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428Y1 -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428Y1
KR200321428Y1 KR20-2003-0012944U KR20030012944U KR200321428Y1 KR 200321428 Y1 KR200321428 Y1 KR 200321428Y1 KR 20030012944 U KR20030012944 U KR 20030012944U KR 200321428 Y1 KR200321428 Y1 KR 200321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rame
window
window frame
suppor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우
Original Assignee
박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우 filed Critical 박장우
Priority to KR20-2003-0012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에 관한 것으로, 이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상부에 창문이 설치되어 상기 창문을 여닫도록 구성된 창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 상면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수용공간부를 갖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의 수만큼 레일돌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레일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을 탄력 지지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레일프레임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을 형성한 걸림턱과; 상기 메인프레인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된 걸림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창틀의 레일이 간단한 작동으로 승하강되며, 창문의 분리가 용이해지고, 창문과 창틀의 간편한 청소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up-down apparatus of window frame rail}
본 고안은 창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의 레일이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창틀에서 창문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틀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고, 창문의 상하좌우 네면에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레일을 형성하여 창문이 창틀에서 이탈되지 않고 부드럽게 열고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창문을 창틀의 하측레일 상방으로 들어올려, 레일에서 창문을 이탈시킨후 창틀에서 창문을 제거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는데,
이러한 방식은 창문을 분리할 때는 무거운 창문을 들어야만 함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으며, 창틀과 창문의 상하 유격이 충분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창틀의 레일이 간단한 작동으로 승하강되는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강된 레일을 간단하게 고정시키고, 또한 간단히 승강시킬 수 있는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승하강되는 레일의 지지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상부에 창문이 설치되어 상기 창문을 여닫도록 구성된 창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 상면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수용공간부를 갖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의 수만큼 레일돌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레일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을 탄력 지지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레일프레임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을 형성한 걸림턱과; 상기 메인프레인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된 걸림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a는 레일의 승강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b는 레일의 하강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일프레임
11 : 레일
12 : 걸림턱
121 : 제1걸림홈 122 : 제2걸림홈
13 : 제1고정돌기
20 : 메인프레임
21 : 수용공간부 22 : 걸림쇠
23 : 탄성스프링 24 : 제2고정돌기
25 : 단턱부
30 : 커버
31 : 레일돌출구
40 : 지지스프링
100 : 창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레일프레임(10)과, 메인프레임(20)과, 커버(30)와, 지지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레일프레임(10)은 판재의 상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레일(11)을 형성하고, 하면에는 레일프레임(10)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12)을 구비한다.
메인프레임(20)은 내부에 상기 레일프레임(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21)를 형성하고, 측면에는 상기 걸림턱(12)이 고정 및 이탈되는 걸림쇠(22)를 구비한다.
커버(30)는 상기 레일(11)이 돌출되는 레일돌출구(31)를 레일(11)의 수 만큼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한다. 커버(30)의 고정은 본 고안의 조립과 분해를 위하여 나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주지된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30)가 상기 메인프레임(20)에 결합될 때 외부의 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내부 상단에는 커버(30)가 안착되는 단턱부(2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스프링(40)은 일단은 상기 레일프레임(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내부 상면을 지지하도록 구비하여 레일프레임(10)이 상기 지지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스프링(40)은 상기 레일프레임(10)의 반복되는 승하강 작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레일프레임(10)의 하면에 지지스프링(40)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돌기(미도시됨)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내부면에 지지스프링(40)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24)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의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본 고안은 모든 구성부가 결합되면서 일반적인 창틀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레일(11)의 승강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상적으로 창문(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레일(11)은 지지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레일돌출구(31)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레일(11)이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쇠(22)는 걸림턱(12)에 형성된 제1걸림홈(121)에 걸리게 되고, 레일(11)에 창문(100)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도 3b는 레일(11)의 하강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창틀에서 창문(10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걸림쇠(22)를 축방향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레일(11)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레일(11)은 레일돌출구(31)를 통해 하강되고, 이에 따라 레일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2)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12)이 최종 위치로 하강했을 때, 당기고 있던 걸림쇠(22)를 놓아주면 상기 걸림쇠(22)에 구비된 탄성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쇠는 다시 제2걸림홈(122)으로 밀려들어가면서 걸림턱(12)에 걸리게 된다.
