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390B1 -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390B1
KR101756390B1 KR1020150081525A KR20150081525A KR101756390B1 KR 101756390 B1 KR101756390 B1 KR 101756390B1 KR 1020150081525 A KR1020150081525 A KR 1020150081525A KR 20150081525 A KR20150081525 A KR 20150081525A KR 101756390 B1 KR101756390 B1 KR 101756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bowling ball
bowling
wa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843A (ko
Inventor
조윤성
Original Assignee
조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성 filed Critical 조윤성
Priority to KR102015008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3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5/00Accessories for bowling-alleys or table alleys
    • A63D5/10Apparatus for cleaning balls, pins, or alle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cleaning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링공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볼링공을 세척할 수 있는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세척할 볼링공 및 세척용 물을 수용 가능한 통 형상의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를 초음파 진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납용기에 부착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구성이 간단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볼링공용 세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Ultrasonic washing apparatus for bowling ball}
본 발명은 볼링공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볼링공을 세척할 수 있는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볼링장의 각 레인의 일정 구간에는 오일이 도포되어 있으며, 그 레인으로 볼링공을 굴릴 때 그 레인상의 오일이 볼링공에 묻게 된다. 볼링공에 오일이 많이 묻어 있게 되면 볼링공에 원하는 스핀을 부여하기 어려우므로, 볼링공을 자주 세척하여 오일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한편, 볼링공의 세척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볼링공 전용의 세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볼링공 세척장치는 복잡한 구성을 가지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많이 든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2001-004613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세척할 볼링공 및 세척용 물을 수용 가능한 통 형상의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 및 그 수납용기에 수용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키기 위해 상기 수납용기에 부착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장치는, 초음파 진동자에 의한 수납용기 및 그 수납용기에 수용된 물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볼링공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볼링공을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 및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케이스 일부를 절제하여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일부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황에 따라, 척도나 치수 등이 적절히 과장 또는 축소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케이스 일부를 절제하여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일부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1)는, 케이스(10)와, 수납용기(20)와, 초음파 진동자(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볼 때, 중공(中空)의 6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납용기(20)는, 그 수납용기(20)의 상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케이스(10)에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부재(미도시)에 의해, 케이스(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수납용기(20)는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세척하고자 하는 볼링공(B) 및 세척용 물(W)을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서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3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시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수납용기(20) 및 그 수납용기(20) 내에 수용된 물(W)을 초음파 진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초음파 진동자(30)가 수납용기(20)의 외벽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1)는, 볼링공 받침대(40)와, 배수구(21)와, 배출관(11)과, 개폐 밸브(111)와, 히터(50)와, 온도 센서(51)와, 타이머(71)와, 디스플레이부(72)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볼링공 받침대(40)는, 수납용기(20)의 상방으로부터 그 수납용기(20)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것으로서, 수납용기(20)에 수용될 볼링공(B)을 수납용기(20) 내의 물(W)과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받쳐서 지지한다. 본실시예에서의 볼링공 받침대(40)는, 볼링공(B)을 받쳐서 지지하는 금속 소재의 프레임(41)과, 프레임(41)에 끼워져 결합되며 프레임(41)에 지지된 상태의 볼링공(B)이 수납용기(2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스(10)의 상면에 접촉하여 걸리는 접촉부재(4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41)은, 볼링공(B)을 받쳐주는 받침부(401)와, 상기 볼링공 받침대(40)가 수납용기(20)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납용기(20)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손잡이부(40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볼링공 받침대(40)는, 접촉부재(45)가 케이스(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걸림으로써, 케이스(10)에 지지되게 된다. 