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279A - 주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279A
KR20160011279A KR1020140091899A KR20140091899A KR20160011279A KR 20160011279 A KR20160011279 A KR 20160011279A KR 1020140091899 A KR1020140091899 A KR 1020140091899A KR 20140091899 A KR20140091899 A KR 20140091899A KR 20160011279 A KR20160011279 A KR 20160011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server
order
mobile terminal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874B1 (ko
Inventor
박선원
최봉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치앤노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치앤노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치앤노블
Priority to KR102014009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8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모바일 단말로 업소의 NFC 태그를 태깅하여 주문하게 하되, 업소마다 공통으로 사용하는 포맷의 지령코드에 업소의 주문 절차에 필요한 단계의 식별자를 기입하여 NFC 태그에 저장시킴으로써, 업소의 업태, 업종, 환경, 고객 위치, 고객 관리 방식 등에 따른 업소의 주문 절차에 적합하게 시스템을 구성 운영할 수 있는 주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문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ORDER}
본 발명은 고객 모바일 단말로 업소의 NFC 태그를 태깅하여 주문하게 하되, 업소마다 공통으로 사용하는 포맷의 지령코드에 업소의 주문 절차에 필요한 단계의 식별자를 기입하여 NFC 태그에 저장시킴으로써, 업소의 업태, 업종, 환경, 고객 위치, 고객 관리 방식 등에 따른 업소의 주문 절차에 적합하게 시스템을 구성 운영할 수 있는 주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점, 커피샵, 테이크아웃 등의 업소에서 서빙하는 사람을 기다리지 않고,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주문할 수 있는 주문 관리 시스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4-0000520호 및 공개특허 제10-2014-0069681호에서는 업소에서의 주문을 접수 관리하는 서버의 주소를 QR코드 또는 NFC 태그에 저장시켜서 스마트폰에 구비된 QR코드 인식기능 또는 NFC 태깅 기능으로 서버 주소를 인식한 후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서버의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주문 절차에 따라 주문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스마트폰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주문 사항을 서버에 전송하여 주문 절차를 밟게 하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하는 것은 고객의 입장에서 매우 번거로워서, 단골 고객만 자신의 편의를 위해 한정적으로 사용하고, 그외의 고객은 서빙 담당자를 통한 주문을 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문 관리 시스템의 활용이 매우 저조할 수 있는 단점과, 서빙 담당자를 그대로 고용해야하는 업소 운용 비용의 부담도 갖게된다.
이러한 이유로, QR코드 또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것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게 하는 것보다 고객 편의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QR코드 또는 NFC 태그가 업소의 식별번호로 구분되는 홈페이지와의 접속 루트를 설정하기 위한 것에 한정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업태/업종/환경을 갖는 업소들에 각각 적합한 주문 절차를 제공하기 위해서 업소별로 홈페이지를 구축해야 하는 어려움을 갖게 된다.
KR 10-2014-0000520 A 2014.01.03. KR 10-2014-0069681 A 2014.06.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영업 조건의 업소들에 각각 적합하게 주문 절차를 수행하면서, 시스템 구축이 용이한 주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진 주문 절차를 규정하는 지령코드를 쿼리스트링(QueryString)으로 기입하고 서버(30)의 IP 주소를 갖는 URL을 임베디드한 복수의 NFC 태그(10); 구비된 NFC 모듈로 NFC 태그(10)를 인식하여 URL을 수신한 후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URL의 IP 주소로 서버(30)에 접속하고, 이후, 서버(30)에서 전송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입력받는 주문 사항을 서버(30)에 전송하는 고객 모바일 단말(20); 업소의 메뉴 정보와 지령코드에 맵핑된 주문 절차 정보가 DB화되어 있으며,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접속요청을 받을 시에, URL의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주문 절차에 따라 메뉴를 선택하게 한 웹 페이지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여 고객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주문 사항을 전송받아 포스 단말(40)에 전송하는 서버(30); 업소에 설치되며, 서버(30)로부터 주문 사항을 전송받아 주문 사항을 접수하고 매상 관리하는 포스단말(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령코드는 주문 절차를 구성하는 단계를 지정하는 매개변수와 단계의 수행 유형을 규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위 지령코드의 나열 형식으로 미리 설정된 포맷을 갖추며, 상기 서버(30)는 매개변수로 지정되는 주문 절차의 각 단계에 대해 식별자로 구분되는 단계 수행 절차가 DB화되어 있으며,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접속요청을 받을 시에, URL에 포함된 각 단위 지령코드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단계 수행 절차에 따라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주문 절차를 밟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령코드에 있어서, 주문 절차의 각 단계에 대해 복수의 단위 지령코드로 구성되어 단계의 세부 절차를 규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령코드는 업소의 주문 절차에 포함된 단계에 대응되는 단위 지령코드에 대해서만 식별자를 입력하고, 나머지 단위 지령코드의 식별자를 수행이 필요치 아니함을 나타내는 미리 약속한 미실행 식별자로 입력한 것이며, 상기 서버(30)는 미실행 식별자가 입력되지 아니한 단위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단계만 선별하여 단계 수행 절차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30)는 