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017B1 -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 Google Patents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017B1
KR102508017B1 KR1020210082524A KR20210082524A KR102508017B1 KR 102508017 B1 KR102508017 B1 KR 102508017B1 KR 1020210082524 A KR1020210082524 A KR 1020210082524A KR 20210082524 A KR20210082524 A KR 20210082524A KR 102508017 B1 KR102508017 B1 KR 102508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er
lamp
shaft
small truck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522A (ko
Inventor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1008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0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attached to or making part of the side- or tailboard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2 ton 이하의 소형트럭의 적재함 후단에 장착되는 로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기어가 회동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동축과 결합된 로더가 회동하면서 지면으로 펼쳐져 적재물을 적재함으로 상하차 시킬 수 있는 경사로가 형성되며, 경량 구조로 이루어져 소형트럭에도 장착하기 적합한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Self loader of small truck}
본 발명은 1.2 ton 이하의 소형트럭의 적재함 후단에 장착되는 로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기어가 회동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동축과 결합된 로더가 회동하면서 지면으로 펼쳐져 적재물을 적재함으로 상하차 시킬 수 있는 경사로가 형성되며, 경량 구조로 이루어져 소형트럭에도 장착하기 적합한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변화 되고 있는 현대의 산업구조에 따라 특장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하게 늘어가고 있다. 예컨대, 특수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갖가지 특수 장비를 장착한 자동차는 특장차(Special equipment car)라고 한다. 특장차는 양산차의 기본적인 구조를 용도에 맞게 개조하며, 특정 용도에 맞도록 운전석 뒷부분을 개조하는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양산 트럭 또는 트레일러의 적재함은 구동 축 뒷바퀴의 상방으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적재함의 하부에 차량의 구동에 필요한 장치 및 구성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여러 종류의 특장차 중, 물건, 농기계, 중장비 등을 운송하기 위한 특장차의 경우에는 적재함에 편리하게 싣기 위해서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로가 형성되는 로더가 형성된다.
로더가 형성되는 종래의 특장차는 일반적으로 트럭 적재함의 후단에 로더가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구성으로 탑재되며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운전 시에는 로더가 절첩되어 지면에 끌리지 않도록 배치되다가, 적재함에 중장비, 농기구 등과 같은 탑재물을 상차시에는 로더를 펼쳐 지면과 닿도록 하여 적재함과 지면 사이의 경사로가 형성되어 경사로를 통해 적재물을 적재함에 편리하게 상차할 수 있다.
이러한 로더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로더는 상호 절첩되도록 핀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된 상부에 위치한 제1로더와 하부에 위치한 제2로더로 구성되며,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로더가 지면을 향해 펼쳐지면 다른 하나의 로더도 연동되어 펼쳐지게 되어 지면과 적재함 사이의 경사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로더는 고중량의 적재물 하중에도 변형의 발생없이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되면서 그 자체로도 중량이 크게 형성되며, 이를 가동하기 위한 유압 조절기, 실린더 등 가동에 필요한 구성이 트럭의 후미에 탑재되는데, 이러한 유압 조절기, 호스, 실린더는 그 무게가 500kg에 이른다.
따라서 이러한 로더 시스템이 탑재되는 트럭은 그 프레임이 크고 넓어야 하며 이러한 부피와 무게를 견디기 위해서는 장착되는 트럭의 사이즈가 4.5 Ton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유압 실린더로 작동되는 로더 시스템을 1.2 Ton 이하의 소형트럭에 탑재하면, 차체의 불균형한 무게배분으로 인하여 소형트럭의 앞부분(전면)이 상승되고 뒤(후면)가 내려앉아 차체의 자세가 위험하게 자리잡게 된다. 이러한 자세로 소형트럭을 운행하게 되면 소형트럭의 전면이 상승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고속운행시에 전복의 위험이 매우 높고, 앞바퀴에 실리는 하중이 적어서 브레이크의 작동시에는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위험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소형 트럭의 적재하중은 비교적 적게 형성되어 있는 바, 로더 시스템의 무게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적재 가능한 용량이 대폭 감소한다. 이는 화물 운송에 큰 제약을 일으켜 화물 운송 매출이 줄고 비효율적인 운송이 이루어져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차량 후단에 설치되는 로더는 4.5톤 이상의 중대형 트럭에만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1.2 Ton 이하의 소형트럭에도 장착하기 적합하도록 로더 시스템이 충분히 경량화와 소형화를 이루어서 적재용량의 큰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차체의 운행성능도 저해되지 않는 소형트럭의 로더 시스템의 개발이 대두된다.