이처럼 케이스(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걸리는 접촉부재(45)는, 케이스(10)의 상면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케이스(10)에 대한 수평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고무나 연질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구(21)는, 수납용기(20)에 수용되어 있는 물(W)을 배출하기 위해 수납용기(20)의 바닥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배출관(11)은, 배수구(21)를 통해 수납용기(20)로부터 배수되는 물(W)을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케이스(10)에 설치된 것이다. 이 배출관(11)은, 일단이 배출관(11)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구(21)에 접속되는 호스(H)를 통해서, 배수구(21)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개폐 밸브(111)는, 배출관(11) 내의 유로(즉, 상기 배수구(21)를 통해 배출되어서 호스(H)를 통해 배출관(11) 내로 유입되는 물이 흐르는 경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닫혀 있어서 배출관(11) 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수납용기(20) 내의 물(W)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열려서 배출관(11) 내의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 개폐 밸브(111)로서는 예컨대,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는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50)는 수납용기(20) 내의 물(W)을 가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 히터(50)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납용기(20)의 몸체에 둘러져 감긴 소위 면상발열체가 마련되어 있다. 면상발열체는, 예컨대 전도성 카본을 포함하는 수지 용액을 섬유사 표면에 도포하여 이루어진 발열사를 직조하여 만든 직물로서, 전류의 인가시에 전도성 카본의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온도 센서(51)는, 물(W)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용기(20)의 외벽에 부착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51)는 수납용기(2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직접적으로는 수납용기(20)의 온도를 검출하게 되나, 가열되는 수납용기(20)의 온도와 그 수납용기(20) 내에 수용되어서 수납용기(20)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물(W)의 온도는 소정의 열전달 함수 관계를 가지게 되므로, 결국, 수납용기(20)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물(W)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이머(71)는 세척 시간(초음파 진동자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72)는 수납용기(20) 내의 물(W)의 온도, 세척 시간 등과 같이 볼링공(B)의 세척과 관련이 있는 정보들을 표시하는 기기로서, LCD나 LED 표시 소자가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음파 진동자(30)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부(7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제어부(70)는 또한, 디스플레이부(72)의 표시를 제어하며, 온도 센서(5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히터(50)를 제어하여 물(W)의 온도를 설정 온도 범위(예컨대, 40~60℃)로 유지시킨다. 제어부(70)는 또한 사용자가 타이머(71)로 설정한 세척 시간에 맞추어 초음파 진동자(30)의 작동시간을 제어한다. 케이스(10)에는, 본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1)를 구성하는 전기 부품들로의 전류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전원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1)에 의해 볼링공(B)을 세척하는 과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세척하고자 하는 볼링공(B)을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볼링공 받침대(40)에 놓아둔다. 그리고, 볼링공(B)이 놓여 있는 볼링공 받침대(40)를 상방으로부터 수납용기(20) 내로 끼워 넣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링공 받침대(40)의 접촉부재(45)가 케이스(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걸리게 해 둔다. 이와 같이 하면, 볼링공(B)은 볼링공 받침대(40)에 지지된 상태로 수납용기(20) 내에 수용되어 있게 된다. 접촉부재(45)가 탄성을 가지는 고무나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그 접촉부재(45)와의 접촉에 의한 케이스(10) 상면의 손상(흠집) 발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10)에 대한 접촉부재(45)의 수평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억제되어 볼링공 받침대(40)가 안정되게 케이스(10)에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볼링공(B)이 수납용기(2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혹은 볼링공(B)이 수납용기(20)에 수납되기 전에 미리, 수납용기(20)에 볼링공(B)의 세척을 위한 물(W)을 적정량 넣어서 볼링공(B)이 수납용기(20) 내에서 물(W)에 충분히 잠기게 해 둔다.
그 후, 히터(50) 및 초음파 진동자(30)에 전류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히터(50)가 수납용기(20)를 가열하여 그 수납용기(20) 내의 물(W)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초음파 진동자(30)가 수납용기(20)를 초음파 진동시킨다. 제어부(70)는, 온도 센서(5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물(W)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예컨대, 40~60℃) 내에 있도록, 히터(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초음파 진동자(30)의 작동 시간(세척 시간)은, 타이머(71) 조작에 의해, 미리 적정 시간(예컨대, 20~60분 범위 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초음파 진동자(30)에 의해 수납용기(20)를 초음파 진동시킴으로써, 수납용기(20) 내의 물(W)도 함께 초음파 진동되게 된다. 그러므로, 볼링공(B)의 표면에 묻은 오일 등의 이물질은, 초음파 진동되는 물(W)에 의해, 볼링공(B)의 표면으로부터 깨끗이 분리되고, 그 결과, 볼링공(B)은 깨끗이 세척되게 된다.
볼링공(B)의 세척이 완료되면, 예컨대 상기 손잡이부(402)를 잡고, 볼링공 받침대(4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수납용기(20)로부터 빼낸다. 그러면, 볼링공 받침대(40)에 놓인 상태로 세척 완료된 볼링공(B)도 함께 수납용기(20)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그 후, 상기 세척 완료된 볼링공(B)을 볼링공 받침대(40)로부터 빼내고, 다시 새로운 볼링공(세척해야 할 볼링공)을 볼링공 받침대(40)에 놓아둔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 과정을 반복하여 볼링공들을 순차적으로 초음파 세척한다.