URL에 포함된 지령코드가 단위 지령코드의 나열로 된 미리 설정된 포맷이 아닌 경우 접속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령코드는 결제 방식을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30)는 결제 방식을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결제용 웹 페이지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여 결제 사항을 전송받아 관련 결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결제처리하고, 포스 단말(40)에 통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령코드는 NFC 태그(10)의 설치 위치를 식별자로 입력할 단위 지령코드와,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위치를 수집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입력할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하며, 업소 내에 설치하는 NFC 태그(10)에는 설치 위치를 식별자로 입력한 URL을 임베디드하고, 고객에 배포한 NFC 태그(10)에는 위치를 수집하라는 식별자를 입력한 URL을 임베디드하여서, 상기 서버(30)는 설치 위치가 입력되어 있으면 설치 위치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위치로 하여 주문 사항을 포스단말(40)에 전송하고, 위치 수집하라는 식별자가 입력되어 있으면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30)에 요청하여 전송받는 위치 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여 주문 사항을 포스단말(40)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령코드는 주문하는 메뉴 항목을 식별자로 입력하는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30)에서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는 메뉴에 대한 웹 페이지는 메뉴에 포함된 각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선택한 항목이 식별자로 입력되는 URL을 주소 입력/표시란에 입력하여서, 메뉴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URL로 서버에 접속하여 항목 선택 상황을 서버(30)에서 모니터링하게 하고, 이후 주문 버튼을 입력할 시에 메뉴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서버(30)에 통지하여 주문 사항이 접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령코드는 고객 모바일 단말의 종류, OS 및 언어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정보를 가져오라는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 단위 지령코드와, 회원으로 등록한 고객의 식별번호를 식별자로 입력할 수 있게 한 단위 지령코드와, 로그인하여 서버에 접속하라는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하여서, 상기 서버(30)는 단말 기기정보를 가져오라는 식별자가 입력되어 있으면 단말 기기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요청 및 전송받아 단말 기기정보에 맞는 웹 페이지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고, 고객 식별번호가 식별자로 입력되어 있으면 고객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고객의 주문 사항을 DB화하여 고객 관리하고, 로그인하라는 식별자가 입력되어 있으면 로그인 절차를 안내하여 로그인한 후 메뉴에 대한 웹 페이지를 전송하여 주문 사항을 받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문 절차를 갖는 업소에 대해 공통의 지령코드 포맷을 적용하여, 업소마다 주문 절차에 필요한 단계를 규정하도록 지령코드를 작성하게 하고, 작성한 지령코드를 쿼리스트링으로 URL에 입력하여 NFC 태그에 저장시키며, 서버가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주문 절차를 밟아 주문을 접수하게 하므로, 다양한 업종/업태/운영환경을 갖는 업소의 주문 절차에 맞춰 용이하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령코드 포맷이 매개변수 및 매개변수에 대한 값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매개변수에 대응되는 단계 및 매개변수에 대한 값에 대응되는 단계 수행 유형을 서버에 DB화하여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주문 절차를 선택하게 하므로, 서버에 구축한 DB를 업데이트하여 다양한 업종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 및 확장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NFC 태그(10)의 NFC칩에 저장되도록 임베디드하는 URL의 코드 구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주문 관리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주문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NFC 태그(10)의 NFC칩에 저장되도록 임베디드하는 URL의 코드 구조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주문 관리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주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은 업소에 설치되는 NFC 태그(10A) 또는 고객이 소지할 수 있는 물체에 부착하여 배포하는 NFC 태그(10B)로 이루어지는 NFC 태그(10 : 10A, 10B), 고객이 소유하는 고객 모바일 단말(20), 고객 모바일 단말(20)과 통신하여 주문 사항을 전송받는 서버(30), 서버(30)로부터 주문 사항을 전송받아 주문을 접수하여 매상 관리하는 포스단말(40) 및 결제처리하는 결제시스템(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고객 모바일 단말(20)이 NFC 태그(10 : 10A, 10B)를 태킹함으로써 수신하는 URL의 주소에 따라 서버(30)에 접속하게 하고, 이후,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주문 절차에 필요한 정보를 서버(30)와 교환하여 주문을 받게한다.
여기서, 상기 업소는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 술이나 음료는 파는 술집, 바 또는 유흥장, 노무를 제고하는 용역 업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업소에 대한 포스단말(40)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업소 또는 서로 다른 업태의 복수의 업소에 각각 설치되는 포스단말(40)이 서버(3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업소에 대해 NFC 태그(10 : 10A, 10B)가 설치 또는 배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문은 업소에서 제공하는 대상(물건 또는 서비스)을 받기 위해 요구하거나 청구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주문 이후 결제를 위한 절차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한다.
