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071B1 -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071B1
KR101760071B1 KR1020150154573A KR20150154573A KR101760071B1 KR 101760071 B1 KR101760071 B1 KR 101760071B1 KR 1020150154573 A KR1020150154573 A KR 1020150154573A KR 20150154573 A KR20150154573 A KR 20150154573A KR 101760071 B1 KR101760071 B1 KR 101760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apefruit seed
present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291A (ko
Inventor
고기호
문경준
장희수
배상동
Original Assignee
(주)엔비아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비아그로 filed Critical (주)엔비아그로
Priority to KR102015015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0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은 천연 바이오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식물과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고 토양 및 수질의 오염의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으며,다양한 작물에 적용 가능하며, 소비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제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 기간 또한 높은 장점이 있으며, 화학약제로는 방제가 어려운 토양에 의한 병해 매개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Composition for controlling insect pest comprising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식물 유래의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주로 발병되는 병해는 약 1,535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딸기, 토마토, 고추와 같은 주요 경제 작물에는 매년 반복적으로 고질적인 병해가 발병하고 있으며, 이러한 잿빛곰팡이병, 역병, 탄저병 등과 같은 토양전염성 병해에 의한 손실액이 수십억원에서 수천억원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토양에 의한 병해 매개는 전염매개체 중 60% 이상을 차지하는 매개체이며, 토양전염성 병원균은 부생능력이 강하여 불리한 환경 하에서는 곧바로 휴면상태로 돌입하여 악조건에서도 장기간 생존이 가능하여 기개발된 화학약제로는 효과적인 방제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어 이를 위한 방제제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역병은 병원성이 강하고 기주 특이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 Phytophthora capsici, P. infestans, P. cactorum 등은 해마다 전국적으로 발생되어 그 피해가 막심하다. 예컨대 국내의 고추 재배 현황은 연간 생산량이 1조 4,500억 원에 이르지만, 이중 역병과 탄저병 등에 의한 피해는 20%, 15%에 각각 달하고 있다.
한편 식물 및 미생물 유래 천연물질은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작물의 병을 억제하며 농작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특성이 밝혀짐에 따라, 병해충 방제제로서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예컨대 국내의 경우, FDA, DDA 등에 따른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응하여 농산물의 질적 경쟁력 제고를 위해 친환경농업을 미래농업의 성장 동력으로 적극 육성하여 친환경 방제 기술 분야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제제의 경우, 질소 고정, 질산화 작용, 항생물질 분비, 인산가용화 등 많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소비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다양한 제형이 부족하고, 유통기간이 짧은 문제가 존재한다.
예컨대 잿빛곰팡이병의 경우, 화학약제에 의한 방제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Trichoderma spp.와 Pseudomonas spp. 균주를 이용한 미생물약제를 개발하여 약 60% 정도의 방제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환경조건에 따라 방제효과의 편차가 크며, 다양한 조건에 사용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정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방제 기술은 화학약제에서 친환경제제로 바뀌어 가는 추세이나,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다양한 조건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 등이 있어 대부분 기존 재래식 방법 등을 이용한 화학 합성농약 또는 화학비료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를 대체하고 지속 및 발전시켜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기능성 친환경 유기농업자재를 개발하는 것은 국가적 차원에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KR2015-0080121A (2015.07.09)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바이오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방제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식물과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토양 및 수질의 오염의 염려가 없는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작물에 대한 방제 효과가 높아 다양한 작물에 적용 가능하며, 소비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제형화가 가능하며, 보관 기간이 높은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약제로는 방제가 어려운 토양에 의한 병해 매개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자몽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자몽 종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프넛 추출물 20 내지 1,0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자몽 종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 내지 5,0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천연 병해 방제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0.000001 내지 0.0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은 천연 바이오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식물과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토양 및 수질의 오염의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은 다양한 작물에 대한 방제 효과가 높아 다양한 작물에 적용 가능하며, 소비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제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 기간 또한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은 화학약제로는 방제가 어려운 토양에 의한 병해 매개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방제제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데이터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도면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불분명하게 사용된 %의 단위는 중량%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자몽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은 비금속성이며, 부식성 및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열에 안정한 무취의 천연 유기 혼합물일 수 있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지 않으며, 인체 내에 흡수될 경우 분해가 잘 이루어져 체내 축적으로 인한 독성의 위험성이 없다.