KR 20-0252678 (Y1) 2001.10.19. KR 10-0314567 (B1) 2001.10.3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재함 후단에 장착되는 로더가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루어 소형트럭에 장착되더라도 적재용량의 큰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운행시 차체안정성도 저해되지 않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를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펌프 및 유압호스가 배제되어 로더를 동작시키는 구동장치의 중량을 작게 할 수 있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더가 웜휠의 회전에 의해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웜축에 작은 동력을 입력하더라도 웜휠에 강한 회전력으로 출력되므로 적은 동력으로도 로더가 절첩 및 펼쳐지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더를 구성하는 제1램프와 제2램프로 구성하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램프를 스틸 소재로 형성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추며 하부에 위치하는 제2램프를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하여 경량화를 이룸으로써 전제적인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더가 트럭 적재함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적재물의 차폭에 맞출 수 있어 다양한 적재물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향상되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웜휠을 회전시키는 웜축의 일단에 전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웜축을 회전시키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경량화를 이루면서도 누구나 쉽게 로더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정비 및 유지보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소형트럭의 적재함(10) 후단에 장착되는 로더(100)를 포함하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 있어서, 경사판으로 형성되는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가 절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램프(110)의 일단은 상기 적재함(10) 후단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램프(120)의 일단이 상기 제1램프(11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램프(120)의 타단이 지면과 접촉하는 로더(100); 상기 적재함(10) 후단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램프(1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일측이 웜휠(2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웜휠(21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동축(200); 상기 적재함(10) 후단의 양측부 및 중앙부에서 연장되면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회동축(200)이 상기 적재함(10) 폭 방향으로 삽입되는 지지홀(400); 상기 웜휠(211)과 수직으로 치합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에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대(213)가 형성되는 웜축(212);을 포함하며, 상기 웜축(212)이 회전하면서 상기 로더(100)가 수직으로 절첩되거나 또는 지면으로 펼쳐지며, 상기 회동축(200)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된 고정홀(2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214)에 로더(100)를 고정시키는 고정핀(215)이 끼워져 로더(100)가 상기 지지홀(400) 또는 고정핀(215)에 지지되며, 상기 로더(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로더(100) 사이의 간격(a)은 적재물(20)의 차륜거리에 맞추어 넓어지거나 또는 좁아지도록 조절되며, 상기 회동축(200)은 적재함(10) 후단의 양측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홀(400)에서 더 돌출되며, 상기 웜휠(211)은 상기 지지홀(4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대(213)에 수동 또는 전동으로 회전하는 회전공구(300)가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램프(110)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2램프(120)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동축(200)은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홀(400)에는 내측에 베어링(410)이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410) 내측의 삽입홀(411)에 상기 회동축(200)이 삽입되며, 상기 삽입홀(411)의 형상은 상기 회동축(200)의 단면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웜축(212)의 입력대(213)에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전동임팩트(310)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웜축(212)의 입력대(213)에는 수동으로 회전되는 수동핸들(320)과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는 적재함 후단에 장착되는 로더가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루어 소형트럭에 장착되더라도 적재용량의 큰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운행시 차체안정성도 저해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와 유입실린더를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펌프 및 유압호스가 배제되어 로더를 동작시키는 구동장치의 중량을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더가 웜휠의 회전에 의해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웜축에 작은 동력을 입력하더라도 웜휠에 강한 회전력으로 출력되므로 적은 동력으로도 로더가 절첩 및 펼쳐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더를 구성하는 제1램프와 제2램프로 구성하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램프를 스틸 소재로 형성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추며 하부에 위치하는 제2램프를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하여 경량화를 이룸으로써 