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088B1 -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088B1
KR102171088B1 KR1020180131912A KR20180131912A KR102171088B1 KR 102171088 B1 KR102171088 B1 KR 102171088B1 KR 1020180131912 A KR1020180131912 A KR 1020180131912A KR 20180131912 A KR20180131912 A KR 20180131912A KR 102171088 B1 KR102171088 B1 KR 10217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ealing member
nozzles
molten metal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075A (ko
Inventor
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3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088B1/ko
Priority to PCT/KR2019/013910 priority patent/WO2020091288A1/ko
Publication of KR2020004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02Connection arrangemen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노즐 내부의 이동경로와 연통될 수 있는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노즐; 및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압력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노즐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용융금속의 이동경로에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MOLTEN METAL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금속의 이동경로에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 설비는 제강 공정에서 생산된 용강을 래들에 담아 이송하고, 쉬라우드 노즐을 이용하여 래들에서 턴디쉬로 용강을 주입한 후,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용강을 공급하여 원하는 크기의 주편으로 연속 생산하는 설비이다. 쉬라우드 노즐은 래들 하부에 구비되는 콜렉터 노즐과 턴디쉬를 연결시켜, 래들에서 턴디쉬로 주입되는 용강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터 노즐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쉬라우드 노즐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쉬라우드 노즐이 외기에 의해 산화되어 강도가 저하되고,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터 노즐 사이의 틈새가 확장될 수 있다. 쉬라우드 노즐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래들에서 턴디쉬로 공급되는 용강을 산화시켜 개재물을 발생시킬 수 있고, 용강의 청정도를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터 노즐 사이의 틈새로 아르곤 가스를 공급하였다. 따라서, 아르곤 가스가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터 노즐 사이의 틈새에 채워져, 외기가 쉬라우드 노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아르곤 가스가 쉬라우드 노즐 내부로 유입되어 용강과 함께 턴디쉬로 공급된다. 이러한 아르곤 가스는 턴디쉬 내 용강에서 상승하여 나탕을 발생시킨다. 이에, 턴디쉬 내에서 용강의 상부를 덮는 슬래그가 나탕에 의해 파손되어 용강이 턴디쉬 내부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이 턴디쉬 내부공간의 공기와 접촉하여 재산화되고, 용강의 청정도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KR 2003-0050515 A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된 노즐들 사이의 틈새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즐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노즐 내부의 이동경로와 연통될 수 있는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노즐; 및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압력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노즐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노즐들의 외측을 향하는 단부에서 상기 노즐들의 내측을 향하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노즐들의 벽체와 접촉할 수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상기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돌출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벌어질 수 있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 상에 밀폐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밀폐액 공급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노즐들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폭이 좁아진다.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밀폐부재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노즐은 턴디쉬에 용융금속인 용강을 주입하는 쉬라우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노즐은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에 설치되는 콜렉터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 노즐과 제2 노즐 사이에 밀폐부재를 설치하는 과정; 상기 노즐들 내부로 용융금속을 이동시켜, 상기 노즐들의 내부와 연결된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과정; 및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이동시켜,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노즐들의 벽체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밀폐부재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밀폐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시키는 과정은, 상기 노즐들의 벽체에 상기 밀폐부재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밀폐부재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과정; 및 상기 마찰력으로 상기 밀폐부재를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을 결합한 후, 상기 노즐들 사이로 밀폐액을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밀폐부재 상에 밀폐액을 채우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 상에 밀폐액을 채우는 과정은, 상기 밀폐액으로 상기 밀폐부재를 냉각하는 과정; 및 상기 밀폐액으로 상기 노즐들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노즐들의 벽체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노즐들 내부로 용융금속을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을 분리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 사이에 설치된 밀폐부재를 다른 밀폐부재로 교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로 결합된 노즐들 사이의 틈새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노즐 내부를 통과하는 용융금속이 외부의 가스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에 의해 용융금속에 버블링이 발생하여 산화되거나, 용융금속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용융금속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노즐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조장치는, 래들(10), 용융금속 공급장치(100), 노즐 장착장치(30), 턴디쉬(40), 주형(50), 및 냉각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조장치는, 용강을 주형(50)에 연속하여 주입하고, 반응고된 주편을 주형(50)의 하부에서 연속하여 인출시켜 빌렛, 블룸, 슬라브 등의 주편을 얻는 연속 주조설비일 수 있다.
