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111B1 -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 - Google Patents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111B1
KR101760111B1 KR1020150092478A KR20150092478A KR101760111B1 KR 101760111 B1 KR101760111 B1 KR 101760111B1 KR 1020150092478 A KR1020150092478 A KR 1020150092478A KR 20150092478 A KR20150092478 A KR 20150092478A KR 101760111 B1 KR101760111 B1 KR 10176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sh meal
powder
wat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222A (ko
Inventor
이태환
Original Assignee
이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환 filed Critical 이태환
Priority to KR102015009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1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갑각류, 연체류, 패류등의 해산물을 양식하는데 급여되는 생사료를 대체하여 생사료에 준하는 영양성분을 함유하면서, 생태계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에 관한 것으로, 어분 50 중량%, 갑각류가수분해단백 2 중량%, 무기미립분말 7 중량%, 부패방지재 10 중량%, 천연한약재 4 중량%, 효모배양체 11 중량%, 물 16 중량% 를 포함하여 환경 친화적인 고품질의 사료를 제공할 수 있고, 사료의 유실로 인한 영양소 불균형에서 유래되는 영양성 질병 및 병원균의 전염병을 예방하고 이로 인한 수질오염을 감소 시킬 수 있으며, 유통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이에 소요되는 노동력이나 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품질이 보증된 배합사료의 안정적인 보급에 따라 안정적인 양식 해산물의 수요와 공급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Nutrition formulated feed for marine fisheries }
본 발명은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 갑각류, 연체류, 패류등의 해산물을 양식하는데 급여되는 생사료를 대체하여 생사료에 준하는 영양성분을 함유하면서, 생태계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산물을 양식함에 있어 급여되는 사료는 생사료와 배합사료로 구분된다. 생사료는 살아있는 유기생물을 급여하는 사료로서 이러한 생사료는 양식 해산물에 급여시 수중으로 약 30%의 손실이 발생되어 이로 인한 인한 적조 및 녹조 발생을 야기하여 바다 생물의 폐사로 이어지는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생사료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생사료의 영양성분에 준하도록 하는 배합사료, 즉, 해산물이 필요로하는 영양성분을 함유하도록 배합원료를 적절히 배합하여 급여하게되는 배합사료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생사료를 대체할 수 잇는 배합사료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 10-1035727호(어피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양어용 사료, 등록일자 : 2011.05.12.)는 어류에서 분리된 껍질을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껍질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껍질을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는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 방식으로 상기 껍질을 건조하고,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껍질에 함유된 콜라겐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해 -50 내지 65℃로 상기 껍질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가 개시 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1087019호(해산어류용 양식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산어류 양식용 사료, 등록일자 : 2011.11.21.)는 첨가제 총 중량 대비 영지버섯 0.05∼10.00중량%, 표고버섯 0.05∼10.00중량%, 느타리버섯 0.05∼10.00중량%, 해조류추출 다당체 0.05∼10.00중량%, 탈지분유 1.00∼20.0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사료 첨가제 및 양식 사료 첨가제 및 양식사료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은 현재의 영양 배합사료 개발의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결과로 개발 되었다 하더라도 대상어종에 부적합 하여 성장 및 사료 효율 측면에서 생사료에 비해 크게 개선되지 않거나, 가격 면에서도 비싸기 때문에 양식 사양가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몇몇 양식 어류의 경우에는 80% 이상의 양어장에서 고등어, 까나리, 전갱이, 명태 등 냉동 형태의 생사료와, 분말사료를 혼합한 습사료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배합사료가 생사료와 비교하여 성장률이 저조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이러한 생사료는 앞서 설명 한 바와 같이 사료 유실에 의한 해양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이를 해소하기 위한 습사료 역시 양식 해산어류 및 연체류에 급여시 물의 침투가 빨라 쉽게 붕괴되어 물에 용해되는 가하면 쉽게 가라앉는 등 유실량이 20~30%로 여전히 높은 수치를 가지고 있었고, 이로 인한 양식 해산물의 영양소 불균형에서 유래되는 어류 질병의 빈번한 발생 및 폐사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어족자원의 고갈로 인한 재료의 불안정된 공급 및 이로 인한 가격의 등락폭이 심하여, 양식 생물의 수급에 막대한 비용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양식 해산물용 사료의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양식 사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영양학적인 성분이 생사료에 비하여 뒤쳐지지 않도록 영양성분 재료를 배합함과 동시에, 안전한 천연첨가물을 추가함으로써 기능적인 특성을 보완하여 양식 해산물의 폐사율의 감소 및 증체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중에서 붕괴되어 와해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양식 생물의 사료 취식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는 어분 50 중량%, 갑각류가수분해단백 2 중량%, 무기미립분말 7 중량%, 부패방지재 10 중량%, 천연한약재 4 중량%, 효모배양체 11 중량%, 물 16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갑각류가수분해단백은 탈수된 새우, 게 및 가재를 0.1 ~ 3 mm 로 분쇄한 후 1:1:0.5의 중량비로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기미립분말은 모려, 제올라이트, 함초 및 한천 분말을 1:1:6:6의 중량비로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50 ~ 200 mesh 로 분쇄한 후, 5000 ~ 6000℃로 가열하고,
