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610B1 -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0610B1 KR101140610B1 KR1020100028466A KR20100028466A KR101140610B1 KR 101140610 B1 KR101140610 B1 KR 101140610B1 KR 1020100028466 A KR1020100028466 A KR 1020100028466A KR 20100028466 A KR20100028466 A KR 20100028466A KR 101140610 B1 KR101140610 B1 KR 1011406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mersion nozzle
- support unit
- sealing
- tundish
- seal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2—Manufacturing or repair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7—Lubricating the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22D11/1246—Nozzles; Spray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16—Closures stopper-rod type, i.e. a stopper-rod being positioned downwardly through the vessel and the metal therein, for selective registry with the pouring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6—Means for supporting, manipulating or changing a pouring-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로부터 용강을 수강하는 턴디쉬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 유닛; 상기 지지 유닛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턴디쉬의 용강을 주형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침지 노즐; 및 상기 침지 노즐의 상기 지지 유닛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지지 유닛 사이를 실링하는 중앙실링부를 가지는 실링부로 구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침지 노즐 중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보다 돌출한 부분을 감싸며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실링부와,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접착된 채로 상기 침지 노즐의 대응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실링부 및 상기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앙실링부 보다 내화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형으로 용강을 안내하도록 턴디쉬에 장착되는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기는 제강로에서 생산되어 래들(ladle)로 이송된 용강을 턴디쉬(turndish)에 받았다가 연속 주조기용 주형로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슬라브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상기 연속 주조기는 용강을 저장하는 래들과, 턴디쉬 및 상기 턴디쉬에서 침지 노즐(SEN)을 통해 출강되는 용강을 최초 냉각시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주물으로 형성하는 연속 주조기용 주형와, 상기 주형에 연결되어 주형에서 형성된 주물을 이동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래들과 턴디쉬에서 출강된 용강은 주형에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슬라브(Slab) 또는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주물로 형성되어 핀치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지 노즐과 상기 침지 노즐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 사이로 용강이 침투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는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는, 래들로부터 용강을 수강하는 턴디쉬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 유닛; 상기 지지 유닛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턴디쉬의 용강을 주형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침지 노즐; 및 상기 침지 노즐의 상기 지지 유닛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지지 유닛 사이를 실링하는 중앙실링부를 가지는 실링부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침지 노즐 중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보다 돌출한 부분을 감싸며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실링부와,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접착된 채로 상기 침지 노즐의 대응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실링부 및 상기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앙실링부 보다 내화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턴디쉬의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침지 노즐을 수용하는 중앙홀을 가지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위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홀에 대응하여 상기 침지 노즐을 수용하는 관통홀을 가지는, 지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대하여 또는 상기 하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접착되거나 상기 하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접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실링부는 상기 침지 노즐의 상부 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 방법은, 지지 유닛에 대응하는 침지 노즐의 일 부분과 상기 지지 유닛 사이를 실링하는 중앙실링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침지 노즐의 설정된 외면의 일 부분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중앙실링부를 가지는 상기 침지 노즐을 상기 지지 유닛의 관통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침지 노즐 중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보다 돌출한 부분을 감싸며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실링부와,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접착된 채로 상기 침지 노즐의 대응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를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실링부 및 상기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앙실링부 보다 내화도가 높은 모르타르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상실링부 및 상기 하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은 침지 노즐의 설치 부분에 용강이 침투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하여 연주 시간이 18시간 이상인 장연주 시에도 턴디쉬의 침지 노즐 설치 구조에 의한 용강 누출에 대한 우려를 덜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연속주조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용강(M)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 1의 연속주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를 보인 절단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링부(200)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는 용강(M)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 1의 연속주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를 보인 절단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링부(200)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연속주조(連續鑄造, Continuous casting)는 용융금속을 바닥이 없는 주형(鑄型, Mold)에서 응고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주물 또는 강괴(鋼塊, steel ingot)를 뽑아내는 주조법이다. 연속주조는 정사각형?직사각형?원형 등 단순한 단면형의 긴 제품과 주로 압연용 소재인 슬래브?블룸?빌릿을 제조하는 데 이용된다.
연속주조기의 형태는 수직형?수직굴곡형?수직축차굴곡형?만곡형?수평형 등으로 분류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만곡형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연속주조기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속주조기는 턴디쉬(20)와, 주형(30)과, 2차냉각대(60 및 65), 핀치롤(70), 그리고 절단기(90)를 포함할 수 있다.
