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987B1 -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987B1
KR101756987B1 KR1020100082323A KR20100082323A KR101756987B1 KR 101756987 B1 KR101756987 B1 KR 101756987B1 KR 1020100082323 A KR1020100082323 A KR 1020100082323A KR 20100082323 A KR20100082323 A KR 20100082323A KR 101756987 B1 KR101756987 B1 KR 101756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lap
shaped
adhesive lay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781A (ko
Inventor
게이스케 에비즈카
다카시 고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features before use, e.g. how are the diapers folded or arranged in a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개별 포장 상태에서 상기 윙 형상 플랩이 사용면측으로 접혀진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윙 형상 플랩끼리의 접합 강도를 적절하게 함과 함께, 윙 형상 플랩의 외면 시트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또한 윙 형상 플랩의 접합이 조업 중에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해결 수단) 개별 포장된 제품 상태에 있어서, 윙 형상 플랩 (W) 이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으로 상기 윙용 박리재 (12) 와 함께 접혀지고,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측에 있어서 상기 윙 형상 플랩의 선단부가 중첩되고, 그 중첩 부분에서 윙 형상 플랩끼리가 냅킨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선 형상의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접합됨과 함께, 이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에 의한 접합은, 전후 단부 중, 적어도 일방측 단부에서 윙 (W, W) 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되고 (A1 영역), 그 밖의 부분 (A2 영역) 은 상기 윙용 박리재 (12) 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속옷에 대한 고정시에, 속옷의 크로치 부분에 감도록 하여 사용되는 윙 형상 플랩을 구비한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분비물 시트,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폴리에틸렌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부직포 또는 투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액성 표면 시트 사이에 면상 (綿狀)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개재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으로는, 장착 상태에서의 어긋남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 예를 들어 비피부 맞닿음면측 (외면) 에 1 또는 복수 줄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또한 냅킨 본체의 길이 방향 양 측부에,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윙 형상 플랩을 일체적으로 형성함과 함께, 이 윙 형상 플랩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측의 면 (외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고정시킬 때에는, 흡수성 물품을 국소에 대고, 측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윙 형상 플랩을 속옷으로부터 꺼내어, 양 윙 형상 플랩을 되접어 꺾어, 속옷의 크로치 부분을 말려들게 하면서 속옷의 고간부 (股間部) 외면에 접착하도록 한다.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 포장하는 데에 있어서, 원스텝 개봉을 실현함과 함께, 개봉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하기 특허문헌 1 에 있어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 본체 부분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측의 면에 본체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측의 면에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51, 51) 이 형성되고, 개별 포장된 제품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본체용 박리재에 의해 덮이고,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에 형성된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51, 51) 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윙용 박리재 (52) 에 의해 덮이고,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이 투액성 표면 시트측으로 상기 윙용 박리재와 함께 접혀짐과 함께, 개별 포장재가 상기 본체용 박리재 및/또는 상기 윙용 박리재와 고착되고,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측에 있어서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의 선단부가 중첩됨과 함께, 그 중첩 부분에서 윙 형상 플랩끼리 (W, W) 가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53) 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윙용 박리재 (52) 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고,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끼리를 접합하고 있는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53) 의 접착 강도가 상기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51, 51) 과 윙용 박리재 (52) 의 접착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0) 을 제안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36566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경우에도, 예를 들어 윙 형상 플랩의 외면을 플라스틱 필름 등의 접착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한 경우, 윙 형상 플랩 (W, W) 끼리의 접착력이 너무 높아져, 개봉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음과 함께, 개봉시에 윙 형상 플랩의 플라스틱 외면 시트가 찢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으로, 접착력을 너무 저감시키면, 조업시에 접합이 해제되어, 윙 형상 플랩이 젖힌 상태로 말리는 등의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윙 형상 플랩을 구비하고, 개별 포장 상태에서 상기 윙 형상 플랩이 사용면측으로 접혀진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윙 형상 플랩끼리의 접합 강도를 적절하게 함과 함께, 윙 형상 플랩의 외면 시트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나아가서는 윙 형상 플랩의 접합이 조업 중에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시에 속옷의 크로치 부분을 말려들게 하여 고정되는 윙 형상 플랩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측의 면에 본체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윙 형상 플랩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측의 면에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개별 포장된 제품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본체용 박리재에 의해 덮이고, 상기 윙 형상 플랩에 형성된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윙용 박리재에 의해 덮이고,
