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198B1 -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198B1
KR101756198B1 KR1020150099940A KR20150099940A KR101756198B1 KR 101756198 B1 KR101756198 B1 KR 101756198B1 KR 1020150099940 A KR1020150099940 A KR 1020150099940A KR 20150099940 A KR20150099940 A KR 20150099940A KR 101756198 B1 KR101756198 B1 KR 10175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bed
shelf
engag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586A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이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환 filed Critical 이경환
Priority to KR102015009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1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은, 다수의 침대 프레임들로 구성된 1층 침대나 2층 침대 또는 책상이 구비된 침대의 수평 프레임에 수납공간 확장용 선반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한쪽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서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선반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평단의 양쪽 끝단부에서 각각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수직단 및 우측 수직단에 의해 직하방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수평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의 저면에 구비되는 결합부재가 침대 프레임의 수평 프레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선반을 침대 프레임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선반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COMBINATION STRUCTURE OF SHELF FOR BED}
본 발명은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을 구비한 2층 침대나, 2층침대 등의 침대 구조물에 소품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부를 위해 사용되는 책상과 수면이나 휴식을 위해 사용되는 침대는 별개로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협소한 공간에서는 각각 설치되는 책상과 침대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제품 구매시에도 책상과 침대를 각각 구매해야 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책상과 침대를 일체화시켜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시킨 책상 겸용 침대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831767호(공고일 : 2008.05.28)에는 침대 겸용 책상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침대 겸용 책상은, 책상의 상측에 침대가 일체로 형성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사용자가 책을 놓고 열람하는 책상판과, 상기 책상판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책상판을 지지시키는 책상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침대는, 사용자가 위에서 잠을 자는 침대판과 상기 침대판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침대판을 지지시키는 침대다리와 상기 침대판 일측에 비스듬히 위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침대판 위로 올라가는 사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침대 겸용 책상은, 책상에 구비된 책꽂이만으로 다양한 소품을 모두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침대 겸용 책상의 프레임에 선반을 설치할 수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에, 선반을 용접 결합구조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해야만 했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었고, 선반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831767호(공고일 : 2008.05.28)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을 구비한 2층 침대나 2층 침대에서, 선반을 침대 구조물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침대 프레임들로 구성된 1층 침대나 2층 침대 또는 책상이 구비된 침대의 수평 프레임에 수납공간 확장용 선반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한쪽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서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선반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평단의 양쪽 끝단부에서 각각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수직단에 의해 직하방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수평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좌측 수직단 또는 우측 수직단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 일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단은, 2 - 10 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단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한쪽 측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단은, 2 - 10 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 또는 한쪽 측면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끼움단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수직단과 우측 수직단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 일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단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수평 프레임이 끼워질 때 상기 수평 프레임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평단과 하부 수평단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한쪽 측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단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수평 프레임이 끼워질 때 상기 수평 프레임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수직단 또는 우측 수직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상기 수평 프레임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평 프레임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수평 프레임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좌측 수직단 또는 우측 수직단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작동홈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상기 관통공과 일치되는 작동공이 형성된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일단부가 상기 작동홈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프링을 상기 작동공 쪽으로 가압하도록 중간부에 가압판이 마련되며, 타단부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작동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상기 수평 프레임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평 프레임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수평 프레임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수직단 또는 하부 수평단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작동홈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상기 관통공과 일치되는 작동공이 