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436B1 -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436B1
KR101755436B1 KR1020150172477A KR20150172477A KR101755436B1 KR 101755436 B1 KR101755436 B1 KR 101755436B1 KR 1020150172477 A KR1020150172477 A KR 1020150172477A KR 20150172477 A KR20150172477 A KR 20150172477A KR 101755436 B1 KR101755436 B1 KR 101755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
printing
ink
fore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790A (ko
Inventor
이만화
박희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쓰리아이
(주)에이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쓰리아이, (주)에이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쓰리아이
Priority to KR102015017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4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ceramic, tiles, concrete, stones,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식 인쇄방법은, (a) 전경색에 대한 잉크젯 인쇄공정; 및 (b) 배경색에 대한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경색은 흰색, 은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단층 또는 복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 인쇄방법은, 잉크젯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장식 문양에 대한 전경층을 인쇄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균일한 고품질의 색상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기존 인쇄 공정에 대해 부가형 공정으로 구현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생산성 제고에 유리하다. 또한, 잉크젯 방식으로 장식 문양에 대한 전경층을 인쇄한 후에 해당 잉크젯 인쇄층 상면으로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흰색 또는 은색의 배경색을 인쇄함으로써, 잉크젯 인쇄층에 의한 문양에 대한 발색이 현저히 향상되고 잉크젯 인쇄층의 망점과 혼색을 유도하여 금속색에 유사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PRINTING METHOD OF NON-ACTIVE AREA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장식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원출원인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14-0195887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분할출원이다.
최근 모니터, TV, 스마트폰 등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면을 구성하는 커버 글라스 또는 터치스크린용 글라스와 같은 투명한 윈도우 기판의 특정 영역, 특히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에 대해서는 활성영역으로부터의 누설광 및 배선 패턴 등이 투과되어 외부에서 인식되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해 차광 기능이 구비되면서도 색상 또는 표면 문양 등과 같은 장식적인 요소를 인쇄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한 디자인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투명한 윈도우 기판에 대한 차광 기능 구현 및 색상이나 문양 인쇄 방법은 외곽 가공 및 홀 가공이 완료된 글라스에 대해 화학 강화나 열강화 처리를 하고, 해당 투명한 윈도우 기판의 비활성영역에 대해 소정의 잉크를 이용하여 단순히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용 잉크(스텐실 페이스트)는 용제에 실리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등의 바인더, 유기 혹은 무기 안료, 분산제 등의 첨가된 폐이스트 상의 조성물로 구성된다.
투명한 윈도우 기판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단순한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은, 금속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판에 유기 혹은 금속 망사를 견장하고 망사에 감광유제를 도포하여 건조한 후 문양이 있는 필름을 밀착하고 노광하여 현상함으로써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실크스크린 인쇄기 상부에 제판을 장착하고 제판 하단에 투명한 윈도우 기판을 제판 문양에 따라 정렬하고 제판을 하강시켜 기판과 밀착시킨다. 이후 스텐실 페이스트를 제판 위에 도포하고 스퀴지를 이용하여 기판 측으로 일정한 압력을 인가하면서 해당 스퀴지를 일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텐실 페이스트가 제판의 개구부를 통해 투명한 윈도우 기판의 비활성영역에 도포되는 방식으로 문양이 전사된다. 이후 제판을 분리한 후, 통상적으로 200℃ 전후에서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하고 바인더를 경화시킴으로써 단위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을 완료한다.