상기 윙 형상 플랩이 투액성 표면 시트측으로 상기 윙용 박리재와 함께 접혀짐과 함께, 개별 포장재가 상기 본체용 박리재 및/또는 상기 윙용 박리재와 고착되고,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측에 있어서 상기 윙 형상 플랩의 선단부가 중첩되고, 그 중첩 부분에서 윙 형상 플랩끼리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선 형상의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접합됨과 함께, 이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에 의한 접합은, 전후 단부 (端部) 중, 적어도 일방측 단부에서 윙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되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별 포장재를 벗기면, 윙 형상 플랩이 윙용 박리재에 의해 이면 시트측으로 당겨져, 사용면측으로 접혀진 윙 형상 플랩이 자동적으로 전개되게 된다. 이 때,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에 의한 접합은, 전후 단부 중, 적어도 일방측 단부에서 윙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되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윙 형상 플랩이 대부분의 영역에서,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개봉시에 윙 형상 플랩의 플라스틱 외면 시트가 찢어지는 경우가 없어진다. 또, 전후 단부 중, 적어도 일방측 단부에서 윙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조업시에 윙 형상 플랩이 젖힌 상태로 말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일방측 단부는, 라인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윙 형상 플랩은 전개된 후, 사용면측으로 어느 정도의 접은 자국이 남아있기 때문에, 윙 형상 플랩이 본체 이면에 형성된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개별 포장재를 박리하면, 윙용 박리재, 또는 윙용 박리재와 함께 본체용 박리재가 박리되기 때문에, 완전한 원스텝 개봉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윙 형상 플랩의 외면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되어 있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윙 형상 플랩의 외면이 플라스틱 필름인 흡수성 물품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다. 윙 형상 플랩의 외면이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에는, 윙 형상 플랩끼리의 접합 강도가 높아지기 쉬워, 이것에 수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청구항 3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윙 형상 플랩끼리가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윙용 박리재가 윙 형상 플랩의 외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청구항 1,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윙 형상 플랩끼리를 접합할 때에, 윙용 박리재가 젖힌 상태로 말리면,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전에 상기 윙용 박리재를 윙 형상 플랩의 외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해 두면, 윙용 박리재가 젖힌 상태로 말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윙끼리를 확실히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윙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된 접착 강도가 상기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된 접착 강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청구항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윙 형상 플랩끼리의 접합 강도에 관해서, 상기 윙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된 접착 강도가 상기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된 접착 강도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윙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된 접착 강도를 크게 함으로써, 조업시에 있어서의 윙 형상 플랩이 젖힌 상태로 말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윙 형상 플랩끼리를 접합하고 있는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의 접착 강도가 상기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과 윙용 박리재의 접착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청구항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윙 형상 플랩끼리를 서로 접합하고 있는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의 접착 강도가 상기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과 윙용 박리재의 접착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윙 형상 플랩끼리의 임시 고정이 용이하게 해제되어, 윙용 박리재를 저항 없이 순조롭게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윙용 박리재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에 대한 접합면측에 박리 처리가 실시되고, 반대측 면에 접합 강도 저감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청구항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윙용 박리재의 반대측 면에 접합 강도 저감 처리가 실시되어 있음으로써, 접착 강도가 너무 강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개봉성이 양호해진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윙 형상 플랩을 구비하고, 개별 포장 상태에서 상기 윙 형상 플랩이 사용면측으로 접혀진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윙 형상 플랩끼리의 접합 강도를 적절하게 함과 함께, 윙 형상 플랩의 외면 시트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는, 윙 형상 플랩의 접합이 조업 중에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생리용 냅킨 (1) 의 일부 파단 전개도이다.
도 2 는, 그 이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Ⅲ 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는, 윙 형상 플랩의 접는 요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그 횡단면도 (도 4 의 V-V 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이다.
