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799B1 - 수증기 안대 - Google Patents

수증기 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799B1
KR101760799B1 KR1020150139504A KR20150139504A KR101760799B1 KR 101760799 B1 KR101760799 B1 KR 101760799B1 KR 1020150139504 A KR1020150139504 A KR 1020150139504A KR 20150139504 A KR20150139504 A KR 20150139504A KR 101760799 B1 KR101760799 B1 KR 10176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por
steam
region
generating composition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479A (ko
Inventor
박재희
Original Assignee
박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희 filed Critical 박재희
Priority to KR102015013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7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증기 안대에 관한 것으로서, 눈의 건조로 인한 눈의 피로를 완화 및 개선하기 위해 일정 온도 이하의 스팀 또는 수증기를 눈에 유도하는 수증기 안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부, 수증기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놓이며, 수증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수증기 발생부 및 온도 조절부를 수용하는 외부팩을 구비함으로써 수증기를 눈에 공급하여 눈의 건조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를 회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안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증기 안대{Steam eye bandage}
본 발명은 수증기 안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눈의 건조로 인한 눈의 피로를 완화 및 개선하기 위해 일정 온도 이하의 스팀 또는 수증기를 눈에 유도하는 수증기 안대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가 범람하는 스트레스 사회에서 눈의 피로를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눈 피로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서, 컴퓨터 작업, 자동차 운전, TV 시청, 학습, 독서 시 눈을 깜빡이는 회수가 현저하게 적어지는 응시 상태가 되는 결과, 눈 표면의 중요한 보호성분인 눈물의 증발량이 증가함에 따른 눈의 건조로 여겨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콘택트렌즈는 눈물에 들뜬 상태로 각막상에 장착하여 이용된다. 이 때문에, 특히 눈물의 분비량이 적은 사람들에게는 눈의 건조로 콘택트렌즈가 각막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어, 눈의 건조는 단순한 눈 피로에 그치지 않고 다른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눈의 피로를 치료하기 위해 안약을 눈에 넣지만 안약에는 보존 안정성 관점에서 첨가되는 방부제로 인해 문제가 있으며, 처방전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기 때문에 좀 더 편리하고 안전한 대처 요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4662호(고안의 명칭 : 발열포가 포함된 아이 마스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6372호(고안의 명칭 : 듀얼 발열포가 포함된 패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46327호(발열체가 내장된 안대)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안대에 의해 눈의 건조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를 풀 수 있는 간편하고 편리한 수증기 안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부, 수증기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놓이며, 수증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수증기 발생부 및 온도 조절부를 수용하는 외부팩을 구비함으로써 수증기를 눈에 공급하여 눈의 건조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를 회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안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발생부는 중화열, 수화열, 및 산화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온열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수증기를 발생시키며, 수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통과시키며, 수증기 발생부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입자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투습성 내부팩을 더 포함하며, 투습성 내부팩은, 수증기가 이동하는 경로상에서 수증기를 통과시키는 투습성 면과, 수증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투습성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비투습성 면을 포함한다.
또한, 온도 조절부는, 직포, 부직포, 종이, 합성지, 플라스틱, 천연고무, 재생고무, 합성고무, 천공을 가진 우레탄 폼 등의 발포 플라스틱, 및 천공을 가진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 중 적어도 1종을 이용하여 수증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온도 조절부는 부직포 및 종이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온도 조절부의 두께는 0.1mm 내지 5mm이다.