전제적인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더가 트럭 적재함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적재물의 차폭에 맞출 수 있어 다양한 적재물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웜휠을 회전시키는 웜축의 일단에 전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웜축을 회전시키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경량화를 이루면서도 누구나 쉽게 로더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정비 및 유지보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서 적재물이 상하차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 따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 따른 로더가 절첩되는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 따른 회동축 및 지지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 따른 웜기어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 따른 로더의 폭이 조절되는 상태로, (a)는 좌우 폭이 넓게 위치한 상태의 사시도, (b)는 좌우 폭이 좁게 위치한 상태의 사시도, (c)는 좌우 폭이 중간으로 위치한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는 1.2 Tom 이하 소형트럭의 적재함(10) 후단에 장착되어 지면과 적재함(10) 사이에 경사로를 형성하는 로더(100)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판으로 형성되는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가 절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램프(110)의 일단은 상기 적재함(10) 후단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램프(120)의 일단이 상기 제1램프(11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램프(120)의 타단은 지면과 접촉하는 로더(100);
상기 적재함(10) 후단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램프(1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일측이 웜휠(2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웜휠(21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동축(200);
상기 적재함(10) 후단의 양측부 및 중앙부에서 연장되면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회동축(200)이 상기 적재함(10) 폭 방향으로 삽입되는 지지홀(400);
상기 웜휠(211)과 수직으로 치합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에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대(213)가 형성되는 웜축(2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소형트럭이란 1.2 Ton 이하의 트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소형트럭 셀프로더는 로더(100)를 작동시키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절첩되거나 또는 지면을 향해 펼쳐진다.
로더(100)는 경사판으로 구성되는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가 서로 연결되므로 지면과 적재함(10) 사이에 경사로가 형성되어 적재물(20)을 소형트럭의 적재함(10)에 상하차 할 수 있다. 로더(100)가 지면을 향해 펼쳐졌을 시에 상기 제1램프(110)는 상부에 위치하며 적재함(10)의 후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램프(120)는 하부에 위치하여 지면과 맞닿게 된다.
절첩되어 있는 상기 로더(100)를 지면으로 펼칠 시에는 트럭 적재함(10) 후단 일측에 구비되는 웜축(21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웜축(212)은 입력대(213)를 통하여 전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되는 회전공구(30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고, 웜축(212)은 웜휠(211)을 회전시키며, 웜휠(211)은 회동축(200)을 회전시키고, 회동축(200)은 제1램프(110)를 지면을 향해 회동시킨다.
제1램프(110)가 지면을 향해 회동 시에 제2램프(120)는 제1램프(110)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가 일직선을 이루어 경사로를 만들고 제2램프(120)의 일부가 지면과 닿음으로써 지면과 적재함(10)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이다.
지면에 펼쳐져 있는 로더(100)를 접철시에는 웜축(21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따라서 웜축(212)을 전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시켜서 간단한 구조로 로더(100)가 작동됨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소형트럭에 장착하더라도 큰 적재중량의 손실없이 로더(1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소형트럭은 경량화된 로더(100)에 의해 후단이 짓눌리지 않으며 앞단 또한 들뜨지 않는다. 자세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운행 시에도 안정적인 차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서 로더(100)는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로 구비된다. 상기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는 동일한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의 길이는 형성하고자 하는 경사로의 각도와 지면으로부터 적재함(10)까지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제1램프(110)의 일단은 적재함(10)의 후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은 제2램프(120)와 연결된다. 상기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는 힌지축(130)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램프(120)는 일단이 상기 제1램프(110)와 힌지축(130)을 매개로 연결되며, 타단은 지면과 닿아 접촉된다.
상기 제1램프(110)의 하부면에는 가스쇼바(111)가 구비된다. 상기 가스쇼바(111)의 일단은 제1램프(110)에 결합되고, 타단의 연장되는 실린더는 절첩기구(112)와 결합된다. 상기 절첩기구(112)는 절첩 및 펼쳐지는 동작을 부드럽게 해주기 위한 기구로, 상기 가스쇼바(111)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가스쇼바(111)의 인장력을 받아 제2램프(120)를 펼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스쇼바(111) 타단의 연장되는 실린더가 상기 절첩기구(112)를 통하여 제2램프(120)를 밀어주므로 로더(100)의 펼침 동작 시에 제2램프(120)가 지면을 향해 펼쳐지는 것이다.
