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830B1 -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 Google Patents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830B1
KR101763830B1 KR1020170012663A KR20170012663A KR101763830B1 KR 101763830 B1 KR101763830 B1 KR 101763830B1 KR 1020170012663 A KR1020170012663 A KR 1020170012663A KR 20170012663 A KR20170012663 A KR 20170012663A KR 101763830 B1 KR101763830 B1 KR 10176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ylinder
bracket
concrete pump
pump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진
Original Assignee
(주)케이씨이피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씨이피중공업 filed Critical (주)케이씨이피중공업
Priority to KR102017001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mixed concrete, e.g. having rotatable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콘크리트 이송용 딜리버리 실린더 부근에 설치되어 작업 시 차량을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는 복수개의 메인 아우트리거에 의해 지반에 고정된 상태에서 딜리버리 실린더에 의해 콘크리트를 양생 위치로 압송시키는 콘크리트 펌프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는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에 인접하여 적어도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Concrete pump car having subsidiary outrigger}
본 발명은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콘크리트 이송용 실린더 부근에 설치되어 작업 시 차량을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의 건설시 철근 콘크리트가 많이 사용된다. 즉 거푸집을 만들고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켜 구조물을 완성하는 건설 방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건물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건설되고 있다.
철근이 배근되면 거푸집(1)으로 콘크리트를 물과 함께 부어 양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위 콘크리트 펌프카(10)가 사용된다.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10)는 붐(12)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원거리로 이송하는 장비이다.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위 레미콘 차량(20)으로부터 호퍼(11)에 연속적으로 콘크리트가 공급된다.
상기 호퍼(11)로 공급된 콘크리트는 상기 호퍼(11)에 연결된 압송관을 통하여 이송된다. 이때 상기 압송관은 딜리버리 실린더에 연결되어 콘크리트에 압을 가하여 먼 거리까지 상기 압송관을 통하여 이송시킨다. 압송관은 상기 호퍼(11)로부터 첫 번째 붐(12)까지 연장되고, 다시 붐들(12)에 의해 그 끝단은 엔드 호스(13)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호퍼(11)에 레미콘으로부터 콘크리트가 공급되고, 그 콘크리트는 펌프의 압력과 상기 붐(12)에 의해 지지되는 압송관을 따라 상기 엔드호스(13)까지 이송된 다음 거푸집(1)으로 타설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는 작업 위치로 이동하여 주차한 상태에서 압송관을 펼치고 작업을 개시하게 되는데, 이때 통상 차량의 전후좌우로 총 4개의 아우트리거가 지면에 밀착하고 차륜들과 함께 지상에서 차량이 중심을 잡도록 기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펌프카는 콘크리트를 압송하기 위한 메인펌프가 장착되고 메인펌프 딜리버리 실린더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구조적 장치가 따로 구비되지 않았고, 측방향에 위치한 아우트리거와 차륜의 지지력으로만 펌프카를 고정시킴으로 부족한 지지력으로 인해 진동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진동 발생을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펌프카가 제대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 중 위치를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649542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하기 위한 딜리버리 실린더에 인접하여 보조 아우트리거를 설치하여 가장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인 차량의 작업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콘크리트 펌프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메인 아우트리거에 의해 지반에 고정된 상태에서 딜리버리 실린더에 의해 콘크리트를 양생 위치로 압송시키는 콘크리트 펌프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는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에 인접하여 적어도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로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호퍼와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에 고정된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고정된 보조 실린더;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고정된 다단 로드; 상기 보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다단 로드의 하단이 고정된 슈; 및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에 고정되고, 상기 다단 로드가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상기 다단 로드의 일부분이 고정된 제2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실린더는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하단은 상기 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에 고정된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실린더;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단 로드; 상기 보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단 로드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슈; 및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다단 로드가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상기 다단 로드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된 제2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브래킷은, 상기 다단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제2브래킷 패널; 및 상기 제2브래킷 패널의 자유단에 인접한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거리조절용 핀; 을 포함하고, 상기 새시에는 상기 거리 조절용 핀이 관통하는 절개부가 구비되되,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거리 조절용 핀이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 홈은 상기 절개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시 가장 진동이 많이 그리고 크게 발생하는 딜리버리 실린더 양 옆으로 보조 아우트리거를 장착함으로써 가장 큰 진동을 해결함으로써 차량의 전체적인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펌프카의 작업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펌프카에 구비된 보조 아우트리거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펌프카에 구비된 보조 아우트리거의 정면도로서, 도 4는 작동 전을, 도 5는 작동 후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펌프카에 구비된 보조 아우트리거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아우트리거(160)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10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100)는, 전방에는 운전석과 엔진 등의 탑승부(110)가 장착되어 있고, 후방에는 콘크리트를 압송하기 위한 압송 장비가 차량 새시에 고정되어 있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상기 콘크리트는 펌프카는 운전석 하부에 엔진 기타 부속품들이 대부분 설치되어 있고, 그 후방에 압송 장비가 고정된다. 물론 상기 탑승부(110)와 압송 장비는 모두 차량 새시((120))에 의해 지지되고, 새시(120)에 설치된 구동 차륜들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100)의 탑승부(110)는 탱크로리와 같은 일반적인 운송차량과 마찬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나, 그 후방은 다른 특수차량과는 완전히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콘크리트를 압송하기 위한 장비가 새시(12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100) 새시(120) 후방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송 장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압송 장비는 호퍼(130), 딜리버리 실린더, 복수개의 붐(140)을 포함한다.