또한, 수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발생량은 단위 표면적당 0.01mg/cm2·min 이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안대에 의해 눈의 건조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를 풀 수 있어 간편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안대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안대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알갱이가 서로 다른 크기로 서로 다른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알갱이 및 점유 면적이 각기 다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순차적 또는 다단계로 발열되어 수증기가 순차적 또는 다단계로 발생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안대는 수증기를 발생하여 눈의 피로를 회복하고 눈의 건조를 방지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안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안대는 눈 및 눈 주위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눈의 피로를 풀고 눈의 건조를 방지한다. 여기서, 눈 및 눈 주위에 수증기를 발생한다는 것은 발생된 수증기를 눈 또는 눈 주위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것과, 접촉시키지 않고 그 근방으로 전달하는 것을 모두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안대는 화학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한다. 여기서, 화학에너지는 산과 알칼리의 중화열, 무기염류(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제오라이트 등)의 수화열, 금속의 산화열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에너지의 구체적인 이용 태양은 이용하는 해당 화학에너지의 반응형태에 따라 적당하게 정한다. 예를 들면, 산과 알칼리의 중화열이나 무기염류의 수화열 등을 이용할 경우 수증기 발생부는 중화열이나 수화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와, 여기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수증기를 방출하는 증발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부는 반응시킬 반응물들 사이를 구획 벽으로 분리한 후, 수증기를 발생시킬 때에 수시로 그 구획벽을 부수고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면 된다.
화학에너지로서 금속가루의 산화열을 이용할 경우, 수증기 발생부는 금속가루(예를 들면, 철, 알루미늄, 아연, 동 등), 촉매가 되는 염류(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 알칼리 금속의 염화물,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등 알칼리 토류금속의 염화물 등), 및 물을 함유한 수증기 발생 조성물(수증기 발생재)로 구성된다. 이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보수제(예를 들면, 질석(Vermiculite), 규산칼슘, 실리카겔, 실리카계 다공질 물질, 알루미나, 펄프, 나뭇가루, 흡수폴리머 등), 반응촉진제(예를 들면, 활성탄, 카본블랙, 흑연 등)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 수증기 발생 조성물은 반응식 Fe + 3/4O2 + 3/2H2O -> Fe(OH)3 + 96kcal와 같이 금속가루가 산화하는 발열반응을 일으켜 계내의 물을 수증기로 방출한다.
수증기 발생재의 구체적 일실시예로서 대략 철분, 활성탄, 수분, 수분흡수제, 소금, 및 질석으로 이루어지며 철분의 양 조절에 따라 수증기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철을 산화시키기 위해서는 활성탄 및 수분이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열 촉진제로서 소금을 사용하고, 질석은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철분 20~30%, 활성탄 20~30%, 수분 30~40%, 수분흡수제 2~12%, 소금 1~11%, 질석 1~3%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철분 25%, 활성탄 25%, 수분 35%, 수분흡수제 7%, 소금 6%, 질석 2%를 넣을 수 있으며, 철분 및 활성탄이 전체 함유량의 45 ~ 5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발열반응 시에 방출되는 증기 온도는 그 조성물에 대한 통기량을 제어하지 않고 대기중으로 공급하면 대략 60℃ 이상이 된다. 60℃ 이상의 수증기가 눈 및 눈 주위에 지속적으로 적용되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증기 온도를 50℃ 이하로 온도 제어하여 눈 또는 눈 주위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온도 제어를 전술한 산과 알칼리의 중화열, 무기염류의 수화열 등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증기 안대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 온도를 대략 50℃ 이하로 제어하여 눈 또는 눈 주위에 수증기를 공급하더라도 안정상의 문제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제어는 예를 들면, 수증기 발생부에서 반응시키는 반응물의 양, 반응물이 입체인 경우에는 그 입자의 크기 등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반응속도를 조정하고, 이것에 의해 수증기 발생체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수증기 발생부와 수증기 발생체 표면 사이에 온도 조절재를 두고, 수증기 발생부로부터 방출된 수증기가 온도 조절재를 투과함에 따라 수증기 온도가 내려가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온도 조절재를 이용해 온도제어를 하면 수증기 발생부에서 이용하는 화학에너지의 형태에 의존하지 않고, 확실하면서도 간편하게 수증기 발생체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 온도를 50℃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재의 구성소재로는 (1) 직포, 부직포, (2) 종이, 합성지 등의 종이류, (3) 플라스틱, 천연고무, 재생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된 다공성 필름 또는 다공성 시트, (4) 천공을 가진 우레탄 폼 등의 발포 플라스틱, 및 (5) 천공을 가진 알루미늄 박 등의 금속 박 중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온도 조절재의 두께는 그것을 형성하는 개개 구성소재의 재질, 복수 구성소재를 적층할 경우에 그것들의 조합형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조절재를 단층의 부직포로 형성할 경우, 그 두께는 0.