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217B1 -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217B1
KR101756217B1 KR1020160046132A KR20160046132A KR101756217B1 KR 101756217 B1 KR101756217 B1 KR 101756217B1 KR 1020160046132 A KR1020160046132 A KR 1020160046132A KR 20160046132 A KR20160046132 A KR 20160046132A KR 101756217 B1 KR101756217 B1 KR 101756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employee
store
affiliate
ven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텐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텐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텐션
Priority to KR102016004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06F17/3070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방법은, 서비스서버가 하나 이상의 상점클라이언트로부터 제1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서비스서버가 하나 이상의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제2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0); 특정한 업체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상점을 추출하여 제휴연결을 수행하는 제휴연결단계(S300); 및 제휴연결된 상점데이터를 상기 특정한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업체에 속하는 임직원의 이용가능성이 높은 상점을 추출하여 업체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줄 수 있어서, 업체는 제공하는 제휴혜택에 대한 임직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MAKING PARTNERSHIP}
본 발명은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수의 임직원을 보유한 업체와 상점 간의 제휴관계 형성을 중계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업체들은 임직원들에 대한 복지 혜택으로 지역의 상점(예를 들어, 식당, 판매점 등)과 제휴를 맺고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업체들은 상점과의 제휴를 맺기 위해 직접 상점들을 탐색한 후 접촉하여 제휴 제안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지역의 작은 상점들은 해당 지역에 위치한 업체들의 임직원들이 주요고객에 해당하므로, 해당 업체와의 제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영세한 상점이 각 업체의 관계자들과 접촉하기 어려워서 업체들과 제휴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특정한 업체의 임직원들은 본인 회사가 복지혜택으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가 어떤 것이 있는지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임직원들이 제휴혜택을 알고 있더라도 해당 제휴혜택을 이용하기 어려워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업체와 상점이 제휴를 맺더라도 해당 업체의 임직원의 제휴상점의 이용률이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업체와 상점 간에 적합한 제휴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중계하고, 제휴혜택을 임직원들이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업체와 상점으로부터 수신한 제휴제안정보를 기반으로 제휴관계를 제안하며, 임직원들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하게 제휴혜택을 확인함에 따라, 제휴상점들의 이용도를 높이고 업체 임직원들의 혜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방법은, 서비스서버가 하나 이상의 상점클라이언트로부터 제1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하나 이상의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제2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특정한 업체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상점을 추출하여 제휴연결을 수행하는 제휴연결단계; 및 제휴연결된 상점데이터를 상기 특정한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점데이터는 상기 업체와 상기 상점간의 제휴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업체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복수의 임직원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공유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특정한 업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체 내 임직원 간의 정보공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휴연결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제2제휴제안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업체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상점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특정한 업체로부터 상기 상점리스트 내의 하나 이상의 상점에 대한 선택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업체클라이언트와 상기 상점클라이언트 간의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점리스트는 상기 상점의 유형정보, 위치정보, 제공혜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휴연결단계는,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업체에 부합하는 상점추출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제휴상점 사용내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휴상점의 사용통계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업체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휴연결단계는, 특정한 업체 내의 임직원을 근무지역 및 거주지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특정한 그룹에 부합하는 상점을 추출하여, 해당 그룹의 제휴상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업체와 제휴완료된 하나 이상의 상점리스트를 임직원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및 특정한 임직원으로부터 수신한, 특정한 최대범위 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점을 상기 임직원의 혜택상점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제휴상점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정보를 반영한 제휴상점 분석데이터를 상기 업체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점과 상기 업체간의 제휴혜택이 후불정산처리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임직원클라이언트 내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결제수행을 통해, 상기 임직원클라이언트 또는 상기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후불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휴상점별 특정기간 내의 누적후불결제내역을 상기 업체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후불결제내역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임직원에 대한 혜택범위가 한정된 경우, 제1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제2임직원클라이언트에 대한 특정한 제휴혜택전달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휴혜택전달요청에 따라, 제1임직원에게 부여된 특정한 제휴혜택을 제2임직원에 이전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각 업체에 속하는 임직원의 이용가능성이 높은 상점을 추출하여 업체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줄 수 있어서, 업체는 제공하는 제휴혜택에 대한 임직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체가 위치하는 지역, 업체의 임직원들의 행동반경, 각 임직원이 근무하는 지역 등의 세부요소들을 반영하여 각 업체에 적합한 상점을 추출하여 제휴 제안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지역의 상점들이 지역의 업체들과 쉽게 제휴를 맺을 수 있도록 하여,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셋째, 임직원들은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이 활용할 수 있는 제휴상점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바코드, QR코드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휴혜택을 이용할 수 있다.
