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168B1 -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 Google Patents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168B1
KR101758168B1 KR1020150142289A KR20150142289A KR101758168B1 KR 101758168 B1 KR101758168 B1 KR 101758168B1 KR 1020150142289 A KR1020150142289 A KR 1020150142289A KR 20150142289 A KR20150142289 A KR 20150142289A KR 101758168 B1 KR101758168 B1 KR 10175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fixing
wood
casting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998A (ko
Inventor
문성훈
김용국
Original Assignee
(주) 토모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토모우드 filed Critical (주) 토모우드
Priority to KR102015014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1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H17/1421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주를 설치하여 목재의 신축에 의한 구조적 변경이 극소화되도록 하고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아 외부로 녹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면서 금속과 목재의 이질 재료의 외부 노출에 따른 심미감의 저하가 완전히 해소되도록 하는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는 상하로 길게 금속재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에 대칭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끼움턱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면에 대칭되면서 상하로 관통되게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속주와; 상기 끼움턱에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끼움홈이 형성되고,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속주의 전면과 배면을 가리도록 상기 속주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목재부재와; 하나의 속주의 삽입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일측에 있는 다른 하나의 속주의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속주와 속주 사이를 수평으로 지지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가 상기 삽입홈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의 삽입 부위를 제외한 상기 삽입홈의 나머지 부위에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WOOD TYPE HYBRID FENCE}
본 발명은 목재형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주를 설치하여 목재의 신축에 의한 구조적 변경이 극소화되도록 하고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아 외부로 녹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면서 금속과 목재의 이질 재료의 외부 노출에 따른 심미감의 저하가 완전히 해소되도록 하는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인도나 산책로 또는 유원지 등에 설치되는 목재 데크의 가장자리에는 보행자를 안내하고, 낙상을 막으며, 장식의 역할을 하는 목재형 펜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목재형 펜스는 목재로 이루어진 포스트의 측면에 홈을 파서 다수의 수평지지대를 설치하여 완성시키거나, 별도의 금속재의 브래킷을 이용하여 포스트와 수평지지대를 상호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목재형 펜스는 포스트의 측면에 홈을 파서 수평대를 설치하는 경우 목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되어 신축 현상으로 난간기둥과 수평대의 결합부분에 틈새가 벌어져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하여 난간으로서의 기능을 못하여 추가보완을 하는 공정을 실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금속재의 브래킷을 이용해 조립된 목재형 펜스의 경우 설치가 번거롭고, 단가가 비싸며, 장시간 사용시 브래킷에 녹의 발생 및 목재형 펜스와 이질감 있는 재료로 인해 미감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499037호 "난간대의 지지력이 향상된 목재난간"(2015.02.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속주를 설치하여 목재의 신축에 의한 구조적 변경이 극소화되도록 하고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아 외부로 녹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면서 금속과 목재의 이질 재료의 외부 노출에 따른 심미감의 저하가 완전히 해소되도록 하는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면커버부를 속주에 고정하여 상면커버부의 분실이나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는, 상하로 길게 금속재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에 대칭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끼움턱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면에 대칭되면서 상하로 관통되게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속주와; 상기 끼움턱에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끼움홈이 형성되고,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속주의 전면과 배면을 가리도록 상기 속주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목재부재와; 하나의 속주의 삽입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일측에 있는 다른 하나의 속주의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속주와 속주 사이를 수평으로 지지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가 상기 삽입홈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의 삽입 부위를 제외한 상기 삽입홈의 나머지 부위에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는, 상기 속주에 장착되고, 상기 속주와 목재부재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속주는, 상기 끼움턱과 삽입홈의 내측으로 상기 속주의 상면 중앙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하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커버부는, 상기 속주와 