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0.1mm ~ 10mm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소재로 온도 조절재를 형성할 경우, 두께를 컴팩트하게 하고, 그것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온도조절능을 높이기 위해, 온도 조절재는 여러 종의 구성소재로 구성된 적층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증기 발생체의 단위표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은 눈 또는 눈 주위에 대한 수증기 공급효과 측면에서 0.01mg/cm2·min 이상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수증기 발생체 표면으로부터 수증기 발생량을 0.01mg/cm2·min 이상으로 조정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수증기 발생부를 화학회로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로 구성할 경우, 수증기 발생부의 포장재 혹은 온도 조절재로서 충분한 투습성을 가진 것을 사용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증기 발생 안대(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증기 발생 안대(100)는 수증기 발생 조성물(110)을 수용한 투습성 내부팩(120)과, 투습성 내부팩(120) 위에 적층된 온도 조절재(130)와, 이것들 전체를 수용하는 투습성 외부팩(140)과, 더욱이 외측에서 이것들을 밀봉하는 밀봉팩(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증기 발생 안대(100)는 초기 출하시에는 밀봉팩(150)에 밀봉되어 있지만, 사용시에는 밀봉팩(150)을 찢어 내용물을 꺼낸 후, 투습성 외부팩(140)의 수증기 발생면(140a)을 눈 및 눈 주위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수증기 발생 조성물(110)은 일예로서 전술한 금속가루의 산화열을 이용할 수 있다. 투습성 내부팩 (120)은 도 1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양안과 그 주위를 덮도록 수증기 발생 안대(100) 내부에서 2군데로 구분되어 왼쪽 및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투습성 내부팩(120)은 눈에 적용하는 측의 면(수증기 발생면, 120a)이 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투습성 소재는 수증기 통과량이 충분히 얻어지고, 수증기 발생 조성물(110)이 누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소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투습성 내부팩(120)의 소재의 구체적인 일예로서 나일론, 비닐론,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아세테이트,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인공조직, 펄프, 면, 마, 견, 짐승 털 등의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직포, 부직포, 종이, 합성지 및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 에틸렌 - 초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천연고무, 재생고무, 합성고무 등의 비통기성 필름, 시트에 천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증기 발생면(120a)과 대응되는 반대측 면 (120b)은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증기 발생 조성물(110)을 수용하는 투습성 내부팩(120)의 한쪽 면(120b)을 비투습성 소재로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 조성물(110)로부터 방출된 수증기를 효율 좋게 눈 또는 눈 주위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투습성 내부팩(120)의 비투습성 면(120b)은 부직포 3a에 점착 또는 접착되어 고정된다. 수증기 발생면(120a) 위에 적층된 온도 조절재(130)는 복수의 부직포(130a)와 복수의 종이(130b)의 적층물로 구성되어 있다.
수증기 발생부인 투습성 내부팩(120)은 투습성 외부팩(140) 내부의 일정 위치에 탈착이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습성 내부팩(120) 내부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110)의 수증기 발생능이 없어져도 수증기 발생능을 가진 새로운 투습성 내부팩(120)을 교환하여 아이 마스크 모양의 투습성 외부팩(140)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투습성 내부팩(120)을 탈착이 자유롭게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투습성 외부팩(140)에 투습성 내부팩(120)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을 형성하거나, 다른 예로서 눈 및 눈 주위에 접하는 투습성 시트 혹은 온도 조절재(130)의 이면(눈과 반대측의 면)의 주위 혹은 이면의 적어도 일부에 매직 테이프나 접착 테이프를 붙이고, 그 이면에 투습성 내부팩(120)을 탈착이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안대(100)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습성 내부팩(120) 내부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110)로부터 방출된 수증기를 효율 좋게 눈 및 눈 주위로 유도하기 위해, 투습성 내부팩(120)의 눈과 반대측의 면(비투습성 면, 120b)를 비투습성으로 하고 있지만, 투습성 내부팩 전면을 투습성 재료로 형성하여, 그 투습성 내부팩(120)의 눈과 반대측의 면(120b) 위에 비투습성 시트(130a)를 배치해도 좋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재(130)는 도 1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다양한 구성소재를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온도 조절재(130)을 투습성 내부팩(120)과 별개로 두지 않고 투습성 내부팩(120)에 온도 조절재(130)의 기능을 통합할 수도 있다. 다만, 제조상의 용이성 및 안전성 등의 측면에서 온도 조절재(130)은 투습성 내부팩(120)과 별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성 외부팩(140)은 수증기 발생 조정물(110)을 수용한 투습성 내부팩(120)과 온도 조절재(130) 전체를 수용하고 있으며, 그 외형이 아이 마스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증기 발생 안대(100)의 외형을 이루는 투습성 외부팩 (140)을 아이 마스크 형상으로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 안대(10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아이 마스크는 일정 두께를 가진 것 외에 얇은 시트로 된 것도 사용될 수 있다.
