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632B1 -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632B1
KR101755632B1 KR1020160059607A KR20160059607A KR101755632B1 KR 101755632 B1 KR101755632 B1 KR 101755632B1 KR 1020160059607 A KR1020160059607 A KR 1020160059607A KR 20160059607 A KR20160059607 A KR 20160059607A KR 101755632 B1 KR101755632 B1 KR 101755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ow
screen
weight
game
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상
Original Assignee
(주)나라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라소프트 filed Critical (주)나라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05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5/00Implements for throwing  ; Mechanical projectors, e.g. using spring force
    • A63B65/02Spears or the like ; Javel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 A63F2009/0265Shooting devices therefor using resilient elements
    • A63F2009/0269Bow and arr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궁도의 게임에 사용되는 과녁과 배경화면이 표시되는 스크린; 화살촉의 전면에 식별마크가 표시된 화살이 활시위에 거치되며, 발사 버튼이 마련된 화살 발사부; 스크린에 마련되며, 상기 발사 버튼의 클릭되는 순간에 발사 모습을 촬영하여 발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발사 이미지내의 식별마크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발사마크의 위치에 따라서 과녁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System for screen bow game}
본 발명은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으로서, 스크린을 통하여 궁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궁도는, 화살과, 화살을 쏘는 활과, 과녁이 요구되고, 활을 이용하여 화살을 쏘아 과녁에 맞추므로 명중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궁도는 화살을 쏘아 표적을 맞추어 승부를 겨루는 것으로서, 양궁, 국궁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최근에는 화살을 쏘아 명중한 화살의 점수를 통하여 게임을 즐기는 레포츠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화살을 쏘아 궁도를 즐기기 위해서는, 표적을 멀리 위치시킨 궁도장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는데, 도심에서 큰 규모의 궁도장을 조성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궁도를 즐기기에는 시간적, 경제적으로 많은 제약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궁도의 초보자들이 화살을 잘못 쏘는 경우 즉, 과녁을 한참 벗어나게 화살을 쏘는 경우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44990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실내에서도 안전하게 궁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스크린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게임 대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궁도 게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궁도의 게임에 사용되는 과녁과 배경화면이 표시되는 스크린; 화살촉의 전면에 식별마크가 표시된 화살이 활시위에 거치되며, 발사 버튼이 마련된 화살 발사부; 스크린에 마련되며, 상기 발사 버튼의 클릭되는 순간에 발사 모습을 촬영하여 발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발사 이미지내의 식별마크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발사마크의 위치에 따라서 과녁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화살의 발사 음향과 명중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사 버튼의 클릭되는 순간 상기 발사 음향을 출력하며, 상기 과녁에 명중된 경우 명중 음향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화살 발사대에 탑승한 게임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게임자 몸무게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제1팀과 제2팀의 게임전인 궁도 단체전 게임이 수행되는 경우, 제1팀에 속하는 게임자들의 몸무게 합과 제2팀에 속하는 게임자들의 몸무게 합이 미리 설정한 오차 범위내에 있도록 팀원 편성을 하여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팀원 편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몸무게별로 추천할 활이 할당되어 저장된 몸무게별 추천활 저장부; 및 측정된 게임자 몸무게에 할당된 활을 추출하여, 추출한 활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활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무게별 추천활 저장부는, 몸무게가 무거울수록 탄성력이 작은 활시위를 가지는 활이 할당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크린 궁도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실내 어디에서나 손쉽게 궁도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게임자의 체격에 따라 활시위의 장력을 보정해줌으로써, 게임의 흥미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통해 궁도 게임이 진행될 수 있는 스크린 궁도 게임장의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살 발사부를 이루는 활과 화살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살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살촉의 전면에 표시된 식별 마크를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자 몸무게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화살 발사대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자 몸무게에 따라서 활시위의 장력이 보정되는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궁도 게임에 참여한 게임자들의 몸무게를 도시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궁도 게임에 참여한 게임자들의 팀 구성이 이루어진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통해 궁도 게임이 진행될 수 있는 스크린 궁도 게임장의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살 발사부를 이루는 활과 화살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살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살촉의 전면에 식별 마크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208)을 통해 궁도를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궁도라 함은, 양궁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 무술인 국궁도 포함되며, 이밖에 화살을 쏘아 과녁을 맞추는 모든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208), 화살 발사부(202), 카메라 센서(206), 제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스피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208)은, 궁도의 게임에 사용되는 과녁과 배경화면이 표시되는 스크린(208)이다. 스크린(208)은, 프로젝터에서 발광된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막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화살 발사부(202)는, 화살촉의 전면에 식별마크가 표시된 화살이 활시위에 거치되며, 발사 버튼(b2)이 마련되어 있다. 화살 발사부(202)는, 활시위(k)에 거치된 화살(a)이 발사되는 모듈이다. 화살 발사부(202)는,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 발사부(202)의 몸체를 이루는 활(b)과, 탄성력을 가지며 화살(a)이 거치되는 활시위(k), 활시위(k)에 거치되어 과녁을 향해 발사되는 화살(a)을 포함한다.