넷째, 업체에 각 상점에 대한 임직원들의 평가 또는 사용횟수 등의 지표를 제공하여 줌에 따라, 복지혜택으로서의 제휴혜택을 개선해나갈 수 있다.
다섯째, 제휴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업체의 직원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업체 임직원들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설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업체 입장에서는, 업체 내부 정보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별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체 선택에 따른 제휴상점 선정하는 방식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업체 임직원을 세부분류로 나누어 제휴상점을 설정하는 방식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직원 클라이언트간 정보공유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불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업체는 하나 이상의 상점을 선택하여 임직원에게 제휴 혜택을 제공하고자 하는 회사를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임직원은, 특정한 업체에 속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점은, 업체와 제휴하고자 하는 상점을 말한다. 상기 상점은 식당, 물품판매점, 서비스제공업체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또한, 상점은 특정한 위치의 하나의 매장이 해당될 수도 있고, 복수의 지점을 가진 매장(예를 들어, 지역에 여러 분점을 가진 식당 또는 프랜차이즈 업체)이 해당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휴상점은 업체와 제휴관계가 형성된 상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클라이언트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업체클라이언트(300)는 상점과의 제휴를 맺고자 하는 업체에서 보유한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점클라이언트(200)는 상점에서 보유한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임직원클라이언트(400)는 업체에 속하는 임직원들이 각자 보유하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휴제안데이터는, 제휴관계 형성을 위해 업체 또는 상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제1제휴제안데이터는 상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이며, 제2제휴제안데이터는 업체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방법은, 서비스서버(100)가 하나 이상의 상점클라이언트(200)로부터 제1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하나 이상의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제2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0); 특정한 업체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상점을 추출하여 제휴연결을 수행하는 제휴연결단계(S300); 및 제휴연결된 상점데이터를 상기 특정한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에 설치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서비스서버(100)가 하나 이상의 상점클라이언트(200)로부터 제1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한다(S100).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상점클라이언트(200)로부터 각 상점의 유형(예를 들어, 음식점 유형, 판매물품 유형, 제공서비스 유형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제휴 시 각 상점이 제공하고자 하는 제휴혜택 유형을 수신할 수도 있다.
서비스서버(100)가 하나 이상의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제2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한다(S200). 즉, 서비스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프로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100)는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업체의 프로필정보로 업체의 위치, 업체의 임직원 인원수 등의 제휴 형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제휴 맺기를 원하는 선호상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특정한 업체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상점을 추출하여 제휴연결을 수행한다(S300; 제휴연결단계). 서비스서버(100)는 수신된 제1제휴제안데이터 및 제2제휴제안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점과 업체 간의 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가 업체와 상점 간의 매칭(즉, 제휴연결)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서비스서버(100)는 업체클라이언트(300)의 하나 이상의 상점 선택 또는 상점클라이언트(200)의 하나 이상의 업체 선택을 통해 제휴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업체클라이언트(300)의 상점선택에 의해 제휴연결이 성사되는 경우, 서비스서버(100)가 상기 제2제휴제안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업체클라이언트(300)에 제공할 상점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310);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특정한 업체로부터 상기 상점리스트 내의 하나 이상의 상점에 대한 선택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20); 및 상기 선택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업체클라이언트(300)와 상기 상점클라이언트(200) 간의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수신한 제2제휴제안데이터 내의 선호상점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휴제안이 수신된 여러 상점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출할 수 있다(S310). 그 후, 서비스서버(100)는 업체클라이언트(300)에 제공할 상점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점리스트는 업체클라이언트(300)에 제공되어 업체의 제휴관계자가 하나 이상의 상점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될 수 있고, 상기 상점의 유형정보, 위치정보, 제공혜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각 업체클라이언트(300)에 각 업체에 부합하는 상점리스트를 제공하고,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점에 대한 선택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20). 그 후, 서비스서버(100)는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수신된 선택데이터를 바탕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업체와 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S330). 