또한, 걸림쇠(22)와 걸림턱(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최종적으로 레일(11)은 창틀 전체에 걸쳐 하강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레일(11)이 하강되어 고정되면 창문(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탈되게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창문(100)을 다시 결합하는 경우에는 창문(100)을 커버(30)위에 올려놓은 후 걸림쇠(22)를 축방향 전방으로 당기면 걸림쇠(22)에 의해 제2걸림홈(122)에 고정되어 있던 걸림턱(12)이 이탈되면서, 상기 지지스프링(4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레일프레임(10)을 승강시키고, 레일(11)은 다시 레일돌출구(31)를 통해 커버(30) 상부로 돌출되며, 걸림쇠(22)를 놓아주면 도 3a에서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일프레임(10)의 하부면과 메인프레임(20)의 내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3)(24)는 지지스프링(40)이 반복되는 작동에도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승하강하는 레일프레임을 구비함으로 인해 창문의 분리가 용이해 지고, 창문과 창틀의 간편한 청소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걸림턱과,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걸림쇠의 고정및 이탈작동으로 인하여 창문의 재설치가 용이해지며, 창문을 설치하면서 발생하는 창문의 파손 위험을 조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스프링을 고정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 인해, 지지스프링이 이탈되어 탄성지지력을 상실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상부에 창문이 설치되어 상기 창문을 여닫도록 구성된 창틀에 있어서,
    상기 레일(11)이 상면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레일프레임(10)과;
    상기 레일프레임(10)의 수용공간부(21)를 갖는 메인프레임(20)과;
    상기 레일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11)의 수만큼 레인돌출구(31)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커버(30)와;
    상기 레일프레임(10)의 하면과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면을 탄력 지지하는 지지스프링(40)과;
    상기 레일프레임(10)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걸림홈(121)과 제2걸림홈(122)을 형성한 걸림턱(12)과;
    상기 메인프레인(20)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12)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된 걸림쇠(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22)에 끼움되는 탄성스프링(2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프링(40)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레일프레임(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13)와;
    상기 지지스프링(40)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KR20-2003-0012944U 2003-04-25 2003-04-25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KR200321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44U KR200321428Y1 (ko) 2003-04-25 2003-04-25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44U KR200321428Y1 (ko) 2003-04-25 2003-04-25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428Y1 true KR200321428Y1 (ko) 2003-07-28

Family

ID=4941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944U KR200321428Y1 (ko) 2003-04-25 2003-04-25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4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734B1 (ko) * 2006-03-21 2006-10-31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
KR20160067147A (ko) * 2013-10-08 2016-06-13 로토 프란크 아게 슬라이딩 도어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
KR20180077615A (ko) * 2016-12-29 2018-07-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창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734B1 (ko) * 2006-03-21 2006-10-31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
KR20160067147A (ko) * 2013-10-08 2016-06-13 로토 프란크 아게 슬라이딩 도어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
KR102106667B1 (ko) 2013-10-08 2020-05-04 로토 프란크 아게 슬라이딩 도어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
KR20180077615A (ko) * 2016-12-29 2018-07-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창틀
KR101880142B1 (ko) * 2016-12-29 2018-07-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6588A (ko)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KR200321428Y1 (ko)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KR100718187B1 (ko) 창틀
US20030097729A1 (en) Latching stair rod assembly
RU2474666C2 (ru) Опускаемое уплотнение со сквозным отверстием
KR102356833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구멍용 방충캡
KR20090129132A (ko) 방충창용 모서리 연결재
JP2008127146A (ja) 乗客コンベアの床板装置
JP2006219897A (ja) ブラインドの下部固定構造
KR100321636B1 (ko)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JP4813310B2 (ja) 引戸
KR20090064876A (ko) 창문용 문틀
JP2008265955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KR100897746B1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슈 및 그 장착 구조
KR200183371Y1 (ko) 길이가 변하는 미닫이창
KR200406600Y1 (ko) 창문이탈 방지구조
KR102007385B1 (ko)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CN111631584A (zh) 可升降杆用固定支撑装置及可升降窗帘架
KR20080002368U (ko) 창문 이탈방지 가이드 장치
KR102033553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재
KR200196439Y1 (ko)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443863Y1 (ko) 조합형 가구의 이탈방지구조
KR200333449Y1 (ko) 정수기 커버의 조립구조
KR100545305B1 (ko) 건축물의 창틀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