상기 호퍼(130)는 레미콘 차량으로부터 콘크리트를 전달 받아 물과 혼합하는 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는 펌프의 구동 원으로서 역할하고, 상기 호퍼(130)에 제공된 콘크리트와 물의 혼합물을 압력을 가하여 압송하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는 상기 호퍼(130)와 연결되도록 차량 기준으로 상기 호퍼(130) 앞쪽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보조 아우트리거(160)는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와 상기 호퍼(130) 사이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붐(140)은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에 의해 압송되는 콘크리트의 통로를 제공하고, 먼 거리와 높은 위치까지 콘크리트를 압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평상시나 차량 이동시에는 접철식으로 접혀 있다가 공사 현장에서 펼쳐져 거푸집까지 콘크리트를 압송할 수 있도록 펼쳐지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붐(140)들을 접철식으로 접은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작업시에는 거푸집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붐(140)이 연장되는 형태가 변화되어 전체적인 장비의 무게 중심이 변하게 되고, 동시에 콘크리트 펌프카(100) 후방에 호퍼(130)와 딜리버리 실린더와 같은 고중량의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작업시 중심을 잡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도 2를 참고하면, 콘크리트 펌프카(100)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유압에 의해 승강하는 메인 아우트리거(151,152)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후방에 설치된 메인 아우트리거(152)는 날개처럼 측면으로 약간 펼칠 수 있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넓은 지역에 차량을 고정하여 무게 중심을 잡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는 통상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 딜리버리 실린더가 동작하게 되면 콘크리트 펌프카(100) 전체 차량에 대하여 진동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전체 무게 중심이 변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차량이 움직일 수 있고, 이것은 안전사고 등을 야기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160)가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의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16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에 인접하여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160)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160)는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로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호퍼(130)와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160)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1브래킷(161), 보조 실린더(162), 다단 로드(164), 슈(166), 그리고 제2브래킷(167)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브래킷(161)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 프레임인 새시(120)에 고정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두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가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브래킷(161)의 두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에는 2개의 홀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홀에 상기 보조 실린더(162)의 상단과 상기 다단 로드(164)의 상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조 실린더(162)는 상기 제1브래킷(161)에 상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 실린더(162)는 출력이 높은 유압 실린더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실린더(162)의 실린더 로드(163)는 하측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163)의 끝단도 상기 슈(133)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단 로드(164)는 상기 제1브래킷(161)에 상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단(164) 내부에 상기 제2단(165)이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164)의 상단은 상기 제1브래킷(1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단(164)의 하단부는 상기 슈(165)에 고정된다. 즉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된 것이다.
상기 슈(166)는 상기 보조 실린더(162)의 실린더 로드(163) 하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단 로드(164) 제2단(165)의 하단이 고정된다.
상기 제2브래킷(167)은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100)의 새시(120)에 고정되고, 상기 다단 로드(164)가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상기 다단 로드 제1단(164)의 일부분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실린더(162)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보조 실린더(162)의 실린더 로드(163)와 상기 다단 로드(164)의 제2로드(165)는 수직선에 대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채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 실린더(162)의 운전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보조 실린더(162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바, 상기 보조 실린더(162)에 유압이 제공되면 상기 실린더 로드(163)가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2단(165)도 하강하게 된다. 상기 슈(166)가 지면에 닿아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멈추어 있게 되면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100)의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160)는 한 쌍이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대부분 잡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의 기울어져서 지지하게 되는 이점은 포지션을 넓게 잡음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딜리버리 실린더와 콘크리트의 이송방향을 변경해주는 절환밸브의 진동이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일어남으로 생기는 진동을 감소시켜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보조 아우트리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래킷(161'), 보조 실린더(162'), 다단 로드(164'), 슈(166'), 및 제2브래킷(167')을 포함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브래킷(161')은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120)에 고정된다. 상기 제1브래킷(161')은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이다.
상기 보조 실린더(162')는 상기 제1브래킷(161')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된 형태이나 여기서는 상기 슈(166')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실린더(1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다단 로드(164')는 마찬가지로, 상기 제1브래킷(161')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보조 실린더(162')와 마찬가지 이유이다.