턴디쉬(Tundish, 20)는 래들(Laddle, 10)로부터 용융금속을 받아 주형(Mold, 30)으로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용기이다. 래들(1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교대로 용강을 받아서 턴디쉬(20)에 공급하게 된다. 턴디쉬(20)에서는 주형(30)으로 흘러드는 용융금속의 공급 속도조절, 각 주형(30)으로 용융금속 분배, 용융금속의 저장, 슬래그 및 비금속 개재물(介在物)의 분리 등이 이루어진다.
주형(30)은 통상적으로 수냉식 구리제이며, 수강된 용강이 1차 냉각되게 한다. 주형(30)은 구조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들이 개구된 형태로서 용강이 수용되는 중공부를 형성한다. 슬라브를 제조하는 경우에, 주형(30)은 한 쌍의 장벽과, 장벽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벽은 장벽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게 된다. 주형(30)의 벽들, 주로는 단벽들은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전되어 일정 수준의 테이퍼(Taper)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는 주형(30) 내에서 용강(M)의 응고로 인한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설정한다. 용강(M)의 응고 정도는 강종에 따른 탄소 함량, 파우더의 종류(강냉형 Vs 완냉형), 주조 속도 등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주형(30)은 주형(30)에서 뽑아낸 주물이 모양을 유지하고, 아직 응고가 덜 된 용융금속이 유출되지 않게 강한 응고각(凝固殼) 또는 응고쉘(Solidifying shell, 81, 도 2 참조)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냉 구조에는 구리관을 이용하는 방식, 구리블록에 수냉홈을 뚫는 식, 수냉홈이 있는 구리관을 조립하는 방식 등이 있다.
주형(30)은 용강이 주형의 벽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실레이터(40)에 의해 오실레이션(oscillation, 왕복운동)된다. 오실레이션 시 주형(30)과 주물과의 마찰을 줄이고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제가 이용된다. 윤활제로는 뿜어 칠하는 평지 기름과 주형(30) 내의 용융금속 표면에 첨가되는 파우더(Powder)가 있다. 파우더는 주형(30) 내의 용융금속에 첨가되어 슬래그가 되며, 주형(30)과 주물의 윤활뿐만 아니라 주형(30) 내 용융금속의 산화?질화 방지와 보온, 용융금속의 표면에 떠오른 비금속 개재물의 흡수의 기능도 수행한다. 파우더를 주형(30)에 투입하기 위하여, 파우더 공급기(50)가 설치된다. 파우더 공급기(50)의 파우더를 배출하는 부분은 주형(30)의 입구를 지향한다.
2차 냉각대(60 및 65)는 주형(30)에서 1차로 냉각된 용강을 추가로 냉각한다. 1차 냉각된 용강은 지지롤(60)에 의해 응고각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되면서,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65)에 의해 직접 냉각된다. 주물 응고는 대부분 상기 2차 냉각에 의해 이루어진다.
인발장치(引拔裝置)는 주물이 미끄러지지 않게 뽑아내도록 몇 조의 핀치롤(70)들을 이용하는 멀티드라이브방식 등을 채용하고 있다. 핀치롤(70)은 용강의 응고된 선단부를 주조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주형(30)을 통과한 용강이 주조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절단기(90)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주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절단기(90)로는 가스토치나 유압전단기(油壓剪斷機)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용강(M)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 1의 연속주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용강(M)은 래들(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턴디쉬(20)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을 위하여, 래들(10)에는 턴디쉬(20)를 향해 연장하는 슈라우드 노즐(Shroud nozzle, 15)이 설치된다. 슈라우드 노즐(15)은 용강(M)이 공기에 노출되어 산화?질화되지 않도록 턴디쉬(20) 내의 용강에 잠기도록 연장한다. 슈라우드 노즐(15)의 파손 등으로 용강(M)이 공기 중에 노출된 경우를 오픈 캐스팅(Open casting)이라 한다.