형성된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일단부가 상기 작동홈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프링을 상기 작동공 쪽으로 가압하도록 중간부에 가압판이 마련되며, 타단부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작동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침대 프레임들로 구성된 1층 침대나 2층 침대 또는 책상이 구비된 침대의 수평 프레임에 수납공간 확장용 선반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한쪽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서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선반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평단의 끝단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단과, 상기 수직단의 하단부에서 상기 상부 수평단과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수평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수평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침대 프레임들로 구성된 1층 침대나 2층 침대 또는 책상이 구비된 침대의 수평 프레임에 수납공간 확장용 선반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한쪽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서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원호 결합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호 결합단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끼움단이 2-10mm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의 저면에 구비되는 결합부재가 침대 프레임의 수평 프레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선반을 침대 프레임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선반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의 수직단에 걸림단이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의 걸림단에 끼움단이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양쪽의 수직단에 안내 경사면을 갖는 걸림단이 각각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의 하부 수평단에 걸림단이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의 걸림단에 끼움단이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상부 수평단과 하부 수평단에 안내 경사면을 갖는 걸림단이 각각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의 수직단에 걸림단이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의 수직단에 끼움단이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양쪽의 수직단에 안내 경사면을 갖는 걸림단이 각각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은, 다수의 침대 프레임(12)들로 구성된 1층 침대나 2층 침대 또는 책상이 구비된 침대(10)의 수평 프레임(14)에 수납공간 확장용 선반(2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14)과, 선반(20)의 한쪽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30)가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결합부재(30)는, 선반(20)의 저면에 볼트나 나사 등으로 결합되는 상부 수평단(32)의 양쪽 끝단부에서 각각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수직단(34,36)에 의해 직하방으로 개구된 결합홈(38)이 형성되고,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 수직단(34) 또는 우측 수직단(36)의 끝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4)이 결합홈(38)에 삽입되었을 때, 수평 프레임(14)의 저면(14A) 일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35)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단(35)은, 2 - 10 mm의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측 수직단(34)이나 우측 수직단(36)에 걸림단(35)이 형성되는 것은, 결합부재(30)가 수평 프레임(14)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단(35)이 수평 프레임(14)의 저면(14A)에 걸리게 되므로 결합부재(30)가 수평 프레임(14)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걸림단(35)의 길이는, 대략 2 - 1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2mm 미만의 길이로 형성할 경우에, 걸림단(35)의 걸림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10mm 이상의 길이로 형성할 경우에는 수평 프레임(14)을 결합홈(38)에 삽입하는 과정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단(35)의 길이는 대략 5mm 이하의 길이로 형성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와 수평 프레임(14)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평 프레임(14)의 저면(14A)에 걸림공(14B)를 형성하고, 걸림단(35)의 단부에는,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삽입되었을 때, 걸림공(14B)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끼움단(35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단(35A)이 걸림공(14B)에 끼워짐으로써, 수평 프레임(14)과 결합부재(30)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결합부재(30)가 수평 프레임(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끼움단(35A)는 걸림단(35)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걸림공(14B)도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부재(30)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고,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금속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에 도시된 가상선으로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결합부재(30)가 수평 프레임(14)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볼트(B)가 좌측 수직단(34) 또는 우측 프레임(36)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결합부재(30)는 수평 프레임(14)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결합부재(30)를 구비한 선반(20)을 수평 프레임(14)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재(30)를 구비한 선반(20)을 침대(10)의 수평 프레임(14)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결합부재(30)의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향으로 개구된 결합홈(38)의 직하방에 수평 프레임(14)이 위치한 상태에서, 선반(20)을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으로, 수평 프레임(14)의 저면(14A)을 제외한 상면과 좌,우측면이 결합홈(38)에 삽입되어 결합부재(30)와 수평 프레임(14)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평 프레임(14)이 하향으로 개구된 결합홈(38)에 삽입되도록 선반(20)을 수평 프레임(14)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수평 프레임(14)과 결합부재(3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선반(20)을 수평 프레임(14)에 결합시켜 설치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수직단(34)에 걸림단(35)이 구비된 경우에는, 선반(20)을 한쪽으로 기울여 걸림단(35)이 수평 프레임(14)의 저면(14A)에 걸리도록 한 후 선반(20)을 수평방향(도면 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단(35)에 끼움단(35A)이 형성된 경우에, 선반(20)을 한쪽으로 기울여 끼움단(35A)을 걸림공(14B)에 먼저 삽입한 후 선반(2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수직단(34,36)의 각 걸림단(35)에 경사 안내면(35B)이 구비된 경우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결합홈(38)의 직하방에 수평 프레임(14)이 위치한 상태에서 선반(20)을 직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수평 프레임(14)이 경사 안내면(35B)에 안내되므로 결합부재(30)가 직하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고, 양쪽의 걸림단(35)이 수평 프레임(14)의 저면(14A)에 도달하면 저면(14A)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좌,우측 수직단(34,36)는 자체 탄성을 갖으므로, 수평 프레임(14)이 결합홈(38)으로 삽입될 때, 각각 외측으로 약간씩(대략 1-3mm정도) 변형되면서 수평 프레임(14)의 결합홈(38) 삽입을 돕게 된다. 