가열된 제올라이트를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로 용해시킨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천연한약재는 숙지황 20중량%, 백작약 20중량%, 천궁 20중량%, 당귀 20중량%, 감초 10중량%, 계피 10중량% 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상온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효모배양체는 물100 중량부에 대하여 효모분말 20 중량부와 당밀, 맥당을 30 중량부로 혼합하여 35℃에서 1 ~ 3일 동안 배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패방지재는 포공령 30 중량%, 어성초 40 중량%, 녹차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분은 명태어분, 정어리어분, 멸치어분, 청어어분 또는 고등어어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식용 해산물의 성장 및 체량 및 체질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배합사료를 개발함에 따라 양식어가에서 사용되는 생사료를 대신하여 고품질의 배합사료를 사용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인 양식 산업이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사료의 유실로 인한 영양소 불균형에서 유래되는 영양성 질병 및 병원균의 전염병을 예방하고 이로 인한 수질오염을 감소 시킬 수 있으며, 유통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이에 소요되는 노동력이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아니라, 품질이 보증된 배합사료의 안정적인 보급에 따라 안정적인 양식 해산물의 수요와 공급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어류, 갑각류, 연체류, 패류등의 해산물을 양식하는데 급여하게 되는 해산물용 양식 사료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어분 50 중량%, 갑각류가수분해단백 2 중량%, 무기미립분말 7 중량%, 부패방지재 10 중량%, 천연한약재 20 중량%, 효모배양체 11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어분은 명태어분, 정어리어분, 멸치어분, 청어어분, 고등어어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명태어분과 청어어분을 1 : 0.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명태어분은 흰살생선으로 주로 단백질공급원이며, 청어어분은 단백질 및 지방질공급원으로, 청어어분의 중량비가 명태어분 1에 대하여 0.5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 지방질로 인한 부패가 촉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관 기간에 따라 청어어분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갑각류가수분해단백은 게, 새우, 가재와 같은 갑각류의 껍질, 꼬리, 머리, 내장과 같은 비가식부와 육질과 같은 가식부를 분말화 하여 가수분해한 것이다. 특히, 갑각류의 껍질과 머리 등 단단한 부분은 키틴 또는 키토산등의 유효한 탄수화물중합체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이러한 키틴 또는 키토산은 글루코사민중합체로 생체와 친화성이 우수하여 식품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갑각류의 육질부분은 풍부한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사료의 배합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갑각류의 단백질 뿐만 이나라 갑각류의 육질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키토산과 같은 탄수화물 중합체를 이용하기 위하여 갑각류의 껍질, 머리, 꼬리 와 육질부분을 포함한 전체를 사용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새우, 게 또는 가재 중에 하나 이상을 0.1 ~ 3 mm로 분쇄하여 사용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새우, 게, 가재를 1:1:0.5의 중량비로 교반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기미립분말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있는 천연재료를 분말화 시킨 것으로, 무기미립분말은 해산물에 필요한 미량의 무기영양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모려, 제올라이트, 함초 및 한천분말을 1:1:6:6의 중량비로 교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모려는 굴껍질과 같은 패각으로써, 탄산칼슘, 탄산석회의 결정이 함유되어 있어 칼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추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모려를 칼슘의 보충과 동시에 이산화규소(SiO2)를 공급하기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산화규소(SiO2)는 '실리카'로 통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흡착제와 건조제로의 역활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실리카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사료 내 건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러한 작용으로 인하여 곰팡이와 같은 유해 미생물의 흡착 및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한편 제올라이트는 비석(沸石)이라고 하며, 내부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광물의 일종이다. 특히, 제올라이트에는 규산염(SiO3)을 포함하는것으로 이러한 규산염을 해산물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규산염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올라이트를 50 ~ 200 mesh 로 분쇄한 후, 5000 ~ 6000℃로 가열한다. 이때, 5000 ~ 6000℃ 의 온도로 가열하게 되면 제올라이트 분말이 가열되면서 규산염만 재결정이 되며, 가열된 제올라이트 결정을 냉각시켜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로 용해시켜 사용된다.
