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690A -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690A
KR20210017690A KR1020190097364A KR20190097364A KR20210017690A KR 20210017690 A KR20210017690 A KR 20210017690A KR 1020190097364 A KR1020190097364 A KR 1020190097364A KR 20190097364 A KR20190097364 A KR 20190097364A KR 20210017690 A KR20210017690 A KR 20210017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forklift
mounting
rotatably coupled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976B1 (ko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환 filed Critical 김승환
Priority to KR102019009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9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의 선단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과,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측면들과 함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버킷과,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킷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지게차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포크의 돌출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갖는 제1 및 제2 결합구와, 제1 및 제2결합구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바와, 버킷을 회동시킬 수 있게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메인 연결바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버킷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실린더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에 의하면, 지게차의 포크의 수직부분에 근접되게 버킷을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의 회전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버킷의 운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bucket device attachable to the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포크에 버킷을 근접상태로 배치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된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차량의 전방으로 한 쌍의 포크가 돌출되어 짐을 싣고 위아래로 움직여서 짐을 나르는 중장비로서, 포크에 의해 들려질 수 있는 일정한 형상을 가진 물체만을 운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지게차로도 흙이나 모래 등을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992318호에 지게차 부착용 버켓(이하 버킷이라 한다) 어셈블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버킷 어셈블리는 지게차의 포크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조적으로 버켓이 지게차의 포그의 수직부분에 근접되지 않고 실린더 길이 이상으로 이격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어 지게차를 기준으로 버킷의 회전토크가 증가하여 버킷을 통해 운반할 수 있는 허용 하중이 줄어들며 지게차가 지면으로부터 일부 들리게 회전될 수 있어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지게차의 포크의 수직부분에 근접되게 버킷을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의 회전토크를 감소할 수 있는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는 바닥면의 선단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과,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들과 함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버킷과;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지게차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포크의 돌출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갖는 제1 및 제2 결합구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구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바와; 상기 버킷을 회동시킬 수 있게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연결바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버킷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실린더;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 사이에 상기 메인 연결바와 나란하게 결합된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의 중간에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턱부분에 지지시켜 상기 버킷의 낙하를 저지시키는 낙하저지 지지대와; 상기 보강바에 상기 제1결합구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낙하저지 지지대의 추가 회동을 저지하며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브라켓;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 연결바의 중간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호스를 수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된 호스 보호 안내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에 의하면, 지게차의 포크의 수직부분에 근접되게 버킷을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의 회전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버킷의 운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장치가 지게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킷 장치를 분리하여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버킷 장치를 버킷 내부가 보이는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낙하저지 지지지대가 보관상태로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장치가 지게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킷 장치를 분리하여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버킷 장치를 버킷 내부가 보이는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낙하저지 지지지대가 보관상태로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100)는 버킷(110), 제1 및 제2 결합구(121)(122), 메인 연결바(130),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를 구비한다.
버킷(110)은 상부 및 전방이 열리고 삼각형상의 적재공간(111)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버킷(110)의 형상을 구분하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면(112)과, 바닥면(112)의 선단(112a)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114)과, 바닥면(112)의 후단(112b)에서 측면(114)과 일체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측면(114)들과 함께 적재공간(111)을 형성하는 배면(11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결합구(121)(122)는 버킷(110)의 바닥면(112) 저부(112c)에 일단이 선단힌지(124)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킷(110)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연장된 부분이다. 제1 및 제2결합구(121)(122)는 지게차(10)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포크(21)(22)의 돌출부분(21a)(22a)이 입출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21a)(122a)을 갖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포크(21)(22)는 지게차(10)에 결합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부분(21b)(22b)와 수직부분(21b)(22b)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연장더니 돌출부분(21a)(22a)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타단은 삽입홈(121a)(122a)과 연통되며 상부 및 후방이 열려 제1 및 제2 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의 하단까지 안착을 허용하면서 제1 및 제2 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의 하단 후방까지 돌출되게 연장된 포크 고정 가이드 플랜지(125)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포크고정 가이드 플랜지(125)들에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핀(128)을 삽입하여 제1 및 제2 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이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고정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128)은 고정홀(126)과 나사결합되는 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참조부호 105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상면에 장착되어 버킷(110)이 안착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탄성소재 예를 들면 고무소재로 형성된 완충판이다.