도 6 은, 개별 포장 요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개별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개봉 요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윙용 박리재 (12) 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윙용 박리재 (12) 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은, 윙용 박리재 (12) 의 변형예 및 윙 형상 플랩 (W, W) 의 다른 접는 요령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윙 형상 플랩 (W, W) 의 접는 요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서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생리용 냅킨 (1) 의 일부 파단 전개도, 도 2 는 그 이면도, 도 3 은 도 1 의 Ⅲ-Ⅲ 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상기 생리용 냅킨 (1) 은, 폴리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경혈이나 분비물 등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이들 양 시트 (2, 3) 사이에 개재된 면상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4) 와, 이 흡수체 (4) 의 형상 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서 상기 흡수체 (4) 를 둘러싸는 크레이프지 (5) 와, 표면 양 측부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사이드 부직포 (6, 6)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 (4) 의 주위에 있어서, 그 상하단 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바깥 가장자리부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시일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고, 또 그 양측 가장자리부에서는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상기 사이드 부직포 (6) 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시일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양측 가장자리부의 플랩 부분을 「측부 외주 플랩 (FS)」이라고 한다.
이하, 상기 생리용 냅킨 (1) 의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서술하면,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시트 등의 적어도 차수성 (遮水性) 을 갖는 시트재가 사용되는데, 이 밖에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나, 나아가서는 방수 필름을 개재하여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후에 부직포 시트 (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불투액성 이면 시트를 구성한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습기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 축 또는 2 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 시트이다.
이어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고,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론법, 니들 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 스판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점에서 우수하고, 서멀 본드법은 부피가 크고 소프트한 점에서 우수하다. 한편,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상면에는, 배혈 대응 부위에 걸친 양 측부에 각각, 대략 길이 방향을 따른 사이드 엠보스 (7, 7) 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전후부에 각각 반달 모양 엠보스 (8, 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투액성 표면 시트 (3) 사이에 개재되는 흡수체 (4) 는, 예를 들어 플러프 형상 펄프와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체를 구성하는 펄프 중에, 예를 들어 입상 분말로서 혼입되어 있다. 상기 펄프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고, 활엽수 펄프보다는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가 기능 및 가격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예와 같이, 흡수체 (4) 를 둘러싸는 크레이프지 (5) 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에 크레이프지 (5) 가 개재하게 되어, 흡수성이 우수한 상기 크레이프지 (5) 에 의해 체액을 신속하게 확산시킴과 함께, 이들 경혈 등이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생리용 냅킨 (1) 의 표면측 양 측부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또한 냅킨 (1) 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사이드 부직포 (6, 6) 가 형성되고, 이 사이드 부직포 (6, 6) 의 일부가 측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마찬가지로 측방으로 연장된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의 일부에 의해 윙 형상 플랩 (W, W)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 (6) 로는, 중요시하는 기능 면에서 발수 처리 부직포 또는 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혈이나 분비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촉감을 높이는 등의 기능을 중시한다면,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클로라이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에 있어서의 경혈 등의 흡수성을 중시한다면, 합성 섬유의 제조 과정에서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 생성물 등을 공존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이나, 염화 제 2 주석과 같은 금속염으로 처리하고, 표면을 부분 용해하여 다공성으로 하여 금속의 수산화물을 침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 섬유를 팽윤 또는 다공성으로 하고,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사이에 흡수체 (4) 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비피부 맞닿음면에는, 속옷에 대한 고정을 위해서 적절한 도포 패턴에 의해 복수 줄의, 도시예에서는 3 줄의 본체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9, 9) 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들 본체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9, 9) 이 본체용 박리재 (11) 에 의해 덮여 있다. 또,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측의 면에는,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0, 10) 이 형성됨과 함께, 이들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0, 10) 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1 장의 윙용 박리재 (12) 에 의해 덮여 있다. 또, 상기 본체용 박리재 (11) 와 윙용 박리재 (12) 는, 도시예와 같이, 쇄선 (13) 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박리 불가능하도록 견고하게 고착되어 일체화되어 있거나, 상기 본체용 박리재 (11) 및 윙용 박리재 (12) 의 양자가 후술하는 포장 시트 (16) 와 각각 고착되어 있다.
상기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9, 10) 을 형성하는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폴리머, 점착 부여제, 가소제 중 어느 것이 주성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중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의 폴리머 블렌드여도 된다. 이 중에서도 열 안정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로는, 상온에서 고체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어 C5 계 석유 수지, C9 계 석유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 로진계 석유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인산트리페닐,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옥틸 등의 모노머 가소제 외에, 비닐 중합체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폴리머 가소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박리재 (11, 12) 로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9, 10) 에 대한 맞닿음 면에 대해,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또는 4 불화 에틸렌계 수지 등의 이형 처리액을 도공하거나 스프레이 도포하여 이형 처리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상기 윙용 박리재 (12) 에 대해서는, 개별 포장 상태로부터 개봉하여 개별 포장재를 박리했을 때에, 원활하게 윙 플랩 (W, W) 을 전개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 풍부한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특별히 이형 처리를 하지 않아도, 실질적으로 점착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것이면, 필름 그 자체여도 되고, 부직포 그 자체여도 된다.