제올라이트 결정을 냉각하는 방법은 상온에서 냉각 시킬 수 있고, 냉각 시간을 고려하여 냉각수 중 물을 사용하여 냉각 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 독성물질을 만들지 않는 냉각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재결정된 제올라이트는 냉각된 상태 그대로 물에 희석시켜도 무방하나, 물에 희석이 용이하도록 분말형태로 가공하여 희석 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일 것이다.
그리고, 함초는 쌍떡잎식물의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바닷물이 잘 자라는 갯벌지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이러한 함초는 종래에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미네랄이 풍부하여 건강식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함초는 바닷물의 염분을 영양소로 사용하고 있음으로 염화나트륨(NaCl)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함초의 염화나트륨은 무기물로서 체내 흡수력이 높으며, 유해한 물질을 적게 함유하여 본 발명에서 무기물의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한천은 우무중 우뭇가사리과의 해초에 존재하는 점성물질로서, 아가로오스(agarose) 단위체가 중복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아가로오스는 겔로 고형화 되었을 경우 65℃ 미만에서는 녹지 않으며 염류, 알칼리에 강하여 본 발명에서 유효한 분말의 분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담체로서의 작용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아가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한천이 사료가 물에 붕괴되어 수중으로 와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중으로 유실되는 사료의 발생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할 때 펠렛화 하여 5 ~ 20mm 의 크기로 제형화 할 수 있으며, 이때, 한천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작용을 이용하여 사료의 형태가 물에 풀어져 와해되지 않도록 접착제의 역활을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일정한 형태를 수중내에서 유지 할 수 있어서, 해산물에 균일한 사료를 급여 할 수 있어, 해산물의 사료를 취하는 기호성을 부여 할 수 있어 사료의 취식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천연한약재는 숙지황 20중량%, 백작약 20중량%, 천궁 20중량%, 당귀 20중량%, 감초 10중량%, 계피 10중량% 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열수추출물을 상온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천연한약재 열수추출물에 짚 분말을 섞어 짚에 포함된 바실러스를 이용하여 37 ~ 50℃에서 10일 내지 20일동안 발효시켜 사용하게 됨으로써, 한약재의 유효한 성분이 흡수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한 열수추출물은 함수율 80%인 액상의 추출물이며, 본 발명에서는 천연한약재 액상추출물을 2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한약재의 종류는 사용에 따라 다양한 한약재를 더 포함 할 수 있으며, 상기한 천연한약재의 효과는 해당 분야의 당업자로부터 자명할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부패방지재는 사료를 급여할 시 또는 사료의 보관 시에 사료에 포함된 유기물 및 영양성분으로 인하여 유해한 미생물에 의해 부패 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 첨가물 중의 부패방지 및 살균 효과를 가지고 있는 포공령, 어성초 및 녹차를 이용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포공령 30 중량%, 어성초 40 중량%, 녹차 30 중량%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성분 비는 기능적인 작용의 증감을 위하여 추가 또는 변경이 가능한 것은 자명 할 것이다.