메인 연결바(130)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상호 대향되는 타단을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버킷(110)을 제1 및 제2결합구(121)(122)를 기준으로 선단힌지(124)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게 버킷(110)의 저면(112c)과 메인 연결바(130)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메인 연결바(130)에 일단이 바디힌지(144)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버킷(110)의 바닥면(112) 저부(112c)에 로드힌지(145)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유압에 의해 바디로부터 로드(147)가 진퇴되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로드(147)의 진퇴에 의해 버킷(110)을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타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 또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타단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보강바(151)는 제1결합구(121)와 제2결합구(122) 사이에 메인 연결바(130)와 나란하게 결합된 부분이며 도시된 예에서는 2개가 상호 이격되게 적용되어 있다.
낙하저지 지지대(161)는 2개의 보강바 중 메인 연결바(130)에 더 인접되게 배치된 보강바(151)의 중간에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킷(110)의 바닥면(112) 저부(112c)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턱부분(115)에 지지시켜 버킷(110)의 낙하를 저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턱부분(115)은 제1 및 제2 실린더(141)(142)의 로드힌지(145)가 장착되는 위치에 사각띠 형태로 돌출되어 메인연결바(13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낙하저지 지지대(161)가 걸림지지작용을 할 수 있게 별도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안착브라켓(165)은 낙하저지 지지대(161)가 설치된 보강바(151)에 제1결합구(121)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낙하저지 지지대(161)의 추가 회동을 저지하며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홈(16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낙하저지 지지대(161)는 유지보수 등 여러 목적에 의해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타단으로부터 버킷(110)이 이격되게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돌출턱부분(115)에 지지되게 거치시키면되고, 거치해제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브라켓(165)에 안착시키면 된다.
호스보호 안내관(180)은 메인 연결바(130)의 중간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실린더(141)(142)와 연결되는 유압호스(185)의 일부를 수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호스보호 안내관(180)은 수직 연장방향을 따라 유압호스(185)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면 되고, 일 예로서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유입호스(185)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구속편을 결합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버킷(110)의 배면(116)을 지게차(10)의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에 최대한 밀착되는 위치로 지게차(10)에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110)에 적재된 적재물 예를 들면 모래를 회동에 의해 하역할 수 있도록 구축되며, 이를 위해 버킷(110)의 바닥면(112)의 선단(112a)으로부터 후단(112b)까지의 길이(L)는 적용되는 지게차(10)의 제1포크(21)의 돌출부분(21a)의 길이(m)보다 1.1 내지 2배로 더 길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실린더(141)(142)의 로드힌지(145)에 결합되는 타단은 버킷(110)의 바닥면(112)의 선단(112a)으로부터 후단(112b)까지의 전체연장길이(L)에 대해 버킷(110)의 바닥면(112)의 선단(112a)으로부터 후단(112b)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L/4 내지 3L/4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100)는 버킷(110)의 바닥면(112) 선단(112a) 부근 저부(112c)에 제1 및 제2결합구(121)(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버킷(110)의 배면(116)을 지게차(10)의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에 최대한 밀착되는 위치로 지게차(10)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된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100)에 의하면, 지게차(100)의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에 버킷(110)의 배면(116)이 근접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110)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110)의 배면(116)과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지게차(10)를 기준으로 버킷(110)의 회전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버킷(110)의 운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버킷
121, 122: 제1 및 제2 결합구
130: 메인 연결바
141, 142: 제1 및 제2실린더

Claims (4)

  1. 바닥면의 선단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과,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들과 함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버킷과;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지게차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포크의 돌출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갖는 제1 및 제2 결합구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구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바와;