따라서,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삽입되면, 양쪽의 걸림단(35)이 저면(14A)에 걸리게 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수평 프레임(14)이 결합홈(38)에 삽입될 때에도 좌,우측 수직단(34,36)이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선반(20)을 침대(10)의 수평 프레임(14)에 결합하여 설치할 경우에, 선반(20)에 구비된 결합부재(30)의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만으로 선반(20)의 결합부재(30)와 수평 프레임(14)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선반(20)을 침대에 설치하는 작업이 신고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은, 선반(20)의 저면에 구비되는 결합부재(30)가, 선반(20)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평단(32)의 끝단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단(33)과, 수직단(33)의 하단부에서 상부 수평단(32)과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수평단(37)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38)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결합홈(38)이 수평방향으로 개구되어 수평 프레임(14)이 수평방향으로 결합홈(38)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30)의 결합홈(38)이, 결합부재(30)가 구비된 선반(20)의 저면에서 결합부재(30)가 구비되지 않은 선반(20)의 타측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선반(20)의 상면 타측에 물건이 얹혀지더라도 결합부재(30)의 상부 수평단(32)과 수직단(33) 및 하부 수평단(37)이 수평 프레임(14)을 감싸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평단(37)의 끝단부에 걸림단(37A)이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단(37A)은 수평 프레임(14)의 측면(14C)의 일부에 걸려 수평 프레임(14)이 결합홈(38)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걸림단(37A)에 의해 결합부재(30)와 수평 프레임(14)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걸림단(37A)은, 대략 2 - 10 mm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평단(37)의 걸림단(37A)에 끼움단(37B)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끼움단(37B)은, 수평 프레임(14)의 측면(14C)에 걸림공(14D)를 형성하여,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삽입되었을 때, 걸림공(14D)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끼움단(37B)이 걸림공(14D)에 끼워짐으로써, 수평 프레임(14)과 결합부재(30)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결합부재(30)가 수평 프레임(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고,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상부 수평단(32)과 하부 수평단(37)에 안내 경사면(32B,37C)을 갖는 걸림단(32A,37A)이 각각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평단(32)과 하부 수평단(37)에 안내 경사면(32B,37C)을 갖는 걸림단(32A,37A)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수평 프레임(14)을 결합홈(38)에 삽입할 때, 수평 프레임(14)이 각 안내 경사면(32B,37C)에 안내되므로 결합홈(38)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양쪽의 각 걸림단(32A,37A)가 측면(14C)에 걸리게 되므로 수평 프레임(14)이 결합홈(38)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평 프레임(14)을 결합홈(38)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수평 프레임(14)이 양쪽의 걸림단(32A,37A)에 걸림으로써, 신속한 결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4)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결합부재(30)가 수평 프레임(14)의 일부를 감싸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원호 결합단(39)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38)이 형성되고, 원호 결합단(39)의 끝단부에는, 수평 프레임(14)의 저면(14A)에 형성되는 걸림공(14E)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끼움단(39A)이 2-10mm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 구조를 갖는 수평 프레임(14)을 원호 결합단(39)이 감싸면서 끼움단(39A)이 걸림공(14E)에 끼워짐으로써, 수평 프레임(14)과 결합부재(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결합작업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은, 좌측 수직단(34) 또는 우측 수직단(36)에,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삽입되었을 때, 수평 프레임(14)에 형성되는 관통공(14F)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부재(30)가 수평 프레임(14)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강수단(40)이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러한 보강수단(40)은, 좌측 수직단(34) 또는 우측 수직단(36)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작동홈(42A)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관통공(14F)과 일치되는 작동공(42B)이 형성된 작동부(42)와, 작동부(42)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44)와 일단부가 작동홈(42A)의 내부에서 작동공(42B)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스프링(44)을 작동공(42B) 쪽으로 가압하도록 중간부에 가압판(46A)이 마련되며, 타단부(46B)가 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해 관통공(14F)에 삽입되어 걸리는 작동로드(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수단(40)은, 수평 프레임(14)이 결합홈(38)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로드(46)의 타단부(46B)가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 프레임(14) 쪽으로 이동하여 관통공(14F)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부재(30)와 수평 프레임(14)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됨은 물론, 결합부재(30)와 수평 프레임(14)이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작동로드(46)의 타단부(46B)가 관통공(14F)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결합부재(30)와 수평 프레임(14)이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30)의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결합되기 전에, 작동로드(46)를 후진(수평 프레임과 반대방향)시킨 후, 결합홈(38)에 수평 프레임(14)이 삽입 완료되면, 작동로드(46)를 놓게 되면, 작동로드(46)가 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면서 타단부(46B)가 관통공(14F)에 끼워지게 되므로, 보강수단(40)의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물은, 보강수단(40)이 하부 수평단(37)에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물론, 보강수단(40)은 수직단(3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평 프레임(14)이 결합홈(38)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로드(46)의 타단부(46B)가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 수평단(37) 쪽으로 이동하여 관통공(14F)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부재(30)와 수평 프레임(14)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됨은 물론, 결합부재(30)와 수평 프레임(14)이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선반(20)의 일측 저면에 구비된 결합부재(30)와 침대(10)의 수평 프레임(14)을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선반(20)의 설치가 완료됨으로써, 선반(20)의 설치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부재(30)가 수평 프레임(14)을 감싸게 되므로 선반(20)은 수평 프레임(14)에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침대 12 : 프레임