이와 같은 주문 절차는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업소의 업태 및 업소의 업무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업소마다 주문 절차에 포함되는 단계의 종류가 상이할 수 있고, 동일한 단계라 하더라도 그 단계의 수행 절차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업소의 업태/업소/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주문 절차를 규정하는 정보가 NFC 태그(10 : 10A, 10B)에 저장되어 있고, 서버(30)에는 주문 절차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계에 대한 수행 절차가 DB화되어 있어서, NFC 태그(10 : 10A, 10B)에 저장된 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받을 시에 정보에 포함된 주문 절차의 단계에 따라 주문을 받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NFC 태그(10 : 10A, 10B)는 무선태그 기술 중의 하나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태그로서 데이터를 저장시켜서 비접촉식으로 태깅하는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활용하게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URL(Uniform/Universal Resource Locator, 100)이 저장되어서, 업소 내에 지정된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업소 고객이 소지할 수 있는 물체에 부착되어 고객에게 배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URL(100)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을 나타내는 프로토콜(110), 네트워크 내의 서버 위치를 나타내는 IP 주소(120, 또는 도메인 네임) 및 "매개변수=매개변수 값"의 형식으로 된 코드가 "&"로 구분되어 복수개로 입력되며 "?" 뒤에 표시되게 한 쿼리스트링(QueryString)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URL(100)의 구조는 네트워크 상에서 원하는 정보 자원을 찾아 이용하게 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으로서, 파일 디렉토리 또는 정보 자원 이름(예를 들어 파일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서버(30)의 접속 규약과 주소를 프로토콜(110) 및 IP 주소(120)로 입력하고, 업소의 주문 절차를 규정하는 지령코드(130)를 쿼리스트링으로 입력하여 작성한 URL(100)을 NFC 태그(10)에 임베디드한다.
이때, 주문 절차는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므로, 단계를 매개변수(131)로 식별하도록 지정하고 단계의 수행 유형을 규정하는 식별자를 매개변수 값(132)으로 식별하도록 지정한 단위 지령코드를 각 단계별로 작성한 후 "&"로 구분하도록 나열하여서, 주문 절차에 대응되는 지령코드(130)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완성한 지령코드(130)는 쿼리스트링으로 URL(100)에 입력된다.
여기서, 업태/업종 또는 환경이 다른 업소마다 주문 절차에 포함되는 단계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업태/업종 또는 환경을 갖는 복수의 업소의 주문 절차에 필요한 단계를 취합하여 취합한 모든 단계를 포함하도록 상기 지령코드의 매개변수를 지정 작성한다.
이와 같이 취합한 각각의 단계는 고객 구분 단계, 메뉴 주문 접수 단계 및 결제 단계를 포함하고, 다양한 업태/업종 및 환경을 갖는 업소에 적용하도록 업소 구분 단계를 추가하며,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기기에 적합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기기 맞춤 접속 단계도 추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단계를 수행할 시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 맞춤 접속 단계(S10), 업소 구분 단계(S20), 고객 구분 단계(S30), 메뉴 주문 접수 단계(S40) 및 결제 단계(S50)를 포함하는 주문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지령코드(130)의 매개변수(131)를 지정 작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매개변수(131)에 할당되는 매개변수 값에 어떤 식별자를 기입하느냐에 따라 단계 수행 절차의 유형이 결정되게 한다.
또한, 각 단계는 세분화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각 단계에 대해서 복수의 단위 지령코드에 의해 단계의 세부 수행 절차를 규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령코드(130)는 업소의 주문 절차에 포함된 단계에 대응되는 단위 지령코드에 대해서만 단계 수행 유형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입력하고, 나머지 단위 지령코드의 식별자에는 단계 수행이 필요치 아니함을 나타내는 미리 약속한 미실행 식별자(하기에서 예시하는 '0' 또는 'False')를 입력하여서, NFC 태그(10)에 임베디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메뉴 주문 접수 단계(S40)에서 메뉴 항목을 식별자로 입력하는 단위 지령코드를 더욱 포함한다. 즉,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객 모바일 단말(20)에서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한 메뉴 항목이 지령코드에 기입된 URL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 및 주문 사항을 전송하게 한다.
상기 지령코드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아래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구분 단위 지령코드 비고
(서버의 단계 수행)
매개변수 식별자
(매개변수 값)
기기 맞춤
접속 단계
폰 종류 a 0 아니면 1 1의 식별자를 갖는 기기 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에 요청 및 수신
OS b 0 아니면 1
언어 c 0 아니면 1
업소
구분 단계
업종 d 0 아니면 값 값에 대응되는 포맷의 웹 페이지 사용
업태 e 0 아니면 값
업소 환경 f 0 아니면 값
업소 식별번호 g
고객
구분 단계
식별번호
(예:테이블 번호)
h 0 아니면 값 식별번호의 값으로 업소 내외 고객구분. 폰 위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 안하는 경우를 구분
폰 위치 i 0 아니면 1
메뉴 주문
접수 단계
고객 식별번호 j 0 아니면 값 식별자의 값에 따라 주문 방식을 결정
로그인 k 0 아니면 1
날짜 l 0 아니면 1
시간 m 0 아니면 1
주문 목록 n 변동하는 값
결제 단계 결제유형 o 결제유형에 따라 결제 방식을 결정. 폰 번호를 결제에 활용하는 할 것이지 결정
결제금액 p 변동하는 값
폰 번호 q 0 아니면 1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각각의 단계별로 복수의 단위 지령코드(매개변수 및 식별자로 이루어지는 단위 지령코드)가 설정되어 단계의 세부 수행 절차를 규정하게 하고, 단위 지령코드 중에는, 단계의 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활용여부를 식별자로 입력함으로써, 단계의 수행 절차를 규정하게 한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단위 지령코드에는 수행 절차에 필요한 정보가 '구분'으로 표시한 데이터에 대응되게 되어 있고, 매개변수 값으로 입력되는 식별자에 따라 서버의 단계 수행 절차가 결정되게 하였다. 이와 같은 각 단계에 대한 복수의 매개변수, 매개변수에 대응되는 정보, 매개변수 값에 따라 결정되는 단계 수행 절차는 후술하는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부(31)에 DB화되어 있다.
