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800B1 -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800B1
KR101762800B1 KR1020140165117A KR20140165117A KR101762800B1 KR 101762800 B1 KR101762800 B1 KR 101762800B1 KR 1020140165117 A KR1020140165117 A KR 1020140165117A KR 20140165117 A KR20140165117 A KR 20140165117A KR 101762800 B1 KR101762800 B1 KR 101762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beans
hopper
fresh
storage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423A (ko
Inventor
최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붐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붐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붐팩토리
Priority to KR102014016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8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품종의 생두를 분배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생두를 품종별로 공급하는 생두분배공급부(100)와, 상기 생두분배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생두를 로스팅하여 원두로 가공하는 로스팅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생두분배공급부(100)는, 생두를 공급하는 생두공급기(110)에서 공급되는 생두를 분배하는 생두분배기(120)와; 생두분배기(120)에서 분배된 생두를 품종별로 각각 저장하는 것으로서, 저장된 각각의 생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생두저장탱크(131)(132)(1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품종의 생두의 무게를 측정하여 계량하는 생두계량공급기(140)와; 생두계량공급기(140)와 연동되어 정확한 무게만큼의 상기 생두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콘트롤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Automatic system for roasting and blending coffee bean}
본 발명은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품종 생두의 로스팅 및 원두의 브렌딩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전 세계적인 기호 식품으로서 널리 소비되고 있으며, 최근 커피가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알려지면서 소비량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커피는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생두(green bean)를 로스팅하여 원두로 가공하고, 이후 가공된 원두를 분쇄하여 물에 침지하여 우려내거나, 분쇄된 커피에 고압의 물을 통과시켜 섭취하고 있다. 이때 생두를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생두에 있는 비린 맛이나 떫은 맛이 제거되고 특유의 탄맛이 생성된다. 이러한 커피는 품종이나 로스팅 정도, 도는 여러 종류의 원두를 브렌딩함에 따라 수천가지 이상의 맛과 향을 낸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등록번호 10-1060203호에 커피원두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커피원두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해짐에 따라, 기존과는 다른 맛과 향을 가지는 커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과는 다른 맛과 향을 내는 커피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품종의 생두를 로스팅한 후 다양한 비율로 브렌딩하여야 한다.
그런데 생두는 품종 및 양에 따라 로스팅 온도 및 시간이 다양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로스팅 과정에서 일정한 맛과 향을 가지는 원두를 생산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맛과 향은 다양한 종류의 원두를 브렌딩함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원두를 정확한 비율로 브렌딩하지 않으면 원하는 맛과 향의 커피를 만들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품종에 따른 특성을 반영하여 맛과 향이 극대화된 생두를 로스팅할 수 있고, 특정한 맛과 향을 가지는 여러 종류의 원두를 브렌딩하여 기존과는 다른 맛과 향을 가지는 커피를 구현할 수 있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품종의 생두의 로스팅 및 여러 종류의 원두의 브렌딩을 입력된 레시피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생산되는 커피의 품질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은, 다양한 품종의 생두를 분배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생두를 품종별로 공급하는 생두분배공급부(100)와; 상기 생두분배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생두를 로스팅하여 원두로 가공하는 로스팅부(200)와; 상기 로스팅부(200)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종류별 및 로스팅된 정도로 저장 및 분배하기 위한 다수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를 가지는 원두분배공급부(300);를 포함하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두분배공급부(100)는, 생두공급기(110)에서 공급되는 생두를 분배하는 생두분배기(120)와; 상기 생두분배기(120)에서 분배된 생두를 품종별로 각각 저장하는 것으로서, 저장된 각각의 생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상기 생두저장탱크(131)(132)(1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품종의 생두의 무게를 측정하여 계량하는 생두계량공급기(140)와; 상기 생두계량공급기(140)와 연동되어 상기 다수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로부터 정확한 무게만큼의 상기 생두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콘트롤러(150)와; 생두계량공급기(140)에서 배출되는 생두를 로스팅부(200)로 공급하기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저장호퍼(160);를 포함하고; 상기 생두계량공급기(140)는, 상기 생두저장탱크(131)(132)(1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품종의 생두가 수용되는 제1호퍼(141)와, 상기 제1호퍼(141)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2)과, 바닥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호퍼(141)가 끼어지는 제1호퍼지지공(143a)이 형성된 제1테이블(143)과, 상기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2)과 상기 제1호퍼지지공(143a)의 가장자리측 제1테이블(143) 사이에 설치되는 3개의 제1무게센서(144)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무게센서(144)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하부홈(145a')이 형성된 제1하부지지단(145a)과, 제1지지브라켓(142)의 하부측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제1상부홈(145b')이 형성된 제1상부지지단(145b)과, 제1하부홈(145a')과 제1상부홈(145b')에 설치되는 제1볼(145c)을 포함하고; 상기 원두저장탱크(331)(332)(333) 상부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원두저장탱크(331)(332)(333) 내부에 저장된 상기 원두가 숙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밸브(331a)(332a)(333a)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호퍼(141)는 상기 각각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연결되는 다수의 제1스크류이송관(146)(146')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스크류이송관(146)(146')은, 상기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상기 제1호퍼(141)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관(146a)과, 상기 이송관(146)에 내장되는 스크류(146b)와, 상기 이송관(146a)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146b)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콘트롤러(1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크류모터(146c)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두분배공급부(300)는, 상기 로스팅부(200)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분배하는 원두분배기(320); 상기 원두분배기(320)에서 분배된 원두를 로스팅된 정도로 종류별로 각각 저장하고, 각각 저장된 상기 원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 상기 원두저장탱크(331)(332)(3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종류의 