상기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가 회동되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힌지축(130)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받침대(131)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131)는 상단이 힌지축(130)이 관통되며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향하여 있다.
상기 로더(100)가 펼쳐져서 적재물(20)이 상기 로더(100)를 가압 시에 지지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상기 받침대(131)는 상기 힌지축(13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를 이어주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적재물(20)이 로더(100)의 상부에서 가압하여도 받침대(131)가 그 하중을 분산하여 주므로 로더(100)는 변형없이 안정적으로 적재물(20)을 상하차시킬 수 있다.
적재물(20)이 가압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1램프(110)는 스틸 소재로 형성된다. 스틸 소재는 하중에 대한 강도가 높으므로 적재물(20)의 상하차 시에 안정적으로 적재물(20)을 지지할 수 있다.
반면, 로더(100)의 절첩시에 제1램프(110)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제2램프(120)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 소재는 상기 스틸 소재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우므로 상기 로더(100)를 전체적으로 가벼운 무게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램프(110)는 상기 제2램프(120)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며 제2램프(120)는 제1램프(110)보다 트럭 후단의 외측으로 위치한다. 제1램프(110)는 하중에 대한 강도가 높은 스틸 소재로 형성되는 반면 제2램프(120)는 경량화를 위한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어 로더(100)의 무게 중심은 트럭의 중앙부를 향하게 되므로 트럭의 후단이 짓눌리고 앞단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운행의 안정성을 해치지 않게 된다.
상기 로더(100)의 절첩 및 펼쳐지는 동작을 살펴보면, 펼쳐진 상태에서 절첩시에는 제1램프(110)는 일단이 적재함(10) 후단과 연결되어 중심축으로 회동하고 타단이 상승하면서 트럭 적재함(10)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램프(120)의 일단이 제1램프(110)의 타단과 힌지축(130)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힌지축(130)을 중심축으로 회동하되 상기 제1램프(110)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타단은 적재함(10) 후단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램프(120)가 들어올려지면서 자체 하중에 의하여 가스쇼바(111)의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가압된다. 상단이 힌지축(130)에 연결되는 받침대(131)는 로더(100)의 절첩 동작과 상관없이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향하여 있다.
절첩 상태에서 펼쳐지는 동작시에는 제1램프(110) 및 제2램프(120)의 회동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지며, 제2램프(120)는 가스쇼바(111)의 신장력으로 지면을 향해 펼쳐지게 된다. 받침대(131)는 하방으로 향하여 있으므로 하단은 지면과 접촉되어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의 연결부를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소형트럭의 적재함(10) 후단에서 양측으로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로더(100) 사이의 폭(간격)은 적재물(20)의 바퀴 폭에 맞추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재물(20)이 바퀴가 달린 중장비 및 차량인 경우, 적재물(20)마다 차륜거리(좌우 바퀴 거리)가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상하차하려는 적재물(20)의 차륜거리에 대응하여 한 쌍의 로더(100)의 위치를 적재물(20)의 차륜거리에 맞추면서 이동시켜 한 쌍의 로더(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주로, 적재물(20)의 바퀴는 양측에 위치하므로 중앙부에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중앙부는 빈공간으로 형성하며, 하중이 가해지는 양측부분에서만 로더(100)가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게 하므로 경량화 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트럭 셀프로더는 상기 제1램프(110)와 결합되어 회동시키는 회동축(200)이 적재함(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200)은 적재함(10) 후단에서 고정되며 상기 제1램프(110)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2램프(120)와 결합된다. 상기 회동축(200)의 회전에 따라 고정된 제1램프(110)는 상기 회동축(200)을 중심축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상기 회동축(200)은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축(200)과 제1램프(110)와의 결합을 견고히 하여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200)은 그 단면이 다각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이 형성되어 회동축(200)과 제1램프(110)가 걸림이 되므로 헛돌지 않아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맞물리는 형상도 포함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200)의 일측 끝단에는 웜휠(211)이 결합된다. 상기 회동축(200)의 일측이 상기 웜휠(2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웜휠(21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동축(200)이 회전한다. 웜휠(211)이 회전함에 따라 회동축(200)도 동축으로 회전한다.
