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160B1 - 휀스 - Google Patents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160B1
KR102525160B1 KR1020220141553A KR20220141553A KR102525160B1 KR 102525160 B1 KR102525160 B1 KR 102525160B1 KR 1020220141553 A KR1020220141553 A KR 1020220141553A KR 20220141553 A KR20220141553 A KR 20220141553A KR 102525160 B1 KR102525160 B1 KR 102525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creen
insertion groove
profil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수
Original Assignee
이안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안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안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17/145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the ends of the rails being located in vertical channels extending alo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po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8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fitted in grooves of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휀스는, 설치면에 설정 간격마다 형성된 구멍에 일단이 고정된 앵커볼트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1 삽입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포스트; 및 상기 제1 삽입홈에 받침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 상에 단부가 지지되며, 분할 형태 또는 일체 형태로 구비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면에 고정된 앵커볼트의 상단에 포스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웃한 포스트의 대향면에 투명소재이면서 분할 형태 또는 일체 형태의 스크린을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내·외부 충격에 의한 내구성, 내충격성 확보가 가능하고, 스크린을 투명소재로 구비하므로 외부의 뷰를 간섭하지 않으며, 앵커볼트에 지지된 내측 프로파일 외면 전체를 통해 외측 프로파일을 지지하므로 지지면적이 커 포스트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건설현장마다 창틀의 폭이 달라지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압출 형성된 상, 하부 프로파일과 간격 조절부를 길이에 맞게 절단 후 조립하면 되므로 대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휀스 {FENCE}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안전난간대나 시설물의 울타리, 담장 등에 설치 가능하면서 외부의 뷰(view)를 간섭하지 않게 하고, 매우 강한 내충격성과, 내, 외부의 충격에 의한 내구성 확보에 따른 안전성을 갖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특정 구간을 구획하는 용도로서 도로, 차도와 보도 사이 나무 및 각종 식물이 식재된 보호구간 공원 등의 산책로에 설치된다. 펜스는 목재, 금속재 혹은 목재와 금속재를 조합하여서 시설이 이루어지며 경계가 되는 지역의 바닥으로부터 수직되는 지주 및 지주와 지주 사이를 잇는 수평바로 구성된다.
스텐레스 스틸이나 철재로 제작된 펜스는 대부분 일체형으로 지주와 가로판이 일체를 이루도록 용접하여 제작되며, 다점 연결하여 입설하는 형태로 세워 경계를 구획한다.
더욱이, 휀스는 아파트 등의 베란다 또는 발코니 등이 보통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베란다 또는 발코니에서 사람이 밖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외부에서 사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목적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있다.
이렇게, 휀스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588681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지주가 설치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가이드프레임에 의해 시야에 간섭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588681호(2016.01.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포스트를 설치면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고, 스크린을 투명 재질로 구비하여 시야에 방해가 없게 한 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휀스는, 설치면에 설정 간격마다 형성된 구멍에 일단이 고정된 앵커볼트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1 삽입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포스트; 및 상기 제1 삽입홈에 받침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 상에 단부가 지지되며, 분할 형태 또는 일체 형태로 구비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양측단에 보호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 프로파일; 상기 상, 하부 프로파일의 제2 삽입홈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블레이드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 및 상기 상, 하부 프로파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코너 브래킷의 상하 대향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되는 