목재부재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목재몸체와, 상기 목재몸체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관통공에 끼워지는 제1 고정턱과,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고정턱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고정턱을 상기 속주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속주는, 상기 끼움턱과 삽입홈의 내측으로 상기 속주의 상면 중앙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하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커버부는, 상기 속주와 목재부재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금속재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가 빈 금속몸체와, 상기 금속몸체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관통공에 끼워지는 제2 고정턱과,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서 상기 제2 고정턱에 체결되어 상기 제2 고정턱을 상기 속주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상면커버부는, 상기 금속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관통되게 장착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광투과창과, 상기 광투과창을 향해 엘이디가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엘이디기판과, 상기 금속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금속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와, 상기 금속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과 충전지의 연결을 제어하며 주간과 야간을 식별하여 상기 엘이디기판을 통해 엘이디의 점등을 제어하는 전원제어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수평지지대의 단부가 평면 상에서 각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형상이 평면 상에서 볼 때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대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삽입홈의 양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에 쐐기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각회전홈과, 상기 삽입홈의 원호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0)의 단부에 상호 대칭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속주는, 상기 끼움턱과 삽입홈의 사이로 상기 속주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는, 상기 속주의 하단에 장착되고, 콘크리트기초블록의 앵커가 고정되는 앵커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고정부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여 상기 속주의 하면에 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돌출되고 앵커가 장착되는 통공을 가지는 앵커설치턱과, 상기 고정판에 걸린 상태로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을 상기 속주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삽입고정부재는, 상기 삽입홈의 외측을 향해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수용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투광창과,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제어기판과, 상기 투광창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제어기판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조립 방법"은, 전면과 배면에 대칭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끼움턱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면에 대칭되면서 상하로 관통되게 한 쌍의 라운드진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게 상하관통공이 형성되는 금속재 속주를 제조하는 속주 제조 단계와; 상기 제조된 속주를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속주 고정 단계와; 상기 속주의 끼움턱에 목재 재질의 목재부재를 각각 끼워서 조립하는 목재부재 조립 단계와; 상기 상하관통공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상면커버부를 끼워서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서 고정나사로 상기 상면커버부를 고정시키는 상면커버부 고정 단계와; 상기 삽입홈에 수평으로 다수의 수평지지대를 끼워서 조립하는 수평지지대 조립 단계와; 상기 삽입홈을 향해 수평으로 다수의 삽입고정부재를 비스듬히 끼운 후에 회전시켜 상기 삽입홈에 상기 삽입고정부재를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조립하면서 상기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부재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속주를 설치하여 목재의 신축에 의한 구조적 변경이 극소화되어 설치후에 사용시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되고,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아 외부로 녹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금속과 목재의 이질 재료의 외부 노출에 따른 심미감의 저하가 완전히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면커버부를 속주에 고정하여 상면커버부의 분실이나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되어 상면커버부의 분실에 따른 유지 관리의 어려움이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조립 방법을 보인 단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는 속주(10)와, 상기 속주(10)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결합되는 목재부재(20)와, 상기 속주(10)의 양측면에 끼워지는 수평지지대(30)와, 상기 속주(10)에 상기 수평지지대(30)를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속주(10)는 상하로 길게 금속재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에 대칭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끼움턱(1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면에 대칭되면서 상하로 관통되게 한 쌍의 삽입홈(12)이 형성되는 것으로, 외면에 조립되는 상기 목재부재(20)와 수평지지대(3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이들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속주(10)는 