상기 웜휠(211)은 상호 축이 직각으로 배치되되 교차하지 않는 웜축(212)과 치합되어 있다. 상기 웜축(212)은 일측으로 연장된 끝단에는 입력대(213)가 형성되며 상기 입력대(21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웜축(212)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웜축(21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공구(300)로서, 동력을 공급받아 전동으로 회전하는 전동임팩트(310) 또는 사람의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핸들(320) 등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공구(30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웜축(212)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공구(300)에 의하여 상기 웜축(212)이 회전하면 웜축(212)이 웜휠(211)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웜축(21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웜축(212)과 결합되어 있는 회동축(200)이 회전하며, 상기 회동축(200)과 결합된 제1램프(110)가 절첩 또는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웜휠(211)과 웜축(212)으로 이루어지는 웜기어는 입력되는 동력에 대한 감속비가 좋으므로 적은 회전력으로도 강한 토크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로더(100)를 절첩 및 펼치는 동작을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적은 동력으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웜축(212)이 회전하지 않을 시에는 로더(100)는 절첩 및 펼쳐지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고정된다. 예컨대, 절첩 또는 펼쳐지는 동작 중간에 웜축(212)의 회전을 멈추면 상기 로더(100)는 동작중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되며 회동축(200)에 대하여 헛돌지 않는다.
상기 회동축(200)을 적재함(10) 후단에 고정하는 지지홀(400)이 적재함(10) 후단에서 연장되어 복수 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상기 지지홀(400)은 적재함(10) 후단에서 양단으로 2개, 중앙부에 하나가 형성되어 총 3개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홀(400)을 위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하여 적재함(10) 후단에서 어느 하나의 측부에 구비된 일측 지지홀(400), 다른 하나의 측부에 구비된 타측 지지홀(400), 양측부에 구비된 양측 지지홀(400) 및 양측 사이의 중앙에 구비된 중앙부 지지홀(400)로 지칭한다.
상기 지지홀(400)은 내측에 베어링(410)이 구비되어 회동축(200)과 지지홀(400)의 상대운동을 상쇄하며, 상기 베어링(41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홀(411)은 상기 회동축(200)이 삽입되는 구멍으로, 상기 회동축(200)의 단면에 일치하도록 삽입홀(411) 형상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회동축(200)의 단면이 사각형상이므로 상기 삽입홀(411)도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회동축(200) 단면이 각을 가진 다각형상일 경우, 상기 삽입홀(411)은 회동축(200) 단면과 동일하도록 각을 가진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410)의 외경(지지홀과 맞닿는 부분)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정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200)은 양측 및 중앙부 지지홀(400)을 관통하면서 결합되며, 양측 지지홀(400)에서 더 연장되어 돌출된다. 상기 웜기어는 일측 지지홀(400)에서 돌출된 회동축(200)에서 결합된다.
상기 지지홀(4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양측에 구비되고, 중앙부 지지홀(400)은 적재함(10)의 후단을 양측으로 분할한다. 분할된 양측 공간으로 상기 로더(100)가 각각 배치된다.
어느 일측에 위치한 로더(100)의 폭은 이웃하고 있는 지지홀(400)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즉, 중앙부 지지홀(400)과 어느 일측 지지홀(400) 사이의 거리보다 로더(100)의 폭이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더(100)는 이웃한 지지홀(400)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적재물(20)의 차륜거리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적재물(20)의 차륜거리가 짧을 시에는 양측 로더(100)를 중앙부 지지홀(400)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차륜거리가 길게 형성되면 양측 로더(100)를 적재함(10) 폭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적재물(20)의 차륜거리에 맞추어 상하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200)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21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214)은 상기 로더(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215)이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형성된다.