상기 연결관계 형성은, 업체클라이언트(300)와 상점클라이언트(200) 간에 제휴 조건 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직접적인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이어주는 것(예를 들어, 업체담당자와 상점담당자 간의 대화창 생성)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휴담당자들은 제휴 상대방을 탐색한 후에 본 서비스 내에서 바로 제휴조건 등의 논의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휴연결단계(S300)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업체에 부합하는 상점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서비스서버(100)는 해당 업체의 소재지 또는 위치를 기반으로 상점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100)는 해당 업체가 속하는 행정구역 내의 상점 중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업체가 속하는 지역 내 사람들의 생활패턴이 해당 행정구역에 제한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해당 지역 사람들의 생활범위가 주변 지역으로까지 확장되거나 행정구역에 속하는 지역의 중심지와 떨어져 있어서 인접한 다른 도시에서의 생활이 많은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업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상점 추출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 서비스서버(100)는 특정한 업체의 임직원의 행동패턴 또는 생활반경을 반영하여 상점 추출범위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업체에 부합하는 상점추출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에 설치되어 있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은 각 임직원의 위치데이터를 획득하여 서비스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각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수신한 위치데이터를 각 업체별로 분류하고, 각 업체의 임직원들의 생활반경을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업체 임직원의 생활반경 내에서 상점을 추출하여 업체클라이언트(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서비스서버(100)는 특정한 업체의 임직원을 세부분류로 나누어서 각 분류에 부합하는 상점을 제휴상점으로 제공하도록 업체클라이언트(300)에 제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한 업체 내의 임직원을 근무지역 및 거주지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S340); 및 특정한 그룹에 부합하는 상점을 추출하여, 해당 그룹의 제휴상점으로 설정하는 단계(S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업체에 따라 업체의 임직원이 동일한 위치에 근무하지 않고, 다른 장소에 근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지점을 가지고 운영되는 업체인 경우, 지점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업체의 임직원이라도 생활패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또한, 동일한 근무지역에서 일하더라도 거주지역이 반대방향인 경우 이용하기를 원하는 상점 분포지역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서버(100)는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각 임직원들의 근무지역정보 또는 거주지역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근무지역 또는 거주지역 데이터를 반영하여 특정한 업체의 임직원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340). 그 후, 서비스서버(100)는 각 그룹에 부합하는 상점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상점을 업체클라이언트(300)에 제휴상점으로 추천할 수 있다(S350). 이를 통해, 서비스서버(100)는 각 업체의 임직원 특성에 부합하는 제휴상점을 제공할 수 있어서, 임직원들의 제휴상점 이용도를 높일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제휴연결된 상점데이터(즉, 제휴상점 데이터)를 상기 특정한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에 설치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S400). 상기 상점데이터는 상기 업체와 상기 상점간의 제휴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100)는 각 업체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업체에 속하는 임직원 계정을 매칭하여 둘 수 있고, 해당 업체의 제휴상점이 선정되면 매칭된 계정에 제휴상점리스트를 연결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임직원 계정이 로그인된 임직원 클라이언트로 제휴상점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업체클라이언트(30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100)가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복수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 간의 정보 공유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S500);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특정한 업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정보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에 설치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체 내 임직원 간의 정보공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업체와 상점 간에 맺은 제휴관계를 업체의 임직원들이 많이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사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으므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각 업체 내부 정보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서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규모가 있는 업체 이외에는 사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구비하지 못하므로, 제휴를 위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이 업체의 임직원 간에 정보공유 및 공지사항 전달 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업체클라이언트(3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복수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 간의 정보 공유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S500). 예를 들어,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정보공유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나 각 임직원이 포함된 업체가 정보공유 기능(즉, 게시판 또는 메신져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해당 영역에 접근을 제한할 수 있고,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사내 정보공유용으로 활용하고자 해당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경우에 해당 영역에 접근이 승인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임직원간의 정보공유 기능 활성화를 통해 업체에 추가적인 과금을 할 수 있다.