턴디쉬(20) 내의 용강(M)은 주형(30) 내로 연장하는 침지 노즐(SEN, Submerged Entry Nozzle, 25)에 의해 주형(30) 내로 유동하게 된다. 침지 노즐(25)은 주형(30)의 중앙에 배치되어, 침지 노즐(25)의 양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용강(M)의 유동이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침지 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토출의 시작, 토출 속도, 및 중단은 침지 노즐(25)에 대응하여 턴디쉬(20)에 설치되는 스톱퍼(stopper, 21)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스톱퍼(21)는 침지 노즐(25)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침지 노즐(25)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수직 이동될 수 있다. 침지 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유동에 대한 제어는, 스톱퍼 방식과 다른,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게이트는 판재가 턴디쉬(2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침지 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토출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주형(30) 내의 용강(M)은 주형(30)을 이루는 벽면에 접한 부분부터 응고하기 시작한다. 이는 용강(M)의 중심보다는 주변부가 수냉되는 주형(30)에 의해 열을 잃기 쉽기 때문이다. 주변부가 먼저 응고되는 방식에 의해, 스트랜드(80)의 주조 방향을 따른 뒷부분은 미응고 용강(82)이 용강(M)이 응고된 응고쉘(81)에 감싸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핀치롤(70, 도 1)이 완전히 응고된 스트랜드(80)의 선단부(83)를 잡아당김에 따라, 미응고 용강(82)은 응고쉘(81)과 함께 주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응고 용강(82)은 위 이동 과정에서 냉각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65)에 의해 냉각된다. 이는 스트랜드(80)에서 미응고 용강(82)이 차지하는 두께가 점차로 작아지게 한다. 스트랜드(80)가 일 지점(85)에 이르면, 스트랜드(80)는 전체 두께가 응고쉘(81)로 채워지게 된다. 응고가 완료된 스트랜드(80)는 절단 지점(91)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슬라브 등과 같은 제품(P)으로 나눠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를 보인 절단 사시도이고,도 4는 도 3의 실링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침지 노즐 조립체는 지지 유닛(100)과, 침지 노즐(25)과, 실링부(200)를 포함한다.
지지 유닛(100)은 턴디쉬(20)의 바닥(22)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바닥(22)에는 개구부(22a)가 형성되며, 지지 유닛(100)은 개구부(22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지지 유닛(100)은, 본 실시예에서, 바닥(22)의 개구부(22a)에 결합되는 지지판(110)과, 지지판(110) 상에 결합되는 지지블럭(120)을 포함한다. 지지판(110)은 턴디쉬(20)의 바닥(22)과 대체로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지지블럭(120)은 지지판(110) 보다는 큰 두께를 가져서 침지 노즐(25)과 접하는 부분이 증가되게 할 수 있다.
침지 노즐(25)과 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판(110)의 중앙에는 관통홀(111)이 개구 된다. 지지블럭(120)의 중앙에는 중앙홀(121)이 개구 된다. 관통홀(111)과 중앙홀(121)은 서로 그 중심이 대략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관통홀(111)과 중앙홀(121)은 침지 노즐(25)을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서 형성되어야 한다.
침지 노즐(25)은 내부에 용강이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구비되는 중공 형의 부재로서,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다. 침지 노즐(25)의 상부에는 칼라부(collar portion, 25a)가 형성된다. 칼라부(25a)는 지지블럭(120)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칼라부(25a)는 침지 노즐(25)의 다른 부분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침지 노즐(25)과 지지 유닛(100) 사이에는 그들 사이의 틈새로 턴디쉬(20) 내의 용강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실링부(200)가 형성된다. 실링부(200)는 모르타르를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200)는 중앙실링부(210)를 가지고, 상실링부(220) 및 하실링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구비한다. 중앙실링부(210)가 상,하 측 단부가 개방된 원통체의 형태라면, 상실링부(220)와 하실링부(230)는 대체로 링 형태일 수 있다.
중앙실링부(210)는 침지 노즐(25) 중 지지 유닛(100)에 대응하는 부분과 지지 유닛(100) 사이에 형성된다.
상실링부(220)는 침지 노즐(25) 중 지지 유닛(100)의 상면보다 돌출한 부분을 감싸며 지지 유닛(100)의 상면에 접착된다. 상실링부(220)는 중앙실링부(210)의 침식 등으로 인해 용강이 지지 블럭(120)과 침지 노즐(25)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실링부(220)는 침지 노즐(25)의 칼라부(25a)의 용강의 흐름을 고려하여 지지 블럭(120)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실링부(220)의 상면은 지지 블럭(120)의 상면에서 매끄럽게 연장하여 침지 노즐(25)의 칼라부(25a)의 상면까지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경사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실링부(220)의 높은 부분은 칼라부(25a)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이를 수 있다.