활시위(k)는 활의 양끝단에 묶이는 탄성력을 가진 줄로서, 활시위(k)에 화살이 거치된다.
활(b)은 화살 발사부(202)의 몸체를 이루는 모듈로서, 화살(a)이 거치되는 중앙부에 화살(a)이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하여 화살(a)의 신속한 발사를 가능하게 하는 'L'자 형상의 거치편(b1)을 포함한다. 또한 활(b)에는 발사 버튼(b2)이 마련되어 있는데, 게임자가 화살(a)을 활시위(k)에 거치 후 과녁을 조준 후, 발사 버튼(b2)을 클릭하게 되면, 현재의 조준 방향에서 화살이 발사되었음을 가상으로 제어부(204)에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실제로 화살(a)이 발사된다기 보다는 게임자가 화살을 과녁에 조준 후 발사 버튼(b2)을 누르게 되면, 현재의 조준 방향으로 화살이 발사됨을 의미한다.
화살(a)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녁에 접촉되는 화살촉(a1), 화살촉(a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거나 결착되는 화살대(a2), 화살대(a2)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화살(a)을 회전시켜 화살(a)의 진로를 유지시키는 화살깃(a3) 및 화살대(a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착되며 일단면에 활시위(k)가 거치되는 오늬(a4)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살촉(a1)은, 끝이 뭉뚝하거나 구(球)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스크린(208)에 꽂히거나 박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살촉의 전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마크(M)가 표시되어 있다. 카메라 센서(206)는 이러한 식별마크(M)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204)는 감지된 식별마크(M)의 위치를 과녁의 명중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서(206)는, 스크린의 상측에 마련되며, 게임자에 의해 활(b)에 마련된 발사 버튼(b2)이 클릭되는 순간에 발사 모습을 촬영하여 발사 이미지를 생성한다. 카메라 센서(206)는 발사대를 향해 설치되어 발사되는 활과 화살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04)는, 카메라 센서(206)를 통해 촬영된 발사 이미지내의 식별마크(M)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식별마크의 위치에 따라서 스크린에 표시된 과녁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단한다. 참고로, 제어부(204)는 화살(a)이 과녁에 명중할 때의 식별 마크(M)의 형상, 기울기, 크기에 대한 명중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촬영되는 발사 이미지내의 식별마크(M)의 형상, 기울기, 크기를 미리 등록된 명중 정보와 비교하여, 과녁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화살(a)의 발사 음향과 명중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어부(204)는, 발사 버튼(b2)이 클릭되는 순간, 발사 음향을 출력하며, 과녁에 명중된 경우 명중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자는 스크린(208)의 영상과 스피커(210)의 명중 음향을 즐길 수 있어, 입체적인 게임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과녁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예는 카메라 센서(206)와 식별마크(M)를 이용함을 예로 들어 설며하였다. 그러나 카메라 센서(206)가 아니라 다양한 다른 수단에 의해 과녁의 명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예컨대, 장력 감지 센서(미도시), 방향 감지 센서(미도시), 발사속도 산출부(미도시), 화살궤적 산출부(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장력 감지 센서(미도시)는, 게임자의 조작에 의해 변화되는 활시위(k)의 장력(tension, 張力)을 감지한다. 