여기서, 식별자로 입력되는 '0'은 상기한 미실행 식별자이므로, 하기의 서버는 '0'을 식별자로 입력한 매개변수에 대응되는 세부 수행 절차는 수행하지 아니하고, '0' 이 아닌 값을 식별자로 입력한 매개변수에 대응되는 세부 수행 절차만 선별하여 각각 단계 수행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0'이나 아니면 '1'로 기입하는 식별자는 '1'인 경우 대응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소속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며, 예외적으로 '로그인'에 대해서는 '1'인 경우에 로그인하여 주문 절차를 밟게 하고 '0'인 경우 로그인할 필요 없이 주문 절차를 밟게 한다. 여기서, '0'을 대신하여 'FALSE'를 기입하고 '1'을 대신하여 'TRUE'를 기입하게 하여도 된다.
상세히 살펴보면, 기기 맞춤 접속 단계를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는 3개의 단위 지령코드로 세분화되며, 고객 모바일 단말의 종류, 사용하는 OS(Operating System) 및 사용하는 언어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에 요청하여 수신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하는 식별자가 기입된다.
업소 구분 단계를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는 3개의 단위 지령코드로 세분화되며, 업소의 업종, 업태, 환경 및 업소에 할당한 업소 식별번호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기입된다.
고객 구분 단계를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는 NFC 태그(10)의 식별번호를 식별자로 하여 입력하는 단위 지령코드와 폰 위치 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에게 요청하여 수신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하는 식별자를 입력하는 단위 지령코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NFC 태그(10)의 식별번호는 업소 내에 설치되는 NFC 태그(10A)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이므로, 업소 내에 설치하는 NFC 태그(10A)에는 설치 위치를 식별자로 입력한 URL을 임베디드한다. 반면에, 고객에게 배포하는 카드에 부착한 NFC 태그(10B)에는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식별자에 미실행 식별자인 '0'을 입력하고 위치를 수집하라는 식별자를 입력한 URL을 임베디드한다.
메뉴 주문 접수 단계를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는 고객 식별번호를 기입하는 단위 지령코드, 로그인의 필요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입하는 단위 지령코드, 날짜 또는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주문 처리하라는 식별자를 기입하는 단위 지령코드, 및 고객 모바일 단말에서 선택되는 메뉴 항목을 식별자로 기입하여 식별자로 주문 목록을 인식하게 하는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객 식별번호는 회원으로 등록한 고객에게 배포하는 NFC 태그(10B)에 적용되며, '0'이 기입되면 업소 내에 있든 아니면 고객에게 배포되었든 고객 식별번호를 이용하지 아니한다. 로그인에 대한 식별자가 '1'이면 서버에 회원으로 등록하게 안내하고 회원 등록된 상태이면 로그인하여 서버에 접속하게 하며, '0'이면 로그인 절차를 생략한다.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식별자를 '1'로 하였을 경우 고객 모바일 단말로부터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요청 및 수신하고, '0'으로 하였을 경우 이 절차를 생략한다. 여기서, 현재 날짜 및 시간은 서버 자체에서 얻을 수도 있다.
주문 목록이 식별자로 기입되는 단위 지령코드에 대해서는 URL(100)을 NFC 태그(10)에 임베디드할 시에 미리 설정된 초기값을 식별자에 기입하여서,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주문하는 단계와 NFC 태그(10)를 태깅할 시의 단계를 구분하게 하고, NFC 태그(10)를 태깅하여 얻는 URL(100)과 URL(100)을 모방한 URL를 분별하여 인증하는 식별자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결제 단계를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는 결제유형을 식별자로 기입하는 단위 지령코드, 결제 단계의 수행 절차 중에 결제금액을 식별자로 기입하는 단위 지령코드, 결제 단계의 수행에 있어 고객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입하는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한다. 결제유형으로는 카드결제, 현금결제, 소액결제 등으로 다양하고 각각 결제 절차가 상이하므로 이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화번호는 결제 인증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식별자가 '1'이면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란이 결제 과정의 웹 페이지에 마련된다. 결제금액을 식별자로 기입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객 모바일 단말에서 결제금액이 식별자로 입력된 URL(100)을 서버에 전송하여 결제 요청하기 때문이다.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지령코드를 작성함으로써, 업소에서 필요로 하는 주문 절차 및 NFC 태그의 설치위치(업소 내 또는 고객 배포)에 맞게 식별자를 기입한 URL(100)을 NFC 태그에 저장되게 임베디드한다.