일반적으로, 자몽 종자 추출물의 주요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나린진, 시트랄, 토코페롤 및 팔미트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작용 기작으로서, 병원균의 분생포자(Conidia)의 포자 형태뿐만 아니라 포자의 구조 변형 및 내용물의 유실로 정상적인 발아 기능과 생식 기능을 하지 못하도록 하여 방제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원균에 대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비타민 P로 알려진 후라보노이드 성분일 수 있으며, 이 물질은 주로 잘 익은 자몽의 종자 및 껍질에 많이 존재할 수 있다. 후라보노이드 성분 중에서 나린진(Naringin)은 병원균의 성장을 정지시키는 정균 작용과 살균하는 항균 작용을 동시에 한다. 또한 자몽 종자 추출물의 주요 성분들 중에서 시트랄도 병원균에 대한 항균 작용이 우수하며, 아스코르브산은 금속 이온들의 환원제로 작용하여 산소계, 예컨대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을 생성시켜 이것이 세포막에 분포되어 있는 효소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세포막 기능을 약화시키고 낮은 농도로도 미생물의 세포 호흡 작용을 저해하여 미생물의 정상적인 생육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아스코르브산은 세포막의 투과성 약화와 세포 호흡 작용의 억제를 도모함으로써 나린진과 함께 미생물의 살균 효과에 있어 상승 작용을 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이러한 자몽 종자 추출물과 소프넛 추출물이 결합되어 본 발명의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을 이룰 경우, 상기 정균 작용과 항균 작용 모두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자몽 종자 추출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소프넛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소프넛 추출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 및/또는 상기 소프넛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정균 작용과 항균 작용 등의 특성이 보다 우수하게 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자몽 종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프넛 추출물 20 내지 1,0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정균 작용과 항균 작용 모두를 보다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자몽 종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 내지 5,0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천연 병해 방제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0.000001 내지 0.0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0.00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및 용매의 비중은 오차 범위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ppm 단위로 환산할 경우 10 내지 100,000 pp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0 ppm일 수 있다. 이렇게 물에 희석하여 사용함에도 본 발명의 천연 병해 방제제는 정균 작용과 항균 작용 등의 특성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물 및 에탄올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자몽 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몽 종자를 발효할 경우 자몽 종자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아스코르브산, 나린진, 시트랄, 토코페롤 및 팔미트산 등의 함량의 향상 및/또는 발효균에 의해 생성되는 부산물 등에 의해 상기 정균 작용과 항균 작용 모두를 보다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제한되지 않으나, 발효균을 직접 첨가하는 발효 또는 자연적으로 발효시키는 자연발효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발효균을 직접 첨가하는 발효의 경우, 상기 발효균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아시도필러스(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및 써머필러스(Thermophilus)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자몽 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a) 자몽 종자를 분쇄 및 건조하는 단계, b) 분쇄 및 건조된 자몽 종자와 용매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단계 및 c) 발효된 자몽 종자 혼합물을 여과 및 분리하여 자몽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c) 단계의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소프넛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a2) 소프넛 열매를 주정알코올로 처리하는 단계, b2) 가열하는 단계 c2) 주정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 d2)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a2) 단계는 70 내지 100%의 에탄올 등의 알코올에 소프넛 열매를 혼합하여 24 내지 140 시간 동안 처리(유지)하는 단계를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b2) 단계는 70 내지 200℃에서 가열 후 50 내지 90℃에서 유지하는 단계를 예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은 분무 등의 방법으로 식물 줄기, 잎 및/또는 토양 등에 직접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mm 미만의 평균입경으로 분쇄된 60℃에서 12시간 동안 열풍건조된 자몽 종자 분말 및 상기 자몽 종자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0 중량부를 발효기에서 혼합한 후, 상온에서 48 시간 동안 자연발효하여 발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효 혼합물을 1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액상형태의 자몽 종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을 200 ppm이 되도록 물에 혼합한 방제제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딸기, 토마토, 고추와 같은 주요 경제 작물 등에 문제되는 대표적인 병원성 세균인 Fusarium oxysporum,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hytophthora capsici, Pseudomonas syringae, Streptomyces scabiei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세균을 PDA(Difco, USA) 고체 배지에 25℃에서 10 일 동안 대치배양하였다. 