금속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금속재 봉을 인발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턱(11)은 상기 목재부재(20)가 상하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삽입홈(12)은 상기 수평지지대(30)와 삽입고정부재(40)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지지대(30)가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홈(12)은 상기 수평지지대(30)의 단부가 평면 상에서 각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12)의 형상이 평면 상에서 볼 때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속주(10)는 상기 끼움턱(11)과 삽입홈(12)의 내측으로 그 상면 중앙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하관통공(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하관통공(13)은 상기 속주(10)의 무게를 경감하는 역할을 하면서 아래에 설명되는 상면커버부(50)가 장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목재부재(20)는 상기 끼움턱(11)에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끼움홈(21)이 형성되고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속주(10)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끼워져 상기 속주(10)의 전면과 배면을 가리는 역할을 하면서 목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목재 재질의 포스트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21)은 상기 끼움턱(11)에 끼워져 상기 목재부재(20)가 상기 속주(10)에 상하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지지대(30)는 하나의 속주(10)의 삽입홈(12)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일측에 있는 다른 하나의 속주(10)의 삽입홈(12)에 끼워지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속주(10)와 속주(10) 사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수평지지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삽입홈(12)의 입구측의 좌우 폭에 밀착되게 끼워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삽입홈(12)의 입구측의 좌우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는 수평지지대(30)를 구비하여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삽입홈(12)을 중심으로 좌우로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재(40)는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삽입 부위를 제외한 상기 삽입홈(12)의 나머지 부위에 다수개로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수평지지대(30)를 상기 삽입홈(1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삽입고정부재(4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금속, 합성목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재(40)는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상면과 하면에 맞닿는 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기 수평지지대(30)가 정면에서 볼 때 상부를 향해 혹은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고정부재(4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경사진 면을 따라 상기 수평지지대(30)가 경사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삽입고정부재(40)는 평면 상에서 볼 때 대략 반원형보다 약간 큰 단면을 가짐으로써, 평면 상에서 90도 정도로 비스듬하게 돌리면 상기 속주(10)의 수평 방향 외측에서 상기 삽입홈(12)으로 손쉽게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상기 삽입고정부재(40)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고정부재(40)를 반대 방향으로 90도 돌려서 상기 삽입홈(12)에 딱 맞게 끼우면 상기 삽입고정부재(40)가 상기 삽입홈(12)에 견고하게 끼워져 빠지지 않은 상태로 고정된다.
즉, 상기 삽입홈(12)이 반원형보다 약간 큰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삽입고정부재(4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홈(12)의 외측면에서 상기 삽입고정부재(40)를 비스듬히 회전시킨 상태로 끼운 후에 반대로 회전시켜 원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삽입고정부재(40)가 상기 삽입홈(12)에 빠지지 않은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는 상기 속주(10)에 장착되는 상면커버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면커버부(50)는 상기 속주(10)와 목재부재(20)의 상면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상면커버부(50)는 상기 속주(10)와 목재부재(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목재몸체(51)와, 상기 목재몸체(51)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관통공(13)에 끼워지는 제1 고정턱(52)과, 상기 삽입홈(12)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고정턱(52)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고정턱(52)을 상기 속주(10)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나사(53)를 포함한다.
상기 목재몸체(51)는 상기 금속재의 속주(10)의 상면을 목재로 커버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고정턱(52)은 상기 상하관통공(13)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고정나사(53)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나사(53)는 상기 삽입고정부재(4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상기 목재몸체(51)의 분해나 분리가 최대한 방지된다. 