상기 고객 모바일 단말(20)은 NFC 태그를 태깅하여 URL(100)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NFC 통신모듈, 터치스크린을 예로 들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수신기, 및 이동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 플랫폼이 탑재된다. 이러한 고객 모바일 단말(20)은 최근 보편화된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고객이 소유하는 스마트폰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절차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객 모바일 단말(20)은 NFC 모듈로 NFC 태그(10)를 인식하여 URL(100)을 수신한 후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URL(100)의 IP 주소로 서버(30)에 접속 시도하며, 이에, URL(100)에 쿼리스트링으로 기입된 지령코드(130)가 서버(30)에 전달된다. 이후, 고객 모바일 단말(20)은 서버(3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30)에서 전송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입력받는 주문 사항 및 결제 사항을 서버(30)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주문 절차를 따른다.
상기 서버(30)는 업소별로 구분되는 업소 메뉴 정보와, 지령코드(130)에 맵핑된 주문 절차 정보가 DB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31),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접속요청을 받을 시에 고객 모바일 단말(20)이 접속요청하기 위해 사용한 URL(100)로부터 쿼리스트링으로 작성된 지령코드를 추출하여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주문 절차를 DB화 주문 절차 정보로부터 선택하여 주문 절차에 필요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주문 절차 형성부(32), 선택된 주문 절차에 따라 웹 페이지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여 필요한 사항을 고객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전송받으며 주문 절차를 수행하는 주문 절차 수행부(32), 및 통신망에 연결되어 고객 모바일 단말(20), 포스단말(40) 및 결제시스템(50)과 통신하는 통신망 접속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되는 주문 절차 정보는 표 1에 예시적으로 보여준 바와 같이 주문 절차를 구성하는 단계에 대한 단계 수행 절차가 단계에 속한 단위 지령코드의 식별자에 따라 분류되어 DB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문 절차 형성부(32)는 URL의 지령코드를 분해 및 분석하여 지령코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지령코드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단계 수행 절차에 따라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주문 절차에 필요한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미실행 식별자가 입력되지 아니한 단위 지령코드에 대해서만 식별자에 대응되는 단계 수행 절차를 선별한다.
여기서 웹 페이지의 포맷은 업소의 업태/업종/환경 및 고객 유형(업소 내부 고객, 업소 외부 고객, 비회원 고객, 회원 고객 등으로 구분되는 유형)별로 구분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31)에 DB화 되어 있으며, 이에 DB화된 포맷으로부터 지령코드에 맞게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주문 절차 실행부(33)는 선별한 단계 수행 절차를 위한 웹 페이지를 통신망 접속부(34)를 통해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여 주문 절차를 밟게 한다.
단계 수행 절차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통신망 접속부(34)는 접속요청을 받을 시에 URL에 포함된 지령코드가 단위 지령코드의 나열로 된 미리 설정된 포맷이 아닌 경우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NFC 태그(10)를 태깅한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접속요청만 수락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포맷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예시하고 표 1에서 보여준 포맷이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30)는 고객에 의한 접속요청만을 수락하여 트래픽(traffic)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스단말(40)은 업소의 매출 내역 집계, 고객 관리, 재고/자재 관리 등을 위한 POS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서버(30)로부터 주문 사항, 고객 정보 및 결제 사항을 전송받아 접수하여 매상 관리하고 주문을 처리하도록 업소 운영자에게 통지한다. 이러한 포스단말(40)은 업소에 설치되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30)는 NFC 태그(10)를 태깅한 고객 모바일 단말로부터 접속요청을 받으면, 접속요청받을 시에 고객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송받는 URL의 쿼리스트링이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이루어졌는지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이루어졌으면 접속을 수락한다(S1).
이후, 서버(30)는 쿼리스트링으로 작성된 지령코드의 각 단위 지령코드를 소속된 단계에 따라 분류하여 단위 지령코드에 기입된 식별자의 값에 대응되는 단계 수행 절차에 따라 기기 맞춤 접속 단계(S10), 업소 구분 단계(S20), 고객 구분 단계(S30), 메뉴 주문 접수 단계(S40) 및 결제 단계(S50)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먼저, 서버(30)는 기기 맞춤 접속 단계(S10)의 단계 수행 절차를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들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식별자에 대응되는 절차에 따라 단계를 수행한다. 즉, 단말 기기정보를 가져오라는 식별자가 입력되어 있는 단위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단말 기기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에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기기정보는 모바일 단말의 종류, OS 및 사용 언어이며, 이 중에서 식별자의 값이 '1'로 기입된 것에 대응되는 단말 기기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요청 및 전송받는다. 그리고, 이후의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기기정보에 적합한 웹 페이지를 작성하여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서버(30)는 업소 구분 단계(S20)의 단계 수행 절차를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들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식별자에 대응되는 절차에 따라 단계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 대해서는 식별자로 기입된 업소 식별번호로 구분되는 업소의 메뉴를 하기의 메뉴 주문 접수 단계에서 사용되게 하고, 업종, 업태 및 업소 환경에 따라 분류되는 웹 페이지를 메뉴 주문 접수 단계 및 결제 단계에서 사용하게 한다.
