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863Y1 -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3863Y1 KR200443863Y1 KR2020080013071U KR20080013071U KR200443863Y1 KR 200443863 Y1 KR200443863 Y1 KR 200443863Y1 KR 2020080013071 U KR2020080013071 U KR 2020080013071U KR 20080013071 U KR20080013071 U KR 20080013071U KR 200443863 Y1 KR200443863 Y1 KR 2004438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hole
- shelf
- furniture
- clasp
- la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걸쇠를 통해 다른 가구(침대 등)에 설치되는 선반이 침대 프레임에서 흔들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는, 침대 프레임(1)에는 다수의 체결공(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구에 조립되는 제2가구에는 연결부(3a) 및 이 연결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는 걸림부(3b)로 이루어진 걸쇠(3)가 형성되어, 상기 걸쇠가 상기 체결공(1a)에 끼워지며, 상기 선반에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탄성부재(11)에 의해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이탈방지구(10)가 장착되어, 상기 선반의 걸쇠를 상기 체결공에 삽입한 후 상기 선반을 아래측으로 안착할 때 상기 이탈방지구가 출몰하면서 다른 체결공(1b)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가구, 침대, 선반, 이탈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와 걸림부로 이루어진 걸쇠를 선반에 형성하고, 이 걸쇠를 침대 프레임의 체결공 중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여 선반을 침대 프레임에 고정하며, 설치 완료된 선반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기숙사 등은 실내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침대, 책상 등의 가구를 조합하여 공간점유율을 최소화는 가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특히, 최근 들어 교육방침의 변화로 대학교 및 고등학교의 기숙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조합형 가구는 침대, 책상, 책꽂이, 선반 등이 조합된 일체형으로 공급될 수도 있지만, 침대, 책상, 선반, 책꽂이 등의 가구가 각각 단품으로 제조되며, 실내 구조와 면적 등에 따라 적합한 크기와 형태의 가구가 조립에 의해 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합형 가구를 갖추기 위한 침대, 책상, 선반 등의 조립구조는 다양하게 적용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선반과 침대의 조립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b에서처럼, 침대 프레임(1)에는 다단의 체결공(1a)이 형성되며, 선반(2)의 배면에는 걸쇠(3)가 형성되어, 걸쇠(3)가 체결공(1a)에 끼워짐으로써 선반(2)이 침대 프레임(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조립된다.
걸쇠(3)는 침대 프레임(1)에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침대 프레임(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3a) 및 이 연결부(3a)의 단부에서 하부로 형성된 걸림부(3b)로 구성된다.
걸림부(3b)의 높이는 걸쇠(3)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체결공(1a)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체결공(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공(1a) 저부에 걸려 체결공(1a)에서 빠질 수 있는 높이로 올려지지 않으면 체결공(1a)에서 빠지지 않는 구조이다.
즉, 도 2a처럼, 걸쇠(3)를 체결공(1a)에 맞춰 선반(3)을 배치하고, 선반(3)을 침대 프레임(1)측으로 밀어 걸쇠(3)가 체결공(1a)에 삽입되도록 한다. 걸쇠(3)가 체결공(1a) 내부에 삽입되면 도 2b처럼 선반(2)을 아래측으로 내려 걸쇠(3)의 연결부(3a)가 체결공(1a)의 바닥부에 올려지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걸쇠(3)의 걸림부(3b)가 침대 프레임(1)에 걸려지며 선반(2)은 자중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는 올려지지 않으므로 선반(2)이 침대 프레임(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가구의 조립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걸쇠(3)와 체결공(1a)의 구조상 이들의 크기 관계는 다음과 같이, 체결공(1a)의 높이 > 걸림부(3b)의 높이 > 연결부(3a)의 높이이다.
즉, 걸쇠(3)가 체결공(1a)에 끼워지면 체결공(1a)에는 연결부(3a)가 차지하지 않는 간격(d)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걸쇠(3)의 구조상 선반(2)이 침대 프레임(1)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는 있겠지만, 간격(d)으로 인하여 선반(3)이 움직이게 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 책상, 선반 등의 가구를 실내 면적이나 구조에 맞는 크기와 형태의 것으로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고, 상기 가구들을 원하는 높이나 위치로 조립하면서 조립 상태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한 이탈방지장치를 갖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는, 제1가구의 프레임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구에 조립되는 제2가구에는 연결부 및 이 연결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진 걸쇠가 형성되어, 상기 걸쇠가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2가구에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이탈방지구가 장착되어, 상기 제2가구의 걸쇠를 상기 체결공에 삽입한 후 상기 제2가구를 아래측으로 안착할 때 상기 이탈방지구가 출몰하면서 다른 체결공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에 의하면, 선반 등을 침대나 책상 등에 고정할 때 걸쇠가 체결공에서 흔들릴 수 있는 구조이더라도 이탈방지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선반 등이 흔들리지 않으므로 충격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반과 다른 가구간에 충격이 없으므로 가구의 마모나 벗겨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의 설명을 위하여 선반(2)을 침대 프레임(1)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침대 프레임(1)에는 다단의 체결공(1a)이 형성되고, 선반(2)의 배면에는 체결공(1a)에 선택적으로 끼워 결합되는 걸쇠(3)가 형성된다. 즉, 걸쇠(3)를 다단의 체결공(1a)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선반(2)을 원하는 높이로 설치할 수 있다.