그에 따라 상기 상면커버부(50)의 분해에 따른 분실이나 도난이 극소화되거나 완전히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면커버부(50)에서 노출되는 부위인 상기 목재몸체(51)가 목재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상기 속주(10)가 목재 재질의 부품으로 완전히 가려져 외관이 완전하게 목재로 노출될 수 있어 심미감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상면커버부(50)는 상기 속주(10)와 목재부재(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금속재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가 빈 금속몸체(51a)와, 상기 금속몸체(51a)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관통공(13)에 끼워지는 제2 고정턱(52a)과, 상기 삽입홈(12)의 내측에서 상기 제2 고정턱(52a)에 체결되어 상기 제2 고정턱(52a)을 상기 속주(10)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나사(53a)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몸체(51a)는 상기 금속재의 속주(10)의 상면을 금속재로 커버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고정턱(52a)은 상기 상하관통공(13)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2 고정나사(53a)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나사(53a)는 상기 삽입고정부재(4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상기 금속몸체(51a)의 분해나 분리가 최대한 방지된다. 그에 따라 상기 상면커버부(50)의 분해에 다른 분실이 극소화되고, 아울러, 상기 금속몸체(51a)에 의해 상기 상면커버부(50)의 견고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상기 상면커버부(50)는 상기 금속몸체(51a)의 외측면을 따라 관통되게 장착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광투과창(54a)과, 상기 광투과창(54a)을 향해 엘이디가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몸체(51a)의 내측에 설치되는 엘이디기판(55a)과, 상기 금속몸체(51a)의 상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56a)과, 상기 금속몸체(51a)의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57a)와, 상기 금속몸체(51a)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56a)과 충전지(57a)의 연결을 제어하며 주간과 야간을 식별하여 상기 엘이디기판(55a)을 통해 엘이디의 점등을 제어하는 전원제어회로기판(58a)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광투과창(54a)은 상기 엘이디기판(55a)에 설치되는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금속몸체(51a)의 외측으로 투과되어 상기 상면커버부(50)의 외측 둘레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엘이디기판(55a)은 다수의 엘이디(LED :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써, 상기 엘이디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양전지판(56a)은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충전지(57a)는 상기 태양전지판(56a)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판(56a)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전원제어회로기판(58a)은 상기 태양전지판(56a), 충전지(57a) 및 엘이디기판(55a)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태양전지판(56a)에서 생성된 전기를 상기 충전지(57a)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야간에 상기 충전지(57a)에 저장된 전기를 상기 엘이디기판(55a)에 공급하여 상기 엘이디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전원제어회로기판(58a)은 공기의 주야 식별 센서나 회로부가 설치되어 주간과 야간을 식별하여 주간에는 전기를 충전하도록 제어하고 야간에는 상기 엘이디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커버부(50)는 상기 태양전지판(56a)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통해 상기 엘이디를 점등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태양전지판(56a)이 없이 외부 전원의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 상기 엘이디를 점등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수평지지대(30)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삽입홈(12)의 양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0)에 쐐기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각회전홈(31)과, 상기 삽입홈(12)의 원호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0)의 단부에 상호 대칭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회전홈(31)과 경사면(32)은 상기 수평지지대(30)가 평면 상에서 볼 때 좌우로 보다 많이 각회전되어 비스듬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대(30)가 평면 상에서 좌우로 비스듬히 설치될 수 있음으로, 상기 수평지지대(30)가 상대적으로 많이 굽은 인도나 산책로에도 원활히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속주(10)는 상기 끼움턱(11)과 삽입홈(12)의 사이로 상기 속주(10)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펜스는 상기 속주(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앵커고정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앵커고정부(60)는 콘크리트기초블록(C)의 앵커(A)가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앵커고정부(60)는 상기 앵커(A)를 통해 상기 속주(10)의 하단에 상기 콘크리트기초블록(C)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앵커(A)는 상기 앵커고정부(60)와 콘크리트기초블록(C)을 연결한 공지의 것이고, 상기 콘크리트기초블록(C)은 상기 속주(10)가 땅속에 원활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앵커고정부(60)는 상기 체결공(14)에 대응하여 상기 속주(10)의 하면에 밀착되는 고정판(61)과, 상기 고정판(61)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돌출되고 앵커가 장착되는 통공을 가지는 앵커설치턱(62)과, 상기 고정판(61)에 걸린 상태로 상기 고정판(6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14)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61)을 상기 속주(10)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볼트(6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61)은 상기 고정볼트(63)가 걸리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속주(10)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속주(10)를 고정한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앵커설치턱(62)은 상기 앵커(A)가 끼워져 너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볼트(63)는 상기 고정판(61)의 하면에 볼트머리가 걸린 상태로 상기 