다음으로, 서버(30)는 고객 구분 단계(S30)의 단계 수행 절차를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들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식별자에 대응되는 절차에 따라 단계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NFC 태그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번호가 기입되어 있으면, 식별번호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위치로 하여 메뉴 주문 접수 단계에서 주문 사항을 포스단말(40)에 전송되게 한다. 만약 식별번호가 기입되어 있지 아니하고, 위치를 수집하라는 식별자가 기입되어 있으면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에 요청하여 전송받고, 위치 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여 주문 사항을 포스 단말(40)에 전송할 시에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되게 한다. 즉, 업소 내에 설치된 NFC 태그와 고객에게 배포한 NFC 태그를 구분하여 고객의 위치를 포스단말(40)에 통보한다.
다음으로, 서버(30)는 상기 기기 맞춤 접속 단계(!0), 업소 구분 단계(S20) 및 고객 구분 단계(S30)에 의해서 정해진 바에 따라 단말 기기정보에 적합하고, 업소에 업태/업종/환경에 적합하며, 고객 위치에 맞는 메뉴 주문/접수를 위한 웹 페이지 및 결제를 위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면서, 메뉴 주문 접수 단계(S40) 및 결제 단계(S50)를 수행한다.
메뉴 주문 접수 단계(S40)는 업소의 메뉴를 표시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한다.
이때, 전송하는 웹 페이지는 메뉴의 각 항목을 선택하는 버튼과 주문할 항목을 선택한 이후 주문 요청하는 버튼이 마련되고, URL을 주소 입력/표시란에 입력하되, 메뉴에 포함된 각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선택한 항목을 식별자의 값으로 하여 특정 단위 지령코드(즉, 주문 목록이 식별자로 입력되는 단위 지령코드)에 입력되게 함으로써, 주소 입력/표시란에 입력되는 URL에 기입되는 메뉴 항목이 변경되게 하고, 동시에 메뉴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URL로 서버에 접속하여 메뉴 항목 선택 상황을 서버(30)에 전송되게 한다. 그리고, 서버(30)는 메뉴 항목의 선택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후 주문 버튼을 입력할 시에 메뉴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받아서 주문 사항을 포스 단말(40)에 전송하여 주문 접수되게 한다.
여기서, 주문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NFC 태그를 태깅한 이후 고객의 행동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니터링의 결과를 포스단말에 통보하여 업소 운영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태깅 이후 메뉴를 장시간 고르기만 하는 상황, 태깅한 이후 메뉴 선택이 지연되는 상황, 주문 항목을 선택했다가 취소하는 등의 상황 등을 통보받음으로써, 이에 대한 조치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지령코드에 고객 식별번호가 식별자로 기입되어 있으면, 주문 사항을 고객 식별번호에 대응시켜 DB화하여 고객 관리하고 포스단말에 전송할 시에 고객 식별번호를 함께 전송한다.
또한, 지령코드에 로그인하라는 식별자가 입력되어 있으면, 주문을 위한 상기 웹 페이지를 전송하기에 앞서서, 로그인 절차에 필요한 웹 페이지를 고객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여 안내하고 이후 로그인할 시에 주문을 위한 상기 웹 페이지를 전송하여 주문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로그인의 안내는 신규 회원인 경우 회원 가입절차를 밟게 한다.
또한 날짜/시간을 가져오라는 식별자가 지령코드에 입력되어 있으면, 현재의 날짜/시간을 고객 모바일 단말에 요청 및 전송받아 주문 사항에 포함시킨다.
이와 같이 주문 사항을 전송받은 이후 수행되는 결제 단계(S50)는 지령코드에 기입되는 결제유형에 대응되는 결제용 웹 페이지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여 결제 사항을 고객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고객 모바일 단말에 입력하게 하고, 입력한 결제 사항을 전송받아 관련 결제시스템(50)과 연동하여 결제처리하고, 결제처리 결과를 포스 단말(40)에 통보한다.
여기서, 결제 사항은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데, 결제 금액은 메뉴를 선택한 이후이므로 선택한 메뉴의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용 웹 페이지로 안내되여, 고객이 이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결제 금액은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단위 지령코드의 식별자로 입력되므로, 결제 금액이 기입된 URL이 결제용 웹 페이지의 주소 입력/표시란에 표시되고, 결제 요청할 시에 결제 금액이 기입된 URL로 서버에 접속하여 결제 금액을 서버(40)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결제 단계에서 고객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로 인증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화번호를 가져오라는 식별자를 지령코드의 특정 단위 지령코드에 기입하여 둠으로써, 서버는 전화번호 입력란을 결제용 웹 페이지에 포함시킨다.