상기 로더(100)는 회동축(20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적재물(20)의 차륜거리에 맞추어 자유롭게 이동한 다음 그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핀(215)을 고정홀(214)에 삽입하여 로더(10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적재물(20)의 상하차를 돕는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거리가 긴 적재물(20)의 상하차 시에는 로더(100)를 중앙부 지지홀(400)로부터 양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로더(100)의 일면이 양측 지지홀(400)과 맞닿으면 로더(100)의 타면에는 고정핀(215)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해당되는 고정홀(214)에 삽입하여 상기 로더(100)를 지지한다. 로더(100)가 양측으로 최대한 이동하였으므로 한 쌍의 로더(100) 사이의 간격(a)은 최대치를 갖는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거리가 짧은 적재물(20)의 상하차시에는 로더(100)를 중앙부 지지홀(400)쪽으로 이동시키며, 로더(100)의 일면이 중앙부 지지홀(400)와 맞닿으며, 로더(100)의 타면에는 고정핀(215)을 해당되는 고정홀(214)에 삽입하여 로더(100)를 고정한다. 로더(100)가 중앙부를 향하여 오므려지므로 한 쌍의 로더(100) 사이의 간격(a)은 최소치를 가진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거리가 중간 길이인 적재물(20)의 상하차 시에는 로더(100)를 중앙부 지지홀(400)과 일측 지지홀(400) 사이에 위치시킨 후 로더(100)의 양면을 고정핀(215)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로더(100)의 사이의 간격(a)은 중간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의 작동순서를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접철되어 있는 로더(100)를 지면을 향하여 펼칠 시에 수동 또는 전동으로 회전하는 회전공구(300)를 웜축(212)의 입력대(213)에 삽입한 후 상기 웜축(212)을 회전시키면 웜축(212)과 치합된 웜휠(211)이 회전한다. 상기 웜휠(211)은 회동축(200)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동축(200)이 회전한다.
상기 회동축(200)은 지지홀(400)의 베어링(410) 내측의 삽입홀(411)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410)으로 인하여 부드럽게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동축(200)의 단면이 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램프(110)와의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회동축(200)이 회전하면서 수직으로 위치한 제1램프(110)가 지면을 향해 회동하며, 상기 제1램프(110)와 힌지축(130)을 통하여 결합된 제2램프(120)는 가스쇼바(111)의 신장력으로 상기 제1램프(110)의 회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상단이 상기 힌지축(130)과 결합된 받침대(131)는 상기 로더(100)가 펼쳐지면서 하방으로 향하여 있어, 완전히 펼쳐지면 받침대(131)의 하단은 지면을 지지하며 상단은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 사이를 지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재물(20)의 차륜거리에 맞추어 상기 로더(100)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킨 후 로더(100)의 좌우측면에 고정핀(215)을 고정홀(214)에 삽입하여 좌우 움직임을 고정한다.
적재물(20)을 상기 로더(100)를 통하여 소형트럭의 적재함(10)에 상차시킨 후, 상기 로더(100)를 절첩시에는 웜축(21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는 수직으로 들어올려지고 절첩되어, 적재물(20)이 적재함(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 안전한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운행시에 로더(100)가 회동축(200)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 고정핀(215)을 고정홀(214)에 삽입한 상태로 운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는 회전공구(300)로 로더(100)를 절첩 및 펼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웜기어의 특성상 적은 회전력으로도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어 수동으로도 로더(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형트럭의 셀프로더는 경량화를 이룸으로써 소형트럭에 장착되어도 적재중량의 큰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차체의 자세 안정성이 유지되어 운행시에도 안전한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

10:적재함 20:적재물
100:로더 110:제1램프 111:가스쇼바 112:절첩기구
120:제2램프 130:힌지축 131:받침대
200:회동축 210:웜기어 211:웜휠 212:웜축
213:입력대 214:고정홀 215:고정핀
300:회전공구 310:전동임팩트 320:수동핸들
400:지지홀 410:베어링 411:삽입홀

Claims (7)

  1. 소형트럭의 적재함(10) 후단에 장착되는 로더(100)를 포함하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에 있어서,
    경사판으로 형성되는 제1램프(110)와 제2램프(120)가 절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램프(110)의 일단은 상기 적재함(10) 후단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램프(120)의 일단이 상기 제1램프(11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램프(120)의 타단이 지면과 접촉하는 로더(100);
    상기 적재함(10) 후단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램프(1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일측이 웜휠(2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웜휠(21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동축(200);
    상기 적재함(10) 후단의 양측부 및 중앙부에서 연장되면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회동축(200)이 상기 적재함(10) 폭 방향으로 삽입되는 지지홀(400);