원두 또는 여러 종류의 원두혼합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계량하는 원두계량공급기(340); 및 상기 원두분배공급기(340)와 연동되어 정확한 무게만큼의 원두 또는 원두혼합물을 배출될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콘트롤러(3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두계량공급기(340)는, 상기 원두저장탱크(331)(332)(3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종류의 원두 또는 여러 종류의 원두혼합물이 수용되는 제2호퍼(341)와, 상기 제2호퍼(341)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2)과, 바닥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호퍼(341)가 끼어지는 제2호퍼지지공(343a)이 형성된 제2수평테이블(343)과; 상기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2)과 제2호퍼지지공(343a)의 가장자리측 제2테이블(343) 사이에 설치되는 3개의 제2무게센서(3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호퍼(341)는 상기 각각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와 연결되는 다수의 제2스크류이송관(346)(346)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스크류이송관(346)(346')은 상기 원두저장탱크(331)(332)(333)와 제2호퍼(341) 사이에 연결되는 제2이송관(346a)과, 상기 제2이송관(346a)에 내장되는 제2스크류(346b)와, 상기 제2이송관(346a)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스크류(346b)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2콘트롤러(3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스크류모터(346c)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생두분배공급부, 로스팅부 및 원두분배공급부의 작동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품종에 따른 특성을 반영하여 맛과 향이 극대화된 생두를 로스팅할 수 있고, 특정한 맛과 향을 가지는 여러종류의 원두를 브렌딩하여 기존과는 다른 맛과 향을 가지는 커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품종의 생두의 로스팅 및 여러 종류의 원두의 브렌딩을 입력된 레시피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생산되는 커피의 품질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생두 및 원두의 분배과정에서 생두 및 원두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아, 공기중의 오염물질이나 미생물에 의하여 생두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로스팅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생두분배공급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원두분배공급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2의 생두분배기 및 도 4의 원두분배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생두분배기 및 원두분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7은 도 6의 제1,2분배플레이트 및 제1,2반송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제1,2회전플레이트 및 제1,2분배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제1,2회전플레이트 및 제1,2분배관의 평면도,
도 10은 도 2의 생두계량공급기 및 도 4의 원두계량공급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있어 제1,2지지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2무게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은, 다양한 품종의 생두를 분배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생두를 품종별로 공급하는 생두분배공급부(100)와; 생두분배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생두를 로스팅하여 원두로 가공하는 로스팅부(200)와; 로스팅부(200)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로스팅된 정도로 종류별로 분배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종류별 원두를 브렌딩하여 공급하는 원두분배공급부(300)와; 원두분배공급부(3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두를 포장하는 포장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로스팅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팅부(200)는, 후술할 생두분배공급부(200)의 생두계량공급기(140)에서 계량된 후 배출되는 생두를 로스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두를 로스팅하여 원두로 가공하는 드럼(210)과; 드럼(210)에서 로스팅된 후 배출되는 원두를 식혀주는 칠러(220)와; 드럼(210)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사이클론(230)과; 칠러(220)로 배출된 원두를 빠르게 냉각시키기 위하여 그 칠러(220) 내측으로 외부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사이클론(240)과; 칠러(220)로 배출된 원두를 더욱 빠르게 냉각시키기 위하여 그 칠러(220)로 공기를 공급하는 보조팬(250);을 포함한다.
드럼(210)에는 200℃ 내외의 온도로 설정된 열풍이 공급되어 생두를 로스팅하여 원두로 가공한다.
칠러(220)는 상부가 개방되며 전체적으로 납작한 원통형태를 이루며, 드럼(210)에서 로스팅된 후 배출되는 원두를 칠러(220) 바닥에 펼친 후 교반기(미도시)가 원두를 서서히 교반한다. 이때 원두는 펼쳐진 상태로 교반되기 때문에 원두와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커지고, 이에 따라 냉각시간이 단축된다.
제1사이클론(230)은 드럼(210)에서 로스팅된 원두가 배출된 후, 다음 로스팅을 위하여 드럼(210) 내부를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1사이클론(230)은 제1흡입관(231)을 통하여 드럼(210)과 연결되며, 드럼(21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드럼(21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기 드럼(210) 내부로 빠르게 유입되게 하여 드럼 냉각시간을 단축시킨다.
제2사이클론(240)은 드럼(210)에서 칠러(220)로 배출된 원두를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2사이클론(240)은 제2흡입관(241)을 통하여 칠러(220)의 하부측과 연결되며, 칠러(220)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서 칠러(220) 내측에 음압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칠러(220)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로스팅된 원두를 빠르게 냉각시킨다.
보조팬(250)은 칠러(220)에 펼쳐져 교반되는 원두들에 별도로 공기를 공급하여 더욱 빠른 시간내에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보조팬(250)은 칠러(220) 내외측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바닥에 지지되는 축부(251)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드럼(210)으로 유입된 생두는 170~230℃ 온도범위의 열풍에 의하여 15~20 분 범위에서 로스팅되어 원두가 되고, 이후 칠러(220)로 배출된 후 교반되면서 상온에서 냉각되며, 이후 냉각된 원두는 후술할 원두분배기(320)에 의하여 여러개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로 분배되어 독립적으로 저장된다.
한편, 드럼(210)에서 칠러(220)로 원두가 배출되면 제1사이클론(230)은 드럼(210) 내부의 고온공기를 배출시켜 외부에 공기가 드럼(210)으로 유입되게 하고, 제2사이클론(240)은 칠러(220) 내측의 공기를 배출시켜 외부의 공기가 칠러(220) 내측으로 유입되게 한다. 이에 따라 칠러(220)에서 원두가 빠르게 냉각되는 동안에 드럼(210) 내부도 빠르게 냉각되고, 다음 로스팅작업을 하기 위한 대기 상태가 된다. 즉 제2사이클론(240)은 칠러(220)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빠르게 냉각시키게 하고, 제1사이클론(230)은 드럼(210) 내부를 냉각시킴으로써, 다른 품종의 생두를 로스팅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생두분배공급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생두분배공급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두를 공급하는 생두공급기(110)에서 공급되는 생두를 분배하는 생두분배기(120)와; 생두분배기(120)에서 분배된 생두를 품종별로 각각 저장하는 것으로서, 저장된 각각의 생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생두저장탱크(131)(132)(1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품종의 생두의 무게를 측정하여 계량하는 생두계량공급기(140)와; 생두계량공급기(140)와 연동되어 정확한 무게만큼의 상기 생두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콘트롤러(150)와; 생두계량공급기(140)에서 배출되는 생두를 로스팅부(200)로 공급하기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저장호퍼(160);를 포함한다.