게임자가 활시위(k)를 많이 당길수록 활시위(k)의 장력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장력 감지 센서(미도시)는, 활시위(k)가 당겨지거나 놔지는 경우에 대응되도록 회전되는 로터리 인코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 감지 센서(미도시)는, 화살(a)이 향하는 발사방향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방향 감지 센서(미도시)는, 화살(a)이 거치되어 발사되는 지점까지의 높이를 계산하는 고도센서와 활의 이동, 뒤틀림 및 떨림 등을 감지하는 3축 가속도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사속도 산출부(미도시)는, 활시위(k)의 장력을 고려하여 활시위(k)에서 발사된 화살(a)의 발사속도를 산출한다. 화살(a)이 활시위(k)에서 이탈되는 시점을 감지하여, 이탈 시점의 장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장력에 따라서 발사 속도를 산출한다. 참고로, 장력의 크기별로 발사속도를 실험적 또는 이론적 계산을 통해 저장해놓은 후, 감지된 활시위(k)의 장력의 크기에 따라서 화살(a)의 발사속도를 저장해놓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화살궤적 산출부(미도시)는, 발사속도와 발사방향에 따라서 화살(a)의 궤적을 산출한다. 장력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활시위(k)에 따른 활시위(k)의 장력을 통하여 발사되는 화살(a)의 발사속도를 계산하고 방향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활(b)의 높이, 이동, 뒤틀림 및 떨림 등을 감지하여 발사되는 화살(a)의 포물선궤적과 비거리 및 발사방향을 계산하여 발사된 화살(a)의 궤적정보 생성한다. 여기서, 화살궤적 산출부(미도시)는, 궤적정보의 화살(a)의 발사속도와 포물선궤적, 비거리 및 발사방향에 대응된 기준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준데이터는 모든 경우의 수를 가정하고 이러한 가정에 대하여 실험적 또는 이론적 계산을 통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204)는, 산출된 화살궤적을 통하여 과녁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단하여 스크린(208)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화살(a)이 차례로 발사되는 경우, 각 화살의 명중 여부에 따른 점수를 누적하여, 스크린(208)에 명중 여부를 표시한다.
한편, 스크린 궁도 게임은 개인전 이외에도 단체전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단체전으로 진행될 시에 게임자들이 팀을 구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에서 팀을 구성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게임의 흥미를 위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대등한 궁도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팀의 팀원들의 몸무게의 합이 상대편 팀의 팀원들의 몸무게의 합과 비슷해지도록 팀 구성을 한다. 팀간에 몸무게 차이가 나면 그만큼 활시위(k)를 당기는 힘이 약할 수 있기 때문에, 팀별 몸무게를 비슷하게 하여 팀 구성을 하는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9와 함께 상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자 몸무게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화살 발사대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체전 게임시에 팀원 편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8은 몸무게가 다른 게임자들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몸무게에 따라 게임자들을 팀원 편성시킨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208), 화살 발사부(202), 카메라 센서(206), 스피커(210), 및 제어부(204) 이외에 게임자 몸무게 측정부(212), 팀원 편성부(218), 몸무게별 추천활 저장부(216), 및 활 추천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임자 몸무게 측정부(212)는, 화살 발사대(10)에 탑승한 게임자의 몸무게를 측정한다. 화살 발사를 위해 활(b)을 파지하고 화살 발사대(10)에 올라선 게임자의 몸무게를 측정한다.
팀원 편성부(218)는, 제1팀과 제2팀의 게임전인 궁도 단체전 게임이 수행되는 경우, 제1팀에 속하는 게임자들의 몸무게 합과 제2팀에 속하는 게임자들의 몸무게 합이 미리 설정한 오차 범위내에 있도록 팀원 편성을 하여 스크린(208)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6명의 게임자들이 스크린 궁도 게임에 참여한다고 할 때, 팀원 편성부(218)는, 각 게임자들의 몸무게를 고려하여 팀별 몸무게가 유사하도록 도 9과 같이 팀원을 배치한다.