연결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투명한 소재인 유리, 합성수지 및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는, 상기 앵커볼트의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통과공이 형성된 내측 프로파일; 상기 내측 프로파일에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엔드캡이 결합되는 외측 프로파일; 및 상기 제1 삽입홈 중 상기 스크린이 결합되지 않는 삽입홈에 체결되어 상기 외측 프로파일에 상기 내측 프로파일과 상기 엔드캡을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는, 상기 앵커볼트의 몸체부 하측에 결합된 너트부의 체결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확장부가 벌림경사면을 따라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다각공이 형성된 풀림방지부; 상기 풀림방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엔드캡이 결합되는 외측 프로파일; 및 상기 제1 삽입홈 중 상기 스크린이 결합되지 않는 삽입홈에 체결되어 상기 외측 프로파일에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엔드캡을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가 결합된 제1 삽입홈에 마감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면에 고정된 앵커볼트의 상단에 포스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웃한 포스트의 대향면에 투명소재이면서 분할 형태 또는 일체 형태의 스크린을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내·외부 충격에 의한 내구성, 내충격성 확보가 가능하고, 스크린을 투명소재로 구비하므로 외부의 뷰를 간섭하지 않으며, 앵커볼트에 지지된 내측 프로파일 외면 전체를 통해 외측 프로파일을 지지하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힘을 받는 면적이 커서 포스트가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현장마다 창틀의 폭이 달라지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압출 형성된 상, 하부 프로파일과 간격 조절부를 길이에 맞게 절단 후 조립하면 되므로 대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휀스에서 스크린이 분할 형태와 일체 형태가 동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휀스에서 분할 형태의 스크린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휀스에서 일체 형태의 스크린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휀스에서 분할 형태의 스크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휀스에서 내측 프로파일, 외측 프로파일, 상, 하부 프로파일, 받침대, 마감커버, 간격 조절부, 연결 프로파일 및 보호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휀스 설치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휀스에서 분할 형태의 스크린 그리고 분할 형태와 일체 형태가 동시 적용된 스크린이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휀스에서 다른 실시예의 포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휀스에서 다른 실시예의 포스트가 설치면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휀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휀스(10)는 포스트(100) 및 스크린(200)을 포함한다.
포스트(100)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 등의 설치면에 설정간격마다 직립 상태로 고정되며, 앵커볼트(110), 내측 프로파일(120), 외측 프로파일(130), 받침대(140), 엔드캡(150), 체결부(160) 및 마감커버(170)를 포함한다.
앵커볼트(110)는 설치면에 종방향의 구멍을 뚫고 구멍에 고정되며, 하부에 벌림경사면(112a)이 형성되고 상측에 나선이 형성된 몸체부(112)와, 몸체부(112)의 벌림경사면(112a) 상측에 위치되어 몸체부(112)의 상방향 당김 시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부(114a)가 벌어지면서 외면이 설치면에 형성된 구멍의 내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확장부(114)를 포함한다.
더욱이, 앵커볼트(110)는 와셔(116) 및 너트부(118)를 포함한다. 와셔(116)는 몸체부(112)에 삽입된 내측 프로파일(120)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너트부(118)의 가압력을 내측 프로파일(120)의 상부에 균일하게 전달하게 된다.
너트부(118)는 몸체부(112)의 상측 나선에 체결되어 체결 과정에서 몸체부(112)의 벌림경사면(112a)을 너트부(118) 방향으로 당겨 벌림경사면(112a)이 확장부(114)를 벌릴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제공한다.
내측 프로파일(120)은 일예로 알루미늄으로 압출 형성되며,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2)에 결합되도록 통과공(122)이 중심에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내측 프로파일(120)은 이중관 구조로 구비되면서 살이 내관과 외관의 대향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향상된다.
외측 프로파일(130)은 일예로 알루미늄으로 압출 형성되되, 내측 프로파일(120)에 결합되도록 결합공(132)이 형성되고, 외면에 방사상의 제1 삽입홈(134)이 형성되며, 결합공(132) 상부에 엔드캡(150)이 결합된다.
이때, 제1 삽입홈(134)은 입구 양측에 돌기(134a)가 형성되어 스크린(200)의 코너 브래킷(230) 일단부와, 보호대(280)가 걸려 수평 방향으로 분리됨을 방지하면서 마감커버(170)의 후단에 형성된 홈(172)이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외측 프로파일(130)은 스크린(200)이 위치되지 않는 제1 삽입홈(134)에서 체결부(160)를 통해 내측 프로파일(120)을 고정시키게 된다.