투습성 외부팩(140)의 눈에 적용하는 측의 면(수증기 발생면 140a)의 주변부에는 점착재(190)가 점착되어 있다. 따라서, 수증기 발생 안대(100)를 눈 및 눈 주위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수증기 발생 안대(100)는 입자의 크기가 작은 금속가루로 구성되는 제1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수용한 제1의 투습성 내부팩과 입자의 크기가 큰 금속가루로 구성되는 제2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수용한 제2의 투습성 내부팩을 각기 따로 구비할 수 있다. 제1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은 제2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에 비해 금속가루의 입자 크기가 작으므로 수증기 발생 안대를 사용할 때 밀봉팩(150)으로부터 투습성 외부팩(140)을 꺼냈을 경우 제2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보다도 산화반응이 빠르게 일어나 신속하게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가 작은 조성물을 즉시성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은 제1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에 비해 산화반응이 느리게 일어나 발열 및 수증기 발생이 느리게 일어나지만 제1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산화반응을 완료하고 수증기의 발생이 정지한 다음에도 지속적으로 수증기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가 큰 조성물을 지속성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즉시성 수증기 발생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금속가루의 입자 크기는 대략 75μm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0 ~ 32μ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μm 미만의 입자가 많아지면 내부팩에서 철분이 쉽게 누출된다. 한편, 지속성 수증기 발생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금속가루의 입자 크기는 대략 75μ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50 ~ 300μ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0μm를 초과하는 입자가 많아지면, 발열 속도가 너무 느려져, 충분한 수증기량을 얻기 힘들게 된다.
한편,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다양한 패턴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은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모재 위에 코팅하거나 도포하는 경우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다양한 패턴 및 모양으로 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모재 위에 코팅한 것이고, 도 4은 대략 원 형상으로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모재 위에 코팅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은 각각 눈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 영역에는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코팅 또는 도포하지 않고(공백영역 또는 비점유영역, 250), 이외의 영역에만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코팅 또는 도포(점유영역, 240)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가 직접 눈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과 같이 패턴 형식으로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코팅 또는 도포하는 경우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수증기 발생 조성물간에 일정 거리 이격 되어 있으므로 어느 한 영역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산화가 다른 영역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산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고, 각기 영역은 타 영역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산화에 영향을 못 미치게 되므로 과열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공기와의 접촉을 조절하여 순차적으로 산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은 그 형상은 각기 다를 수 있으나 물방울 형상으로 코팅 또는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3 및 도 4의 공백영역(250)은 각 점유영역의 패터닝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없는 영역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부직포에 패터닝되어 배치될 때 최고 온도를 조절하고, 수증기의 온열 상승시간과 지속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점유영역과 비점유영역으로 나누어 구비하도록 하거나, 점유영역의 크기와 모양을 2가지 이상으로 하거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조성 방법과 알갱이 크기를 2가지 이상으로 하거나, 다단계 혹은 순차적으로 발열 개시가 가능하도록 가열 또는 배치하거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표면을 덮는 통기성 시트와 차단막을 구비하는 방법 중 적절한 방법을 1개 혹은 2개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점유영역과 비점유영역으로 나누는 방법은 상술한 도 3 내지 도 5에 그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점유영역의 크기와 모양을 2가지 이상으로 하는 방법은 도 3 및 도 4에서 후술하는 도 5과 같이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알갱이를 서로 다르게 하도록 하고,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모양을 2가지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구체화될 수 있다.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알갱이 크기를 2가지 이상으로 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에는 제1 영역(241)과 제2 영역(242)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1 영역(241)은 일예로서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알갱이가 큰 알갱이로 이루어진 영역이고, 제2 영역(242)은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알갱이가 제1 영역(241)의 알갱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진 영역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알갱이의 입자 크기를 가지게 함으로써 발열이 순차적으로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즉, 입자가 작은 알갱이는 공기와의 접촉시 빠르게 반응하며 산화열을 급속히 발생시키고, 입자가 큰 알갱이는 서서히 반응함으로써 수증기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역(241)과 제2 영역(242)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는 좌/우로 나누어 영역을 형성했으나, 상/하로 나누어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고, 