그리고, 효모배양체는 효모를 배양 할 수 있는 액체 배지내에서 배양된 것으로, 물100 중량부에 대하여 효모분말 20 중량부와 당밀, 맥당의 혼합체 30 중량부로 혼합하여 35℃에서 2 ~ 3일 동안 배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효모는 해산물의 체내에 영양성분이 흡수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산물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유해 환경으로 부터 폐사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모 외의 다른 미생물을 사용 할 수 있으나, 해산물의 체내 유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효모를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해산물용 양식 사료를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명태어분, 청어어분이 혼합된 어분 30kg, 갑각류가수분해단백 1.2kg, 무기미립분말 4.2kg, 부패방지재 6kg, 천연한약재 열수추출물 12kg, 효모배양체 6.6kg를 교반한 후 1cm 의 평균 크기를 가지도록 펠렛화 하여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각 성분의 구체적인 첨가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조성 종류 질량(kg) 투입량(kg)
어분 명태어분 20 30
청어어분 10
갑각류
가수분해단백
새우 0.5 1.2
0.5
가재 0.2
무기미립분말 모려분말 0.3 4.2
제올라이트분말 0.3
함초분말 1.8
한천 1.8
부패방지재 포공령 1.8 6
어성초 2.4
녹차 1.8
천연한약재
열수추출물
숙지황 0.48 12
백작약 0.48
천궁 0.48
당귀 0.48
감초 0.24
계피 0.24
9.6
효모배양체 4.4 6.6
당밀, 맥당 1.32
효모분말 0.88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영양 배합 사료를 제조하되, 한천 대신 녹말풀을 사용하여 영양 배합 사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2]
일반적인 생사료로 사용되는 고등어와 명태를 각각 30kg 씩 준비하여, 총량 60kg의 생사료를 준비하였다.
[실험예1]
-조피볼락 급여실험-
본 발명에서 사료의 효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사료를 대표 양식 해산물 중 어류인 조피볼락에 급여하였다.
각각의 양식 조건은 축제식 양식장에서 조피볼락 치어 100 마리씩 총 300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조피볼락의 평균 양식 기간인 18 개월동안 급여하였고,
월별 마다 개체의 체장, 체중, 급여사료양 폐사율을 각각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초기 조피볼락 치어의 평균 체장 및 체중은 5cm, 70g 이었다.
구분 실험군/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체장(cm) 실시예 5 6 8 10 12 14 16 18 19 20 21 23 24 25 26 26.5 27
비교예 1 5 6 7 9 11 12 14 16 17 18 19 20 21 21.5 22 22.7 24
비교예 2 5 6 8 9 10 11 13 14 15 16 17 18 19 19.5 20 20.5 21
체중(g) 실시예 70 180 260 380 450 530 630 700 720 780 820 850 900 950 1030 1110 1180
비교예 1 70 180 250 330 400 480 530 560 620 670 700 720 750 800 860 920 980
비교예 2 70 130 180 210 260 340 370 410 460 530 570 610 650 690 730 770 810
급여량(g) 실시예 50 3900 500 5000 6000 7000 7000
비교예 1 50 6000 6000 6500 7000 8000 8000
비교예 2 50 7100 7500 7800 8000 9000 9500
폐사량
(마리)
실시예 0 2 1 1 1 1 1
비교예 1 0 2 2 1 1 2 1 2 1
비교예 2 0 2 1 5 2 1 2 2 5 2 2 1 1
상기 표 2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체의 체장 및 체중이 비교예 1, 비교예 2에 비하여 증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1에 비하여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은 한천이 바닷물에서 용해되지 않으므로써 비교적 펠렛의 형체를 유지가 용이하여 조피볼락이 사료의 섭취가 용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러한 섭취가 용이함에 의하여 양식 중 폐사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조피볼락이 출하하는 기준인 1000g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피볼락의 출하시기를 앞당길 수 있으며, 정상적인 양식 후에는 우량의 생선을 공급이 가능 한 것으로 보인다.