래들(10)은 원통형의 용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들(10)의 내부에는 용강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래들(10)의 하부에는 용강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래들(10)은 래들 터렛(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래들 터렛은 턴디쉬(40) 상측에 배치되는 래들(10)을 교체해줄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래들(10)에 수용된 용강이 턴디쉬(40)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래들(10)의 구조와 형상, 및 래들(10)이 지지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래들(10)과 턴디쉬(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래들(10)에 저장된 용강을 턴디쉬(40)로 공급해줄 수 있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턴디쉬(4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노즐(110), 및 래들(10)의 하부에 연결되고 제1 노즐(110)과 결합될 수 있는 제2 노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융금속 공급장치는 용융금속을 저장하는 다양한 용기들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노즐 장착장치(30)는 제1 노즐(11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노즐 장착장치(30)는 제1 노즐(110)을 전후좌우 및 상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노즐 장착장치(30)로 제1 노즐(110)을 제2 노즐(120) 하측에 이동시킨 후 제1 노즐(110)을 상승시키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이 결합될 수 있다. 노즐 장착장치(30)로 제1 노즐(110)을 제2 노즐(120)로부터 이격시키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이 분리될 수 있다.
턴디쉬(40)는 래들(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턴디쉬(40)는 용강이 저장될 수 있는 용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턴디쉬(40)의 상부는 개방되고, 턴디쉬(40)의 바닥면에는 용강이 배출되는 출강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턴디쉬(40)의 상부에는 턴디쉬 커버(41)가 설치되고, 턴디쉬(40)의 하부에는 턴디쉬(40)의 하부에 침지노즐(42)이 연결될 수 있다.
턴디쉬 커버(41)는 턴디쉬(40)의 개구부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턴디쉬 커버(41)가 턴디쉬(40)의 상부를 덮어줄 수 있다. 이때, 턴디쉬 커버(41)에는 제1 노즐(11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구비될 수 있다.
침지노즐(4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침지노즐(42)은 상단부가 턴디쉬(40) 바닥면에 형성된 출강구와 연결되고, 하단부가 주형(5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출강구를 통해 침지노즐(42) 내부로 유입된 용강이 주형(5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주형(50)으로 공급되는 용강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턴디쉬(40)의 출강구를 개폐하는 스토퍼(미도시)가 턴디쉬(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스토퍼의 작동을 제어하여 침지노즐(42)을 통해 주형(50)으로 공급되는 용강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턴디쉬(40)와 침지노즐(42)에는 슬라이딩 게이트(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게이트는 침지노즐(42) 내부에 형성된 용강의 이동경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슬라이딩 게이트의 작동을 제어하여 턴디쉬(40)에서 주형(50)으로 용강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주형(50)은 턴디쉬(4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주형(50)은 용강을 응고시켜 금속 제품의 외관을 결정하는 틀일 수 있다. 주형(5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2개의 장변 플레이트와, 2개의 장변 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2개의 단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 플레이트들과 단변 플레이트들 사이의 용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주형(50)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장변 플레이트들과 단변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주형(50) 내부로 공급된 용강이, 주형(50) 내부를 이동하는 냉각수에 의해 더 용이하게 응고될 수 있다.
냉각대는 주형(5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대는 주편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면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60), 및 이송롤러(60)에 의해 이동하는 주편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냉각대는 주형(50)으로부터 인발되는 주편을 2차로 냉각시켜, 주편이 완전한 고체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노즐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용기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다른 장비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제1 노즐(110), 제2 노즐(120), 및 밀폐부재(130)를 포함한다. 이때, 용기는 래들일 수 있고, 용융금속은 용강일 수 있다.