    상기 버킷을 회동시킬 수 있게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연결바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버킷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 사이에 상기 메인 연결바와 나란하게 결합된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의 중간에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턱부분에 지지시켜 상기 버킷의 낙하를 저지시키는 낙하저지 지지대와;
    상기 보강바에 상기 제1결합구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낙하저지 지지대의 추가 회동을 저지하며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연결바의 중간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호스를 수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된 호스 보호 안내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바닥면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길이는 적용되는 지게차의 상기 제1포크의 돌출부분의 길이보다 1.1 내지 2배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의 타단은 상기 버킷의 바닥면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전체연장길이(L)에 대해 상기 버킷의 바닥면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L/4 내지 3L/4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KR1020190097364A 2019-08-09 2019-08-09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KR10227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364A KR102270976B1 (ko) 2019-08-09 2019-08-09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364A KR102270976B1 (ko) 2019-08-09 2019-08-09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90A true KR20210017690A (ko) 2021-02-17
KR102270976B1 KR102270976B1 (ko) 2021-06-29

Family

ID=7473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364A KR102270976B1 (ko) 2019-08-09 2019-08-09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963A (ko) * 2021-07-27 2023-02-03 김승환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557U (ko) * 1979-12-29 1981-08-07
JPH03192097A (ja) * 1989-12-20 1991-08-21 Sanyo Kiki Kk フォークリフト着脱作業機
KR19990032900U (ko) * 1997-12-29 1999-07-26 이월영 경운기용 덤프식 트레일러의 안전장치
CA2300486A1 (en) * 1999-04-08 2000-10-08 Richard Hein Articulated bucket adapted for a fork-lift truck
KR100992318B1 (ko) * 2009-12-30 2010-11-05 김진용 지게차 부착용 버켓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557U (ko) * 1979-12-29 1981-08-07
JPH03192097A (ja) * 1989-12-20 1991-08-21 Sanyo Kiki Kk フォークリフト着脱作業機
KR19990032900U (ko) * 1997-12-29 1999-07-26 이월영 경운기용 덤프식 트레일러의 안전장치
CA2300486A1 (en) * 1999-04-08 2000-10-08 Richard Hein Articulated bucket adapted for a fork-lift truck
US6200083B1 (en) * 1999-04-08 2001-03-13 Richard Hein Articulated bucket adapted for a fork-lift truck
KR100992318B1 (ko) * 2009-12-30 2010-11-05 김진용 지게차 부착용 버켓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963A (ko) * 2021-07-27 2023-02-03 김승환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976B1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1088C2 (ru) Блок крюка для крана
RU2584043C2 (ru) Складная интермодаль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платформа
US8960460B2 (en) Counterweight block and assemblies for cranes
US10173867B2 (en) Tilting cab mechanism for a crane
US6672467B2 (en) Articulating truss boom
US7845503B2 (en) Pipe-laying machine
EP3052426B1 (en) Trolley with articulated arm
KR101552554B1 (ko) 중장비용 카운트웨이트 리프트장치
KR20210017690A (ko)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KR200488425Y1 (ko)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US20090250971A1 (en) Material handling machine
CA3076780A1 (en) Modular and impactable frame with integrated leveler
US4609204A (en) Extension for outrigger beam
KR101849521B1 (ko) 저소 작업이 가능한 사다리차
KR102473204B1 (ko)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US20210163274A1 (en) Lifting device
KR101329294B1 (ko) 포크를 구비하는 굴삭기
US20110180282A1 (en) Wrap around dozer blade hitch
KR101163849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200004451A (ko)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CN114585537A (zh) 用于非公路卡车的安全组件
US2277900A (en) Towing attachment for concrete mixers
KR102508017B1 (ko)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RU2768067C1 (ru)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пилон для загруз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8011872B2 (en) Loader fram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