전술한 생리용 냅킨 (1) 을 개별 포장하기 위해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윙 형상 플랩 (W) 을 흡수체 (4) 의 측면 가장자리의 외측 근방 위치에 설정된 접는 선 RL 에 의해, 측부 외주 플랩 (FS) 을 포함하여 윙용 박리재 (12) 와 함께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으로 접은 후, 타방의 윙 형상 플랩 (W) 을 흡수체 (4) 의 측면 가장자리의 외측 근방 위치에 설정된 접는 선 RL 에 의해, 측부 외주 플랩 (FS) 을 포함하여 윙용 박리재 (12) 와 함께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으로 접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을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으로 단순히 접은 것만으로는, 형상이 안정되지 않아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이 들뜨거나, 펄럭거려 라인 반송시에 위치 어긋남이나 엉킴 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조업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상기 윙 형상 플랩 (W) 이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에 상기 윙용 박리재 (12) 와 함께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으로 접힌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의 선단부끼리가 중첩되도록 함과 함께, 그 중첩 부분에서 윙 형상 플랩 (W, W) 끼리가 냅킨 (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선 형상의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단부중, 적어도 일방측 단부에서 윙 (W, W) 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되고 (A1 영역), 그 밖의 부분 (A2 영역) 은 상기 윙용 박리재 (12) 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끼리의 접합 강도는, 상기 윙 (W, W) 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된 영역 (A1) 의 접착 강도 (단위 면적당) 가 상기 윙용 박리재 (12) 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된 영역 (A2) 의 접착 강도 (단위 면적당)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조업시에 있어서의 윙 형상 플랩 (W, W) 이 젖힌 상태로 말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의 중첩 영역 (S) 은, 보다 조업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윙 형상 플랩 (W) 의 돌출 길이 SK 의 약 1/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윙용 박리재 (12) 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된 영역 (A2) 이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끼리가 윙용 박리재 (12) 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윙용 박리재 (12) 가 젖힌 상태로 말림 방지용 점착제 (15) 에 의해 윙 형상 플랩 (W) 의 외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에 상기 윙용 박리재 (12) 를 윙 형상 플랩 (W) 의 외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해 두면, 윙용 박리재 (12) 가 젖힌 상태로 말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확실히 윙용 박리재 (12) 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냅킨 (1) 에서는, 윙 형상 플랩 (W, W) 끼리를 서로 접착하고 있는 상기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의 접착 강도가 상기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0) 과 윙용 박리재 (12) 의 접착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윙 형상 플랩끼리를 접합하고 있는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의 접착 강도는 0.05 ∼ 1.00 (N), 바람직하게는 0.05 ∼ 0.60 (N), 상기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0) 과 윙용 박리재 (12) 의 접착 강도는 0.15 ∼ 1.50 (N), 바람직하게는 0.25 ∼ 1.30 (N) 으로 되고,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의 접착 강도/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0) 과 윙용 박리재 (12) 의 접착 강도에 의해 산출되는 접착 강도비는 0.05 ∼ 0.80, 바람직하게는 0.05 ∼ 0.7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의 접착 강도가 0.05 (N) 미만인 경우에는 윙 형상 플랩 (W, W) 을 충분히 임시 접착 유지할 수 없다. 또, 1.00 (N)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리재 (11, 12) 를 박리시킬 때에, 윙 형상 플랩 (W, W) 을 용이하게 전개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0) 과 윙용 박리재 (12) 의 접착 강도가 0.15 (N) 미만인 경우에는 속옷에 대한 장착시에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1.50 (N)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리재 (11, 12) 를 박리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접착 강도는, 이하의 시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수치이다.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의 접착 강도 및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0) 과 윙용 박리재 (12) 의 접착 강도는, 모두 텐실론 인장 시험기로 측정한다.