제1 노즐(1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노즐(110)의 내부에는 용강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즐(110)은 중공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노즐(110)의 상단부에는 제2 노즐(12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11)가 형성되고, 제2 노즐(120)의 하단부에는 용강이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용강이 제1 노즐(110)을 상하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제1 노즐(110)은 턴디쉬(40)에 용강을 주입하는 쉬라우드 노즐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즐(110)은 노즐 장착장치(30)에 의해 제2 노즐(120)의 하측에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노즐(110)은 내부에 용융금속을 이동시키는 다양한 노즐일 수 있다.
또한, 제1 노즐(110)에 형성된 삽입구(11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노즐(110)의 상부 벽체는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111)의 내경이 제일 큰 부분은, 제2 노즐(120)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노즐(120)이 제1 노즐(110)의 삽입구(11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노즐(1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노즐(120)의 내부에는 용융금속이 이동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노즐(120)은 중공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노즐(120)의 상단부는 래들(10)의 배출구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1 노즐(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에 형성되는 이동경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 내부의 용강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여 턴디쉬(4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2 노즐(120)은 콜렉터 노즐일 수 있다. 이에, 제2 노즐(120)은 래들(10)에 설치되어 래들(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을 턴디쉬(40) 상측에 위치시키면, 제2 노즐(120)은 제1 노즐(1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노즐(120)은 내부에 용융금속을 이동시키는 다양한 노즐일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120)의 하단부의 외형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노즐(120)의 하단부 벽체의 두께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노즐(120)의 하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노즐(120)의 하단부 직경은 제1 노즐(110)의 삽입구(111)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1 노즐(110)을 제2 노즐(120)에 결합시킬 때, 제1 노즐(110)의 삽입구(111)에 제2 노즐(120)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노즐(120)을 제1 노즐(110)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제1 노즐(110)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이 결합되어, 제1 노즐(110) 내부의 용강 이동경로와, 제2 노즐(120) 내부의 용강 이동경로가 연통될 수 있다.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는 틈새(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밀폐부재(130)가 노즐들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노즐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격공간은 제1 노즐(110)의 삽입구(111)를 형성하는 벽체와, 제2 노즐(120)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격공간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의 벽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의 벽체에 구비되는 경사면에 의해, 노즐들 사이의 이격공간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이격공간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노즐들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모든 경우, 밀폐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부재(130)는 제2 노즐(120)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도록 O-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밀폐부재(130)가 제1 노즐(110)의 삽입구(111)를 형성하는 벽체에 안착될 수도 있다. 이에, 제2 노즐(120)의 하단부가 제1 노즐(110)의 삽입구(111) 내에 삽입되면, 밀폐부재(130)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 끼일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30)는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 공간의 압력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노즐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들 내부에 형성된 용강의 이동경로와 밀폐부재(130) 사이의 공간(이하, 일측 공간(S1)) 압력이, 노즐들의 외측과 밀폐부재(130) 사이의 공간(이하, 타측 공간(S2))의 압력보다 작아지면, 밀폐부재(130)가 압력이 작아진 일측 공간(S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노즐들의 내부와 연결된 일측 공간(S1)의 압력이, 노즐들의 외부와 연결된 타측 공간(S2)의 압력보다 작아지면, 밀폐부재(130)가 일측 공간(S1) 측으로 빨려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타측 공간(S2)의 부피는 증가하고, 일측 공간(S1)의 부피는 감소할 수 있다.