받침대(140)는 일예로 PVC로 압출 형성되되,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에 삽입되어 그 위에 분할 형태로 구비된 스크린(200)에서 하부의 코너 브래킷(230)을 받치거나, 일체 형태로 구비된 스크린(200)에서 통판재(270)의 양단과 보호대(280)를 받치게 된다.
더욱이, 받침대(140)는 그 길이에 따라 설치면과 스크린(200)의 하단과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엔드캡(150)은 일예로 사출 형성되되, 외측 프로파일(130)의 상부에 고정되며, 결합공(132)의 대응되도록 돌출된 하단이 삽입된다. 이때, 엔드캡(150)은 스크린(200)이 위치되지 않는 제1 삽입홈(134)에서 체결부(160)를 통해 외측 프로파일(130)에 고정된다.
체결부(160)는 외측 프로파일(130)에 내측 프로파일(120) 및 엔드캡(150)을 고정시키는 볼트로, 대칭 방향으로 체결된다.
마감커버(170)는 일예로 PVC로 압출 형성되되, 스크린(200)이 위치되지 않는 제1 삽입홈(134)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시켜, 제1 삽입홈(134)을 마감한다.
이때, 마감커버(170)는 일예로 PVC로 압출 형성되되, 역 "ㅂ"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마감커버(170)는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외면 양측에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 입구 양측에 형성된 돌기(134a)가 결합되도록 홈(172)이 형성된다.
더욱이, 마감커버(170)는 결합 시 외면이 외측 프로파일(130)의 외면과 일치하며, 돌기(134a)가 형성된 외측에서 그 반대인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 형성되어 제1 삽입홈(134)에 결합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스크린(2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에 받침대(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대(140)의 상부에 양단부가 지지되며, 분할 형태 또는 일체 형태로 구비된다.
즉, 스크린(200)은 분할 형태로 구비된 블레이드(240)가 이격된 상태로 포스트(100)에 결합되고, 일체 형태로 구비된 통판재(270)가 포스트(100)에 결합된다. 이때, 스크린(200)은 전체가 분할 형태 또는 일체 형태로 구비되거나, 분할 형태와 일체 형태가 동시에 구비 가능하다.
이때, 분할 형태의 스크린(200)은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 코너 브래킷(230), 블레이드(240), 간격 조절부(250) 및 연결 프로파일(260)을 포함한다.
상부 프로파일(210)은 일예로 알루미늄으로 압출 형성되되, 전체 블레이드(240)와 전체 간격 조절부(250)의 합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제1 결합공(212), 제1 체결공(214) 및 제2 삽입홈(216)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프로파일(210)은 상부 모서리에 라운딩 형성되어 미관이 미려하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제1 결합공(212)은 중심 격벽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부 프로파일(210)의 양측에 위치된 코너 브래킷(230)의 양측 제2 돌출부(230)가 결합된다.
제1 체결공(214)은 상부 프로파일(210)의 중심 격벽에 형성되며, 코너 브래킷(230)의 제3 체결공(236)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제2 삽입홈(216)은 상부 프로파일(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블레이드(240)의 상단 및 간격 조절부(250)가 순차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삽입홈(216)은 양측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이와 대응되는 요철 구조로 구비된 간격 조절부(250)의 결합시 간격 조절부(250)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 가능하다.
하부 프로파일(220)은 상부 프로파일(210)과 대칭 구조로 구비된다. 즉, 하부 프로파일(220)은 일예로 알루미늄으로 압출 형성되되, 전체 블레이드(240)와 전체 간격 조절부(250)의 합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제2 결합공(222), 제2 체결공(224) 및 제3 삽입홈(226)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프로파일(220)은 하부 모서리에 라운딩 형성되어 미관이 미려하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제2 결합공(222)은 중심 격벽의 양측에 형성되어 하부 프로파일(220)의 양측에 위치된 코너 브래킷(230)의 양측 제2 돌출부(230)가 결합된다.