Claims (8)

  1. 어분 50중량%, 갑각류가수분해단백 2중량%, 무기미립분말 7중량%, 부패방지재 10중량%, 천연한약재 4중량%, 효모배양체 11중량%, 물 16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어분은 명태어분, 정어리어분, 멸치어분, 청어어분 또는 고등어어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되, 상기 명태어분과 상기 청어어분의 경우 1: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갑각류가수분해단백은 새우, 게 및 가재의 비가식부와 가식부를 분말화하여 가수분해하고 0.1~3mm로 분쇄하며 상기 새우, 게 및 가재의 중량비는 1:1:0.5의 중량비로 교반시키고;
    상기 무기미립분말은 모려, 제올라이트, 함초 및 한천 분말을 1:1:6:6의 중량비로 교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모려는 탄산칼슘과 탄산석회의 결정이 함유된 패각이며 상기 모려의 이산화규소 성분으로 사료의 건조 상태를 유지하고 유해 미생물 흡착 및 증식을 방지하며, 상기 제올라이트는 50 내지 200 mesh로 분쇄한 후, 5,000 내지 6,000℃로 가열하고, 가열된 제올라이트를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로 용해시킨 수용액 상태로 가공하거나, 상기 가열된 제올라이트를 분말형태로 가공할 수 있고, 상기 수용액 상태 또는 상기 분말형태로 가공된 제올라이트에서 규산염 성분을 획득하며, 상기 함초는 무기물 공급원인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상태로의 분말이고, 상기 한천은 분말 분산력을 확보하고 담체로 활용되는 아가로스가 함유된 상태로의 분말이며;
    상기 부패방지재는 포공령 30중량%, 어성초 40중량%, 녹차 30중량%이 함유되고;
    상기 천연한약재는 숙지황 20중량%, 백작약 20중량%, 천궁 20중량%, 당귀 20중량%, 감초 10중량%, 계피 10중량% 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상온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키되, 짚 분말을 혼합하고 상기 짚에 포함된 바실러스를 이용하여 37 내지 50℃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발효시켜 사용하고, 상기 열수추출에 의한 천연한약재 열수추출물은 함수율이 80%인 액상이며;
    상기 효모배양체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당밀 및 맥당 30중량부와 효모분말 20중량부로 혼합하여 35℃에서 2 내지 3일 동안 배양시키고;
    상기 어분 50중량%, 상기 갑각류가수분해단백 2중량%, 상기 무기미립분말 7중량%, 상기 부패방지재 10중량%, 상기 천연한약재 4중량%, 상기 효모배양체 11중량%, 상기 물 16중량%를 포함하는 배합 사료는 펠렛화시키되, 5 내지 20mm 크기로 제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92478A 2015-06-29 2015-06-29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 KR10176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78A KR101760111B1 (ko) 2015-06-29 2015-06-29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78A KR101760111B1 (ko) 2015-06-29 2015-06-29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22A KR20170002222A (ko) 2017-01-06
KR101760111B1 true KR101760111B1 (ko) 2017-07-21

Family

ID=5783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478A KR101760111B1 (ko) 2015-06-29 2015-06-29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4029A (zh) * 2017-11-22 2018-04-06 五河县茂源水蛭生态养殖专业合作社 一种添加在河蟹饲料中的诱食剂
KR102222306B1 (ko) * 2020-11-25 2021-03-02 박병희 수질개선용 어류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03128B (zh) * 2022-05-11 2024-01-16 湖南文和友乔口小龙虾养殖有限公司 一种小龙虾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09B1 (ko) * 2007-07-31 2008-09-24 남궁성조 유황이 함유된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이를첨가한 사료로 사육, 생산한 돈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09B1 (ko) * 2007-07-31 2008-09-24 남궁성조 유황이 함유된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이를첨가한 사료로 사육, 생산한 돈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22A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3954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化された水産養殖用飼料
PL191262B1 (pl) Karma dla zwierząt wodnych
KR101814870B1 (ko)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새우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89478A (zh) 包含精油和溶菌酶的用于水生动物的饲料添加剂
CN105995183A (zh) 一种斜带石斑鱼生态饲料配方及制作方法
KR101760111B1 (ko) 양식 해산물용 영양 배합 사료
KR101568466B1 (ko) 민물뱀장어 친어 양식용 사료
CN104664162A (zh) 一种水产生物有机鱼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88442B1 (ko) 감태발효 사료첨가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CN108782969A (zh) 一种对虾饲料及其制备方法
JP2007014210A (ja) 飼料用添加物
US3733204A (en) Method of feeding chitinous meal to crustacea
CN113349312B (zh) 工厂化青蟹养殖抗雾化饵料及其制备方法
CN105285513A (zh) 一种提高鱼类抗病能力的鱼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8782988A (zh) 一种全程取代冰鲜料的环保大黄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76979A (ko)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0222132B1 (ko)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5626B1 (ko) 실뱀장어의 초기 냉동사료
CN103704464A (zh) 鳊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614154A (zh) 一种南美白对虾中期养殖饲料配方
CN117461735B (zh) 一种菌酶协同发酵的饲料组合物及其改善畜禽肠道的方法
JP2016013122A (ja) 水生生物用飼料及び養殖方法
CN105410479A (zh) 一种南美白对虾中、后期养殖诱食消食饲料配方
JP4392054B2 (ja) 飼料用添加物
KR101952758B1 (ko) 액상배양액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