이때, 밀폐부재(13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부재(130)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일측 공간(S1)으로 이동할 때, 일측 공간(S1)의 압력에 의해 밀폐부재(130)가 변형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변형되면서, 노즐들의 벽체와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3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증가하여, 일측 공간(S1) 측으로 이동하던 밀폐부재(130)가 정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밀폐부재(13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30)에서 노즐들 내부의 용강 이동경로를 향하는 일단이, 밀폐부재(130)에서 노즐들 외측의 대기를 향하는 타단보다 폭이 작을 수 있다. 즉, 밀폐부재(130)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부재(130)의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의 타단 폭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 공간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밀폐부재(130)의 일단 폭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 공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30)의 타단은 노즐들의 벽체와 접촉하고, 일단은 노즐들의 벽체와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의 공간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노즐들의 외측에서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는 노즐들 사이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노즐들 사이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노즐들 사이에 밀폐부재(130)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노즐들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의 공간이 하향 경사지기 때문에, 밀폐부재(130)가 일측 공간(S1) 측으로 이동할 때, 경사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수평선(또는, 턴디쉬(4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제1 노즐(110)의 벽체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각도(α)가, 제2 노즐(120)의 하단부 벽체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각도(β)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의 공간이, 노즐들의 외측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일측 공간(S1) 측으로 이동하려고 할수록 밀폐부재(130)와 노즐들 벽체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밀폐부재(130)가 노즐들의 벽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몸체(131), 및 돌기(132)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131)와 돌기(132)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131)는 노즐들의 벽체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몸체(131)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몸체(131)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서 이동하면, 몸체(131)와 노즐들의 벽체의 접촉면에서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돌기(132)는 몸체(131)에서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돌출된다. 돌기(132)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기(132a)와 제2 돌기(13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돌기(132a)는 일단이 몸체(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노즐들 내부의 용강 이동경로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기(132a)는 제2 노즐(120)의 벽체와 제2 돌기(13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돌기(132a)는 제2 노즐(120)의 벽체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1 돌기(132a)는 제2 노즐(120) 벽체와 이격되는 거리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제2 돌기(132b)는 일단이 몸체(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노즐들 내부의 용강 이동경로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기(132b)는 제1 노즐(110)의 벽체와 제1 돌기(13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기(132b)는 제1 노즐(110)의 벽체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2 돌기(132b)는 제1 노즐(110) 벽체와 이격되는 거리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공간(S1)의 압력이 타측 공간(S2)의 압력보다 작아지면, 도 4과 같이 제1 돌기(132a)는 일측 공간(S1) 측을 향해서 말려 들어가면서 제2 노즐(120)의 벽체를 향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돌기(132b)는 일측 공간(S1) 측을 향해서 말려 들어가면서 제1 노즐(110)의 벽체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1 돌기(132a)와 제2 돌기(132b)가 밀폐부재(13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제1 돌기(132a)와 제2 돌기(132b) 사이가 벌어지면, 밀폐부재(130)와 노즐들의 벽체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3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고, 노즐들 내부에서 이동하던 밀폐부재(130)가 증가되는 마찰력에 의해 노즐들 사이의 공간에 용이하게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노즐들 내부의 용강 이동경로까지 이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밀폐부재(130)에서 노즐들의 벽체와 접촉하는 부분는 부분은 마찰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밀폐부재(130)에서 노즐들의 벽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일측 공간(S1)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그러나 밀폐부재(130)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측 공간(S1) 측으로 당겨지는 밀폐부재(130)의 일부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밀폐부재(13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의 