제2 체결공(224)은 하부 프로파일(220)의 중심 격벽에 형성되며, 코너 브래킷(230)의 제3 체결공(236)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제3 삽입홈(226)은 하부 프로파일(2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블레이드(240)의 상단 및 간격 조절부(250)가 순차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3 삽입홈(226)은 양측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이와 대응되는 요철 구조로 구비된 간격 조절부(250)의 결합시 간격 조절부(250)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 가능하다.
코너 브래킷(230)은 일예로 아연 캐스팅으로 제작되되, 횡방향으로 구비된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양측과, 이와 이웃하면서 종방향으로 구비된 연결 프로파일(260)을 연결하며, 연결 프로파일(260)의 상하좌우에 형성된 제3 결합공(264)에 결합되도록 상하좌우에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232)와, 양단이 분할되면서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제1, 2 결합공(212, 222)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2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돌출부(232)는 "+"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연결 프로파일(260)의 제3 결합공(264)에 결합된다.
제2 돌출부(234)는 중간이 함몰 형성되어,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제1, 2 체결공(212, 222)에 결합된다.
그리고 코너 브래킷(230)의 상면 중 제1 돌출부(232)의 수직선상 위치에는 연결 프로파일(260)의 제5 체결공(262)과 나선 체결되도록 제4 체결공(238)이 관통 형성되고, 코너 브래킷(230)의 상면 중 제2 돌출부(234)의 수평선상 위치에는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제1, 2 체결공(214, 224)에 각각 나사 체결되도록 제3 체결공(236)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블레이드(240)는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제2, 3 삽입홈(216, 226)에 상하단이 지지되는 투명판재이다.
블레이드(240)는 2개의 강화투명판재 사이에 접합필름(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된 상태로 열처리하여 제조된다. 이때, 블레이드(240)는 두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블레이드(240)는 강화유리뿐만 아니라 아크릴이나 PC(polycarbonate)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등이 이에 적용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투명 소재이면 어느 것이던 적용 가능하다.
이때, 투명판재(210)는 각각이 종방향으로 배치됨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각이 횡방향으로 배치 가능하다. 이 경우, 상, 하부 프로파일이 연결 프로파일 구조로 구비되고, 연결 프로파일은 상, 하부 프로파일 구조로 변경되어야 한다.
간격 조절부(250)는 일예로 PVC로 압출 형성되되,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제2, 3 삽입홈(216, 226)에서 블레이드(240)와 블레이드(240)의 사이 또는 연결 프로파일(260)과 블레이드(240)의 사이, 블레이드(240)와 연결 프로파일(260)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간격 조절부(250)는 일예로 PVC 등의 재질로 압출 형성되며,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제2, 3 삽입홈(216, 226)에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복수의 결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간격 조절부(250)는 길이에 따라 블레이드(240)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다. 즉, 간격 조절부(250)의 길이가 짧으면 블레이드(240)와 블레이드(240)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간격 조절부(250)의 길이가 길면 블레이드(240)와 블레이드(240)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연결 프로파일(260)은 일예로 알루미늄으로 압출 형성되되, 이중관 구조로 구비되면서 살이 내관과 외관의 대향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연결 프로파일(260)은 내관에 형성된 제5 체결공(262)이 형성되고,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제3 결합공(26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일체 형태의 스크린(200)은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판재(270) 및 보호대(280)를 포함한다.
통판재(270)는 이격된 외측 프로파일(130)의 대향된 제1 삽입홈(134)에 양단이 지지되는 투명판재이다.
통판재(270)는 2개의 강화투명판재 사이에 접합필름(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된 상태로 열처리하여 제조된다. 이때, 통판재(270)는 두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통판재(270)는 강화유리뿐만 아니라 아크릴이나 PC(polycarbonate)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등이 이에 적용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투명 소재이면 어느 것이던 적용 가능하다.