이러한 단위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은 투명한 윈도우 기판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복수회 수행된다. 예컨대, 투명한 윈도우 기판의 이면에 통상적으로 5 ~ 30 ㎛의 두께로 검정 또는 흰색의 전경색층은 먼저 인쇄하고 이를 보호하거나 혹은 광차폐력을 높이기 위해 그 하면에 차광층을 추가로 인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필요에 따라, 전경색 문양 부분과 기타 부분(디스플레이의 활성영역, 카메라 렌즈 홀, 근접센서 홀, 아이콘 영역, 로고 타입 등의 부분)과의 경계에 가느다란 실선 모양의 프레임층을 인쇄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카메라 렌즈 홀의 내부에는 반사방지층을, 근접센서 홀 내부에는 적외선 필터층을, 아이콘부와 로고부에는 별도의 문양층을 각각 인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투명한 윈도우 기판에는 그 종류 및 용도에 따라 통상적으로 5도 내지 10도의 실크스크린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투명한 윈도우 기판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전경색층을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수행하는 경우 현실적으로 다양하고 정밀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실크스크린 인쇄용 제판을 미세한 점상으로 구성된 패턴의 집합인 망목 형태로 제작하여 CMYK 4색으로 분판하여 4도 인쇄를 시도할 수 있지만, 투명 윈도우 기판을 4도 인쇄하는 동안 수 마이크로 크기의 점들을 정밀하게 정렬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실크스크린 인쇄 과정에서 망목의 점들이 상호 연결되는 등의 이유로 인쇄 품질이 저하되어 투명한 윈도우 기판에 대한 다양하고 고해상도의 장식 인쇄를 구현하는데 제약이 있다.
종래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이 갖는 장식 인쇄에 있어 상기한 제약 때문에,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스텐실 페이스트에 펄 색감의 안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장식 효과를 구현하거나, 에칭 임프린팅 증착 등의 공정을 통해 입체적인 질감을 표현하고 전경색을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인쇄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는 등 고비용의 복잡한 방식이 채택되기도 하나 다양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구현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단순한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의 경우 인쇄 잉크의 조성, 점도 또는 도막 두께 및 균일도 등에 따라 색상에 대한 표현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공정 및 작업 조건을 엄격히 관리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색상을 갖는 고해상도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고, 문양에 대한 발색이 현저하고, 금속색에 유사한 다양한 색상 구현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해결과제에 대한 인식 및 이에 기초한 해결수단에 관한 본 발명의 요지는 아래와 같다.
(1) (a) 전경색층에 대한 잉크젯 인쇄공정; 및 (b) 배경색층에 대한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2) 상기 배경색층에 대한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은 2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3) 상기 배경색층은 흰색, 은색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4) 상기 배경색층은 은색이고, 상기 전경색층의 화소에 대한 색상, 밀도 또는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금속색 질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5) 상기 배경색층은 1층의 은색과 2층의 흰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6) 상기 배경색층 인쇄 이후에 차광층, IR층, 배선전극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7) 상기 전경색층 인쇄 이전에 로고 또는 IR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은, 잉크젯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장식 문양에 대한 전경층을 인쇄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균일한 고품질의 색상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기존 인쇄 공정에 대해 부가형 공정으로 구현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생산성 제고에 유리하다.
또한, 잉크젯 방식으로 장식 문양에 대한 전경층을 인쇄한 후에 해당 잉크젯 인쇄층 상면으로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흰색 또는 은색의 배경색을 인쇄함으로써, 잉크젯 인쇄층에 의한 문양에 대한 발색이 현저히 향상되고 잉크젯 인쇄층의 망점과 혼색을 유도하여 금속색에 유사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장식 인쇄층의 개략 구조도.