14 : 수평 프레임 14A : 저면
14C : 측면 14B,14D,14E : 걸림공
14F : 관통공 20 : 선반
30 : 결합부재 32 : 상부 수평단
32A,35,37A : 걸림단 32B,37C : 안내 경사면
33 : 수직단
34 : 좌측 수직단 36 :우측 수직단
37 : 하부 수평단 37B : 끼움단
40 : 보강수단 42 : 작동부
42A ; 작동홈 42B : 작동공
44 : 스프링 46 : 작동로드
46A : 가압판 46B : 타단부

Claims (10)

  1. 다수의 침대 프레임들로 구성된 1층 침대나 2층 침대 또는 책상이 구비된 침대의 수평 프레임에 수납공간 확장용 선반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한쪽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서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선반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평단의 양쪽 끝단부에서 각각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수직단 및 우측 수직단에 의해 직하방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수평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좌측 수직단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 일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2 - 10 mm의 길이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끼움단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2. 다수의 침대 프레임들로 구성된 1층 침대나 2층 침대 또는 책상이 구비된 침대의 수평 프레임에 수납공간 확장용 선반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한쪽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서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선반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평단의 끝단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단과, 상기 수직단의 하단부에서 상기 상부 수평단과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수평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수평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고,
    상기 하부 수평단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한쪽 측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2 - 10 mm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한쪽 측면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끼움단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다수의 침대 프레임들로 구성된 1층 침대나 2층 침대 또는 책상이 구비된 침대의 수평 프레임에 수납공간 확장용 선반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한쪽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서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원호 결합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호 결합단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끼움단이 2-10mm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KR1020150099940A 2015-07-14 2015-07-14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KR10175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40A KR101756198B1 (ko) 2015-07-14 2015-07-14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40A KR101756198B1 (ko) 2015-07-14 2015-07-14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86A KR20170008586A (ko) 2017-01-24
KR101756198B1 true KR101756198B1 (ko) 2017-07-10

Family

ID=5799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940A KR101756198B1 (ko) 2015-07-14 2015-07-14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1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637B2 (ja) * 1999-07-30 2001-03-12 株式会社シーイーシー 3次元レンダリング方法
JP3167329B2 (ja) * 1991-04-30 2001-05-21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低光損失材料の粒子における汚染を光学的に検出するための装置
KR200443863Y1 (ko) 2008-09-29 2009-03-23 피아산업 주식회사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JP2015100374A (ja) * 2013-11-21 2015-06-04 株式会社セラタ 吊下げ整列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67B1 (ko) 2006-11-02 2008-05-28 정용주 침대 겸용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329B2 (ja) * 1991-04-30 2001-05-21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低光損失材料の粒子における汚染を光学的に検出するための装置
JP3144637B2 (ja) * 1999-07-30 2001-03-12 株式会社シーイーシー 3次元レンダリング方法
KR200443863Y1 (ko) 2008-09-29 2009-03-23 피아산업 주식회사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JP2015100374A (ja) * 2013-11-21 2015-06-04 株式会社セラタ 吊下げ整列器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67329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86A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6040B1 (en) Sectional rack with drawers
JP4568613B2 (ja) 物品保管棚
KR20170035677A (ko)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US20140217046A1 (en) Assemblable Storage Rack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KR101756198B1 (ko)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KR101212818B1 (ko) 가구
KR20130000056U (ko) 탁자 프레임 체결구조
JP5711286B2 (ja) 組立式収納体
KR101484083B1 (ko) 착탈형 와이어 패널을 구비한 앵글 선반
KR20100001317U (ko) 선반 고정장치
JP3149900U (ja) チェスト
JP3220035U (ja) 組立式ラックの連結部材
KR100431249B1 (ko) 확장성을 갖는 식기건조대 겸용 봉선반
JP5990386B2 (ja) 物品陳列棚
JP2016220826A (ja) 連結部材を有するベッド
KR101205243B1 (ko) 서랍장착구조
JP2021053346A (ja) ラック
KR102454333B1 (ko) 가구 선반 안전 고정장치
JP4976946B2 (ja)
KR20130115352A (ko) 반송 팔레트
JP7444578B2 (ja) 支持構造、什器及び取付方法
JP2009079765A (ja) 家具用連結部構造
JP7481769B1 (ja) 金属ラックに取り付けるレール付き引き出し用バスケットのレール装置
JP3910570B2 (ja) 組立式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