고정판(6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14)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속주(10)의 하면에 상기 고정판(61)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볼트(63)는 상기 고정판(61)의 하면과의 밀착 부위에 와셔가 끼워져 그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설치턱(62)은 하부로 길게 연장되어 그 자체가 상기 콘크리트기초블록(C)에 그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기초블록(C)이 양생 경화되어 상기 앵커설치턱(62)에 상기 콘크리트기초블록(C)이 상기 앵커(A) 없이 그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상기 삽입고정부재(40)는 상기 삽입홈(12)의 외측을 향해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에 끼워지는 수용케이스(41)와, 상기 수용케이스(41)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수용케이스(41)의 전면에 부착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투광창(42)과, 상기 수용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제어기판(43)과, 상기 투광창(42)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제어기판(43)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엘이디(44)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케이스(41)는 상기 속주(10)의 상기 삽입홈(12)에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제어기판(43)을 포함하는 제반 부품이 내장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광창(42)은 상기 전원제어기판(43)에 설치되는 상기 엘이디(44)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수용케이스(41)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외측으로 투과되어 상기 삽입홈(12)에서 상기 속주(10)의 양 외측을 향해 조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제어기판(43)은 다수의 상기 엘이디(44)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써, 상기 엘이디(44)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엘이디(44)에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엘이디(44)는 발광다이오드(LED)로써,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공지의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기판(43)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엘이디(44)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런 외부 전원은 본 펜스에 직접 연결되는 상용 전원일 수 있고 본 펜스의 다른 부분에서 태양광 등에 의해 자체 생산된 전원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조립 방법을 보인 단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의 조립 방법은 속주를 제조하는 속주 제조 단계(S10)와, 상기 속주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속주 고정 단계(S20)와, 상기 속주에 목재부재를 조립하는 목재부재 조립 단계(S30)와, 상기 속주에 상면커버부를 고정시키는 상면커버부 고정 단계(S40)와, 상기 속주에 수평지지대를 조립하는 수평지지대 조립 단계(S50)와, 상기 속주에 삽입고정부재를 조립하는 삽입고정부재 조립 단계(S60)를 포함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상기 속주와 같은 구성요소의 명칭은 위에 설명된 본 하이브리드 펜스의 구성요소와 그 구조 및 역할이 동일함으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속주 제조 단계(S10)는 전면과 배면에 대칭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끼움턱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면에 대칭되면서 상하로 관통되게 한 쌍의 라운드진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게 상하관통공이 형성되는 금속재 속주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속주는 금속재 봉을 인발하여 상기 끼움턱, 삽입홈 및 상하관통공이 형성되는 금속재 지주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속주 고정 단계(S20)는 상기 제조된 속주를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속주는 펜스를 설치할 장소의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이와 같은 상기 속주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목재부재 조립 단계(S30)는 상기 속주의 끼움턱에 목재 재질의 목재부재를 각각 끼워서 조립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상기 속주의 끼움턱에 상기 목재부재를 끼워서 상기 속주의 전면과 배면을 목재로 커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면커버부 고정 단계(S40)는 상기 상하관통공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상면커버부를 끼워서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서 고정나사로 상기 상면커버부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상기 상면커버부를 통해 상기 속주의 상면을 가리면서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면커버부는 상기 상하관통공에 그 하단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서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상면커버부의 분해나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수평지지대 조립 단계(S50)는 상기 삽입홈에 수평으로 다수의 수평지지대를 끼워서 조립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평지지대는 목재로 제조되고 상기 속주와 속주 사이를 수평으로 구획하면서 출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고정부재 조립 단계(S60)는 상기 삽입홈을 향해 수평으로 다수의 삽입고정부재를 비스듬히 끼운 후에 회전시켜 상기 삽입홈에 상기 삽입고정부재를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조립하면서 상기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반원기둥 형태의 상기 삽입고정부재를 라운드진 삽입홈으로 90도로 회전시킨 상태로 비스듬히 수평으로 끼운 후에 상기 삽입고정부재를 원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삽입고정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키고, 이와 같은 상기 삽입고정부재의 고정을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의 단부 상면과 하면의 상기 삽입홈이 채워져 상기 수평지지대가 견고히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속주