보호대(280)는 일예로 PVC로 압출 형성되되, 통판재(270)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 프로파일(130)의 대향된 제1 삽입홈(134)에 결합되어, 통판재(270)의 양단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보호대(280)는 통판재(270)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홈(282)이 형성되고, 제1 삽입홈(134)과 대응되는 외형으로 형성되면서 양측에 복수의 경사진 살(284)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코니 등의 설치면 가장자리를 따라 포스트(100) 및 스크린(200)을 연결시킬 때 벽면(W)과 이웃한 포스트(100)는 벽면(W)에 고정된 상하측의 고정구(300)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정구(3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0)의 상단을 벽면(W)에 고정시키며, 대칭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고정구(300)는 제1 지지브래킷(310), 제2 지지브래킷(320) 및 연결 프로파일(330)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구(300)는 스크린(200)의 배치 방향과 평행 또는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지지브래킷(310)은 측면이 "┌"자로 형성되며,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에 고정을 위해 삽입되며 제1-1 체결공(312a)이 복수 형성된 제1 수직부(312)와, 제1 수직부(31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면서 제1-2 체결공(314a)이 형성되며 연결 프로파일(330)의 고정면(332)에 밀착 고정되는 제1 수평부(314)를 포함한다. 제1-1 체결공(312a)은 제1 삽입홈(134)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도록 무트볼트(B1)가 체결된다. 제1-2 체결공(314a)은 프로파일 고정볼트(B3)가 체결되어 제1 지지브래킷(310)을 연결 프로파일(330)의 고정면(332)에 체결시킨다.
제2 지지브래킷(320)은 측면이 "┐"자로 형성되며, 벽면(W)에 밀착 고정되며 제2-1 체결공(322a)이 복수 형성된 제2 수직부(322)와, 제2 수직부(32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면서 제2-2 체결공(324a)이 형성되며 연결 프로파일(330)의 고정면(332)에 밀착 고정되는 제2 수평부(324)를 포함한다. 제2-1 체결공(322a)은 벽면(W)에 고정되도록 벽면고정 볼트(B2)가 복수 체결된다. 제2-2 체결공(324a)은 프로파일 고정볼트(B3)가 체결되어 제1 지지브래킷(310)을 연결 프로파일(330)의 고정면(332)에 체결시킨다.
연결 프로파일(330)은 일예로 알루미늄으로 압출 형성되되, 역 "ㅂ"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고정면(332)의 저면에 제1 지지브래킷(310)의 제1 수평부(314)와, 제2 지지브래킷(320)의 제2 수평부(324)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프로파일 고정볼트(B3)에 의해 제1, 2 수평부(314, 324)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휀스(10)의 조립 과정을 도 7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코니 등의 설치면에 드릴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포스트(100)가 설치되는 위치마다 구멍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설치면에 형성된 구멍에 앵커볼트(110)의 하단, 확장부(114)까지 삽입하며, 구멍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112)에 내측 프로파일(120)의 통과공(122)을 결합한다(도 7 참조).
다음으로, 내측 프로파일(120)의 통과공(122)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112)의 나선에 와셔(116)를 결합한 후 너트부(118)를 가체결시킨다(도 8(a), (b) 참조).
다음으로, 너트부(118)를 몸체부(112)의 나선에 체결하기 시작하면 체결 과정에서 너트부(118)가 내측 프로파일(12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몸체부(112)를 너트부(118) 방향으로 당겨 몸체부(112)의 하부에 형성된 벌림경사면(112a)이 확장부(114)를 벌리게 되면서 구멍의 내면에 밀착되어 앵커볼트(1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도 8(c) 참조). 이렇게, 설치면에 형성된 구멍마다 앵커볼트(11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내측 프로파일(120)에 외측 프로파일(130)의 결합공(132)을 결합한다(도 9 참조).
다음으로,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에 받침대(140)를 삽입한다(도 10 참조.) 이때, 받침대(140)는 스크린(200)이 지지되지 않는 제1 삽입홈(134)에만 삽입한다.
다음으로, 받침대(140)가 위치된 대향된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에 스크린(200)의 양단을 삽입한다(도 11 참조).
