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285B1 - 레이들 - Google Patents

레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285B1
KR101765285B1 KR1020150047781A KR20150047781A KR101765285B1 KR 101765285 B1 KR101765285 B1 KR 101765285B1 KR 1020150047781 A KR1020150047781 A KR 1020150047781A KR 20150047781 A KR20150047781 A KR 20150047781A KR 101765285 B1 KR101765285 B1 KR 101765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ladle body
blocking
outlet
l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414A (ko
Inventor
유승진
Original Assignee
유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진 filed Critical 유승진
Priority to KR102015004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28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B22D43/001Retaining slag during pour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22D41/05Tea-pot spout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들 몸체와; 상기 레이들 몸체의 내부로 용탕이 담겨지는 공간이 제공되는 용탕 저장부와; 상기 용탕 저장부에 담겨진 용탕이 배출되도록 레이들 몸체의 외부로 구비된 용탕 배출구; 및 상기 용탕 배출구의 입구측에 구비된 슬래그 차단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형틀에 알루미늄 용탕을 붓는 과정에서 슬래그가 제거된 순수한 용탕만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를 통해 주조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레이들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가운데 용량을 늘여 연속적인 주조작업이 이루어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들{LADLE}
본 발명은 레이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탕 저장부에 담겨진 알루미늄 용탕이 레이들 몸체를 기울임과 동시에 외부로 흘러 주형틀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용탕의 상부로 덮혀져 있는 슬래그가 슬래그 차단부에 의하여 용탕과 같이 배출되지 않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은 다양한 기계장치의 부품 소재로 사용되는 가운데 강도 향상을 위해 경금속들과 합금하여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은 용해로에서 용융(용탕)시킨 후 레이들을 이용하여 주형틀에 부어 성형하는 주조법에 의해 생산되거나, 압력을 가하는 다이캐스팅 주조법에 의해 생산되고 있으며, 용해시 알루미늄의 산화로 발생하는 불순물인 슬래그 및 가스의 유입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지니는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레이들은 용해로에서 용해된 알루미늄 용탕을 주형틀에 붓기 위해 운반하는 것으로 내부의 저장공간부를 갖는 용기 및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등의 이동구로 구성되어 있다.
레이들의 저장공간부에 알루미늄 용탕이 담겨진 상태에서는 알루미늄 용탕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는 슬래그가 덮혀져 있음으로써, 레이들을 기울여 주형틀에 알루미늄 용탕을 붓는 과정에서 순수한 용탕만 주입되지 않고, 슬래그가 같이 주입되어 주조결함으로 이어져 순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강도가 저하되고, 이를 통해 외관의 흠이 생기는 등의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10-1209203호 (2012.11.30)가 제안되었으나, 용해로에서 용융된 알루미늄 용탕을 레이들에 담아 옮길 때 레버를 오무려 안내봉에 지지된 마개를 갖는 지지대가 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편을 따라 용탕 유입공을 오픈시키 용기의 내부로 알루미늄 용탕이 유입되도록 하고, 용탕 유입공을 폐쇄시켜 용기의 내부로 유입된 알루미늄 용탕이 외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주행틀에 레이들의 용탕 유입공을 근접시킨 다음 레버를 다시 오무림과 동시에 마개가 오픈됨으로써, 용탕 유입공을 통해 용해된 알루미늄 용탕이 배출되어 주형틀에 주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들은 주형틀에 슬래그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나 작업자가 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주형틀의 용량이 작은 것에만 가능할 뿐 연속작업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용기로 내부로 알루미늄 용탕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레버, 마개 및 가이드편 등이 소요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하며, 이로 인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09203호(2012.11.30)
본 발명은 레이들을 기울여 주형틀에 알루미늄 용탕을 붓는 과정에서 슬래그가 제거된 순수한 용탕만이 주입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주조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용탕의 순도를 높여 높은 강도가 유지되며, 표면에 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가운데 용량을 늘여 연속적인 주조작업이 이루어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레이들 몸체(10)와; 상기 레이들 몸체(10)의 내부로 용탕이 담겨지는 공간이 제공되는 용탕 저장부(20)와; 상기 용탕 저장부(20)에 담겨진 용탕이 배출되도록 레이들 몸체(10)의 외부로 구비된 용탕 배출구(30); 및 상기 용탕 배출구(30)의 입구측에 구비된 슬래그 차단부(40)로 구비되고, 상기 슬래그 차단부(40)는 수직된 차단몸체(41)의 양측 단부에 수직 가이드홈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홈부(42)와 대응되는 용탕 저장부(20)의 양측 내벽에 수직 가이드철부(43)가 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철부(43)의 하부에 받침턱(4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들 몸체(10)는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에 둘레를 따라 구비된 보강테(11)와; 상기 레이들 몸체(10)의 외측인 양측에 구비된 힌지 러그(12); 및 상기 레이들 몸체(10)의 용탕 배출구(30) 양측 모서리에 구비된 러그홀(131)을 갖는 