도 2, 4, 5 및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 중 배경색층을 적용한 인쇄층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색상제어에 따른 장식 문양에 관한 예시적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선택적으로' 제공, 구비 또는 포함된다고 할 때, 이는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위한 필수적으로 채택되는 구성요소는 아니나 그러한 해결과제와 견련성을 가지고 임의적으로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 영역에 대한 인쇄층의 구조도를 나타내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이하, '장식 인쇄방법'으로 약칭함)은 상기 도 1에 따른 각각의 인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1을 참조할 때, 기판(2)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인쇄층(10)은 제1 실크스크린 인쇄층(110), 전경색층(120), 배경색층(130) 및 제2 실크스크린 인쇄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실크스크린 인쇄층(110) 및 제2 실크스크린 인쇄층(14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 인쇄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실크 스크린 인쇄층(110)은 로고 또는 IR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할 수 있고, 상기 제2 실크스크린 인쇄층(140)은 차광층, IR층, 배선전극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 인쇄방법에 있어서, 고품질의 색상으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종전 실크스크린 인쇄를 단순히 복수로 인쇄하는 방식 대신에 전경색층(120)을 잉크젯 인쇄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잉크젯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는 전경색층(120)의 두께는 원칙적으로는 토출되는 잉크 드롭릿의 크기, 잉크의 점도 또는 기판과의 접촉각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지만 안정적인 잉크 토출을 위해 5cP이하의 저점도의 잉크를 사용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1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잉크젯 인쇄 방식, 특히 디지털 방식의 잉크젯 인쇄 방식으로 전경색층(120)을 인쇄함으로써 고품질의 색상을 구현(즉, 색상의 정확도 향상)할 수 있다. 즉, 스펙트로 포토메터로 인쇄 출력물의 각색상에 대한 세부적인 값을 측정하여 ICC 프로파일을 작성하고 이를 프린터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나, RIP 소프트웨어 등에 입력하여 바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전경층 출력 색상에 대한 색보정을 보다 정교하게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 공정 중에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색상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전의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에서 잉크 관리나 복잡한 공정 조건 관리에 따라 인쇄 품질에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색상의 정확도 및 품질 향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경색층(120)에 대한 잉크젯 인쇄 방식을 통해 종래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으로는 최소 4회의 분판 인쇄로도 구현하기 어려운 고해상도 컬러 이미지를 단 1회의 잉크젯 인쇄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전경색층(120)에 대한 잉크젯 인쇄에서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라이트시안, 라이트 마젠타, 백색 등의 안료가 함유된 내열 수성 안료 잉크를 사용하며, 잉크 분사(jetting)가 가능하고 유로(즉, 잉크 저장소, 관로, 카트리지 및 잉크젯 헤드 노즐부 까지의 경로)가 막히지 않기 위해서는 10cP 이하 바람직하게는 5cP 이하의 잘 분산된 저점도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전경색층(120)용 잉크는 안료를 감싸고 코팅하고 글라스에 잘 접착되기 위해 잉크 내에 포함되는 바인더로서 내열성이 우수한 수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경색층(120) 인쇄용 잉크는 인쇄 품질의 제고하기 위해 속성 건조 및 경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잉크젯 헤드 내의 노즐로부터 잉크 드롭릿이 토출되어 글라스 재질의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화소를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글라스 재질의 디스플레이 기판은 종이와는 달리 잉크가 흡수되지 않아 낙하와 동시에 퍼져 화소가 바람직하지 않게 커지거나 주변의 화소와 연결됨으로써 인쇄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출된 잉크 드롭릿이 신속히 건조 및 경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이즈가 커지는 것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드롭릿의 신속한 건조 및 경화를 위해서는 잉크에 포함된 수분이나 유기 용매가 신속히 휘발되어 건조되어야 하고 동시에 잉크 내에 포함된 바인더가 신속히 경화되어 안료를 디스플레이 기판에 견고히 부착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잉크젯 인쇄기의 인쇄 베드 하부에 열 발생 장치가 구비되거나 디스플레이 기판을 일정 온도로 승온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경색층(120)에 대한 잉크젯 인쇄 공정은 기존 인쇄 공정에 대해 부가형 공정으로 구현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장식 인쇄방법의 경우 단순히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복수회 채택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공정 라인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기존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 라인에 큰 변동 없이 전경색층 인쇄 공정만을 해당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에서 잉크젯 인쇄 방식으로 대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식 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경색층(120)에 대한 잉크젯 인쇄 공정 이후에 배경색층(130)에 대해 별도의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경색층(130)은 상기 잉크젯 인쇄에 의한 전경색층(120)의 발색을 향상시키고, 전경색층(120)의 화소와의 혼색을 유도하여 금속색에 유사한 다양한 색상 구현을 목적으로 형성된다.