이때, 스크린(200)이 분할 형태의 블레이드(240)가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는 경우, 연결 프로파일(260)의 양측 제3 결합공(264)에 코너 브래킷(230)의 제1 돌출부(232)를 각각 결합시키고, 코너 브래킷(230)의 제2 돌출부(234)에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양측 제1, 2 결합공(212, 222)을 각각 결합시켜 "
Figure 112022114586744-pat00001
"자 형태로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제2, 3 삽입홈(216, 226)에 간격 조절부(250)와 블레이드(240)를 교번 삽입하고, 마지막으로 간격 조절부(25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 하부 프로파일(210, 220)의 제1, 2 결합공(212, 222) 상단에 연결 프로파일(260)의 양측 제3 결합공(264)에 제1 돌출부(232)를 삽입한 코너 브래킷(230)의 제2 돌출부(234)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대향된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에 스크린(200)의 연결 프로파일(260)을 삽입한다.
이와 다르게, 스크린(200)이 일체 형태의 통판재(270)가 결합하는 경우, 통판재(270)의 양측단에 보호대(28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대향된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에 스크린(200)의 보호대(280)를 삽입한다(도 12 참조).
한편, 스크린(200)은 대향된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에 선 삽입된 받침대(140)의 상면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외측 프로파일(130)의 상단 결합공(132)에 엔드캡(150)의 돌출된 하단을 삽입한다(도 13 참조).
다음으로,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 하측마다 복수의 체결부(160)를 체결시켜 체결부(160)의 단부가 제1 삽입홈(134)과 내측 프로파일(120)을 순차 관통하면서 외측 프로파일(130)과 내측 프로파일(120)을 상호 고정시킨다. 그리고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 상측마다 체결부(160)를 체결시켜 체결부(160)의 단부가 제1 삽입홈(134)과 엔드캡(150)의 하단을 순차 관통하면서 외측 프로파일(130)과 엔드캡(150)을 상호 고정시킨다(도 14 참조).
다음으로, 스크린(200)이 위치되지 않는 제1 삽입홈(134)에 수평 방향으로 마감커버(170)를 고정시킨다(도 15 참조).
그리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발코니 등의 설치면 가장자리를 따라 포스트(100) 및 스크린(200)을 "1"자 또는 "ㄷ"자로 연결시킨다(도 16 및 도 17 참조). 이때, 벽면(W)과 이웃한 포스트(100)는 벽면(W)에 고정된 상하측의 고정구(300)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9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휀스는 포스트(100') 및 스크린을 포함하며, 스크린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스트(100')는 도 19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10'), 풀림방지부(120'), 외측 프로파일(130'), 받침대, 엔드캡, 체결부(160') 및 마감커버를 포함하며, 받침대, 엔드캡 및 마감커버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앵커볼트(110')는 설치면에 종방향의 구멍을 뚫고 구멍에 고정되며, 하부에 벌림경사면(112a')이 형성되고, 상측에 나선이 형성된 몸체부(112')와, 몸체부(112')의 벌림경사면(112a') 상측에 위치되어 몸체부(112')의 상방향 당김 시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부(114a')가 벌어지면서 외면이 설치면에 형성된 구멍의 내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확장부(114') 및 몸체부(112')의 하측 나선에 체결되어 체결 과정에서 몸체부(112')의 벌림경사면(112a')을 너트부(118') 방향으로 당겨 벌림경사면(112a')이 확장부(114')를 벌릴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너트부(118')를 포함한다. 이때, 앵커볼트(110')는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몸체부(112')의 나선이 벌림경사면(112a')의 상측에 형성되어 너트부(118')가 벌림경사면(112a')의 상단까지 체결 가능하게 된다.
풀림방지부(120')는 일예로 알루미늄으로 압출 형성되되,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2') 하측에 결합된 너트부(118')의 체결시 확장부(114')가 벌림경사면(112a')을 따라 벌어진 상태에서 너트부(118')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다각공(122')이 형성된다.