러그편(13)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탕 저장부(20)는 레이들 몸체(10)의 바닥에서 용탕 배출구(30)를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각(α)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탕 배출구(30)는 상부가 용탕 저장부(20)의 폭(W)에 대하여 1/2의 배출폭(W')이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하부가 레이들 몸체(10)의 바닥에서 전방을 향하여 높아지는 형태를 갖는 용탕 배출유로(31)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탕 배출유로(31)는 단부에 만곡형태를 갖는 차단턱(31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래그 차단부(40)는 수직된 차단몸체(41)의 양측 단부가 용탕 저장부(20)의 양측 내벽에 맞닿으며, 상기 차단몸체(41)의 전면이 용탕 배출구(30)가 시작되는 용탕 저장부(20)의 내측면에 맞닿고, 상기 차단몸체(41)의 하부가 용탕 배출구(30)의 내측면에서 간격(D)이 형성되게 이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몸체(41)는 평판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여 두께(T)가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몸체(41)는 하부 양측에 스페이서편(411)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몸체(41)는 하단의 전방측 모서리가 용탕 배출구(3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모서리 레스부(4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용탕 저장부에 담겨진 알루미늄 용탕이 레이들 몸체를 기울임과 동시에 외부로 흘러 주형틀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용탕의 상부로 덮혀져 있는 슬래그가 슬래그 차단부에 의하여 알루미늄 용탕과 같이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형틀에 알루미늄 용탕을 붓는 과정에서 슬래그가 제거된 순수한 아루미늄 용탕만이 주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주조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알루미늄 용탕의 순도를 높여 높은 강도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제품의 표면에 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레이들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가운데 용량을 늘여 연속적인 주조작업이 이루어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의 분해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이 기울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이 기울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들 몸체(10), 용탕 저장부(20), 용탕 배출구(30) 및 슬래그 차단부(40)로 이루어진 것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레이들 몸체(10)의 내부로 용탕 저장부(20)가 형성되어 용융된 알루미늄 용탕이 담겨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레이들 몸체(10)의 외부인 일측 또는 전면측에 용탕 배출구(30)가 용탕 저장부(20)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레이들 몸체(10)의 외부로 용탕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탕 배출구(30)의 입구측에 슬래그 차단부(40)가 구비되어 용탕 상부로 덮혀 있는 슬래그(S)가 용탕 배출구(30)를 통해 배출되는 용탕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레이들 몸체(10)는 보강테(11)가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에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용탕 저장부(20)에 담겨진 용탕의 열과 무게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이들 몸체(10)의 외측인 양측에는 각각 힌지 러그(12)가 구비되어 미도시한 리프팅구에 의하여 작업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레이들 몸체(10)의 용탕 배출구(30) 양측 모서리에 각각 러그홀(131)을 갖는 러그편(13)이 구비되어 힌지 러그(12)와의 조합되는 작동력에 의하여 레이들 몸체(10)의 기울기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되어 용탕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용탕 저장부(20)는 레이들 몸체(10)의 바닥에서 용탕 배출구(30)를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각(α)을 갖도록 하여 레이들 몸체(10)를 약간만 기울이더라도 용탕 저장부(20)내의 용탕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잔류되는 용탕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용탕 배출구(30)는 상부가 용탕 저장부(20)의 폭(W)에 대하여 1/2의 배출폭(W')이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가운데 하부가 레이들 몸체(10)의 바닥에서 전방을 향하여 높아지는 형태를 갖는 용탕 배출유로(31)가 형성되도록 하여 레이들 몸체(10)를 기울이는 과정에서 주변과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용탕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탕 배출유로(31)는 단부에 만곡형태를 갖는 차단턱(311)이 형성되어 용탕이 용탕 배출유로(31)의 단부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낙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급격한 와류현상을 방지하여 주형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슬래그 차단부(40)는 용융된 알루미늄에 있어 비중 차이로 인하여 상부로 덮혀져 있는 슬래그가 용탕과 혼합된 상태에서 주형틀로 주입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수직된 차단몸체(41)의 양측 단부가 용탕 저장부(20)의 양측 내벽에 맞닿고, 상기 차단몸체(41)의 전면이 용탕 배출구(30)가 시작되는 용탕 저장부(20)의 내측면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용탕의 일부가 용탕 배출구(30)로 배출 또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몸체(41)의 하부는 용탕 배출구(30)의 내측면인 바닥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소정 간격(Distance;D)이 형성되게 이격됨으로써, 차단몸체(41)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로 형성된 간격(D)을 통해 용탕 저장부(20)에 담겨진 알루미늄 용탕의 내부 즉, 속에 있는 것부터 배출되어 주형틀에 주입된다.