상기 슈(166')는 상기 보조 실린더(162')의 실린더 로드(163')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단 로드(164')의 하단(16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브래킷(167')은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120)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다단 로드(164')가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상기 다단 로드(164')의 일부분이 회전축(167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브래킷(167')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다단 로드(16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제2브래킷 패널과, 상기 제2브래킷 패널의 자유단에 인접한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거리조절용 핀(167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새시(120)에는 상기 거리 조절용 핀(167b')이 관통하는 절개부(120a)가 구비되되, 상기 절개부(120a)에는 상기 거리 조절용 핀(167b')이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 홈(120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 홈(120b)은 상기 절개부(120a)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거리 조절용 핀(167b')을 상기 복수개의 걸림 홈(120b) 중에 어느 위치에 삽입하느냐에 따라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콘크리트 펌프카
110 : 탑승부 120 : 새시
130 : 호퍼 140 : 붐
151, 152 : 메인 아우트리거 160 : 보조 아우트리거
161 : 제1브래킷 162 : 보조 실린더
163 : 실린더 로드 164 : 다단 로드
166 : 슈 167 : 제2브래킷

Claims (8)

  1. 복수개의 메인 아우트리거에 의해 지반에 고정된 상태에서 딜리버리 실린더에 의해 콘크리트를 양생 위치로 압송시키는 콘크리트 펌프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는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에 인접하여 적어도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메인 아우트리거는 콘크리트 펌프카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유압에 의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로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호퍼와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에 고정된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고정된 보조 실린더;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고정된 다단 로드;
    상기 보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다단 로드의 하단이 고정된 슈; 및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에 고정되고, 상기 다단 로드가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상기 다단 로드의 일부분이 고정된 제2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실린더는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하단은 상기 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6. 복수개의 메인 아우트리거에 의해 지반에 고정된 상태에서 딜리버리 실린더에 의해 콘크리트를 양생 위치로 압송시키는 콘크리트 펌프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는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에 인접하여 적어도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메인 아우트리거는 콘크리트 펌프카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유압에 의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로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호퍼와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에 고정된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실린더;
    상기 제1브래킷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단 로드;
    상기 보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단 로드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슈; 및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새시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다단 로드가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져 승강하도록 상기 다단 로드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된 제2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은,
    상기 다단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제2브래킷 패널;
    상기 제2브래킷 패널의 자유단에 인접한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거리조절용 핀;
    을 포함하고,
    상기 새시에는 상기 거리 조절용 핀이 관통하는 절개부가 구비되되,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거리 조절용 핀이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절개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KR1020170012663A 2017-01-26 2017-01-26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KR101763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63A KR101763830B1 (ko) 2017-01-26 2017-01-26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63A KR101763830B1 (ko) 2017-01-26 2017-01-26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830B1 true KR101763830B1 (ko) 2017-08-02

Family

ID=5965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663A KR101763830B1 (ko) 2017-01-26 2017-01-26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0139A (zh) * 2017-08-21 2017-11-24 江苏中天引控智能系统有限公司 一种支撑腿
KR20240008005A (ko) 2022-07-11 2024-01-18 한명석 붐 셧오프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595B1 (ko) 2006-02-14 2014-01-08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지지 다리를 가진 이동 기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595B1 (ko) 2006-02-14 2014-01-08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지지 다리를 가진 이동 기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0139A (zh) * 2017-08-21 2017-11-24 江苏中天引控智能系统有限公司 一种支撑腿
KR20240008005A (ko) 2022-07-11 2024-01-18 한명석 붐 셧오프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7772B (zh) 用于配重的移动装置
CN105966841B (zh) 支撑装置、带式输送机及移动式破碎机
KR101763830B1 (ko)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콘크리트 펌프카
CN1419009B (zh) 用于铺设道路的路面的铺路机
US8794670B2 (en) Mobile work appliance with a supporting structure
WO2008131669A1 (fr) Camion malaxeur de transport de béton doté d'un dispositif de levage
US7654800B2 (en) Mobile concrete pump and corresponding building frame
CN104234723A (zh) 一种明挖隧道矩形截面自行式移动模板支架台车
US20180043811A1 (en) Mobile Storage Device
CN108086374B (zh) 一种推土铲装置及推土机
JP6419561B2 (ja) スクリュサポート構造及びスクリュサポート構造を搭載する道路機械
JP3042679B2 (ja) ロードフィニシャ
CN104631294A (zh) 连接装置及其铣刨机
CN102505852B (zh) 泵车
CN205874861U (zh) 钢轨安装轨道胶泥灌注车
CN204530408U (zh) 连接装置及其铣刨机
KR200481162Y1 (ko) 믹서 트럭의 믹서 드럼용 가변형 고정구조
CN102116087B (zh) 混凝土泵车吸料量的提升方法和底盘专用车架
CN207484983U (zh) 一种混凝土泵车的折叠式布料臂架
CN207144960U (zh) 侧墙钢模台车
JP2008100803A (ja) 自走式コンベヤ装置
CN219638429U (zh) 混凝土灌注装置
CN205349356U (zh) 分离式隧道仰拱模板
JP3365737B2 (ja) 運転室付き建設機械
KR20210017690A (ko)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