생두공급기(110)는, 작업자가 포대나 통에 저장된 생두를 공급하는 생두공급호퍼(111)와, 생두공급호퍼(111)에서 공급되는 생두로부터 돌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석발기(1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생두공급기(110)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생두공급호퍼(111)로 투입되는 생두를 후술할 생두분배기(120)의 임시호퍼(126)로 이송된다.
생두공급기(110)와 생두분배기(120) 사이에는 생두에 함유된 더스트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기(115)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생두의 분배과정에서 주위 환경이 생두 더스트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어 쾌적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생두저장탱크(131)(132)(133)는 저장하고자 하는 생두의 품종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8 개로 도시되어 있다. 생두저장탱크(131)(132)(133) 각각에는 품종별로 분류된 생두가 독립적으로 저장되며, 예를 들면 각각 150Kg 의 생두가 저장된다.
도 5는 도 2의 생두분배기 및 도 4의 원두분배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생두분배기 및 원두분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또 도 7은 도 6의 제1,2분배플레이트 및 제1,2반송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제1,2회전플레이트 및 제1,2분배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1,2회전플레이트 및 제1,2분배관의 평면도이다.
생두분배기(120)는, 생두공급부의 석발기(112)로부터 공급되는 생두를 다수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에 품종별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생두분배기(120)는, 8 품종의 생두를 분배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생두분배기(120)의 분배수는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생두분배기(120)는 원산지에 따라 맛과 향이 다른 여러 품종의 생두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두분배기(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두저장탱크(131)(132)(133)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하부베이스(121a) 및 그 제1하부베이스(121a)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베이스(121b)와; 제1하부베이스(121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분배공(122a)(122b)(122c)이 원형을 이루며 형성된 제1분배플레이트(122)와; 생두저장탱크(131)(132)(133)의 상부측과 제1분배공(122a)(122b)(122c)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반송관(123a)(123b)(123c)과; 제1분배플레이트(122)의 상부측에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분배공중 특정 제1분배공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1배출공(124a)이 형성된 제1회전플레이트(124)와; 제1상부케이스(121b)의 상단에 일측단이 베어링 결합되고 타측단이 제1회전플레이트(124)의 제1배출공(124a)과 연결되는 제1분배관(125)과; 제1상부베이스(121b)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제1분배관(125)의 입구와 연결된 것으로서, 생두공급기(110)에서 공급되는 생두가 임시 수용되는 제1임시호퍼(126)와; 제1하부케이스(121a)에 고정된 것으로서 제1회전플레이트(124)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그 제1회전플레이트(124)의 중심과 결합되는 제1샤프트(127a)를 가지는 제1구동모터(127)와; 제1샤프트(127a)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제1센서(128);을 포함한다.
제1분배플레이트(1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제1분배공(122a)(122b)(12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반송관(123a)(123b)(123c)은 제1분배공(122a)(122b)(122c)과 생두저장탱크(131)(132)(133)를 연결한다.
제1회전플레이트(12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를 가진다. 제1회전플레이트(124)에는 상기 다수의 제1분배공(122a)(122b)(122c)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1개의 제1배출공(124a)이 형성되고, 제1분배관(125)은 제1배출공(124a)과 제1상부케이스(121b) 상부측의 제1임시호퍼(126)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1회전플레이트(124)는 제1구동모터(127)에 의하여 제1분배플레이트(122) 상에서 회전되어, 제1회전플레이트(124)가 제1분배플레이트(122)에 대하여 특정 각도 회전될 때 제1배출공(124a)은 특정 제1분배공에 배치된다.
제1회전플레이트(124)는 제1분배플레이트(122)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배출공(124a)이 움직이면서 특정 분배공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제1배출공(124a)과 분배공 사이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생두가 공기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이나 미생물에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플레이트(124)의 제1배출공(124a)의 주위에 실링(미도시)이 설치될 경우, 제1회전플레이트(124)가 회전되는 동안에 제1배출공(124a)이 특정 분배공이 배치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임시호퍼(126)에는 생두공급기(110)에서 공급되는 생두가 임시 수용되는 것으로서, 하부측에 제1개폐밸브(126a)가 설치되어 그 제1개폐밸브(126a)가 개방되었을 때 임시 수용된 생두가 제1분배관(125)으로 배출된다. 이때 제1개폐밸브(126a)는 상기한 제1콘트롤러(350)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1센서(128)는 제1샤프트(127a)의 회전을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근접센서로서, 제1샤프트(127a)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회전플레이트(124)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 이때 제1샤프트(127a)에는 제1센서(128)와 근접하였을 때 센싱되는 제1센싱단(128a)이 설치되어, 제1샤프트(127a)의 회전각도를 더욱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다.