그 후, 서비스서버(100)가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특정한 업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600).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사내 정보 공유용으로 사용하는 업체가 복수 개가 되는 경우, 각 업체 간의 정보가 제대로 분류되지 않음에 따라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업체에 속하는 임직원의 계정으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이 된 임직원클라이언트(400)나 특정한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해당 업체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서비스서버(100)는 정보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해당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에 설치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S700). 즉, 서비스서버(100)는 해당 업체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로 생성하여 해당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제휴상점 사용내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휴상점의 사용통계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업체클라이언트(300)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업체는 제휴상점 중에서 임직원의 사용횟수가 낮은 상점을 파악하여 제휴관계 해지 또는 제휴혜택 변경 등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임직원들이 각 상점에서 제휴혜택 이용 시에 임직원클라이언트(400) 내에 설치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내역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직원클라이언트(400) 화면 상에 표시되는 바코드, QR 코드 등을 상점에 구비된 단말기를 통해 획득함에 따라, 서비스서버(100)가 특정한 임직원이 해당 상점을 제휴혜택으로 이용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각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수신된 사용내역데이터를 누적하여 해당 업체 임직원들의 각 제휴상점에 대한 사용통계데이터를 생성하여 업체클라이언트(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업체에서는 임직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제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100)가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제휴상점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정보를 반영한 제휴상점 분석데이터를 상기 업체클라이언트(300)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비스서버(100)는 임직원들이 제휴상점을 이용한 후 입력한 평가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업체에 제공하기 위한 분석데이터(예를 들어, 각 상점별 평가점수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점클라이언트(200)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상에는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100)는 업체별 임직원 평가정보를 기반한 분석데이터 또는 제휴된 모든 업체의 임직원 평가정보를 기반한 분석데이터를 특정한 주기별로 상점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하여 제휴 서비스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업체와 제휴완료된 하나 이상의 상점리스트를 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 제공하는 단계; 및 특정한 임직원으로부터 수신한, 특정한 최대범위 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점을 상기 임직원의 혜택상점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업체가 다수의 상점과 제휴관계를 형성하여 두고, 업체 내 임직원에게 사용할 상점을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각 상점에 대한 수요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형태로 제휴혜택을 제공하며 각 상점별 개별포인트를 보유하는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임직원에게 부여되는 제휴혜택의 최대범위 내에서 임직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점의 포인트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점과 상기 업체간의 제휴혜택이 후불정산처리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상기 임직원클라이언트(400) 내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결제수행을 통해, 상기 임직원클라이언트(400) 또는 상기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후불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800); 제휴상점별 특정기간 내의 누적후불결제내역을 상기 업체클라이언트(300)로 제공하는 단계(S900); 및 상기 누적후불결제내역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S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비스서버(100)가 업체의 제휴서비스로서 상점에 대한 후불결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상기 임직원클라이언트(400) 또는 상기 업체클라이언트(300)로부터 후불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800). 임직원이 특정한 제휴상점에 방문하여 임직원클라이언트(400) 내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수행을 함에 따라, 서비스서버(100)는 후불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직원클라이언트(400) 화면 상에 표시되는 바코드, QR코드 등을 상점 단말기(예를 들어, 상점의 POS 장치에 연결된 리더기)로 읽어 들이거나 NFC,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서비스서버(100)는 상점클라이언트(200)로부터 임직원 식별정보 및 결제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서비스서버(100)는 제휴상점별 특정기간 내의 누적후불결제내역을 업체클라이언트(300)로 제공할 수 있다(S900). 그 후, 서비스서버(100)는 누적후불결제내역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1000).
또한, 특정한 임직원에 대한 혜택범위가 한정된 경우, 제1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제2임직원클라이언트(400)에 대한 특정한 제휴혜택전달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휴혜택전달요청에 따라, 제1임직원에게 부여된 특정한 제휴혜택을 제2임직원에 이전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업체에 속하는 특정한 임직원(즉, 제1임직원)이 다른 임직원(즉, 제2임직원)에게 혜택을 선물 또는 이전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서비스서버(100)는, 제1임직원클라이언트(400)로부터 수신한 제휴혜택전달요청에 따라, 제1임직원과 제2임직원이 속하는 업체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제1임직원의 특정한 제휴혜택을 제2임직원으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인이 사용하지 않는 제휴혜택을 동료간에 이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휴상점 이용률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휴서비스 연결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비스서버(100)(즉,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각 업체에 속하는 임직원의 이용가능성이 높은 상점을 추출하여 업체클라이언트(300)에 제공하여 줄 수 있어서, 업체는 제공하는 제휴혜택에 대한 임직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체가 위치하는 지역, 업체의 임직원들의 행동반경, 각 임직원이 근무하는 지역 등의 세부요소들을 반영하여 각 업체에 적합한 상점을 추출하여 제휴 제안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지역의 상점들이 지역의 업체들과 쉽게 제휴를 맺을 수 있도록 하여,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셋째, 임직원들은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이 활용할 수 있는 제휴상점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바코드, QR코드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휴혜택을 이용할 수 있다.
넷째, 업체에 각 상점에 대한 임직원들의 평가 또는 사용횟수 등의 지표를 제공하여 줌에 따라, 복지혜택으로서의 제휴혜택을 개선해나갈 수 있다.