국부적으로 작은 알갱이와 큰 알갱이의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눈의 모양과 유사한 원 형상으로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수증기의 온열 상승시간과 지속시간을 조절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알갱이가 작고 면적이 적은 제 2 영역(242)과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알갱이가 크고 면적이 넓은 제1 영역(241)을 교차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영역(242)은 수증기 안대 착용시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신속히 온열되어 수증기를 발생하고 조금 시간이 지난 후 수증기 발생을 멈추며, 제1 영역(241)은 수증기 안대 착용시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천천히 가열하지만 더 오랜 시간 수증기 발생 효과가 지속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안대 착용시 빠른 시간 안에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적정 지속시간 동안 수증기가 발생되는 효과가 지속되도록 하는 두 가지 효과를 얻게 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제1 영역(241)과 제2 영역(242)의 패턴은 순차적 또는 다단계로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발열하도록 하는 어떤 배치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온열 상승시간과 지속시간을 조절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표면 또는 전체를 통기성 시트로 덮는 제3 영역(243)과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표면 또는 전체를 차단막으로 덮는 제4 영역(244)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통기성 시트가 덮인 제3 영역(243)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차단막이 덮인 제4 영역(244)의 가열이 뒤이어 이루어진다. 통기성 시트가 덮인 제3 영역(243)은 수증기 안대 착용을 시작하면 먼저 가열이 이루어진다. 차단막으로 덮인 제4 영역(244)은 제3 영역(243)의 가열이 먼저 상당히 진행된 후 제3 영역(243)의 공기가 공기순환 영역(245)을 통해 제4 영역(244)에 공급됨으로써 비로소 공기와 접촉하게 되어 가열이 이루어져 수증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또는 다단계로 가열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공기순환 영역(245)은 차단막으로 덮이거나 또는 통기성 부직포로 덮일 수도 있다. 제3 영역(243)과 제4 영역(244)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 알갱이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수증기 안대
110 : 수증기 발생재(수증기 발생 조성물)
120 : 투습성 내부팩
120a : 수증기 발생면
120b : 비투습성 면
130 : 온도 조절재
130a : 부직포
130b : 종이
140 : 투습성 외부팩
140a : 수증기 발생면
150 : 밀봉팩
190 : 점착재
240 : 점유영역(수증기 발생 조성물 충진영역)
241 : 제1 영역(큰 알갱이)
242 : 제2 영역(작은 알갱이)
243 : 제3 영역(통기성 부직포로 감싼 영역)
244 : 제4 영역(차단막으로 감싼 영역)
245 : 공기순환 영역
250 : 공백영역(수증기 발생 조성물 비충진영역)

Claims (5)

  1. 수증기 발생 조성물에 의한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부,
    상기 수증기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놓이며, 상기 수증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수증기 발생부 및 온도 조절부를 수용하는 외부팩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증기를 눈에 공급하여 눈의 건조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를 회복하도록 하며,
    상기 수증기 발생부는,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도포되는 점유영역과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는 비점유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유영역은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소정 크기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제1 영역과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제1 영역에 비해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지면서 면적이 작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제2 영역이 먼저 가열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영역이 가열되거나,
    또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는,
    상기 수증기 발생 조성물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도포되며,
    상기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표면 또는 전체를 통기성 시트로 덮는 제3 영역과 상기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표면 또는 전체를 차단막으로 덮는 제4 영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제3 영역이 먼저 가열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4 영역이 가열됨으로써 과열을 방지하고 순차적으로 산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안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부는 중화열, 수화열, 및 산화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온열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수증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수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수증기 발생 조성물의 입자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투습성 내부팩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습성 내부팩은,
    상기 수증기가 이동하는 경로상에서 상기 수증기를 통과시키는 투습성 면과,
    상기 수증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상기 투습성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비투습성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안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직포, 부직포, 종이, 합성지, 플라스틱, 천연고무, 재생고무, 합성고무, 천공을 가진 우레탄 폼의 발포 플라스틱, 천공을 가진 알루미늄 박, 및 금속 박 중 적어도 1종을 이용하여 수증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안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부직포 및 종이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 조절부의 두께는 0.1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안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발생량은 단위 표면적당 0.01mg/cm2·mi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안대.