제1센서(128)는 제1회전플레이트(124)의 회전각도를 센싱함과 동시에 그 제1회전플레이트(124)가 특정한 회전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분배관(125)의 타측단이 연결되는 제1배출공(124a)이 특정한 제1분배공에 정확힌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생두공급기(110)에서 공급되는 생두는 제1임시호퍼(126)에 임시 수용된다. 이후 제1콘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하여 제1구동모터(127)는 제1회전플레이트(124)를 회전시켜 제1배출공(124a)이 특정한 제1분배공에 배치되도록 하여 제1임시호퍼(126)와 연결된 제1분배관(125)이 특정 제1반송관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1콘트롤러(150)가 제1개폐밸브(126a)를 개방하면, 제1임시호퍼(126)에 수용된 생두는 특정한 제1반송관을 통하여 해당 생두저장탱크로 공급된다. 이러한 생두저장탱크(131)(132)(133)로의 생두공급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생두부분배기(120)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공기중의 오염물질이나 미생물에 의하여 생두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생두계량공급기 및 도 4의 원두계량공급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있어 제1,2지지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2무게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생두계량공급기(140)는, 생두저장탱크(131)(132)(1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품종의 생두가 수용되는 제1호퍼(141)와, 제1호퍼(141)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2)과, 바닥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제1호퍼(141)가 끼어지는 제1호퍼지지공(143a)이 형성된 제1테이블(143)과,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2)과 제1호퍼지지공(143a)의 가장자리측 제1테이블(143) 사이에 설치되는 3개의 제1무게센서(144)를 포함한다. 즉 제1호퍼(141)는 제1호퍼지지공(143)의 가장자리측 제1테이블(143)에 설치되는 3개의 제1무게센서에 지지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제1호퍼(141)와 제1테이블(143)은 상호 분리된 상태이다.
제1호퍼(141)는 특정한 생두저장탱크로부터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품종의 생두가 수용된다.
제1지지브라켓(142)은 제1호퍼(141)의 외주면에 3개가 대칭되게 설치된다.
제1무게센서(144)는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2)과 제1테이블(143) 사이에 설치되어 제1호퍼(141)를 대칭되는 3 방향에서 지지한다. 이때 제1무게센서(144)는 제1호퍼(141)를 대칭되는 3 방향에서 균형있게 지지하므로, 제1호퍼(141)로 배출되는 생두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제1무게센서가 제1호퍼(141)를 대칭되게 지지하지 않을 경우, 제1상부호퍼(141) 내부에서 생두가 특정 방향으로 치우쳤을 때 정확한 무게를 측정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제1무게센서(144)와 제1지지브라켓(142) 사이에는,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3)이 제1호퍼지지공(143a)의 가장자리측 제1테이블(143)에 고정된 제1무게센서(144)에 정확한 위치로 지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무게센서(144)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하부홈(145a')이 형성된 제1하부지지단(145a)과, 제1지지브라켓(142)의 하부측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제1상부홈(145b')이 형성된 제1상부지지단(145b)과, 제1하부홈(145a')과 제1상부홈(145b')에 설치되는 제1볼(145c)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3개의 제1볼(145c)은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2)이 3개의 제1무게센서(144)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호퍼(141)는 생두가 유입되면서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생두저장탱크(131)(132)(133)로부터 생두가 제1호퍼(141)로 배출되면,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2)에 지지되는 제1무게센서144)는 배출된 생두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제1콘트롤러(150)로 전송한다.
한편 제1호퍼(141)는 상기한 각각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연결되는 다수의 제1스크류이송관(146)(146')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스크류이송관(146)(146')은 각각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제1호퍼(141) 사이에 연결되는 제1이송관(146a)과, 제1이송관(146a)에 내장되는 제1스크류(146b)와, 제1이송관(146a)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1스크류(146b)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콘트롤러(1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스크류모터(146c)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특정한 제1스크류이송관의 제1스크류모터(146c)가 제1스크류(146b)를 회전시킴에 따라, 해당 생두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생두가 제1호퍼(141)로 이송된다.
제1콘트롤러(150)는 제1호퍼(141)로 특정 생두가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정확한 양의 생두가 배출되도록 각각의 제1스크류이송관(146)(146')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관리자가 참조부호 132로 도시된 제1생두저장탱크(132)에 저장된 생두를 10kg 배출하라고 제1콘트롤러(150)를 조작하면, 제1콘트롤러(150)는 생두저장탱크(132)와 연결된 제1스크류이송관의 제1스크류모터(146c)를 회전시켜 배출되는 생두를 제1호퍼(141)로 이송시키고, 제1호퍼(141)로 배출된 생두의 무게가 10kg 이 되면 제1무게센서(144)가 이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제1콘트롤러(1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콘트롤러(150)는 상기 제1스크류모터(146c)의 회전을 정지시켜 더 이상의 생두가 배출되지 않게 한다.
임시저장호퍼((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호퍼(141)에서 계량된 특정 품종의 생두가 배출되어 임시로 저장되고, 이후 후술할 로스팅부(200)로 공급된다. 즉 임시저장호퍼(160)는 무게로 정확히 계량된 원두를 로스팅부(200)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두분배공급부(100)에 따르면, 다수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는 생두공급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생두를 품종별로 독립되게 저장하고, 무게를 계량할 수 있는 생두계량공급기(140)는 제1콘트롤러(150)와 연동되어 제1스크류이송관(146)(146')을 제어함으로써 특정 품종의 생두를 로스팅부(200)로 정확한 무게만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로스팅부(200)로 공급되는 생두의 양은 무게로 계량되어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로스팅되는 생두의 맛과 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생두의 품종에 따른 특성을 반영하여 맛과 향이 극대화되게 로스팅할 수 있다.
한편 제1콘트롤러(150)는 여러개의 제1스크류이송관(146)(146')을 조작함으로써, 생두계량공급기(140)를 통하여 로스팅부(200)로 여러 품종의 생두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여러 품종의 생두가 혼합되어 로스팅되므로, 더욱 다양한 맛 및 향을 가지는 원두로의 가공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원두분배공급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원두분배공급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팅부(200)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분배하는 원두분배기(320)와; 원두분배기(320)에서 분배된 원두를 로스팅된 정도로 종류별로 각각 저장하고, 각각 저장된 상기 원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와; 원두저장탱크(331)(332)(3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종류의 원두 또는 여러 종류의 원두혼합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계량하는 원두계량공급기(340)와; 원두분배공급기(340)와 연동되어 정확한 무게만큼의 원두 또는 원두혼합물을 배출될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콘트롤러(350)와; 원두계량공급기(340)에서 배출되는 원두를 고르게 브렌딩하기 위한 브렌더(360)와; 브렌더(360)에 의하여 고르게 브렌딩된 원두를 포장부(40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호퍼(370)와; 브렌더(360)에서 브렌딩되는 원두를 살균하기 위한 UV 살균기(380)를 포함한다.