다섯째, 제휴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업체의 직원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업체 임직원들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설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업체 입장에서는, 업체 내부 정보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별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서비스서버 200 : 업체클라이언트
300 : 상점클라이언트 400 : 임직원클라이언트

Claims (10)

  1. 서비스서버가 하나 이상의 상점클라이언트로부터 제1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하나 이상의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제2제휴제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복수의 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체 내 임직원 간의 정보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인, 위치데이터수신단계;
    복수의 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위치데이터를 업체별로 분류하고, 상기 업체 내 임직원의 생활범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생활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상점을 추출하여, 상기 상점클라이언트와 상기 업체클라이언트 간의 제휴연결을 수행하는 제휴연결단계;
    특정한 업체 내의 임직원을 근무지역 및 거주지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세부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세부그룹에 상응하는 제휴연결된 상점데이터를 상기 특정한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제휴제안데이터는 상점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제휴제안데이터는 업체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상점데이터는 상기 업체와 상기 상점간의 제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생활범위는 특정한 행정구역 단위에 제한되지 않고, 업체가 위치한 지역의 특성이 반영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복수의 임직원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공유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특정한 업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업체의 임직원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체 내 임직원 간의 정보공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연결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제2제휴제안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업체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상점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특정한 업체로부터 상기 상점리스트 내의 하나 이상의 상점에 대한 선택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업체클라이언트와 상기 상점클라이언트 간의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점리스트는 상기 상점의 유형정보, 위치정보, 제공혜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제휴상점 사용내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휴상점의 사용통계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업체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특정한 업체와 제휴완료된 하나 이상의 상점리스트를 임직원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및
    특정한 임직원으로부터 수신한, 특정한 최대범위 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점을 상기 임직원의 혜택상점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제휴상점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정보를 반영한 제휴상점 분석데이터를 상기 업체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과 상기 업체간의 제휴혜택이 후불정산처리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임직원클라이언트 내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결제수행을 통해, 상기 임직원클라이언트 또는 상기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후불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휴상점별 특정기간 내의 누적후불결제내역을 상기 업체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후불결제내역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특정한 임직원에 대한 혜택범위가 한정된 경우,
    제1임직원클라이언트로부터 제2임직원클라이언트에 대한 특정한 제휴혜택전달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휴혜택전달요청에 따라, 제1임직원에게 부여된 특정한 제휴혜택을 제2임직원에 이전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휴서비스 연결방법
KR1020160046132A 2016-04-15 2016-04-15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756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32A KR101756217B1 (ko) 2016-04-15 2016-04-15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32A KR101756217B1 (ko) 2016-04-15 2016-04-15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217B1 true KR101756217B1 (ko) 2017-07-10

Family

ID=5935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132A KR101756217B1 (ko) 2016-04-15 2016-04-15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081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스마트로 가맹점 통합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83B1 (ko) * 2011-12-30 2012-08-07 이지웰페어 주식회사 패키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복지관리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83B1 (ko) * 2011-12-30 2012-08-07 이지웰페어 주식회사 패키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복지관리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081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스마트로 가맹점 통합 플랫폼 시스템
KR102286848B1 (ko) * 2018-12-26 2021-08-06 주식회사 스마트로 가맹점 통합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0316B2 (en) Provisioning temporary functionality to user devices
JP5980585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の接続パスワードの多重化割り当てによる顧客関係管理方法、顧客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20010931A1 (en) mobile phone based mobile customer relationship loyalty methodology and servicing system with instant analytics features thereof
KR102135288B1 (ko) 구매이력 기반 구매 지원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9916563B1 (en) Version recall for computerized catalog management
KR102087298B1 (ko) 포스 기반 고객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방법
CN105745680A (zh) 终端、服务提供装置和优惠券服务器、具有终端、服务提供装置和优惠券服务器的电子钱包系统、其控制方法、以及记录有计算机程序的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40249998A1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electronic receipt manag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700396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sed customer service from a physical provider of goods or services
KR101756217B1 (ko) 제휴서비스 연결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30033501A (ko) 모바일 멤버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6513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ontext-based electronic offer communication
US20180158103A1 (en) Mobile based common platform for outlet specific customer engagement
KR101910423B1 (ko) 금융 거래 정보의 자동 인식 방법 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07184B1 (ko) 온라인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241397B1 (ko) 패키지쿠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A297382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ontext-based electronic offer communication
US11144961B1 (en) Messenger bot and geolocation beacon based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0872531B1 (ko) 예약구매 처리방법
KR101945284B1 (ko) 쿠폰 관리 방법, 쿠폰 관리 서버 및 쿠폰 관리 시스템
KR20160130186A (ko) 모바일 멤버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4982A (ko)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개인사업자 전용 리워드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리워드 제공장치
KR20210088822A (ko)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pos 연계 무인 주문 서비스 시스템
KR20170114267A (ko) 단골손님 증대를 위한 결제 시스템과 매칭되는 가맹점 그룹 시스템
KR20180043700A (ko) 신용카드, 체크카드 사용자 혜택 검색 서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