(1) 시험 조건
측정 속도:300 ㎜/min, 척 사이 거리:25 ㎜, 척 폭:40 ㎜
(2)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의 접착 강도 시험 (박리 강도 시험)
냅킨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을 세로 방향, 폭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하고, 윙 임시 고정 지점이 중앙에 있는 윙부 샘플 (세로 40 ㎜ × 가로 60 ㎜) 을 사용한다. 윙 선단과 타방 윙 가로 방향 단부를 척에 물려 측정을 개시하고, 완전히 박리되었을 때의 하중 피크를 측정한다.
(3)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과 윙용 박리재의 접착 강도 (박리 강도 시험)
냅킨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을 세로 방향, 폭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하고, 윙 필름 및 윙 점착재를 포함하는 윙부 샘플 (세로 40 ㎜ × 가로 50 ㎜) 을 사용한다. 가로 방향 윙 필름 단부와 가로 방향 윙 단부를 척에 물려 측정을 개시하고, 완전히 박리되었을 때의 하중 피크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 윙용 박리재 (12) 의 앞측 형상선 A 의 위치가 윙 형상 플랩 (W)이 붙어 있는 부분의 앞측 위치보다 적어도 5 ㎜ (부호 SL) 이상 앞측으로 이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윙 형상 플랩 (W) 이 붙어있는 부분의 위치는, 속옷 장착시의 되접어 꺾는 선 R 을 기준으로 결정한다.
한편, 상기 본체용 박리재 (11) 의 폭 치수 B 는 윙 형상 플랩 (W, W) 의 접은 위치 간 거리 BK 중 적어도 60 % 이상의 치수로 하고, 상기 윙용 박리재 (12) 의 길이 치수 L 은, 흡수성 물품을 전개시킨 상태에서 윙 형상 플랩 (W, W) 의 선단 사이 거리 LK 이하의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체용 박리재 (11) 및 윙용 박리재 (12) 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 (9, 10) 에 대한 접합면에는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또는 4 불화 에틸렌계 수지 등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되고, 상기 윙용 박리재 (12) 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 (9, 10) 에 대한 접합면측과는 반대측 면에, 접합 강도의 저감화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저감화 처리로는, 예를 들어 상기 박리 처리가 반대측 면까지 실시되어 있는 필름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별도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또는 4 불화 에틸렌계 수지를 충분히 희석한 후에 도포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을 윙용 박리재 (12) 와 함께, 표면측으로 각각 접었다면, 개별 포장 시트 (16) 에 의해 생리용 냅킨 (1) 을 개별 포장한다.
개별 포장 방법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치수가 냅킨 (1) 의 전개 폭(윙 형상 플랩 (W, W) 의 선단 사이 거리) 보다 폭이 협소하고, 윙 형상 플랩 (W, W) 의 접은 상태보다 폭이 넓은 소정 길이의 개별 포장 시트 (16) 를 사용하고, 적어도 개별 포장 시트 (16) 의 일방측 짧은 변 (16b) 이 냅킨 (1) 의 전후 단부의 일방보다 외측에 위치시키도록 개별 포장 시트 (16) 상에 냅킨 (1) 을 배치함과 함께, 상기 개별 포장 시트 (16) 와 본체용 박리재 (11) 및/또는 윙용 박리재 (12) 를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착시킨다.
그 후, 접는 선 (1) 위치에서 냅킨 후단부측을 접었다면, 접는 선 (2) 위치에서 냅킨 전단부측을 접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 포장 시트 (16) 의 개구 된 측면 가장자리 부분 (16a) 을 엠보스 압착, 가열 융착, 접착제 등, 적절한 봉쇄 수단의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봉쇄하도록 한다. 또, 개별 포장 시트 (16) 의 전후 방향 단 가장자리 (16b) 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한 후, 바람직하게는 탭 테이프 (17) 에 의해 봉지한다.