KR1020150139504A 2015-10-05 2015-10-05 수증기 안대 KR10176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04A KR101760799B1 (ko) 2015-10-05 2015-10-05 수증기 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04A KR101760799B1 (ko) 2015-10-05 2015-10-05 수증기 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479A KR20170040479A (ko) 2017-04-13
KR101760799B1 true KR101760799B1 (ko) 2017-08-04

Family

ID=5857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504A KR101760799B1 (ko) 2015-10-05 2015-10-05 수증기 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4074B (zh) * 2018-04-04 2020-09-22 广州市兴世机械制造有限公司 发热眼罩成型方法及发热眼罩
KR102263505B1 (ko) * 2020-10-30 2021-06-10 (주)디어마인 안경용 보호 쉴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안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209A (ja) * 1998-06-25 2000-01-11 Kao Corp 目用水蒸気発生体
JP2001170096A (ja) 1999-10-07 2001-06-26 Kao Corp 目 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372A (ko) 2003-02-25 2004-09-01 필립닷컴 마우스 리듬을 이용한 간편 로그인 시스템
KR20040074662A (ko) 2004-08-02 2004-08-25 안민희 한우 소의 먹이.
KR101546327B1 (ko) 2014-01-23 2015-08-24 왕 중 김 발열체가 내장된 안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209A (ja) * 1998-06-25 2000-01-11 Kao Corp 目用水蒸気発生体
JP2001170096A (ja) 1999-10-07 2001-06-26 Kao Corp 目 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479A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9956B2 (ja) 目用水蒸気発生体
JP2005021673A (ja) 加温具
JPS5828898B2 (ja) 発熱性積層体
JP3565151B2 (ja) 水蒸気発生体
JP3901660B2 (ja) 水蒸気発生具
KR101760799B1 (ko) 수증기 안대
JPH11342147A (ja) 水蒸気発生体
JP2009039370A (ja) 蒸気温熱具
JP2011136060A (ja) マスク用鼻部温熱具
JP7181025B2 (ja) 温熱具
KR200474662Y1 (ko) 발열포가 포함된 아이 마스크
JP2006340928A (ja) 目周囲の肌色改善器具
JP2001245915A (ja) 冷却・温熱目枕
JP2006192253A (ja) 蒸気温熱具
JP3992693B2 (ja) 加温具
JP3521855B2 (ja) 目 枕
KR101705020B1 (ko) 온열 안대 및 온열 안대의 온도 조절재 제조 방법
JP3685019B2 (ja) 視力改善治療具
WO2020137692A1 (ja) マスク
JP2005199051A (ja) 湿熱シート
JP6812548B2 (ja) マッサージ機能があるマスクとこれを含むマスクシステム
JP2017145232A (ja) シート状パック材
JP2006346122A (ja) 水蒸気発生体
JP4420914B2 (ja) 加温具
JP2011131093A (ja) 目周囲の肌色改善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