또한 R2A(Difco, USA) 고체 배지에 토마토 궤양병을 일으키는 클라비박터 미치가넨시스(Clavibacter michiganensis)에 대한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병원균 배양액(107 cfu/㎖)을 R2A 배지에 혼합하여 중층배지를 제조하여 상기 추출물을 농도별로 0.1 ㎖씩 접종하여 30℃에서 7일간 배양하여 균주 주위에 형성되는 생육 저해환의 유무를 관찰하여 실내검정(In vitro)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의 방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역병이 전염된 고추 재배면적 400 평에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을 1,000 ppm이 되도록 물에 혼합한 방제제를 4 일 간격으로 2 회 관주처리하여 총 8일 동안 방제하였으며, 궤양병이 전염된 토마토 재배면적 600 평에 상기 방제제를 5 일 간격으로 2 회 관주처리하여 총 10 일 동안 방제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도시되어 있다.
평균입경이 0.5 mm 미만으로 분쇄된 소프넛 분말 및 상기 소프넛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4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소프넛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소프넛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5% 에탄올 수용액 150 중량부를 혼합하여 15 분 동안 교반한 후, 72 시간 동안 상온에 처리하였다. 그 다음 100℃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후, 70℃에서 10 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에 감압농축하여 알코올을 완전히 제거하여 액상 형태로 소프넛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자몽 종자 추출물 대신 상기 소프넛 추출물을 100 ppm이 되도록 물에 혼합한 방제제의 실내검정(In vitro) 항균 활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프넛 추출물의 방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역병이 전염된 고추 재배면적 400 평에 상기 소프넛 추출물을 1,000 ppm이 되도록 물에 혼합한 방제제를 4 일 간격으로 2 회 관주처리하여 총 8 일 동안 방제하였으며, 궤양병이 전염된 토마토 재배면적 600 평에 상기 방제제를 5 일 간격으로 2 회 관주처리하여 총 10 일 동안 방제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자몽 종자 추출물과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소프넛 추출물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자몽 종자 추출물 매신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물을 100 ppm이 되도록 물에 혼합한 방제제의 실내검정(In vitro) 항균 활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딸기 잿빛곰팡이는 Botrytis cinerea 또는 이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병원균을 의미할 수 있으며, 토마토 시들음병은 Fusarium oxysporum 또는 이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병원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물의 방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역병이 전염된 고추 재배면적 400 평에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물을 1,000 ppm이 되도록 물에 혼합한 방제제를 4 일 간격으로 2 회 관주처리하여 총 8 일 동안 방제하였으며, 궤양병이 전염된 토마토 재배면적 600 평에 상기 방제제를 5 일 간격으로 2 회 관주처리하여 총 10 일 동안 방제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도시되어 있다.
항균활성(%)
Fusarium oxysporum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hytophthora capsici Clavibacter michiganensis
실시예 1 84 74 80 74 78
실시예 2 75 70 80 80 80
실시예 3 99 98 99 98 99
항균활성(%)
Pseudomonas syringae Streptomyces scabiei Sclerotinia sclerotiorum
실시예 1 61 65 83
실시예 2 45 44 73
실시예 3 85 89 90
상기 표 1과 같이,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는 자몽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및 소프넛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2의 경우에 비하여 Fusarium oxysporum,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hytophthora capsici Clavibacter michiganensis에 대한 향균활성이 14 내지 28%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seudomonas, syringae, Streptomyces, scabiei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항균활성은 85% 이상 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이 결합된 실시예 3의 경우는 항균활성의 현저한 증가는 물론, 대부분의 병원균에 대하여 85% 이상의 항균활성을 보여, 다양한 병원균에 실질적으로 유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로부터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는 딸기 잿빛곰팡이 및 토마토 시들음병에 대한 항균활성이 모두 현저함을 알 수 있다.