11 : 끼움턱 12 : 삽입홈
13 : 상하관통공 14 : 체결공
20 : 목재부재
21 : 끼움홈
30 : 수평지지대
31 : 각회전홈 32 : 경사면
40 : 삽입고정부재
41 : 수용케이스 42 : 투광창
43 : 전원제어기판 44 : 엘이디
50 : 상면커버부
51 : 목재몸체 52 : 제1 고정턱
53 : 제1 고정나사
51a : 금속몸체 52a : 제2 고정턱
53a : 제2 고정나사 54a : 광투과창
55a : 엘이디기판 56a : 태양전지판
57a : 충전지 58a : 전원제어회로기판
60 : 앵커고정부
61 : 고정판 62 : 앵커설치턱
63 : 고정볼트
A : 앵커
C : 콘크리트기초블록

Claims (8)

  1. 상하로 길게 금속재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에 대칭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끼움턱(1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면에 대칭되면서 상하로 관통되게 한 쌍의 삽입홈(12)이 형성되는 속주(10)와;
    상기 끼움턱(11)에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끼움홈(21)이 형성되고,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속주(10)의 전면과 배면을 가리도록 상기 속주(10)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목재부재(20)와;
    하나의 속주(10)의 삽입홈(12)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일측에 있는 다른 하나의 속주(10)의 삽입홈(12)에 끼워져 상기 속주(10)와 속주(10) 사이를 수평으로 지지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지지대(30)와;
    상기 수평지지대(30)가 상기 삽입홈(12)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삽입 부위를 제외한 상기 삽입홈(12)의 나머지 부위에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고정부재(40)와;
    상기 속주(10)에 장착되고, 상기 속주(10)와 목재부재(2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커버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속주(10)는,
    상기 끼움턱(11)과 삽입홈(12)의 내측으로 상기 속주(10)의 상면 중앙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하관통공(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커버부(50)는,
    상기 속주(10)와 목재부재(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목재몸체(51)와,
    상기 목재몸체(51)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관통공(13)에 끼워지는 제1 고정턱(52)과,
    상기 삽입홈(12)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고정턱(52)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고정턱(52)을 상기 속주(10)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나사(53)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12)은,
    상기 수평지지대(30)의 단부가 평면 상에서 각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12)의 형상이 평면 상에서 볼 때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대(30)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삽입홈(12)의 양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0)에 쐐기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각회전홈(31)과,
    상기 삽입홈(12)의 원호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0)의 단부에 상호 대칭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2. 삭제
  3. 상하로 길게 금속재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에 대칭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끼움턱(1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면에 대칭되면서 상하로 관통되게 한 쌍의 삽입홈(12)이 형성되는 속주(10)와;
    상기 끼움턱(11)에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끼움홈(21)이 형성되고,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속주(10)의 전면과 배면을 가리도록 상기 속주(10)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목재부재(20)와;
    하나의 속주(10)의 삽입홈(12)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일측에 있는 다른 하나의 속주(10)의 삽입홈(12)에 끼워져 상기 속주(10)와 속주(10) 사이를 수평으로 지지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지지대(30)와;
    상기 수평지지대(30)가 상기 삽입홈(12)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삽입 부위를 제외한 상기 삽입홈(12)의 나머지 부위에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고정부재(40)와;
    상기 속주(10)에 장착되고, 상기 속주(10)와 목재부재(2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커버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속주(10)는,
    상기 끼움턱(11)과 삽입홈(12)의 내측으로 상기 속주(10)의 상면 중앙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하관통공(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커버부(50)는,
    상기 속주(10)와 목재부재(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금속재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가 빈 금속몸체(51a)와,
    상기 금속몸체(51a)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관통공(13)에 끼워지는 제2 고정턱(52a)과,
    상기 삽입홈(12)의 내측에서 상기 제2 고정턱(52a)에 체결되어 상기 제2 고정턱(52a)을 상기 속주(10)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나사(53a)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12)은,
    상기 수평지지대(30)의 단부가 평면 상에서 각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12)의 형상이 평면 상에서 볼 때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대(30)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삽입홈(12)의 양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0)에 쐐기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각회전홈(31)과,