하실링부(230)는 지지 유닛(100)의 하면에 접착된 채로 침지 노즐(25)의 대응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하실링부(230)는 상실링부(220)와 중앙실링부(210)까지도 손상되는 경우에 턴디쉬(20)의 외부에서 최종적으로 용강의 누출을 막기 위한 구성이다.
상실링부(220) 또는 하실링부(230)는 중앙실링부(210) 보다 내화도가 높은 것일 수 있다. 실링부(200)를 형성하기 위한 소재, 예를 들어 모르타르의 경우 내화도가 높아지게 되면, 작업성 및 혼련성이 낮아지게 된다. 혼련성이 낮아지면 모르타르가 잘 섞이지 않아서, 경화 시에 틈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중앙실링부(210) 보다는 상실링부(220) 또는 하실링부(230)를 내화도가 더 높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실링부(200)의 전체 성능 및 작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도면(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먼저 침지 노즐(25)의 외면의 일 부분에 중앙실링부(210)를 형성하기 위한 모르타르를 도포한다(S1). 모르타르가 도포된 침지 노즐(25)은 지지 유닛(100)의 관통된 부분 내에 삽입된다(S2). 이때 필요에 따라서, 중앙실링부(210)를 보강하기 위하여, 지지 유닛(100)과 침지 노즐(25) 사이에 모르타르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실링부(200)의 수명 개선을 위하여, 중앙실링부(210) 외에 상실링부(220) 및/또는 하실링부(230)를 형성해야 한다.
상실링부(220)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S3), 침지 노즐(25)의 칼라부(25a)를 감싸도록 링 형태로 모르타르를 도포한다. 링 형태의 모르타르는 상실링부(220)가 된다(S4).
중앙실링부(210)에 더하여 상실링부(220)를 형성하고도 실링에 보다 완벽을 기하고자 한다면, 하실링부(230)가 추가로 필요한지 고려할 수 있다(S5). 하실링부(230)가 필요하다면, 지지판(110)의 하면에 접촉되면서 침지 노즐(25)을 감싸도록 링 형태의 하실링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S6). 하실링부(230)는 상실링부(220)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나, 제조 시의 의도에 따라서는 하실링부(230) 만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실링부(22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S4), 상실링부(220)는 지지 블럭(120)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실링부(220)의 가장 높은 부분은 침지 노즐(25)의 칼라부(25a)의 가장 높은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실링부(23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도(S6), 하실링부(230)가 지지판(110)의 하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하도록 할 수 있다. 하실링부(230)는 지지판(110)의 하면에도 붙게 되므로, 침지 노즐(25)에 대해 더 강한 실링 및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상실링부(220) 및/또는 하실링부(23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S4 및/또는 S6), 그들을 형성하는 모르타르는 중앙실링부(210)를 형성하는 모르타르보다 내화도가 높은 모르타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래들 15: 슈라우드 노즐
20: 턴디쉬 22: 바닥
25: 침지 노즐 25a: 칼라부
30: 주형 40: 주형 오실레이터
50: 파우더 공급기 51: 파우더층
52: 액체 유동층 53: 윤활층
60: 지지롤 65: 스프레이
70: 핀치롤 80: 스트랜드
81: 응고쉘 82: 미응고 용강
83: 선단부 100: 지지 유닛
110: 지지판 111: 관통홀
120: 지지 블럭 121: 중앙홀
200: 실링부 210: 중앙실링부
220: 상실링부 230: 하실링부
20: 턴디쉬 22: 바닥
25: 침지 노즐 25a: 칼라부
30: 주형 40: 주형 오실레이터
50: 파우더 공급기 51: 파우더층
52: 액체 유동층 53: 윤활층
60: 지지롤 65: 스프레이
70: 핀치롤 80: 스트랜드
81: 응고쉘 82: 미응고 용강
83: 선단부 100: 지지 유닛
110: 지지판 111: 관통홀
120: 지지 블럭 121: 중앙홀
200: 실링부 210: 중앙실링부
220: 상실링부 230: 하실링부
Claims (9)
- 래들로부터 용강을 수강하는 턴디쉬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 유닛;
상기 지지 유닛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턴디쉬의 용강을 주형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침지 노즐; 및
상기 침지 노즐의 상기 지지 유닛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지지 유닛 사이를 실링하는 중앙실링부를 가지는 실링부로 포함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침지 노즐 중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보다 돌출한 부분을 감싸며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실링부와,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접착된 채로 상기 침지 노즐의 대응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실링부 및 상기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앙실링부 보다 내화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턴디쉬의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침지 노즐을 수용하는 중앙홀을 가지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위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홀에 대응하여 상기 침지 노즐을 수용하는 관통홀을 가지는, 지지 블록을 포함하는,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대하여 또는 상기 하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접착되거나 상기 하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접착되도록 형성되는,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실링부는 상기 침지 노즐의 상부 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 삭제