    상기 웜휠(211)과 수직으로 치합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에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대(213)가 형성되는 웜축(212);을 포함하며,
    상기 웜축(212)이 회전하면서 상기 로더(100)가 수직으로 절첩되거나 또는 지면으로 펼쳐지며,
    상기 회동축(200)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된 고정홀(2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214)에 로더(100)를 고정시키는 고정핀(215)이 끼워져 로더(100)가 상기 지지홀(400) 또는 고정핀(215)에 지지되며,
    상기 로더(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로더(100) 사이의 간격(a)은 적재물(20)의 차륜거리에 맞추어 넓어지거나 또는 좁아지도록 조절되며,
    상기 회동축(200)은 적재함(10) 후단의 양측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홀(400)에서 더 돌출되며,
    상기 웜휠(211)은 상기 지지홀(4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대(213)에 수동 또는 전동으로 회전하는 회전공구(300)가 삽입되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110)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2램프(120)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200)은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홀(400)에는 내측에 베어링(410)이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410) 내측의 삽입홀(411)에 상기 회동축(200)이 삽입되며,
    상기 삽입홀(411)의 형상은 상기 회동축(200)의 단면과 동일한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212)의 입력대(213)에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전동임팩트(310)와 결합되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212)의 입력대(213)에는 수동으로 회전되는 수동핸들(320)과 결합되는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KR1020210082524A 2021-06-24 2021-06-24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KR102508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524A KR102508017B1 (ko) 2021-06-24 2021-06-24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524A KR102508017B1 (ko) 2021-06-24 2021-06-24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22A KR20230000522A (ko) 2023-01-03
KR102508017B1 true KR102508017B1 (ko) 2023-03-10

Family

ID=8492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524A KR102508017B1 (ko) 2021-06-24 2021-06-24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0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5432A1 (en) * 2008-04-11 2011-06-09 Budd Alfred L Manually-operated ramp for handicapped access
CN103818292A (zh) * 2014-03-26 2014-05-28 李海燕 汽车渡板自动收放装置
JP2016002851A (ja) * 2014-06-17 2016-01-12 新明和工業株式会社 荷受台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2874A (ja) * 1997-12-26 1999-07-21 Toshihiro Inoue 重機運搬車両
KR100314567B1 (ko) 1999-03-03 2001-11-15 조시대 물건 운송차량용 적재함 승강장치
KR200252678Y1 (ko) 2001-08-06 2001-11-23 정철원 운송차용 로딩 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5432A1 (en) * 2008-04-11 2011-06-09 Budd Alfred L Manually-operated ramp for handicapped access
CN103818292A (zh) * 2014-03-26 2014-05-28 李海燕 汽车渡板自动收放装置
JP2016002851A (ja) * 2014-06-17 2016-01-12 新明和工業株式会社 荷受台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22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1075B2 (en) Hoist with trailer hitch attachment
JP5618477B2 (ja) リフト装置および連結装置を備える構内運搬車両
US20070189872A1 (en) Freight rack
EP2786954A2 (en) Folding trolley
CN206384597U (zh) 运车架
US10131264B2 (en) Hooklift trailer
US2386216A (en) Loading, hauling, and unloading equipment
US3175698A (en) Hydraulic stabilizer
CN211619851U (zh) 一种叉车
US3003780A (en) Vertically adjustable tandem type running gear for vehicles
KR102508017B1 (ko) 소형트럭의 셀프로더
US9381846B2 (en) Haul bodies and related apparatus
CN106185720A (zh) 大容量便捷式袋装硫酸钡转运装置
AU2014286597B2 (en) A hand-operated and rolling device for lifting and moving pallets with lifting effect by wheel camber change
GB2212132A (en) Apparatus for a folding-down loader tailboard
KR100429030B1 (ko)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CN208218274U (zh) 半电动平衡式折叠吊机
US410157A (en) Elevating-truck
WO2009136455A1 (ja) 多目的車両
CN215439515U (zh) 一种具有过载保护装置的电动叉车
WO2022229738A1 (en) Variable footprint apparatus for lifting containers
US20030108413A1 (en) Load lifting attachment for skid-steer loader
CN110182498B (zh) 一种用于竖式箱体的车架及运输车
KR20010040404A (ko) 위치전환지지부재 및 그의 용도
US3341221A (en) Hydraulic st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