    상기 삽입홈(12)의 원호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0)의 단부에 상호 대칭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커버부(50)는,
    상기 금속몸체(51a)의 외측면을 따라 관통되게 장착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광투과창(54a)과,
    상기 광투과창(54a)을 향해 엘이디가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몸체(51a)의 내측에 설치되는 엘이디기판(55a)과,
    상기 금속몸체(51a)의 상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56a)과,
    상기 금속몸체(51a)의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57a)와,
    상기 금속몸체(51a)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56a)과 충전지(57a)의 연결을 제어하며 주간과 야간을 식별하여 상기 엘이디기판(55a)을 통해 엘이디의 점등을 제어하는 전원제어회로기판(58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주(10)는,
    상기 끼움턱(11)과 삽입홈(12)의 사이로 상기 속주(10)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는,
    상기 속주(10)의 하단에 장착되고, 콘크리트기초블록의 앵커가 고정되는 앵커고정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고정부(60)는,
    상기 체결공(14)에 대응하여 상기 속주(10)의 하면에 밀착되는 고정판(61)과,
    상기 고정판(61)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돌출되고 앵커가 장착되는 통공을 가지는 앵커설치턱(62)과,
    상기 고정판(61)에 걸린 상태로 상기 고정판(6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14)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61)을 상기 속주(10)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볼트(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고정부재(40)는,
    상기 삽입홈(12)의 외측을 향해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에 끼워지는 수용케이스(41)와,
    상기 수용케이스(41)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수용케이스(41)의 전면에 부착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투광창(42)과,
    상기 수용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제어기판(43)과,
    상기 투광창(42)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제어기판(43)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엘이디(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8. 삭제
KR1020150142289A 2015-10-12 2015-10-12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KR10175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89A KR101758168B1 (ko) 2015-10-12 2015-10-12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89A KR101758168B1 (ko) 2015-10-12 2015-10-12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98A KR20170042998A (ko) 2017-04-20
KR101758168B1 true KR101758168B1 (ko) 2017-07-14

Family

ID=5870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289A KR101758168B1 (ko) 2015-10-12 2015-10-12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16B1 (ko) * 2019-02-13 2020-04-20 주식회사 나무 조명 기능을 가지는 목재 펜스용 지주
KR102222363B1 (ko) * 2019-03-15 2021-03-04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펜스 기둥구조물
KR102164274B1 (ko) * 2020-05-22 2020-10-12 주식회사 디울 충격이 완화되고 시인성이 향상된 디자인형 울타리
KR102525160B1 (ko) * 2022-10-28 2023-05-03 이안테크 주식회사 휀스
KR102542346B1 (ko) * 2022-10-28 2023-06-13 권오수 안전 휀스 포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997Y1 (ko) * 2000-05-03 2000-10-02 현대합성목재주식회사 조립식 난간
KR101499040B1 (ko) * 2014-06-02 2015-03-05 최규웅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997Y1 (ko) * 2000-05-03 2000-10-02 현대합성목재주식회사 조립식 난간
KR101499040B1 (ko) * 2014-06-02 2015-03-05 최규웅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98A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168B1 (ko)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US6722637B2 (en) Fence post accessory apparatus
KR101271859B1 (ko)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휀스
KR101559686B1 (ko) 목재 부식 방지를 위한 공기순환식 데크 및 목교
US7160007B2 (en) License plate light
KR101308794B1 (ko)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가로등
US20080137356A1 (en) Mounting foot assembly for lightbar
KR101546524B1 (ko)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US20090235593A1 (en) Decoration solar panel bridge supplying power sources
KR101499037B1 (ko) 난간대의 지지력이 향상된 목재난간
KR101764137B1 (ko)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펜스용 고강성 지주
KR200454218Y1 (ko) 핸드레일
KR101163597B1 (ko) 안전 난간 기둥
KR100868932B1 (ko)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200493043Y1 (ko) 태양광 발전용 휀스 캡
KR200456782Y1 (ko) 지주캡
KR200272499Y1 (ko) 가로등지주의 깃대꽂이관구조
CN210345226U (zh) 一种户外照明灯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KR101693027B1 (ko) 보드판마감재를 포함한 휀스기둥
JPH10159395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KR200393263Y1 (ko) 조명기둥
JP5139258B2 (ja) ポーチ
KR200301345Y1 (ko) 게시판 케이스를 갖춘 다기능 도로시설물의 설치구조
JPH0722429Y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