상기 차단몸체(41)는 평판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여 두께(T)가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용탕 저장부(20)의 바닥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는 열과 압력에 충분하게 견딜 수 있게 형성되며, 차단몸체(41)의 표면에 잔류된 용탕이 바닥으로 더 잘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차단몸체(41)는 하단의 전방측 모서리가 용탕 배출구(3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모서리 레스부(412)가 형성되어 배출유로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융된 알루미늄을 예로 들었으나, 이러한 아루미늄 이외에 용융된 강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단몸체(41)의 하부가 용탕 배출구(30)의 바닥으로부터 간격(D)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이를 위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몸체(41)의 하부 양측에 소정 길이 또는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편(411)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페이서편(411)의 길이 또는 높이에 의하여 간격(D)이 정해지며, 차단몸체(41)를 용방 배출구(30)에 끼워 넣는 것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단몸체(41)의 양측 단부가 용탕 저장부(20)의 양측 내벽에 단순히 맞닿는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몸체(41)의 양측 단부에 수직 가이드홈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가이드홈부(42)와 대응되는 용탕 저장부(20)의 양측 내벽에 수직 가이드철부(43)가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끼워 맞춤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조립 이후 차단몸체(41)가 용탕 저장부(20)의 내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가이드철부(43)의 하부에 받침턱(431)이 형성되어 차단몸체(41)의 하부가 용탕 배출구(3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레이들 몸체 11:보강테
12:힌지 러그 13:러그편
20:용탕 저장부 30:용탕 배출구
31:용탕 배출유로 40:슬래그 차단부
41:차단몸체 42:수직 가이드홈부
43:수직 가이드철부 131:러그홀
311:차단턱 411:스페이서편
412:모서리 레스부 431:받침턱

Claims (10)

  1. 레이들 몸체(10)와;
    상기 레이들 몸체(10)의 내부로 용탕이 담겨지는 공간이 제공되는 용탕 저장부(20)와;
    상기 용탕 저장부(20)에 담겨진 용탕이 배출되도록 레이들 몸체(10)의 외부로 구비된 용탕 배출구(30); 및
    상기 용탕 배출구(30)의 입구측에 구비된 슬래그 차단부(40)로 구비되고,
    상기 슬래그 차단부(40)는 수직된 차단몸체(41)의 양측 단부에 수직 가이드홈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홈부(42)와 대응되는 용탕 저장부(20)의 양측 내벽에 수직 가이드철부(43)가 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철부(43)의 하부에 받침턱(4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 몸체(10)는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에 둘레를 따라 구비된 보강테(11)와;
    상기 레이들 몸체(10)의 외측인 양측에 구비된 힌지 러그(12); 및
    상기 레이들 몸체(10)의 용탕 배출구(30) 양측 모서리에 구비된 러그홀(131)을 갖는 러그편(13)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저장부(20)는 레이들 몸체(10)의 바닥에서 용탕 배출구(30)를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각(α)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배출구(30)는 상부가 용탕 저장부(20)의 폭(W)에 대하여 1/2의 배출폭(W')이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하부가 레이들 몸체(10)의 바닥에서 전방을 향하여 높아지는 형태를 갖는 용탕 배출유로(31)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배출유로(31)는 단부에 만곡형태를 갖는 차단턱(31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차단부(40)는 수직된 차단몸체(41)의 양측 단부가 용탕 저장부(20)의 양측 내벽에 맞닿으며, 상기 차단몸체(41)의 전면이 용탕 배출구(30)가 시작되는 용탕 저장부(20)의 내측면에 맞닿고, 상기 차단몸체(41)의 하부가 용탕 배출구(30)의 내측면에서 간격(D)이 형성되게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몸체(41)는 평판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여 두께(T)가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몸체(41)는 하부 양측에 스페이서편(411)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몸체(41)는 하단의 전방측 모서리가 용탕 배출구(3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모서리 레스부(4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