한편, 스크린 궁도 게임에 처음 임하는 초보자일 경우, 자신에 맞는 활(b)을 선택하기가 어렵다. 활(b)에 따라서 활시위(k)의 탄성력이 약해서 힘이 세지 않으면 당기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몸무게별로 추천할 활(b)이 할당되어 저장된 몸무게별 추천활 저장부(216)를 구비한다. 몸무게별 추천활 저장부(216)는, 몸무게가 무거울수록 탄성력이 작은 활시위(k)를 가지는 활이 할당된다. 따라서 활 추천부(214)는, 측정된 게임자 몸무게에 할당된 활(b)을 추출하여, 추출한 활을 스크린(208)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궁도 게임을 즐기는데 있어서 공정한 조건하에서 게임을 즐기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덩치가 큰 성인 남성의 경우 활시위(k)를 당기는 힘이 충분하여 화살(a)이 멀리 날아가 과녁에 명중될 수 있지만, 소녀 등과 같이 힘이 약한 자들은 활시위(k)를 당기는 힘이 약하여 화살(a)이 멀리 날아가지 못해 과녁에 잘 명중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게임을 즐기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활시위(k)의 장력을 보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장력 보정부(미도시)는, 측정된 게임자 몸무게에 따라서 장력 감지 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활시위(k)의 장력을 보정하여 보정값(이하, '활시위의 보정 장력'이라 함)을 출력한다. 장력 보정부(미도시)는, 측정된 게임자 몸무게가 가벼울수록 측정된 장력에 더해지는 보정값을 증가시키는 보정을 한다. 예를 들어, 70kg 몸무게를 가질 때 보정값 '0'을 가지며 5kg 증가시마다 보정값 '2'씩 감소되며, 70kg 몸무게에서 5kg 감소시마다 보정값 '2'씩 증가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70kg의 몸무게를 가지는 남성 제1게임자가 당긴 활시위(k)의 장력이 20[F/S]라 하고, 50kg의 몸무게를 가지는 여성 제2게임자가 당긴 활시위(k)의 장력이 5[F/S]라 할 때, 남성 제1게임자의 장력은 보정없이 그대로 20[F/S]로서 보정 장력값이 결정되며, 여성 제2게임자의 장력은 70kg에서 20kg 감소된 50kg 몸무게를 고려하여, 8의 보정값이 더해져서 5+8=13[F/S]의 장력으로서 보정 장력값이 결정된다.
발사속도 산출부(미도시)는 이와 같이 보정된 활시위(k)의 보정 장력을 고려하여 활시위(k)에서 발사된 화살의 발사속도를 산출한다.
결국,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힘없는 여성, 노인, 어린이라도 일정 수준 정도는 보정값에 의해 장력에 대해 보상받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발사 속도가 높아질 수 있어 신체적으로 유리한 남성들과 대등한 경기를 할 수 있게 되어, 게임 참여자 모두가 즐겁게 게임에 임할 수 있다.
또한 궁도 게임을 즐김에 있어서, 게임을 즐김과 더불어서 게임자의 근육량이 정상 범위에 속하는지, 아니면 정상 범위를 벗어났는지 게임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활시위(k)를 당기는 게임자의 장력을 판단하여, 게임자의 몸무게와 대비할 때 장력이 정상 범위이면 팔근육량이 정상이라고 알려주며, 장력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팔근육량이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게임자 몸무게별로 기준 장력 범위가 할당된 기준장력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kg~50kg의 몸무게는 5~10[F/S]를 기준 장력 범위로 할당하여 저장하며, 50kg~60kg의 몸무게는 8~15[F/S]를 기준 장력 범위로 할당하여 저장하며, 60kg~70kg의 몸무게는 13~23[F/S]를 기준 장력 범위로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204)는, 장력 감지 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활시위(k)의 장력이 게임자 몸무게에 할당된 기준 장력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게임자의 팔근육량이 정상 범위를 벗어났음을 스크린(208)에 표시한다. 따라서 제어부(204)는, 장력 감지 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활시위(k)의 장력이 게임자 몸무게에 할당된 기준 장력 범위보다 높은 경우, 게임자의 팔근육량이 정상인보다 많다는 근육 우수 표시를 하며, 반대로, 장력 감지 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활시위(k)의 장력이 게임자 몸무게에 할당된 기준 장력 범위보다 낮은 경우, 게임자의 팔근육량이 정상인보다 적다는 근육 부족 표시를 한다.