- 지지 유닛에 대응하는 침지 노즐의 일 부분과 상기 지지 유닛 사이를 실링하는 중앙실링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침지 노즐의 설정된 외면의 일 부분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중앙실링부를 가지는 상기 침지 노즐을 상기 지지 유닛의 관통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침지 노즐 중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보다 돌출한 부분을 감싸며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실링부와,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접착된 채로 상기 침지 노즐의 대응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를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실링부 및 상기 하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앙실링부 보다 내화도가 높은 모르타르로 도포하는,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실링부 및 상기 하실링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하는,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8466A KR101140610B1 (ko) | 2010-03-30 | 2010-03-30 |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8466A KR101140610B1 (ko) | 2010-03-30 | 2010-03-30 |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8956A KR20110108956A (ko) | 2011-10-06 |
KR101140610B1 true KR101140610B1 (ko) | 2012-05-02 |
Family
ID=4502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8466A KR101140610B1 (ko) | 2010-03-30 | 2010-03-30 |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06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9001A (ko) | 2014-12-05 | 2016-06-16 | 주식회사 포스코 | 침지 노즐 조립체, 침지 노즐 이상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의 진단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5062A (ko) * | 2001-05-04 | 2002-11-16 | 주식회사 포스코 | 턴디쉬 침지노즐 고정장치 |
KR20030035561A (ko) * | 2001-10-31 | 2003-05-09 | 주식회사 포스코 | 침지노즐과 분할형 웰블럭 |
-
2010
- 2010-03-30 KR KR1020100028466A patent/KR1011406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5062A (ko) * | 2001-05-04 | 2002-11-16 | 주식회사 포스코 | 턴디쉬 침지노즐 고정장치 |
KR20030035561A (ko) * | 2001-10-31 | 2003-05-09 | 주식회사 포스코 | 침지노즐과 분할형 웰블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8956A (ko) | 2011-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9450B1 (ko) | 침지 노즐 막힘 정도 추정 방법 및 침지 노즐 교환 시기 추정 방법 | |
KR101224955B1 (ko) | 스트랜드 냉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101140610B1 (ko) | 턴디쉬용 침지 노즐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 |
KR20130034262A (ko) | 침지형 초음파 발생장치 | |
KR101412542B1 (ko) | 침지노즐 예열장치 | |
KR101159612B1 (ko) |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용 모르타르 및 그를 이용한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 방법 | |
KR101175629B1 (ko) | 슈라우드 노즐 장착 장치 | |
KR101185919B1 (ko) | 침지 노즐 막힘 경고 방법 | |
KR101159609B1 (ko) | 마킹 가능한 핀 발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마킹과 함께 핀을 발사하는 방법 | |
KR20130099331A (ko) | 래들용 콜렉터노즐 | |
KR20130046739A (ko) | 노즐 실링용 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101159598B1 (ko) | 몰드 파우더 점도 추정 방법 | |
KR101140608B1 (ko) | 용강의 초기 비산 제어형 침지 노즐 및 그를 이용한 초기 비산 제어 방법 | |
KR101193857B1 (ko) | 슈라우드 노즐 교체 장치 | |
KR20120044430A (ko) | 연속주조용 슈라우드 노즐 | |
KR101204935B1 (ko) |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 | |
KR101193875B1 (ko) | 슈라우드 노즐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101175637B1 (ko) | 마커의 낙하 제어가 가능한 핀 발사 장치 및 방법 | |
KR101175632B1 (ko) | 연속주조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10130650A (ko) | 턴디쉬 | |
KR20120001094A (ko) | 콜렉터 노즐과 슈라우드 노즐 간의 틈새 밀폐용 가스켓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175631B1 (ko) | 연속 주조재의 정련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10120544A (ko) | 래들의 버블링 콘 인발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인발 방법 | |
KR20110120482A (ko) | 컴파운드 캐스팅의 시작 방법 | |
KR20110120555A (ko) | 침지 노즐 예열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