또한 파지부(150)의 상단부 중심부에는 제1 개구부(151)가 형성되며, 하우징(110)이 파지부(150)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제1 개구부(151)를 통해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 측정자(141)의 눈금(142), 기준선을 볼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52)는 파지부(150)의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며, 파지부(150)의 내벽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52)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파지부(150)의 내벽에 형성된 삽입홈(153a)에 걸림결합되고 중심부가 돌출된 탄성체(152a)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이 파지부(150)에 삽입되는 경우에 탄성체(152a)의 중심부는 가압되어 탄성체(152a)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삽입홈(153a)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탄성체(152a)의 중심부는 삽입홈(153a)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된다. 반면에 하우징(110)이 파지부(150)에 삽입 완료된 경우에 탄성체(152a)의 중심부가 가압해제되어 탄성체(152a)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삽입홈(153a)의 내부에서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탄성체(152a)의 중심부는 삽입홈(153a)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안착부(160)는 파지부(150)에 연결되며 이동통신 단말기(P)가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안착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P)가 안착되는 본체부(161)와, 일단부가 본체부(161)에 결합된 연결부재(162)와, 연결부재(162)의 타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끝단부가 제1 개구부(15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개구부(164)가 형성된 결합돌기(163)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P)를 본체부(161)에 안착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P)의 카메라를 제2 개구부(164) 및 제1 개구부(151)에 인라인되게 배치하여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과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눈금(142)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100)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하면을 균열이 발생된 구조물에 밀착시킨다. 이때 균열 측정부(140)와 확대경(120) 및 조명등(130)이 결합된 하우징(110)만을 구조물에 밀착시킬 수 있으나, 균열 측정부(140)와 확대경(120) 및 조명등(130)이 결합된 하우징(110)을 파지부(150)로 파지하고 단말기 안착부(160)에 이동통신 단말기(P)를 안착한 상태로 하우징(110)의 하면을 구조물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146)을 회전시켜 측정자(14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균열과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눈금(142)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다이얼(146)의 주변에 배치된 치수선(148)을 확인하여 균열의 폭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균열 폭 측정기 110: 하우징
111: 걸림홈 120: 확대경
130: 조명등 140: 균열 측정부
141: 측정자 142: 눈금
143: 측정자 이동부 144: 이동블록
145: 이동스크류 146: 다이얼
147: 지지부재 148: 치수선
150: 파지부 151: 제1 개구부
152: 걸림돌기 152a: 탄성체
153a: 삽입홈 160: 단말기 안착부
161: 본체부 162: 연결부재
163: 결합돌기 164: 제2 개구부

Claims (8)

  1.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를 갖는 눈금들이 상호 이격되게 표시된 측정자를 구비한 균열 측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된 확대경을 포함하며,
    상기 균열 측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측정자에 결합된 이동블록;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스크류에 결합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다이얼;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벽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측정자의 양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와 상기 이동블록은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 측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에 상기 다이얼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되,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상기 눈금의 두께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치수선들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4.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를 갖는 눈금들이 상호 이격되게 표시된 측정자를 구비한 균열 측정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된 확대경;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가 삽입되되, 중심부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벽에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외벽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며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단말기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상기 제1 개구부에 인라인되게 배치하여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과 균열의 폭에 대응되는 상기 눈금을 촬영하며,
    상기 단말기 안착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본체부;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끝단부가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파지부의 내벽에 형성된 삽입홈에 걸림결합되고 중심부가 돌출된 탄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파지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가압되어 상기 탄성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파지부에 삽입 완료된 경우에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가 가압해제되어 상기 탄성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상기 탄성체의 중심부는 상기 삽입홈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7. 삭제
  8. 삭제
KR1020210015586A 2021-02-03 2021-02-03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32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586A KR102328035B1 (ko) 2021-02-03 2021-02-03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586A KR102328035B1 (ko) 2021-02-03 2021-02-03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035B1 true KR102328035B1 (ko) 2021-11-17

Family

ID=7870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586A KR102328035B1 (ko) 2021-02-03 2021-02-03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0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48B1 (ko) * 2022-04-28 2023-05-31 (주)경동엔지니어링 비산먼지 방지 및 균열측정이 가능한 안전진단용 염화물 시료 채취기
KR102558464B1 (ko) * 2022-10-18 2023-07-25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58467B1 (ko) * 2022-10-18 2023-07-25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구조물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60A (ko) 1999-06-11 2001-01-05 이계철 확대경과 조명이 부착된 균열폭 측정자
KR20040103884A (ko) * 2004-11-19 2004-12-09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감리업무용 콘크리트 균열 측정기
KR100788230B1 (ko) * 2007-04-25 2007-12-26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구조물 점검용 휴대용균열측정기
KR101439282B1 (ko) * 2014-06-23 2014-09-12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정착대를 이용한 스마트폰 결합형 구조물 균열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60A (ko) 1999-06-11 2001-01-05 이계철 확대경과 조명이 부착된 균열폭 측정자
KR20040103884A (ko) * 2004-11-19 2004-12-09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감리업무용 콘크리트 균열 측정기
KR100788230B1 (ko) * 2007-04-25 2007-12-26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구조물 점검용 휴대용균열측정기
KR101439282B1 (ko) * 2014-06-23 2014-09-12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정착대를 이용한 스마트폰 결합형 구조물 균열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48B1 (ko) * 2022-04-28 2023-05-31 (주)경동엔지니어링 비산먼지 방지 및 균열측정이 가능한 안전진단용 염화물 시료 채취기
KR102558464B1 (ko) * 2022-10-18 2023-07-25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58467B1 (ko) * 2022-10-18 2023-07-25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구조물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03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328037B1 (ko)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1765804B1 (ko) 원거리 구조물의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한 다굴절용 측정장치
US9813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cell phones
KR100788230B1 (ko) 구조물 점검용 휴대용균열측정기
CN103776396B (zh) 平面度检测装置
KR101723095B1 (ko) 교체가 용이한 프로브 장치
KR102274810B1 (ko)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
CN209043536U (zh) 橡胶检测治具和检测装置
JP2017197897A (ja) ワイヤ上のパルプ材料の含水量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器具
CN207688826U (zh) 棱镜测量治具及棱镜测量系统
KR101003389B1 (ko) 압착형배관용 검사게이지
KR100568264B1 (ko)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측정기
CN210533914U (zh) 一种便携式里氏硬度计
CN211317387U (zh) 一种建筑幕墙安全鉴定机器人
CN214372167U (zh) 一种涂层测厚仪
KR200342887Y1 (ko)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측정기
CN219037876U (zh) 一种手机电池盖平面度检具
KR102558467B1 (ko) 구조물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CN210374950U (zh) 一种内孔锥度检测装置
CN211042128U (zh) 一种自动校准的气动测量仪
KR102558469B1 (ko) 안전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58464B1 (ko)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CN209877882U (zh) 一种电池盒检具
JP3193277U (ja) 分光光度計用積分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