한편 로스팅부(200)의 드럼(210)과 원두분배기(320) 사이에는 원두에 함유된 더스트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기(315)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원두의 분배과정에서 주위 환경이 원두 더스트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어 쾌적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로스팅부(200)에서 로스팅된 원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원두분배기(320)의 임시호퍼(326)로 이송된다.
원두분배기(320)는, 로스팅부(200)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맛 및 향에 따른 종류별로 다수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두분배기(320)는 로스팅된 정도로 8 종류로 분류된 원두를 분배하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그러나 원두분배기(320)의 분배개수는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원두분배기(32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두저장탱크(331)(332)(333)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2하부베이스(321a) 및 그 제2하부베이스(321a)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베이스(321b)와; 제2하부베이스(321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2분배공(322a)(322b)(322c)이 원형을 이루며 형성된 제2분배플레이트(322)와; 원두저장탱크(331)(332)(333)의 상부측과 제2분배공(322a)(322b)(322c)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2반송관(323a)(323b)(323c)과; 제2분배플레이트(322)의 상부측에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2분배공중 특정 제2분배공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2배출공(324a)이 형성된 제2회전플레이트(324)와; 제2상부케이스(321b)의 상단에 일측단이 베어링 결합되고 타측단이 제2회전플레이트(324)의 제2배출공(324a)과 연결되는 제2분배관(325)과; 제2상부베이스(321b)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제2분배관(325)의 입구와 연결된 것으로서, 로스팅부(200)의 드럼(210)에서 공급되는 원두가 임시 수용되는 제2임시호퍼(326)와; 제2하부케이스(321a)에 고정된 것으로서 제2회전플레이트(324)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그 제2회전플레이트(324)의 중심과 결합되는 제2샤프트(327a)를 가지는 제2구동모터(327)와; 제2샤프트(327a)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제2센서(328);를 포함한다.
제2분배플레이트(3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제1분배공(322a)(322b)(32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반송관(323a)(323b)(323c)은 제1분배공(122a)(122b)(122c)과 생두저장탱크(131)(132)(133)를 연결한다.
제2회전플레이트(32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한 다수의 제2분배공(322a)(322b)(322c)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2배출공(324a)이 형성되고, 제2분배관(325)은 제2배출공(324a)과 제2상부케이스(321b) 상부측의 제2임시호퍼(326)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2회전플레이트(324)는 제2구동모터(327)에 의하여 제2분배플레이트(322) 상에서 회전되어, 제2회전플레이트(324)가 제2분배플레이트(322)에 대하여 특정 각도 회전될 때 제2배출공(324a)은 특정 제1분배공에 배치된다.
제2회전플레이트(324)는 제2분배플레이트(322)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2배출공(324a)이 움직이면서 특정 분배공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제2배출공(324a)과 분배공 사이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원두가 공기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이나 미생물에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플레이트(324)의 제2배출공(324a)의 주위에 실링(미도시)이 설치될 경우, 제2회전플레이트(324)가 회전되는 동안에 제2배출공(324a)이 특정 분배공이 배치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임시호퍼(326)에는 로스팅부의 드럼(210)에서 공급되는 원두가 임시 수용되는 것으로서, 하부측에 제2개폐밸브(326a)가 설치되어 그 제2개폐밸브(326a)가 개방되었을 때 임시 수용된 원두가 제2분배관(325)으로 배출된다. 이때 제2개폐밸브(326a)는 상기한 제2콘트롤러(350)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2센서(328)는 제2샤프트(327a)의 회전을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근접센서로서, 제2샤프트(327a)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회전플레이트(324)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 이때 제2샤프트(327a)에는 제2센서(328)와 근접하였을 때 센싱되는 제2센싱단(328a)이 설치되어 제2샤프트(327a)의 회전각도를 더욱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다.
제2센서(328)는 제2회전플레이트(324)의 회전각도를 센싱함과 동시에 그 제2회전플레이트(324)가 특정한 회전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2분배관(325)의 타측단이 연결되는 제2배출공(324a)이 특정한 제2분배공에 정확힌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로스팅부(200)의 드럼(210)에서 공급되는 원두는 제2임시호퍼(326)에 임시 수용된다. 이후 제2콘트롤러(350)의 제어에 의하여 제2구동모터(327)는 제2회전플레이트(324)를 회전시켜 제2배출공(324a)이 특정한 제2분배공에 배치되도록 하여 제2임시호퍼(326)와 연결된 제2분배관(325)이 특정 제2반송관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2콘트롤러(350)가 제2개폐밸브(326a)를 개방하면, 제2임시호퍼(326)에 수용된 생두는 특정한 제2반송관을 통하여 해당 원두저장탱크로 공급된다. 이러한 원두저장탱크(331)(332)(333)로의 원두공급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원두분배기(320)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공기중의 오염물질이나 미생물에 의하여 원두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원두저장탱크(331)(332)(333)는 저장하고자 하는 원두의 종류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8 개로 도시되어 있다. 원두저장탱크(331)(332)(333) 각각에는 로스팅된 정도로 분류된 원두가 독립적으로 저장되며, 예를 들면 150Kg 의 원두를 저장된다. 이러한 원두저장탱크(331)(332)(333)는, 저장된 원두를 저장함으로써 로스팅된 이후에 원두에 함유된 향이 날아가면서 노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원두저장탱크(331)(332)(333)에 종류별로 저장된 원두는 12시간에서 24시간동안 숙성되는데, 이때 숙성 도중에 가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원두저장탱크(331)(332)(333)의 상부에는 가스배출밸브(331a)(332a)(333a)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스배출밸브(331a)(332a)(333a)에 의하여 원두저장탱크(331)(332)(333) 내부를 원두의 숙성이 가능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가스압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원두계량공급기(34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두저장탱크(331)(332)(3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종류의 원두 또는 여러 종류의 원두혼합물이 수용되는 제2호퍼(341)와, 제2호퍼(341)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2)과, 바닥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제2호퍼(341)가 끼어지는 제2호퍼지지공(343a)이 형성된 제2수평테이블(343)과;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2)과 제2호퍼지지공(343a)의 가장자리측 제2테이블(343) 사이에 설치되는 3개의 제2무게센서(344)를 포함한다.