틈새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노즐들 내부를 통과하는 용강이 외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이 산화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30)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노즐들을 통과하는 용강에 불활성 가스가 혼입되는 방지할 수 있고, 턴디쉬(40)로 공급된 용강에 나탕(또는, 버블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턴디쉬(40) 내에서 용강의 상부를 덮는 슬래그가 나탕에 의해 파손되어 용강이 턴디쉬 내부공간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밀폐액 공급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30)와 밀폐액(A)이 이중으로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액 공급기(140)는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로 밀폐액(A)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노즐들 내부에 설치되는 밀폐부재(130) 상으로 밀폐액(A)이 공급되어 채워질 수 있다. 밀폐액 공급기(140)는 저장부재(141), 공급라인(142), 및 제어밸브(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재(141)는 턴디쉬(40)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부재(141)는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재(141)의 내부에는 밀폐액(A)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액(A)은 오일(Oil)일 수 있다. 밀폐액(A)으로 사용되는 오일의 기화점은 섭씨 1000도 이상일 수 있다. 이에,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 공급된 밀폐액(A)이 노즐들 내부를 통과하는 용강의 열에 의해 기화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공급라인(142)은 내부에 밀폐액(A)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공급라인(142)은 일단이 저장부재(141)에 연결되고, 타단에 밀폐액(A)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저장부재(141)에 저장된 밀폐액(A)이 공급라인(142)을 통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밸브(143)는 공급라인(142)에 구비된다. 제어밸브(143)는 공급라인(142)이 형성하는 밀폐액(A)의 이동경로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제어밸브(143)의 작동을 제어하여 밀폐액(A)이 공급되는 시점이나, 밀폐액(A) 공급이 중단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고, 밀폐액(A)이 공급되는 양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밀폐액 공급기(140)의 구조나 밀폐액을 공급해주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노즐들의 외측을 향하는 밀폐부재(130)의 일측 상에 공급된 밀폐액(A)은, 용강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밀폐액(A)은 노즐들의 벽체와 밀폐부재(130) 사이를 차단할 수 있고, 노즐들의 벽체 표면의 기공을 피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를 더 효과적으로 밀폐시켜, 외기가 노즐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노즐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액(A)은 밀폐부재(130)의 열을 흡수하여 밀폐부재(130)를 냉각시켜줄 수 있다. 이에, 용강이 노즐들 내부를 이동할 때, 밀폐부재(130)가 용강의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의 내구성과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 6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스토퍼(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밀폐부재(130)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의 내부까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50)는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노즐(110) 또는 제2 노즐(120)의 벽체에서, 노즐들 사이의 공간을 향해서 돌출되어 스토퍼(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스토퍼(150)가 노즐들 사이의 밀폐부재(130)가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노즐들 사이에서 이동하다가 밀폐부재(130)에 걸리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50)는 밀폐부재(130)의 노즐들의 벽체와 이격되는 부분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각각에 스토퍼(150)가 구비되는 경우, 제1 노즐(110)에 스토퍼(150)는 밀폐부재(130)의 제2 돌기(132b)와 접촉할 수 있고, 제2 노즐(120)에 구비된 스토퍼(150)는 밀폐부재(130)의 제1 돌기(132a)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일측 공간(S1)의 압력과 타측 공간(S2)의 압력 차에 의해 이동하던 밀폐부재(130)가 스토퍼(150)들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정지될 수 있다.
이때, 밀폐부재(130)는 일측 공간(S1)의 압력에 의해 스토퍼(150)들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노즐들 사이의 틈새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노즐들 사이의 공간이 밀폐부재(130)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150)는 밀폐부재(130)의 이동을 제한하여, 밀폐부재(130)가 노즐들의 내부까지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30)가 노즐들 내부를 통과하는 용강에 너무 많이 근접해지거나 용강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용강의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밀폐부재(130)의 내구성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밀폐부재(130)가 노즐들 사이의 틈새를 더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용융금속 공급방법은 용기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다른 장비에 공급해주는 방법이다. 용융금속 공급방법은, 제1 노즐과 제2 노즐 사이에 밀폐부재를 설치하는 과정, 노즐들 내부로 용융금속을 이동시켜, 노즐들의 내부와 연결된 노즐들 사이 공간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과정, 및 밀폐부재를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이동시켜, 밀폐부재를 노즐들의 벽체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기는 래들일 수 있고, 용융금속은 용강일 수 있고, 용융금속 공급방법은 래들에 저장된 용강을 턴디쉬에 공급해주는 방법일 수 있다.