상기 결제시스템은 예를 들면 결제유형에 따라 카드 결제시스템 또는 소액결제시스템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서버(30)를 업소 내에 설치하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고 와이파이(WIFI) 기능을 갖는 유무선 공유기(60)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되게 하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는 공인 IP 주소(또는 도메인 네임)와 유무선 공유기(60)가 할당하는 사설 IP 주소와 포트 번호의 설정으로 포트포워딩한다. 여기서, 공인 IP 주소는 NFC 태그(10)에 저장되는 URL의 IP 주소가 된다.
이에 따라, 와이파이(WIFI) 기능을 갖는 고객 모바일 단말(20)이 업소 내부에 설치된 NFC 태그(10)를 태깅하면 유무선 공유기(60)를 통해서 상기 서버(30)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통신 장애에 의해 인터넷 접속이 안될 시에 공유기를 통한 내부망을 통해 상기 서버(30)에 접속 및 주문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장애에 의해 인터넷 접속이 안되면, 고객에게 배포한 NFC 태그를 태깅한 고객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30)에 접속할 수 없다. 그렇지만, 업소는 통신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업소 내 영업을 할 수 있으므로, 실제 본 발명을 채용함에 있어 영업 중단 사고를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도 4에는 포스 단말(40)을 도시하지 아니하였는데, 이는 개인 PC를 상기 서버(30)로 구성하고 업소 매상관리 프로그램을 개인 PC에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서버(30)가 포스 단말(40)의 기능을 겸한다. 하지만, 포스 단말(40)을 별도로 설치하여 공유기(60)를 통해 서버(30)와 접속되게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업소 내에 서버(30)를 구축할 시에는, 서버(30)를 업소 전용으로만 사용되게 하게 되므로,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예시한 업소 식별번호를 식별자로 하는 단위 지령코드를 지령코드에 포함시키지 아니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업소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업소에서 고객에게 배포한 NFC 태그를 태깅한 고객 모바일 단말의 접속만 수락하게 되므로, 서버(30)의 트래픽 부담을 경감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NFC 태그 20 : 고객 모바일 단말 30 : 서버
40 : 포스 단말 50 : 결제시스템 60 : 공유기
100 : URL 110 : 프로토콜
120 : IP 주소(또는 도메인 네임)
130 : 지령코드(쿼리스트링)
131 : 매개변수 132 : 매개변수 값

Claims (9)

  1.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진 주문 절차를 규정하는 지령코드를 쿼리스트링(QueryString)으로 기입하고 서버(30)의 IP 주소를 갖는 URL을 임베디드한 복수의 NFC 태그(10);
    구비된 NFC 모듈로 NFC 태그(10)를 인식하여 URL을 수신한 후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URL의 IP 주소로 서버(30)에 접속하고, 이후, 서버(30)에서 전송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입력받는 주문 사항을 서버(30)에 전송하는 고객 모바일 단말(20);
    업소의 메뉴 정보와 지령코드에 맵핑된 주문 절차 정보가 DB화되어 있으며,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접속요청을 받을 시에, URL의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주문 절차에 따라 메뉴를 선택하게 한 웹 페이지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여 고객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주문 사항을 전송받아 포스 단말(40)에 전송하는 서버(30);
    업소에 설치되며, 서버(30)로부터 주문 사항을 전송받아 주문 사항을 접수하고 매상 관리하는 포스단말(4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코드는 주문 절차를 구성하는 단계를 지정하는 매개변수와 단계의 수행 유형을 규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위 지령코드의 나열 형식으로 미리 설정된 포맷을 갖추며,
    상기 서버(30)는 매개변수로 지정되는 주문 절차의 각 단계에 대해 식별자로 구분되는 단계 수행 절차가 DB화되어 있으며,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접속요청을 받을 시에, URL에 포함된 각 단위 지령코드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단계 수행 절차에 따라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주문 절차를 밟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주문 절차의 각 단계에 대해 복수의 단위 지령코드로 구성되어 단계의 세부 절차를 규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코드는 업소의 주문 절차에 포함된 단계에 대응되는 단위 지령코드에 대해서만 식별자를 입력하고, 나머지 단위 지령코드의 식별자를 수행이 필요치 아니함을 나타내는 미리 약속한 미실행 식별자로 입력한 것이며,
    상기 서버(30)는 미실행 식별자가 입력되지 아니한 단위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단계만 선별하여 단계 수행 절차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는 URL에 포함된 지령코드가 단위 지령코드의 나열로 된 미리 설정된 포맷이 아닌 경우 접속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코드는 결제 방식을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30)는 결제 방식을 규정하는 단위 지령코드에 대응되는 결제용 웹 페이지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여 결제 사항을 전송받아 관련 결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결제처리하고, 포스 단말(40)에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7. 제 2항 내지 제 5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코드는 NFC 태그(10)의 설치 위치를 식별자로 입력할 단위 지령코드와,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위치를 수집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입력할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하며,
    업소 내에 설치하는 NFC 태그(10)에는 설치 위치를 식별자로 입력한 URL을 임베디드하고, 고객에 배포한 NFC 태그(10)에는 위치를 수집하라는 식별자를 입력한 URL을 임베디드하여서,
    상기 서버(30)는 설치 위치가 입력되어 있으면 설치 위치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위치로 하여 주문 사항을 포스단말(40)에 전송하고, 위치 수집하라는 식별자가 입력되어 있으면 고객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30)에 요청하여 전송받는 위치 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여 주문 사항을 포스단말(40)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8. 제 2항 내지 제 5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코드는 주문하는 메뉴 항목을 식별자로 입력하는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30)에서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는 메뉴에 대한 웹 페이지는