제2호퍼(341)는 특정한 원두저장탱크로부터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품종의 원두 또는 여러 종류의 원두혼합물이 수용된다.
제2지지브라켓(342)은 제2호퍼(341)의 외주면에 3개가 대칭되게 설치된다.
제2무게센서(344)는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2)과 제2테이블(343) 사이에 설치되어 제2호퍼(341)를 대칭되는 3 방향에서 지지한다. 이때 제2무게센서(344)는 제2호퍼(341)를 대칭되는 3 방향에서 균형있게 지지하므로, 제2호퍼(341)로 배출되는 원두 또는 원두혼합물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제2무게센서(344)가 제2호퍼(341)를 대칭되게 지지하지 않을 경우, 제2호퍼(341) 내부에서 원두 또는 원두혼합물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쳤을 때 정확한 무게를 측정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제2무게센서(344)와 제2지지브라켓(342) 사이에는,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3)이 제2호퍼지지공(343a)의 가장자리측 제2테이블(343)에 고정된 제2무게센서(344)에 정확한 위치로 지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2무게센서(344)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하부홈(345a')이 형성된 제2하부지지단(345a)과, 제2지지브라켓(342)의 하부측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제2상부홈(345b')이 형성된 제2상부지지단(345b)과, 제2하부홈(345a')과 제2상부홈(345b')에 설치되는 제2볼(345c)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3개의 제2볼(345c)은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2)이 3개의 제2무게센서(344)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2호퍼(341)는 원두가 유입되면서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원두저장탱크(331)(332)(333)로부터 원두 또는 원두혼합물이 제2호퍼(341)로 배출되면,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2)에 지지되는 제2무게센서(344)는 배출된 원두 또는 원두혼합물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제2콘트롤러(350)로 전송한다.
한편 제2호퍼(341)는 상기한 각각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와 연결되는 다수의 제2스크류이송관(346)(346)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스크류이송관(346)(346')은 각각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와 제2호퍼(341) 사이에 연결되는 제2이송관(346a)과, 제2이송관(346a)에 내장되는 제2스크류(346b)와, 제2이송관(346a)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스크류(346b)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2콘트롤러(3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스크류모터(346c)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특정한 제2스크류이송관의 제2스크류모터(346c)가 제2스크류(346b)를 회전시킴에 따라, 해당 원두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원두가 제2호퍼(341)로 이송된다.
제2콘트롤러(350)는 다수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 각각에서 배출되는 원두양에 관련된 레시피정보를 제공한다. 제2콘트롤러(350)에는 특정 소비자(업체)에서 요구하는 원두의 종류에 관련된 여러 레시피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며, 특정 레시피를 설정하였을 때 제2콘트롤러(350)는 특정 원두저장탱크 단독 혹은 여러 원두저장탱크에서 특정 양만큼의 원두가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제2콘트롤러(350)는 제2호퍼(341)로 특정 원두가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정확한 양의 원두가 배출되도록 각각의 제2스크류이송관(346)(346')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관리자가 참조부호 331으로 도시된 원두저장탱크(331)에 저장된 생두를 10kg 배출하고, 333으로 도시된 원두저장탱크(333)에 저장된 원두를 20Kg 배출하도록 제2콘트롤러(350)를 조작하면, 제2콘트롤러(350)는 원두저장탱크(331)(333) 각각에 연결된 제2스크류이송관의 제2스크류모터(346c)를 회전시켜 배출되는 원두를 제2호퍼(341)로 이송시킨다.
즉 제2호퍼(341)로 배출된 원두의 무게가 10kg 및 이 되면 제2무게센서(344)가 이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제2콘트롤러(350)로 전송하고, 그러면 제2콘트롤러(350)는 상기 제2스크류모터(346c)의 회전을 정지시켜 더 이상의 원두가 331로 도시된 원두저장탱크(331)로부터 배출되지 않게 한다.
이후 제2콘트롤러(350)는 333으로 도시된 원두저정탱크(333)와 연결된 제2스크류이송관의 제2스크류모터를 회전시켜 원두저장탱크(333)로부터 원두가 제2호퍼(341)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호퍼(341)로 배출된 원두의 무게가 20kG 이 되면 제2무게센서(344)가 이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제2콘트롤러(350)로 전송하고, 그러면 제2콘트롤러(350)는 333로 도시된 원두저장탱크와 연결된 제2스크류이송관의 제2스크류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더 이상의 원두가 333으로 도시된 원투저장탱크(333)로부터 배출되지 않게 한다.
브렌더(360)는, 원두계량공급기(340)에서 배출되는 원두 또는 원두혼합물을 임시 저장함과 동시에 고르게 브렌딩한다.
배출호퍼(370)는, 브렌더(360)에 의하여 고르게 브렌딩된 원두를 포장부(400)로 배출한다.
UV 살균기(380)는 브렌더(360)의 상부에 설치되어, 브렌딩되는 원두에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러한 UV 살균기(380)는 230~250 nm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램프를 가지며, 이러한 자외선은 원두가 브렌딩되는 동안에 조사된다. 이에 따라, 상온에서 진행되는 브렌딩도중 공기중의 세균에 의하여 원두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두분배공급부(300)에 따르면, 다수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는 로스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원두를 로스팅된 정도로 종류별로 독립되게 저장하고, 무게를 계량할 수 있는 원두계량공급기(340)는 제2콘트롤러(350)와 연동되어 제2스크류이송관(346)(346')을 제어함으로써 특정 종류의 원두를 정확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종류의 원두 또는 여러 종류의 원두혼합물을 정확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어, 후술할 포장부(400)가 정확한 양의 포장을 가능하게 한다.