예를 들어, 몸무게 55kg로서 측정된 게임자가 활시위(k)를 당겨서 측정된 장력이 20[F/S]인 경우, 8~15[F/S] 기준 장력 범위보다 높으므로 팔근육량이 정상인보다 많다는 근육 우수 표시를 스크린(208)에 표시하며, 반대로, 측정된 장력이 4[F/S]인 경우, 8~15[F/S] 기준 장력 범위보다 낮으므로 팔근육량이 정상인보다 적다는 근육 부족 표시를 스크린(208)에 표시한다. 따라서 게임자는 게임을 즐기면서 동시에 자신의 팔근육량이 일반인보다 많은지 적은지 손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a:화살 b:활
202:화살 발사부 204:제어부
206:카메라 센서 208:스크린
210:스피커

Claims (6)

  1. 궁도의 게임에 사용되는 과녁과 배경화면이 표시되는 스크린;
    화살촉의 전면에 식별마크가 표시된 화살이 활시위에 거치되며, 발사 버튼이 마련된 화살 발사부;
    스크린에 마련되며, 상기 발사 버튼의 클릭되는 순간에 발사 모습을 촬영하여 발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발사 이미지내의 식별마크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발사마크의 위치에 따라서 과녁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화살 발사대에 탑승한 게임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게임자 몸무게 측정부; 및
    제1팀과 제2팀의 게임전인 궁도 단체전 게임이 수행되는 경우, 제1팀에 속하는 게임자들의 몸무게 합과 제2팀에 속하는 게임자들의 몸무게 합이 미리 설정한 오차 범위내에 있도록 팀원 편성을 하여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팀원 편성부;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화살의 발사 음향과 명중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사 버튼의 클릭되는 순간 상기 발사 음향을 출력하며, 상기 과녁에 명중된 경우 명중 음향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은,
    몸무게별로 추천할 활이 할당되어 저장된 몸무게별 추천활 저장부; 및
    측정된 게임자 몸무게에 할당된 활을 추출하여, 추출한 활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활 추천부;
    를 포함하는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무게별 추천활 저장부는,
    몸무게가 무거울수록 탄성력이 작은 활시위를 가지는 활이 할당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KR1020160059607A 2016-05-16 2016-05-16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KR101755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07A KR101755632B1 (ko) 2016-05-16 2016-05-16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07A KR101755632B1 (ko) 2016-05-16 2016-05-16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632B1 true KR101755632B1 (ko) 2017-07-10

Family

ID=5935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07A KR101755632B1 (ko) 2016-05-16 2016-05-16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6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413B1 (ko) * 2018-08-03 2019-03-05 (주)피디케이리미티드 타깃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자동 점수 계산 장치 및 방법
KR20210016734A (ko) * 2019-08-05 2021-02-17 최광수 능동형 스크린 기능을 이용한 게임장치
WO2021081259A3 (en) * 2019-10-22 2021-08-05 Modded Apps, Llc Bow-shaped gaming controll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9154A (ja) * 1999-06-30 2001-01-16 Namco Ltd 射撃ゲー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9154A (ja) * 1999-06-30 2001-01-16 Namco Ltd 射撃ゲーム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413B1 (ko) * 2018-08-03 2019-03-05 (주)피디케이리미티드 타깃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자동 점수 계산 장치 및 방법
KR20210016734A (ko) * 2019-08-05 2021-02-17 최광수 능동형 스크린 기능을 이용한 게임장치
KR102298203B1 (ko) * 2019-08-05 2021-09-03 최광수 능동형 스크린 기능을 이용한 게임장치
WO2021081259A3 (en) * 2019-10-22 2021-08-05 Modded Apps, Llc Bow-shaped gaming cont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1594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KR101055572B1 (ko) 실내 야구게임장치
US9061212B2 (en) Game device,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a golf game
JP5496591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755632B1 (ko)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US112075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ed golf
CN105999677B (zh) 一种可联网的便携式高尔夫模拟系统及模拟方法
JP2019080944A (ja) 2環境ゲームプレイシステム
JP2013515555A (ja) 打撃状態出力機能のスクリーンゴル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247213B1 (ko) 전투 게임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전투 게임 시스템과 방법
KR102030747B1 (ko) 가상현실 스포츠 시스템
TW202103759A (zh) 虛擬高爾夫模擬處理方法及利用其的螢幕高爾夫系統
KR101715114B1 (ko) 빔 발사 잠금 기능을 갖는 서바이벌 스마트 활쏘기 게임 시스템
KR100972828B1 (ko)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361694B1 (ko) 드론 기반의 서바이벌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KR101435506B1 (ko) 타격 훈련 코칭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JPH0857093A (ja) パット練習装置
KR101706170B1 (ko) 서바이벌 스마트 활쏘기 게임 시스템
KR101843107B1 (ko) 리얼 그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2638430B1 (ko) 이러닝 스마트 당구 시스템
CN111226087A (zh) 虚拟现实射箭训练系统
TW201620597A (zh) 穿戴式模擬手榴彈投擲系統
KR20180085843A (ko) 스윙 자세의 교정과 게임이 가능한 스윙 분석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978039B1 (ko) 스크린을 이용한 다중 스포츠 시스템
KR20210042816A (ko) 3d 홀로그램을 이용한 오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