즉, 풀림방지부(120')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되되, 외관은 외경이 외측 프로파일(13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결합시 단차가 없게 되고, 내관은 다각공(122')이며, 외관과 다각공(122')의 대향면에 방사상의 살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때, 다각공(122')은 너트부(11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육각형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렇게, 다각공(122')에 의해 너트부(118')에 결합된 풀림방지부(120')가 외측 프로파일(130')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므로 실질적으로 너트부(118')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외측 프로파일(130')은 일예로 알루미늄으로 압출 형성되되,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2')에 결합되도록 결합공(132')이 형성되고, 외면에 방사상의 제1 삽입홈(134')이 형성되며, 결합공(132') 상부에 엔드캡이 결합된다.
이때, 제1 삽입홈(134')은 앞선 실시예와 같이 입구 양측에 돌기(134a')가 형성된다.
더욱이, 외측 프로파일(130')은 삼중관 구조로 구비되며, 가장 안쪽 관에 결합공(132')이 형성된다.
체결부(160')는 스크린이 위치되지 않는 제1 삽입홈(134')의 하측에 체결되어 외측 프로파일(130')에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2')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체결부(160')는 제1 삽입홈(134')의 상측에서 외측 프로파일(130')에 엔드캡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휀스의 조립 과정을 도 19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코니 등의 설치면에 드릴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포스트(100')가 설치되는 위치마다 구멍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설치면에 형성된 구멍에 앵커볼트(110')의 하단, 확장부(114')까지 삽입하며, 구멍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112)에 너트부(118)를 가체결시킨다(도 20 참조).
다음으로, 너트부(118')를 몸체부(112')의 나선에 체결하기 시작하면 체결 과정에서 너트부(118')가 몸체부(112')를 너트부(118') 방향으로 당겨 몸체부(112')의 하부에 형성된 벌림경사면(112a')이 확장부(114')를 벌리게 되면서 구멍의 내면에 밀착되어 앵커볼트(1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설치면에 형성된 구멍마다 앵커볼트(11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몸체부(112')에 풀림방지부(120')의 다각공(122')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풀림방지부(120')를 하강시켜 너트부(118')에 풀림방지부(120')의 다각공(122')을 결합시킨다(도 21 내지 도 23 참조).
다음으로, 풀림방지부(120') 상에 외측 프로파일(130')을 결합시킨다(도 23 참조). 즉, 몸체부(112')의 상측에 외측 프로파일(130')의 결합공(132')을 결합시키는 것이다(도 24 참조).
다음으로,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 하측마다 복수의 체결부(160')를 체결시켜 체결부(160')의 단부가 제1 삽입홈(134')을 순차 관통하면서 외측 프로파일(130')과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2')를 상호 고정시킨다(도 25 참조). 그리고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 상측마다 체결부(160')를 체결시켜 체결부(160')의 단부가 제1 삽입홈(134')과 엔드캡의 하단을 순차 관통하면서 외측 프로파일(130')과 엔드캡을 상호 고정시킨다.
그 후에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 중 스크린이 결합되는 위치마다 받침대를 삽입한 후 대향된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에 스크린의 양단을 삽입한다. 그 후에 외측 프로파일(130')의 상단 결합공(132')에 엔드캡을 결합시키고,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 하측마다 복수의 체결부(160')를 체결시켜 외측 프로파일(130')과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2')를 상호 고정시키며, 외측 프로파일(130')의 제1 삽입홈(134') 상측마다 체결부(160')를 체결시켜 외측 프로파일(130')과 엔드캡을 상호 고정시킨다. 그리고 스크린이 위치되지 않는 제1 삽입홈(134')에 수평 방향으로 마감커버를 고정시킨다.