걸쇠(3)는 선반(2)의 배면에 고정되는 연결부(3a) 및 연결부(3a)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걸림부(3b)로 구성된다.
걸쇠(3)와 체결공(1a)의 구조상 이들의 크기 관계는 다음과 같이, 체결공(1a)의 높이 > 걸림부(3b)의 높이 > 연결부(3a)의 높이로서, 체결공(1a)에는 연결부(3a)가 차지하지 않는 여유 간격이 형성될 것이며, 이 간격은 이탈방지구(10)에 의해 보상되어 선반(2)이 침대 프레임(1)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탈방지구(10)는 체결공(1b)(걸쇠(3)가 체결되는 체결공이지만 혼동을 막기 위하여 이탈방지구(10)가 체결되는 체결공은 다른 부호를 부여한다)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지만 체결공(1b) 안에서 움직임이 없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걸쇠(3)의 구조상 선반(2)의 조립을 위해서는 걸쇠(3)를 전방으로 밀어 체결공(1a)에 삽입한 후 아래측으로 내려 걸림부(3b)가 침대 프레임(1)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며, 따라서, 이탈방지구(10)는 걸쇠(3)를 체결공(1b)에 삽입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으로 밀리고 걸쇠(3)가 아래측으로 내려가면 전진하여 체결공(1b)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 예컨대 코일스프링(11)을 통해 설치된다.
이탈방지구(10)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선반(2)의 배면판에는 이탈방지구(10)가 출몰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탈방지구(10)는 선반(2)의 안쪽에서 상기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끼워지고, 코일스프링(11)은 이탈방지구(10)의 후방에 설치된다. 코일스프링(11)은 하우징(12) 등을 통해 선반(2)에 고정된다.
즉, 하우징(12)은 일측이 개방된 통구조로서, 내부에 코일스프링(11)이 수납 되면서 이탈방지구(10)가 코일스프링(11)에 연결되어 개방부를 통해 출몰되도록 하고 개방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선반(2)에 고정될 수 있다.
선반(2)이 영구 고정되는 방식이라면 이탈방지구(10)의 형상과 코일스프링(11)과의 관계는 중요하지 않으나, 선반(2)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반(2)을 들어 올릴 때 이탈방지구(1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선반(2)을 들어 올릴 때 이탈방지구(10)가 뒤로 밀리지 않으면 선반(2)을 올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탈방지구(10)는 상면에 경사안내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선반(2)을 설치하기 위하여 선반(2)을 밀면 이탈방지구(10)가 후방으로 밀리며 선반(2)을 빼기 위하여 선반(2)을 올리면 경사안내부(13)가 체결공(1b)에 걸려 후방으로 밀린다.
이탈방지구(10)를 후퇴하는 방법으로는 경사안내부(13) 대신 코일스프링(11)을 강제로 압축하여 이탈방지구(10)가 후퇴하도록 하는 레버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체결공(1a,1b)은 대칭으로 형성되고 침대 프레임(1)은 내부가 중공이기 때문에 이탈방지구(10)가 끼워진 체결공(1b)과 대칭되는 체결공에서 공구를 삽입하여 이탈방지구(10)를 밀어 체결공(1b)에서 뺄 수 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에서처럼, 선반(2)을 침대 프레임(1)에 설치할 때 선반(2)의 설치 높이를 결정하고, 이 높이에 맞는 체결공(1a)에 선반(2)의 걸쇠(3)를 일치시킨다.
선반(2)을 밀어 걸쇠(3)를 체결공(3a)에 삽입하면, 이탈방지구(10)는 체결 공(1a) 위쪽의 침대 프레임(1)에 전진이 차단되어 코일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한편, 걸쇠(3)가 체결공(1a)에 삽입된 후 선반(2)을 아래로 내려놓으면 걸쇠(3)의 연결부(3a)가 체결공(1a)의 바닥에 안착되어 걸림부(3b)가 침대 프레임(1) 안쪽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탈방지구(10)가 체결공(1b)에 일치되어 코일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방지구(10)가 전진하여 체결공(1b)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선반(2)이 설치된 상태에서 선반(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탈방지구(10)가 체결공(1b)에 지지되기 때문에 걸쇠(3)가 움직일 수 없으며 결국 선반(2)은 설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설치 상태의 선반(2)을 분리하는 경우 선반(2)을 들어 올리면 경사안내부(13)에 의해 이탈방지구(10)가 후방으로 밀리며, 걸쇠(3)가 체결공(1a)에 일치되면 선반(2)을 후방으로 움직여 걸쇠(3)를 체결공(1a)에서 분리한다.