우선,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 밀폐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제2 노즐(120)의 하단부에 끼워지거나, 제1 노즐(110)의 삽입구(111)를 형성하는 벽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제1 노즐(110)의 삽입구(111)에 제2 노즐(120)의 하단부를 삽입하면, 밀폐부재(130)가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을 결합한 후, 노즐들 사이로 밀폐액(A)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액 공급기(140)를 이용하여 노즐들 사이의 공간으로 밀폐액(A)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 밀폐부재(13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밀폐액(A)은 밀폐부재(130) 상에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밀폐액(A)이 밀폐부재(130)와 함께 노즐들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외기가 노즐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밀폐부재(130) 상에 채워진 밀폐액(A)은 밀폐부재(130)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에 가해지는 열이 밀폐액(A)으로 전달되어 밀폐부재(13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즉, 밀폐부재(13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30)가 노즐들 내부를 통과하는 용강의 열에 의해 손상되는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은 용강의 열을 견디기 위해 내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에는 기공이 형성된다. 그러나 노즐들 사이로 공급된 밀폐액이 노즐들에 형성된 기공에도 채워져, 노즐들의 기공까지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액에 의해 노즐들 사이가 더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그 다음, 래들(10)에 수용된 용강을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을 통해 턴디쉬(4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노즐들 내부를 통과하는 용강에 의해, 노즐들 내부의 용강 이동경로와 연결되는 일측 공간(S1)의 압력이, 노즐들의 외부와 연결되는 타측 공간(S2)의 압력보다 작아질 수 있다. 즉, 일측 공간에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흡입되어 노즐들 내부를 향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30)가 노즐들의 벽체에 밀착되어, 노즐들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밀폐부재(130)가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이동할 때, 음압에 의해 밀폐부재(130)의 형상이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밀폐부재(130)의 제1 돌기(132a)는 제2 노즐(120)의 벽체를 향해 상측으로 변형되고, 밀폐부재(130)의 제2 돌기(132b)는 제1 노즐(110)의 벽체를 향해 하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제1 돌기(132a)와 제2 돌기(132b)가 밀폐부재(13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제1 돌기(132a)와 제2 돌기(132b) 사이가 벌어지면, 밀폐부재(130)와 노즐들의 벽체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3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고, 일측 공간(S1)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던 밀폐부재(130)가 증가되는 마찰력에 의해 용이하게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가 노즐들 내부의 용강 이동경로까지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밀폐부재(130)를 노즐들의 벽체 밀착시킨 상태에서 노즐들 내부로 용강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노즐들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더라도, 노즐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기가 노즐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래들(10)에서 턴디쉬(40)로 공급되는 용강이 외기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노즐들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활성 가스가 용강에 혼입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턴디쉬(40)로 공급된 용강에 나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턴디쉬(40) 내 용강이 턴디쉬(40) 내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조되는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래들(10)에서 턴디쉬(40)로 용강이 모두 공급되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 설치된 밀폐부재를 다른 밀폐부재로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노즐(120)에 하단부에 밀폐부재(130)가 끼워지는 경우,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이 분리될 때, 밀폐부재(130)도 제1 노즐(110)에서 분리된다. 이후, 제2 노즐(120)에 끼워진 밀폐부재(130)를 새로운 다른 밀폐부재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래들 40: 턴디쉬
100: 용융금속 공급장치 110: 제1 노즐
120: 제2 노즐 130: 밀폐부재
140: 밀폐액 공급기 150: 스토퍼

Claims (14)

  1. 내부에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노즐 내부의 이동경로와 연통될 수 있는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노즐; 및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압력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노즐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노즐들의 벽체와 접촉할 수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상기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돌출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벌어질 수 있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노즐들의 외측을 향하는 단부에서 상기 노즐들의 내측을 향하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4. 삭제
  5. 내부에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노즐 내부의 이동경로와 연통될 수 있는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노즐;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압력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노즐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 상에 밀폐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밀폐액 공급기;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폭이 좁아지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밀폐부재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은 턴디쉬에 용융금속인 용강을 주입하는 쉬라우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노즐은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에 설치되는 콜렉터 노즐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9. 제1 노즐과 제2 노즐 사이에 밀폐부재를 설치하는 과정;
    상기 노즐들 내부로 용융금속을 이동시켜, 상기 노즐들의 내부와 연결된 상기 노즐들 사이 공간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과정; 및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이동시켜,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노즐들의 벽체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노즐들의 내부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밀폐부재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밀폐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시키는 과정은,
    상기 노즐들의 벽체에 상기 밀폐부재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밀폐부재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과정; 및
    상기 마찰력으로 상기 밀폐부재를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을 결합한 후,
    상기 노즐들 사이로 밀폐액을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밀폐부재 상에 밀폐액을 채우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 상에 밀폐액을 채우는 과정은,
    상기 밀폐액으로 상기 밀폐부재를 냉각하는 과정; 및
    상기 밀폐액으로 상기 노즐들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노즐들의 벽체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노즐들 내부로 용융금속을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을 분리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 사이에 설치된 밀폐부재를 다른 밀폐부재로 교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방법.