이상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들은 서로 간에 명백하게 구현의 측면에서 배척되는 조합이 아닌 이상 위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기타 가능한 다양한 변경조합의 실시예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10: 휀스 100, 100': 포스트
110, 110': 앵커볼트 120: 내측 프로파일
120': 풀림방지부 130: 외측 프로파일
140: 받침대 150: 엔드캡
160, 160': 체결부 170: 마감커버
200: 스크린 210, 220: 상, 하부 프로파일
230: 코너 브래킷 240: 블레이드
250: 간격 조절부 260: 연결 프로파일
270: 통판재 280: 보호대

Claims (7)

  1. 설치면에 설정 간격마다 형성된 구멍에 일단이 고정된 앵커볼트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1 삽입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포스트; 및
    상기 제1 삽입홈에 받침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 상에 단부가 지지되며, 분할 형태 또는 일체 형태로 구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앵커볼트의 몸체부 하측에 결합된 너트부의 체결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확장부가 벌림경사면을 따라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다각공이 형성된 풀림방지부;
    상기 풀림방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엔드캡이 결합되는 외측 프로파일; 및
    상기 제1 삽입홈 중 상기 스크린이 결합되지 않는 삽입홈에 체결되어 상기 외측 프로파일에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엔드캡을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양측단에 보호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 프로파일;
    상기 상, 하부 프로파일의 제2 삽입홈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블레이드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 및
    상기 상, 하부 프로파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코너 브래킷의 상하 대향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되는 연결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투명한 소재인 유리, 합성수지 및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결합된 제1 삽입홈에 마감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KR1020220141553A 2022-10-28 2022-10-28 휀스 KR102525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553A KR102525160B1 (ko) 2022-10-28 2022-10-28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553A KR102525160B1 (ko) 2022-10-28 2022-10-28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160B1 true KR102525160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553A KR102525160B1 (ko) 2022-10-28 2022-10-28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1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816A (ja) * 1997-12-09 1999-06-29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支柱への面材および横枠材の取付構造
KR20000020210U (ko) * 1999-04-30 2000-11-25 유웅섭 난간지주 고정구
KR200350314Y1 (ko) * 2004-02-10 2004-05-13 (주)뉴그린 밸리 펜스 조립체
KR101588681B1 (ko) 2014-10-17 2016-01-27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펜스
KR20170042998A (ko) * 2015-10-12 2017-04-20 (주) 토모우드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816A (ja) * 1997-12-09 1999-06-29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支柱への面材および横枠材の取付構造
KR20000020210U (ko) * 1999-04-30 2000-11-25 유웅섭 난간지주 고정구
KR200350314Y1 (ko) * 2004-02-10 2004-05-13 (주)뉴그린 밸리 펜스 조립체
KR101588681B1 (ko) 2014-10-17 2016-01-27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펜스
KR20170042998A (ko) * 2015-10-12 2017-04-20 (주) 토모우드 목재형 하이브리드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385B2 (en) Railing system
US6601831B2 (en) Modular fence system
US6336620B1 (en) Brackets for retaining post and board ends
US7857291B2 (en) Flexible fence assembly
US8317164B2 (en) Fence rail with concealed fastener
US4953830A (en) Railing assembly
US20090134377A1 (en) Railing system
US4122631A (en) Pipe rail and gate construction
KR102055652B1 (ko)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US20060169965A1 (en)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US20040206948A1 (en) Adjustable gate structure
CA2047645A1 (en) Fence employing flat sided galvanized steel posts and channel parts
US10081950B2 (en) Guard rail system
US8099803B2 (en) Method of using clips for retrofit installation of a portable swimming pool barrier fence
US6203233B1 (en) Expansion joint for thermoplastic rail systems
US7389573B2 (en) Method of retrofit installation of a portable swimming pool barrier fence
ZA200603228B (en) Panel with hidden attachment means
US20100276653A1 (en) Extruded Aluminum Rail
US6715736B2 (en) Steel picket fence
US8353500B2 (en) Pre-manufactured fence system
US20040164287A1 (en) Plastic fence
US20050127346A1 (en) Bracket system for attaching elongated members
KR102525160B1 (ko) 휀스
US3263389A (en) Vari-angle tubular support and drainage assembly for canopies
DE202007004760U1 (de) Freitragendes Vord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