    메뉴에 포함된 각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선택한 항목이 식별자로 입력되는 URL을 주소 입력/표시란에 입력하여서, 메뉴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URL로 서버에 접속하여 항목 선택 상황을 서버(30)에서 모니터링하게 하고, 이후 주문 버튼을 입력할 시에 메뉴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서버(30)에 통지하여 주문 사항이 접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9. 제 2항 내지 제 5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코드는 고객 모바일 단말의 종류, OS 및 언어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정보를 가져오라는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 단위 지령코드와, 회원으로 등록한 고객의 식별번호를 식별자로 입력할 수 있게 한 단위 지령코드와, 로그인하여 서버에 접속하라는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 단위 지령코드를 포함하여서,
    상기 서버(30)는 단말 기기정보를 가져오라는 식별자가 입력되어 있으면 단말 기기정보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요청 및 전송받아 단말 기기정보에 맞는 웹 페이지를 고객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고, 고객 식별번호가 식별자로 입력되어 있으면 고객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고객의 주문 사항을 DB화하여 고객 관리하고, 로그인하라는 식별자가 입력되어 있으면 로그인 절차를 안내하여 로그인한 후 메뉴에 대한 웹 페이지를 전송하여 주문 사항을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KR1020140091899A 2014-07-21 2014-07-21 주문 관리 시스템 KR10168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899A KR101680874B1 (ko) 2014-07-21 2014-07-21 주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899A KR101680874B1 (ko) 2014-07-21 2014-07-21 주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279A true KR20160011279A (ko) 2016-02-01
KR101680874B1 KR101680874B1 (ko) 2016-11-29

Family

ID=5535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899A KR101680874B1 (ko) 2014-07-21 2014-07-21 주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8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475A1 (ko) * 2018-08-17 2020-02-20 주식회사 나우버스킹 무선 통신 기반의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0080588A1 (ko) * 2018-10-19 2020-04-23 (주)헬로팩토리 로컬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 방법 및 시스템
CN112819572A (zh) * 2021-01-22 2021-05-18 五八到家有限公司 订单分配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520A (ko) 2012-06-22 2014-01-03 안만근 모바일(휴대폰)을 이용한 실시간 주문정보 관리 시스템
KR20140069681A (ko) 2012-11-29 2014-06-10 리윤소프트 (주) 주문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520A (ko) 2012-06-22 2014-01-03 안만근 모바일(휴대폰)을 이용한 실시간 주문정보 관리 시스템
KR20140069681A (ko) 2012-11-29 2014-06-10 리윤소프트 (주) 주문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475A1 (ko) * 2018-08-17 2020-02-20 주식회사 나우버스킹 무선 통신 기반의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0080588A1 (ko) * 2018-10-19 2020-04-23 (주)헬로팩토리 로컬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 방법 및 시스템
CN112819572A (zh) * 2021-01-22 2021-05-18 五八到家有限公司 订单分配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874B1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7231B2 (en) Ordering method and system for restaurants
JP5867635B2 (ja) タグ管理システム、タグ管理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各装置
KR101889371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음성인식 배달 주문 및 결제 시스템
KR20130038102A (ko)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KR101728952B1 (ko) 근거리무선통신 기기 환경하에서의 음식메뉴 주문방법
JP5863999B1 (ja) 注文管理装置および注文管理方法
KR101711163B1 (ko) 범용 인터넷과 비컨을 활용한 통합 모바일 주문 시스템
KR101036681B1 (ko)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87298B1 (ko) 포스 기반 고객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방법
KR101680874B1 (ko) 주문 관리 시스템
JP6181601B2 (ja) 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129360A (ko) 보이는 ars를 이용한 자동 착신 전환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0073A (ko) 웹포스를 이용한 주문 접수 및 물품 배달 지원 방법
KR20130082555A (ko) 큐알코드를 활용한 주문방법 및 주문시스템
JP2017182201A (ja) SNSを利用したWebサイトの中継サーバ、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50368B2 (ja) モバイル端末を使用して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61989A (ko) 식당 선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JP7111654B2 (ja) エンドユーザサイトが起点になるインシデント管理装置、インシデ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インシデント管理方法
KR20210071257A (ko) 점포 정보 태그를 이용한 점포 운영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US202100901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olidating orders
KR101719203B1 (ko) 집단 주거 시설 내 알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7376638B2 (ja) エンドユーザサイトが起点になるインシデント管理装置、インシデ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インシデント管理方法
KR2020000350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102054131B1 (ko) 무인주문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80040540A (ko) 주문 결재가 가능한 진동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