KR1020180131912A 2018-10-31 2018-10-31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KR102171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912A KR102171088B1 (ko) 2018-10-31 2018-10-31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PCT/KR2019/013910 WO2020091288A1 (ko) 2018-10-31 2019-10-22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912A KR102171088B1 (ko) 2018-10-31 2018-10-31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75A KR20200049075A (ko) 2020-05-08
KR102171088B1 true KR102171088B1 (ko) 2020-10-28

Family

ID=7046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912A KR102171088B1 (ko) 2018-10-31 2018-10-31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1088B1 (ko)
WO (1) WO202009128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46B1 (ko) * 2007-05-02 2008-05-07 주식회사 캐놀퍼스텍 압력용기용 컨테이너 기밀 가스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3788B (en) * 2000-04-21 2003-09-21 Vesuvius Crucible Co One-piece inner nozzle and clamping device for an inner nozzle
KR100829814B1 (ko) 2001-12-18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주입 장치
KR100843861B1 (ko) * 2001-12-22 2008-07-03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과 턴디쉬 사이에서 공기흡입 방지 노즐구조
WO2006015460A1 (en) * 2004-08-11 2006-02-16 Vesuvius Crucible Company Assembly of a pouring nozzle and collector nozzle
KR20120001094A (ko) * 2010-06-29 2012-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콜렉터 노즐과 슈라우드 노즐 간의 틈새 밀폐용 가스켓 및 그의 제조 방법
ES2658045T3 (es) * 2013-10-14 2018-03-08 Vesuvius Group (Sa) Dispositivo de acoplamiento para acoplar de manera reversible una cubierta de cuchara a una tobera colectora, cubierta de cuchara autosostenible, kit asociado y método para acoplar una cubierta de cuchara a una tobera colectora
KR101701230B1 (ko) * 2015-04-16 2017-02-01 주식회사 케이텍 콜렉터 노즐용 가스켓
KR101919484B1 (ko) * 2016-12-19 2018-11-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설비용 쉬라우드 노즐의 수직도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46B1 (ko) * 2007-05-02 2008-05-07 주식회사 캐놀퍼스텍 압력용기용 컨테이너 기밀 가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288A1 (ko) 2020-05-07
KR20200049075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238B2 (en) Continuous casting machine and method using molten mold flux
RU2163179C2 (ru) Разливочный стакан для введения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в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установки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металлов
US20170014898A1 (en) Slab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JPH0321808Y2 (ko)
KR101109450B1 (ko) 침지 노즐 막힘 정도 추정 방법 및 침지 노즐 교환 시기 추정 방법
KR102171088B1 (ko)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KR101930749B1 (ko) 노즐 및 주조방법
JPH08290261A (ja) 自動注湯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10735B1 (ko) 몰드 플럭스 용해로
JP2006231397A (ja) アルミキルド鋼の連続鋳造方法
JPH09108793A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そのストレート浸漬ノズル
JP5510047B2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装置
KR101140610B1 (ko)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RU2815203C1 (ru)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бесслиткового литья
KR102092748B1 (ko) 냉각재 투입장치 및 냉각재 투입방법
US5232046A (en) Strand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39245B1 (ko) 게이트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199565B1 (ko) 다이캐스팅 용융물 공급장치
KR101913366B1 (ko) 광폭 용강 공급 장치
JP4665551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669546B1 (ko) 용융물 역류 방지 장치 및 역류 방지 방법
KR20230055193A (ko) 스토퍼
KR101277984B1 (ko) 용강 배출 장치
JPH10235457A (ja) 溶鋼鋳造用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のシール方法
JP2007054861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鋳片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