선반(2)이 침대 프레임(1)에서 분리되면 이탈방지구(10)는 코일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된다.
지금까지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걸쇠(3)를 체결공(1a)에 끼운 후 아래측으로 내려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걸쇠(3)의 고정 방식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걸쇠(3)를 체결공(1a)에 끼운 후 횡방향(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 고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조합형 가구의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조합형 가구의 선반과 침대 프레임의 조립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침대 프레임, 2 : 선반
3 : 걸쇠, 3a : 연결부
3b : 걸림부, 10 : 이탈방지구
11 : 코일스프링, 12 : 하우징
13 : 경사안내부,
Claims (4)
- 삭제
- 삭제
- 제1가구의 프레임에는 다수의 체결공(1a)이 형성되고,상기 제1가구에 조립되는 제2가구에는 연결부(3a) 및 이 연결부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형성되는 걸림부(3b)로 이루어진 걸쇠(3)가 형성되어, 상기 걸쇠가 상기 체결공(1a)에 끼워진 후 아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가 걸려 고정되는 구조이며,상기 제2가구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공 중 상기 걸쇠가 체결되지 않은 체결공(1b)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공(1b)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이탈방지구(10)가 장착되어,상기 제2가구의 걸쇠를 상기 체결공에 삽입한 후 상기 제2가구를 일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탈방지구가 출몰하면서 다른 체결공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에 있어서,상기 이탈방지구는 상면에 경사안내부(13)가 형성되어 상기 걸쇠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거나 빠질 때 상기 경사안내부의 안내를 받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071U KR200443863Y1 (ko) | 2008-09-29 | 2008-09-29 |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071U KR200443863Y1 (ko) | 2008-09-29 | 2008-09-29 |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3863Y1 true KR200443863Y1 (ko) | 2009-03-23 |
Family
ID=4134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3071U KR200443863Y1 (ko) | 2008-09-29 | 2008-09-29 |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386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6198B1 (ko) | 2015-07-14 | 2017-07-10 | 이경환 |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
-
2008
- 2008-09-29 KR KR2020080013071U patent/KR20044386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6198B1 (ko) | 2015-07-14 | 2017-07-10 | 이경환 | 침대용 선반의 결합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09840B1 (en) | Mechanism for the relative positioning of chair arm | |
US20140070064A1 (en) | Mount bracket for slide assembly | |
US5794902A (en) | Shelf bracket for use with a grooved shelf | |
JP2005349224A (ja) | 家具転倒防止器具 | |
RU2684892C2 (ru) | Видимый навесной держатель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системой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тсоединения для стенных шкафов | |
KR200443863Y1 (ko) |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 |
KR101459792B1 (ko) |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레일과 바퀴가 장착된 플라스틱 수납함. | |
KR200436737Y1 (ko) |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 | |
US7140700B2 (en) | Interlocking system for preventing simultaneous opening of drawers of a cabinet | |
EP2390447B1 (en) | Bracket with front coupling for carriages of sliding wings or doors | |
KR100833322B1 (ko) | 서랍식 저장실의 레일 장치 | |
EP0429745A1 (en) | Mount for panic device | |
JP4671190B2 (ja) | 家具用ラッチ | |
JP3425650B2 (ja) | 多段抽斗キャビネットの防倒装置 | |
CA2699128A1 (en) | Lateral file drawer and anti-tip device | |
JPH08280460A (ja) | ラッチ機構付き家具 | |
KR200321428Y1 (ko) |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 |
JP2006334360A (ja) | 家具・電化製品等転倒防止装置。 | |
KR100626059B1 (ko) | 섀시베이스 조립체 | |
KR960009962Y1 (ko) | 냉장고의 선반 결합구조 | |
EP3562287B1 (en) | Pre-strain unit for a t-bolt | |
CA2451946C (en) | Interlocking system for preventing simultaneous opening of drawers of a cabinet | |
KR20210001768U (ko) | 선반 이탈방지구 및 선반 이탈방지구를 이용한 선반 조립체 | |
KR200386082Y1 (ko) | 선반 지지 장치 | |
KR200391726Y1 (ko) | 소음차단판 고정용 탄성고정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