한편, 수납용기(20)에 수용되어서 볼링공(B)을 세척한 물(W)을 버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 밸브(111)를 열어서 배출관(11) 내의 유로를 개방한다. 그러면, 수납용기(20) 내의 물(W)이 배수구(21)를 통해 나와서 호스(H) 및 배출관(11)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물(W)의 배출이 완료되면, 개폐 밸브(111)를 닫아서 배출관(11) 내의 유로를 폐쇄하여 둔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1)는 초음파 진동자(30)를 이용하여 볼링공(B)을 초음파 세척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비용도 저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링공(B)이 볼링공 받침대(40)에 놓인 상태로 수납용기(20) 내로 수용되어 세척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볼링공 받침대(40)를 마련하지 않고, 볼링공(B)만 수납용기(20) 내에 직접 수용시켜 둔 상태로 초음파 세척을 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세척 완료된 볼링공(B)을 꺼내기 위해 수납용기(20) 내의 물(W)에 손을 담가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1)는, 히터(50)와, 온도 센서(51)와, 디스플레이부(72)를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데, 이들이 마련되지 않더라도 볼링공(B)을 초음파 세척하는 기본 기능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1)는, 초음파 진동자(30)의 작동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71)를 구비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초음파 진동자(30)의 작동 시간을 미리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여 제어부(70)에 입력하여 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진동자(30)를 수납용기(20)에 복수개 부착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초음파 진동자(30)를 하나만 수납용기(20)에 부착하더라도 볼링공(B)을 초음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나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1....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 10...케이스
11...배출관 111..개폐 밸브
20...수납용기 21...배수구
30...초음파 진동자 40...볼링공 받침대
50...히터 51...온도 센서
70...제어부 71...타이머
72...디스플레이부

Claims (2)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세척할 볼링공 및 세척용 물을 수용 가능한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볼링공 및 물을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 및 그 수납용기에 수용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납용기에 부착되는 초음파 진동자와,
    상기 수납용기의 상방으로부터 그 수납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며, 상기 볼링공을 상기 수납용기 내의 물과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받쳐서 지지하는 볼링공 받침대와,
    상기 수납용기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그 수납용기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된 물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와 연통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내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밸브와,
    상기 수납용기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물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와,
    상기 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링공 받침대는, 상기 볼링공을 받쳐서 지지하는 금속 소재의 프레임과, 고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의 볼링공이 상기 수납용기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접촉하여 걸리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볼링공을 받쳐주는 받침부와, 상기 볼링공 받침대가 상기 수납용기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용기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링공 받침대를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빼낼 때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 사이로 손을 넣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 및 상기 수납용기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
  2. 삭제
KR1020150081525A 2015-06-09 2015-06-09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 KR101756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25A KR101756390B1 (ko) 2015-06-09 2015-06-09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25A KR101756390B1 (ko) 2015-06-09 2015-06-09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43A KR20160144843A (ko) 2016-12-19
KR101756390B1 true KR101756390B1 (ko) 2017-07-11

Family

ID=5773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525A KR101756390B1 (ko) 2015-06-09 2015-06-09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068B1 (ko) * 2018-12-13 2020-01-14 김민재 볼링공 오일 제거 장치 및 볼링공 오일 제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229Y1 (ko) * 2002-03-07 2002-06-24 김규원 골프채 세척기
KR200379422Y1 (ko) * 2004-12-27 2005-03-18 박종웅 초음파 세척기
US20100043850A1 (en) * 2005-04-08 2010-02-25 Waldemar Kiener Apparatus for Cleaning Golf Accesories, in Particular Golf Clubs and Golf Bal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132A (ko) 1999-11-10 2001-06-05 심용욱 볼링공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229Y1 (ko) * 2002-03-07 2002-06-24 김규원 골프채 세척기
KR200379422Y1 (ko) * 2004-12-27 2005-03-18 박종웅 초음파 세척기
US20100043850A1 (en) * 2005-04-08 2010-02-25 Waldemar Kiener Apparatus for Cleaning Golf Accesories, in Particular Golf Clubs and Golf B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43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3321B2 (ja) ミルク給送装置
WO2018077200A1 (zh) 超声波清洗装置以及洗衣机
CN108121089B (zh) 一种清洗干燥机
WO2004023946A1 (ja) 全自動炊飯装置
KR101756390B1 (ko) 볼링공용 초음파 세척장치
CN211213003U (zh) 一种超声波茶具清洗机
CN105624985A (zh) 用于洗衣机的洗衣用剂自动投放装置及洗衣机
JP4668192B2 (ja) ブリューチャンバの上壁に突起を持つ飲料作製装置
KR101641659B1 (ko) 텀블러 세척장치
KR20100120014A (ko)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WO2018157674A1 (zh) 超声波清洗装置以及洗衣机
JP6112433B2 (ja) 加湿器
KR100746556B1 (ko)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JP5881917B1 (ja) 内視鏡リプロセッサ
CN103990163B (zh) 一种医院消毒供应中心用的洗涤盆
CN212821476U (zh) 一种消毒烘干装置
KR950007762A (ko) 전자동 씨스템 밥솥
CN211187114U (zh) 一种餐具用清洗装置
KR200458500Y1 (ko) 홍삼액 제조기
KR200267412Y1 (ko) 골프클럽 세척장치
CN204016918U (zh) 一种医院消毒供应中心用的洗涤盆
KR20000060553A (ko) 분할된 세정용기를 갖는 초음파 세정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4216244A (ja) 超音波洗浄装置
JP2011072907A (ja) 超音波洗浄装置
JP7093072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