전자에 따른 전경색층(120)에 대한 발색 효과는 흰색의 배경색층(130)을 형성함으로써, 후자에 따른 금속색에 유사한 다양한 색상 구현은 은색의 배경색층(130)을 형성함으로써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경색층(130)은, 그 목적에 따라, 도 2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흰색 또는 은색 중 선택되거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흰색 또는 은색은 단층 또는 2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경우에는, 단층의 은색 배경색층(132)을 형성하여 금속색에 유사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한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은색의 배경색층(132)과 전경색층(120)의 혼색에 의한 다양한 색상 구현은, 상기 잉크젯 인쇄에 의한 전경색층(120)의 화소에 대한 색상, 밀도 또는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잉크젯 인쇄에 의한 전경색층(120)의 화소에 대한 밀도를 낮추면 금속색 성질이 많이 발현되고, 반대로 밀도를 크게 하면 금속 질감은 낮아지고 전경색층(120) 자체가 갖는 색상이 많이 발현될 수 있다. 또한, 전경색층(120)의 화소에 대한 크기를 작게 하면 화소 밀도가 낮아져 금속 질감이 커지고 반대로 화소의 크기를 크게 하면 금속 질감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경색층(120)의 색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은색 배경색층(132)과의 혼색에 의해 다양한 톤의 색을 발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경색층(120)의 색상을 노란색 계열로 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다양한 톤의 금색을, 적색 계열로 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핑크 골드 또는 브론즈 골드 등의 색을, 청색 계열로 할 경우 블루이쉬 골드 계열의 색을 각각 발현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전경색층 색상을 나누어 일부분 혹은 전부에 반복 무늬나 캐릭터 등의 그래픽 이미지를 함께 인쇄하여 적용하는 경우 섬세한 패턴과 이미지가 병존하는 금속 색상의 장식 문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색상 제어을 통해 발현된 장식 문양에 관한 예시적 사진을 나타낸다. 전경색층(120) 인쇄에 이용되는 잉크의 CMYK 색상 값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골드 계열의 장식 문양을 발현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에는, 복층의 은색 배경색층(132a, 132b)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은색 배경색층은 알미늄 플레이크가 적층된 구조로서 ?緞? 입자 사이의 간극이 있을 경우 투과될 수 있으므로, 도 3의 경우는 도 2의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은색 배경색층(132a, 132b)을 복층으로 구성함으로써 금속질감을 발현에 더욱 유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러한 은색 배경색층(132a, 132b)은 도 3의 실시예 외에 복층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의 경우에는, 2층의 흰색 배경색층(134a, 134b)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흰색 배경색층(134a, 134b)은 기본적으로 전경색층(120)으로 표현되는 색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잉크젯 인쇄 방식으로 형성된 전경색층(120)은 1 마이크로미터 전후의 얇은 막 두께로 인하여 투광에 의해 색상의 선명도가 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단점을 상기한 흰색의 배경색층(134a, 134b)을 형성함으로써 보완하게 된다. 한편, 흰색 배경색층을 단층으로 형성하여 투광에 의한 색상의 선명도 저하가 충분히 방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복층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단층의 흰색 배경색층을 충분한 두께로 형성하는 것도 예정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잉크의 점도를 높이면 작업성이 나빠지고 막 두께를 크게 하기 위해 망목수가 낮은 제판(즉, 스크린 메쉬 선이 두꺼운 제판)으로 실크스크린 인쇄를 하는 경우 가장자리의 해상도가 낮아져서 인쇄 품질이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 5은 경우에는, 1층의 은색과 2층의 흰색으로 배경색층(132, 134a, 134b)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이는, 전자에 따른 전경색층(120)에 대한 발색 효과와 금속색에 유사한 다양한 색상을 동시에 구현한 예이다.