이러한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의 경우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 포장 봉지로부터 냅킨 (1) 을 꺼내, 개별 포장 시트 (16) 를 벗기면, 윙 형상 플랩 (W, W) 이 윙용 박리재 (12) 에 의해 이면 시트측으로 당겨져, 사용면측으로 접혀진 윙 형상 플랩 (W, W) 이 자동적으로 전개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끼리를 서로 접합하고 있는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의 접착 강도가 상기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0, 10) 과 윙용 박리재 (12) 의 접착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윙 형상 플랩 (W, W) 끼리의 임시 접착이 용이하게 해제되게 된다. 또, 상기 윙용 박리재 (12) 의 앞측 형상선 A 의 위치를 윙 형상 플랩 (W) 이 붙어있는 부분의 앞측 위치보다 적어도 5 ㎜ 이상 앞측으로 이간시키고 있기 때문에, 본체용 박리재 (11) 를 냅킨 (1) 의 앞측부터 박리시키면, 윙 형상 플랩 (W) 부위에서는, 윙 형상 플랩 (W) 의 접은 자국이 냅킨 (1) 의 앞측부터 서서히 해제되어, 윙 형상 플랩 (W) 이 전개되게 되기 때문에, 윙용 박리재 (12) 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작아져, 순조로운 전개가 가능해진다. 또한, 윙용 박리재 (12) 는,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 (10) 로부터 박리될 때에는, 윙 형상 플랩 (W) 이 서서히 전개되고 있는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 (10) 로부터 젖힌 상태로 말리도록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윙 형상 플랩 (W, W) 을 전개시킨 후의 상태에서, 윙 형상 플랩 (W, W) 에는 사용면측에 어느 정도의 접은 자국이 남아 있기 때문에, 윙 형상 플랩 (W, W) 이 본체 이면에 형성된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9, 9) 에 접착되는 경우도 없어진다. 개별 포장 시트 (16) 를 벗기면, 윙용 박리재 (12) 와 함께 본체용 박리재 (11) 가 박리되기 때문에, 완전한 원스텝 개봉 방식이 실현 가능해진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형태예 이외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순서대로 열거하면,
(1) 상기 형태예에서는, 본체용 박리재 (11) 와 윙용 박리재 (12) 를 별체로 하고, 양자를 박리 불가능하게 견고하게 고착하도록 했지만, 1 장의 박리재에 의해, 본체 어긋남 방지용 점착제 (9, 9) 와 윙 어긋남 방지용 점착제 (10, 10) 를 덮도록 해도 된다.
(2) 상기 형태예에서는, 윙용 박리재 (12) 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를 사용하였는데,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 형상에 맞추어 자르고, 윙용 박리재 (12) 가 냅킨 (1) 의 외형선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3) 상기 형태예에서는, 윙 형상 플랩 (W, W) 끼리의 접합부에 있어서,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4) 은, 전후 단부 중, 일단측만 윙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되어 있지만 (A1 영역),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단의 양단에서 윙 (W, W) 끼리를 직접적으로 접합하도록 해도 된다.
(4) 상기 예에서는, 윙 형상 플랩 (W, W) 을 표면 시트 (3) 측으로 접을 때, 측부 외주 플랩 (FS) 을 포함하여 접도록 했지만,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윙 형상 플랩 (W, W) 부분만을 표면 시트 (3) 측으로 접도록 해도 된다.
(5) 상기 형태예에서는, 윙 형상 플랩 (W, W) 은, 흡수체 (4) 의 측면 가장자리의 외측 근방 위치를 접는 선으로 하여 측부 외주 플랩 (FS) 과 함께,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으로 접도록 했지만, 흡수체의 측면 가장자리의 내측 위치를 접는 선으로 하여 측부 외주 플랩 (FS) 및 흡수체 (4) 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과 함께,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으로 접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더욱 컴팩트화가 도모되게 된다.
(6) 상기 예에서는 윙 형상 플랩 (W, W) 이 형성된 생리용 냅킨 (1) 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후부측에 힙 홀드용의 윙 형상 플랩이 형성된 야간용 생리용 냅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7) 상기 예에서는, 사이드 부직포 (6) 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에 의해 윙 형상 플랩 (W, W) 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사이드 부직포 (6) 단독으로 윙 형상 플랩 (W) 을 형성해도 되고,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단독으로 윙 형상 플랩 (W) 을 형성해도 된다.