포장부(400)는 원두분배공급부(300)의 브렌더(342)에서 고르게 브렌딩된 원두를 포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두분배공급부(100)에 있어 다수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가 생두공급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생두를 품종별로 독립되게 저장하고, 생두계량공급기(140) 및 제1콘트롤러(150)에 의하여 특정 품종의 생두를 로스팅부(200)에 정확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로스팅부(200)로 공급되는 생두의 양은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로스팅되는 생두의 맛과 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생두의 품종에 따른 특성을 반영하여 맛과 향이 극대화되게 로스팅할 수 있다.
또한 로스팅부(200)에 있어 로스팅된 원두를 칠러(220)에서 냉각시키는 동안 사이클론(230)이 드럼(210) 내부의 고온공기를 배출시키고 외부에 공기가 드럼(210)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다음 로스팅작업을 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원두분배공급부(300)에 있어, 다수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가 로스팅된 정도로 종류별로 분류된 원두를 독립되게 저장하고, 원두계량공급기(340) 및 제2콘트롤러(350)에 의하여 특정 종류의 생두를 정확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종류의 원두 또는 여러 종류의 원두혼합물을 정확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어 포장부(400)가 정확한 양의 원두를 포장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생두분배공급부(100), 로스팅부(200) 및 원두분배공급부(300)의 작동은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품종에 따른 특성을 반영하여 맛과 향이 극대화된 생두를 로스팅할 수 있고, 특정한 맛과 향을 가지는 여러종류의 원두를 브렌딩하여 기존과는 다른 맛과 향을 가지는 커피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생두를 공급하는 과정이나, 로스팅된 원두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관리자의 손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위생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품종의 생두의 로스팅 및 여러 종류의 원두의 브렌딩을 입력된 레시피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생산되는 커피의 품질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생두 및 원두의 분배과정에서 생두 및 원두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아, 공기중의 오염물질이나 미생물에 의하여 생두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생두분배공급부 110 ... 생두공급기
111 ... 생두공급호퍼 112 ... 석발기
120 ... 생두분배기 121a ... 제1하부베이스
121b ... 제1상부베이스 122 ... 제1분배플레이트
122a. 122b, 122c ... 제1분배공 123a, 123b, 123c ... 제1반송관
124 ... 제1회전플레이트 125 ... 제1분배관
126 ... 제1임시호퍼 126a ... 제1개폐밸브
127 ... 제1구동모터 128 ... 제1센서
131, 132, 133 ... 생두저장탱크 140 ... 생두계량공급기
141 ... 제1호퍼 142 ... 제1지지브라켓
143 ... 제1테이블 143a ... 제1호퍼지지공
144 ... 제1무게센서 145a ... 제1하부지지단
145b ... 제1상부지지단 145c ... 제1볼
150 ... 제1콘트롤러 200 ... 로스팅부
210 ... 드럼 220 ... 칠러
230 ... 제1사이클론 231 ... 제1흡입관
240 ... 제2사이클론 241 ... 제2흡입관
250 ... 보조팬 251 ... 축부
300 ... 원두분배공급부 320 ... 제2원두분배기
321a ... 제2하부베이스 321b ... 제2상부베이스
322 ... 제2분배플레이트 322a. 322b , 322c ... 제2분배공
323a, 323b, 323c ... 제2반송관 324 ... 제2회전플레이트
325 ... 제2분배관 326 ... 제2임시호퍼
326a ... 제2개폐밸브 327 ... 제2구동모터
328 ... 제2센서 331, 332, 333 ... 원두저장탱크
331a, 332a, 333a ... 가스배출밸브 340 ... 원두계량공급기
341 ... 제2호퍼 342 ... 제2지지브라켓
343 ... 제2테이블 343a ... 제2호퍼지지공
344 ... 제2무게센서 345a ... 제2하부지지단
345b ... 제2상부지지단 345c ... 제2볼
350 ... 제2콘트롤러 360 ... 브렌더
370 ... 배출호퍼 380 ... UV 살균기
400 ... 포장부

Claims (7)

  1. 다양한 품종의 생두를 분배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생두를 품종별로 공급하는 생두분배공급부(100)와; 상기 생두분배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생두를 로스팅하여 원두로 가공하는 로스팅부(200)와; 상기 로스팅부(200)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종류별 및 로스팅된 정도로 저장 및 분배하기 위한 다수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를 가지는 원두분배공급부(300);를 포함하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두분배공급부(100)는, 생두공급기(110)에서 공급되는 생두를 분배하는 생두분배기(120)와; 상기 생두분배기(120)에서 분배된 생두를 품종별로 각각 저장하는 것으로서, 저장된 각각의 생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상기 생두저장탱크(131)(132)(1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품종의 생두의 무게를 측정하여 계량하는 생두계량공급기(140)와; 상기 생두계량공급기(140)와 연동되어 상기 다수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로부터 정확한 무게만큼의 상기 생두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콘트롤러(150)와; 생두계량공급기(140)에서 배출되는 생두를 로스팅부(200)로 공급하기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저장호퍼(160);를 포함하고;
    상기 생두계량공급기(140)는, 상기 생두저장탱크(131)(132)(1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품종의 생두가 수용되는 제1호퍼(141)와, 상기 제1호퍼(141)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2)과, 바닥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호퍼(141)가 끼어지는 제1호퍼지지공(143a)이 형성된 제1테이블(143)과, 상기 3개의 제1지지브라켓(142)과 상기 제1호퍼지지공(143a)의 가장자리측 제1테이블(143) 사이에 설치되는 3개의 제1무게센서(144)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무게센서(144)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하부홈(145a')이 형성된 제1하부지지단(145a)과, 제1지지브라켓(142)의 하부측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제1상부홈(145b')이 형성된 제1상부지지단(145b)과, 제1하부홈(145a')과 제1상부홈(145b')에 설치되는 제1볼(145c)을 포함하고;
    상기 원두저장탱크(331)(332)(333) 상부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원두저장탱크(331)(332)(333) 내부에 저장된 상기 원두가 숙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밸브(331a)(332a)(333a)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퍼(141)는 상기 각각의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연결되는 다수의 제1스크류이송관(146)(146')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스크류이송관(146)(146')은, 상기 생두저장탱크(131)(132)(133)와 상기 제1호퍼(141)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관(146a)과, 상기 이송관(146a)에 내장되는 스크류(146b)와, 상기 이송관(146a)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146b)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콘트롤러(1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크류모터(146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분배공급부(300)는,