방제 효과(%)
역병 궤양병
실시예 1 75% 64%
실시예 2 67% 61%
실시예 3 85% 89%
(상기 표 1의 방제효과는 재배면적에 해당하는 전체 식물에 대한 방제된 식물의 비를 %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2와 같이,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는 자몽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및 소프넛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2의 경우에 비하여 약 15% 정도 더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다. 즉, 실시예 3의 경우는 85% 이상의 방제 효과를 보여, 실질적으로 현저히 유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자몽 종자 추출물 및 소프넛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은 자몽 종자를 자연발효하여 제조되는 것인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자몽 종자 추출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이며, 상기 소프넛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소프넛 추출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인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몽 종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프넛 추출물 20 내지 1,0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몽 종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 내지 5,0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0.000001 내지 0.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병해 방제제.
KR1020150154573A 2015-11-04 2015-11-04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KR101760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73A KR101760071B1 (ko) 2015-11-04 2015-11-04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73A KR101760071B1 (ko) 2015-11-04 2015-11-04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291A KR20170052291A (ko) 2017-05-12
KR101760071B1 true KR101760071B1 (ko) 2017-07-21

Family

ID=5874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573A KR101760071B1 (ko) 2015-11-04 2015-11-04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0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6524A (ja) * 2008-12-01 2010-06-10 Maruzen Pharmaceut Co Ltd 植物由来の植物病害防除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6524A (ja) * 2008-12-01 2010-06-10 Maruzen Pharmaceut Co Ltd 植物由来の植物病害防除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291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8966B (zh) 一种作物病害防治复合生物制剂及其应用
JP2017534671A (ja) 微生物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Lai et al. Control of postharvest green mold of citrus fruit by application of endophytic Paenibacillus polymyxa strain SG-6
CN109679884B (zh) 一株能减少氮磷肥施用的玉米高效促生菌及其应用
CN102604864A (zh) 一种微生物杀菌剂及其应用
KR101695918B1 (ko) 딸기 화분으로부터 분리한 곤충병원균 또는 딸기 진균병 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3343150A (zh) 一种吩嗪-1-甲酰肼生物杀菌剂的制备方法
KR20140046193A (ko) 동애등에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101495309B1 (ko)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 유산균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erbalah et al. Alternative control methods of sugar-beet leaf spot disease caused by the fungus Cercospora beticola (Sacc).
KR20160057855A (ko)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ahan et al. Concentration influence on antimicrobial activity of banana blossom extract-incorporated chitosan-polyethylene glycol (CS-PEG) blended film
CN101525633B (zh) 一种乳杆菌产抗植物致病真菌发酵液的制备方法
CN104472552A (zh) 一种黄粉虫提取物及其分离方法和应用
Fatoki et al. Use of plant antimicrobials for food preservation
KR100951273B1 (ko) 가축설사 억제제로써 죽엽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생물활성액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101823525B1 (ko) 칠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추 무름병 원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1760071B1 (ko) 천연 병해 방제제 조성물
Ramírez R et al. Metabolites produced by antagonistic microbes inhibit the principal avocado pathogens in vitro
CN115443996A (zh) 一种柠檬醛的应用
Pandurangan et al.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d anthelmentic activity of leaves of Chromolaena odorata
JP2015181423A (ja) バチルス属に属する菌株、微生物製剤、及び植物の栽培方法
Yang et al. Antimicrobial effects of a compound solution of three medicine food homology plants
Barman et al. Suppression of leaf blight of Ocimum sanctum L. using lactic acid bacteria as novel bio-control agent
Di Francesco et al. Biological control of postharvest diseases by microbial antagon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