1 : 생리용 냅킨, 2 : 불투액성 이면 시트, 3 : 투액성 표면 시트, 4 : 흡수체, 5 : 크레이프지, 6 : 사이드 부직포, 9 …본체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0 :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 11 : 본체용 박리재, 12 : 윙용 박리재, 14 :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 15 : 젖힌 상태로 말림 방지용 점착제, 16 : 개별 포장 시트, 17 : 탭 테이프, 18 : 박리재, W : 윙 형상 플랩, FS : 측부 외주 플랩

Claims (6)

  1.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할 때에 속옷의 크로치 부분을 말려들게 하여 고정되는 윙 형상 플랩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측의 면에 본체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윙 형상 플랩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측의 면에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개별 포장된 제품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본체용 박리재에 의해 덮이고, 상기 윙 형상 플랩에 형성된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윙용 박리재에 의해 덮이고,
    상기 윙 형상 플랩이 투액성 표면 시트측으로 상기 윙용 박리재와 함께 접혀짐과 함께, 개별 포장재가 상기 본체용 박리재 및/또는 상기 윙용 박리재와 고착되고,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측에 있어서 상기 윙 형상 플랩의 선단부가 중첩되고, 그 중첩 부분에서 윙 형상 플랩끼리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선 형상의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접합됨과 함께, 이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에 의한 접합은, 전후 단부 중, 적어도 일방측 단부에서 윙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되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윙끼리가 직접적으로 접합된 접착 강도가 상기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된 접착 강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 형상 플랩의 외면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되어 있는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윙 형상 플랩끼리가 윙용 박리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윙용 박리재가 윙 형상 플랩의 외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윙 형상 플랩끼리를 접합하고 있는 윙 임시 고정 점착제층의 접착 강도가 상기 윙 어긋남 방지 점착제층과 윙용 박리재의 접착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윙용 박리재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에 대한 접합면측에 박리 처리가 실시되고, 반대측 면에 접합 강도 저감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KR1020100082323A 2009-08-31 2010-08-25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KR101756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99309A JP5503225B2 (ja) 2009-08-31 2009-08-31 個装吸収性物品
JPJP-P-2009-199309 200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781A KR20110023781A (ko) 2011-03-08
KR101756987B1 true KR101756987B1 (ko) 2017-07-11

Family

ID=4380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323A KR101756987B1 (ko) 2009-08-31 2010-08-25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03225B2 (ko)
KR (1) KR101756987B1 (ko)
CN (1) CN1019999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1510B2 (ja) * 2012-12-26 2017-06-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7847361B (zh) * 2015-07-31 2021-10-0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的独立包装体以及吸收性物品的独立包装体的制造方法
RU2756266C2 (ru) * 2017-03-31 2021-09-28 Джонсон энд Джонсон Консьюмер Инк.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для женской гигиены с прикрепляемыми боковыми створка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х производства
US11045363B2 (en) 2017-03-31 2021-06-2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Feminine absorbent articles with bonded side flaps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JP7107680B2 (ja) * 2017-12-28 2022-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6565A (ja) 2006-11-30 2008-06-19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2833B2 (en) * 2002-02-01 2004-10-12 Uni-Charm Corporation Hygiene product
JP3776862B2 (ja) * 2002-09-27 2006-05-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806217B2 (ja) * 2005-06-10 2011-11-02 大王製紙株式会社 個装吸収性物品
JP4492962B2 (ja) * 2005-06-10 2010-06-30 大王製紙株式会社 個装吸収性物品
JP4912847B2 (ja) * 2006-11-30 2012-04-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6565A (ja) 2006-11-30 2008-06-19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03225B2 (ja) 2014-05-28
CN101999965B (zh) 2014-07-23
CN101999965A (zh) 2011-04-06
KR20110023781A (ko) 2011-03-08
JP2011050405A (ja)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675B1 (ko)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KR101442628B1 (ko) 흡수성 물품
KR101742344B1 (ko) 흡수성 물품
KR20100025536A (ko) 개장 흡수성 물품
JP2009077842A (ja) 吸収性物品
JP4923017B2 (ja) 個装吸収性物品
JP4492962B2 (ja) 個装吸収性物品
KR101756987B1 (ko) 개별 포장 흡수성 물품
JP5486786B2 (ja) 個装吸収性物品
JP4906279B2 (ja) 個装吸収性物品
JP5486787B2 (ja) 個装吸収性物品
JP5430903B2 (ja) 個装吸収性物品
JP5503987B2 (ja) 吸収性物品
JP3892886B2 (ja) 吸収性物品
JP2014028000A (ja) 吸収性物品
EP4129254A1 (en)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JP4906444B2 (ja) 吸収性物品の個装構造
JP2010082063A (ja) 個装吸収性物品
JP2003235893A (ja) 吸収性物品
JP2019126585A (ja) 個装吸収性物品、及びロール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