  10. 삭제
KR1020150047781A 2015-04-03 2015-04-03 레이들 KR101765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781A KR101765285B1 (ko) 2015-04-03 2015-04-03 레이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781A KR101765285B1 (ko) 2015-04-03 2015-04-03 레이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14A KR20160119414A (ko) 2016-10-13
KR101765285B1 true KR101765285B1 (ko) 2017-08-11

Family

ID=5717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781A KR101765285B1 (ko) 2015-04-03 2015-04-03 레이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4158A (zh) * 2018-08-20 2018-12-18 广德亚太汽车智能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利于挡渣的浇注包
CN109014161A (zh) * 2018-08-28 2018-12-18 广德亚太汽车智能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高效出料浇注包组件
CN109014159A (zh) * 2018-08-28 2018-12-18 广德亚太汽车智能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防渣式浇注包
CN111390154A (zh) * 2020-04-24 2020-07-10 宁波微泰真空技术有限公司 一种去除超高纯铜或铜合金铸锭内部夹杂的方法
CN111496228A (zh) * 2020-06-22 2020-08-07 浙江天能电池(江苏)有限公司 一种可清除铅渣的板栅浇铸下铅工装
CN113061747A (zh) * 2021-03-16 2021-07-02 兰溪市博远金属有限公司 一种减少熔炼铝锭表面浮渣的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6785A (ja) * 2010-03-29 2011-10-20 Sintokogio Ltd 鋳造方法、その砂型、およびその鋳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203B1 (ko) 2011-04-15 2012-12-06 임정택 슬래그 유입방지수단이 구비된 용탕 이송레이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6785A (ja) * 2010-03-29 2011-10-20 Sintokogio Ltd 鋳造方法、その砂型、およびその鋳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14A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285B1 (ko) 레이들
WO2011089711A1 (ja) 傾斜式重力鋳造装置
ES2433365T3 (es) Aparato de colada de aleación
US10279389B2 (en) Mold for producing ingots and bars made of precious metal
JP2017506584A (ja) 金属を鋳造するための取鍋シュラウド、取鍋シュラウドを取鍋に結合するための結合組立品のための部品のキット、金属鋳造設備及び結合方法
KR101930749B1 (ko) 노즐 및 주조방법
CN102814492B (zh) 用于熔融金属的钢包
KR100986053B1 (ko) 용강 주조용 웰블럭
CN109014161A (zh) 一种高效出料浇注包组件
CN208787520U (zh) 一种高效出料浇注包组件
JPS597540B2 (ja) 融解金属注入装置
KR101349917B1 (ko) 침적 개공용 쉬라우드 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
KR20120117451A (ko) 슬래그 유입방지수단이 구비된 용탕 이송레이들
KR101891160B1 (ko) 연속주조 설비의 컬렉터 노즐용 실링 개스킷
FR2540759A1 (fr) Glissiere perfectionnee equipant une poche de coulee ou conteneur analogue
JP5195609B2 (ja) タンディッシュの熱間再使用方法
JP2000094116A (ja) 金属の上り勾配の低圧鋳込みのための装置
KR101518585B1 (ko) 서트 실린더의 록킹장치
KR102171088B1 (ko)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KR102278522B1 (ko) 턴디쉬 퍼넬
RU2691021C2 (ru) Разли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а из промковша в изложницы
CN220739466U (zh) 一种挡渣浇口杯
KR101616747B1 (ko) 모합금 제조용 주형
JP7425949B2 (ja) 残湯収容容器
KR101767760B1 (ko) 용융금속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