    상기 로스팅부(200)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분배하는 원두분배기(320);
    상기 원두분배기(320)에서 분배된 원두를 로스팅된 정도로 종류별로 각각 저장하고, 각각 저장된 상기 원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상기 다수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
    상기 원두저장탱크(331)(332)(3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종류의 원두 또는 여러 종류의 원두혼합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계량하는 원두계량공급기(340); 및
    상기 원두계량공급기(340)와 연동되어 정확한 무게만큼의 원두 또는 원두혼합물을 배출될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콘트롤러(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계량공급기(340)는,
    상기 원두저장탱크(331)(332)(333)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특정 종류의 원두 또는 여러 종류의 원두혼합물이 수용되는 제2호퍼(341)와, 상기 제2호퍼(341)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2)과, 바닥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호퍼(341)가 끼어지는 제2호퍼지지공(343a)이 형성된 제2수평테이블(343)과; 상기 3개의 제2지지브라켓(342)과 제2호퍼지지공(343a)의 가장자리측 제2테이블(343) 사이에 설치되는 3개의 제2무게센서(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호퍼(341)는 상기 각각의 원두저장탱크(331)(332)(333)와 연결되는 다수의 제2스크류이송관(346)(346')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스크류이송관(346)(346')은 상기 원두저장탱크(331)(332)(333)와 제2호퍼(341) 사이에 연결되는 제2이송관(346a)과, 상기 제2이송관(346a)에 내장되는 제2스크류(346b)와, 상기 제2이송관(346a)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스크류(346b)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2콘트롤러(3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스크류모터(346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7. 삭제
KR1020140165117A 2014-11-25 2014-11-25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KR101762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117A KR101762800B1 (ko) 2014-11-25 2014-11-25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117A KR101762800B1 (ko) 2014-11-25 2014-11-25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423A KR20160062423A (ko) 2016-06-02
KR101762800B1 true KR101762800B1 (ko) 2017-08-04

Family

ID=5613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117A KR101762800B1 (ko) 2014-11-25 2014-11-25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691B1 (ko) 2018-03-06 2018-11-28 주식회사 라붐팩토리 커피원두의 자동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5249A (zh) * 2016-06-28 2016-09-14 洪英玉 咖啡烘焙机
KR102012584B1 (ko) * 2017-01-31 2019-08-20 주식회사 푸드엔텍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분배기
CN109007915A (zh) * 2018-07-26 2018-12-18 广州华夏职业学院 一种烘炒机
KR102122489B1 (ko) * 2020-01-13 2020-06-12 김영식 토탈 커피 가공 시스템
KR102590650B1 (ko) * 2021-03-15 2023-11-01 주식회사 이디야 시스테마틱 커피 가공 플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735B1 (ko) * 2010-06-09 2012-11-08 안태완 사료 포장기의 혼합사료 계량 장치
KR101228614B1 (ko) 2012-06-29 2013-01-31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로스팅 시스템
KR101468359B1 (ko) 2014-04-21 2014-12-03 최형식 커피의 자동 가공 및 브렌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735B1 (ko) * 2010-06-09 2012-11-08 안태완 사료 포장기의 혼합사료 계량 장치
KR101228614B1 (ko) 2012-06-29 2013-01-31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로스팅 시스템
KR101468359B1 (ko) 2014-04-21 2014-12-03 최형식 커피의 자동 가공 및 브렌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691B1 (ko) 2018-03-06 2018-11-28 주식회사 라붐팩토리 커피원두의 자동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423A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800B1 (ko)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KR101468359B1 (ko) 커피의 자동 가공 및 브렌딩 시스템
RU25217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различных замкнутых пространств, дозирова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 машин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упомянут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904691B1 (ko) 커피원두의 자동 가공장치
JP4783477B2 (ja) 栄養富化穀物製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穀物乾燥施設
US70481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beverage ingredient powder in a drink dispenser
RU2018139789A (ru) Система обжаривания и помола
WO2003103368B1 (en) STANDARD HOUSING FOR RECEIVING CONTAINERS FOR BULK SEEDS
US11523710B2 (en) Coffee containers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roast and ground coffee
KR101499513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킹 장치
CN101068491A (zh) 利用多种调味料和营养添加剂即时输送热饮和冷饮的方法
CN109310116A (zh) 用于基于冷冻食品制备饮料的方法和组件
KR101697280B1 (ko)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CN114081351A (zh) 五谷饮品制作工艺及五谷饮品自动售卖机
CN113163975A (zh) 一种用于定量和/或制备待制备介质的装置,一种用于接收和定量组分的容器,一种用于接收和定量流体的容器以及相应的系统
KR101472509B1 (ko) 곡물 이송 장치
KR101448524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원두공급유닛
KR20180107647A (ko) 속성 막걸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걸리 제조방법
US6520113B2 (en) Device for supplying fodder to animals
KR101392777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생두공급유닛
KR20130104113A (ko)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JP2004350594A (ja) 穀物貯蔵タンク
JP5831357B2 (ja) 種子消毒設備
KR102505544B1 (ko) 식품용 분말의 살균 설비
JP3894151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