이러한 배경색층(130)에 대한 인쇄는 300 ~ 500 메쉬의 SUS 스크린을 이용하여 통상의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한 흰색 배경색층은 3 ~ 30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은색 백경색층은 1 ~ 5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차폐력을 높이기 위해 복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경색층(130) 인쇄에 이용되는 흰색 잉크는 TiO2 등의 흰색 안료와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수지 계열의 바인더와 유기 용제 및 분산제 등의 첨가제가 함유된 중/고점도의 스텐실 페이스트가 사용될 수 있고, 은색 잉크는 리핑 혹은 논리핑의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안료로 하며 상기 수지 바인더와 유기 용제 및 첨가제로 구성되는 스크린 인쇄에 적합한 중/고점도의 실버 미러 페이스트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플레이크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증착 방식의 플레이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인쇄층 110: 제1 실크스크린 인쇄층
120: 전경색층
130, 132, 132a, 132a, 134a, 134b: 배경색층
140: 제2 실크스크린 인쇄층
20: 기판

Claims (6)

  1. 전경색층과 배경색층으로 이루어진 장식층을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인쇄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전경색층을 잉크젯 인쇄로 형성된 점묘 문양 층으로 구성하고,
    (b) 상기 배경색층을 실크스크린 인쇄로 형성하여 상기 점묘 문양 층에 대한 백색의 발색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배경색층은 상기 백색의 발색층과 상기 전경색층 사이에 실크스크린 인쇄로 형성되는 은색의 혼색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은색의 혼색층은 상기 전경색층의 화소에 대한 색상, 밀도 또는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금속색 질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색층에 대한 실크스크린 인쇄는 복수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색층은 1층의 은색 혼색층과 2층의 흰색 발색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색층 인쇄 이후에 차광층, IR층, 배선전극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경색층 인쇄 이전에 로고 또는 IR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KR1020150172477A 2015-12-04 2015-12-04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KR101755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77A KR101755436B1 (ko) 2015-12-04 2015-12-04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77A KR101755436B1 (ko) 2015-12-04 2015-12-04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887A Division KR101606573B1 (ko) 2014-12-31 2014-12-31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790A KR20160081790A (ko) 2016-07-08
KR101755436B1 true KR101755436B1 (ko) 2017-07-10

Family

ID=5650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477A KR101755436B1 (ko) 2015-12-04 2015-12-04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4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790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146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print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3317933B (zh) 3d显示屏玻璃装饰方法
US7104643B2 (en) Using continuous spray inkjet system for accurately printing titanium oxide based inks
CN102815095B (zh) 印刷装置以及印刷方法
KR10160657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JP4598685B2 (ja) 化粧建築板の絵柄の表現方法
JP2012071559A (ja) 印刷装置
US20050249924A1 (en) Decorative surface covering having a discontinuous digitally printed layer and an analog print layer,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21008200A1 (zh) 一种宽色域打印流程、方法及宽色域打印设备
CN102423972A (zh) 电脑uv喷绘彩晶玻璃印刷方案
JP2010052208A (ja) 印刷装置と印刷方法
CN113307504B (zh) 渐变色喷涂工艺、盖板及电子设备
KR101105372B1 (ko) 레이저프린터를 이용한 도자기용 전사지 제조방법 및 도자기용 전사지
Watanabe et al. Development of an ink-jet printing system for ceramic tile
KR101755436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JP6710901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92794A (zh) 一种金属质感印刷方法
CN110978837B (zh) 玻璃渐变色纹理的打印用图案生成方法、打印及上色方法
CN100468094C (zh) 彩色滤光片的制造方法
US20130278672A1 (en) Method for uv inkjet printer to generate irregular transparent matte particle surface and completed printing object thereof
JP2016196183A5 (ja) 画像形成方法
JP6079820B2 (ja) 印刷ヘッド
JP2006088502A (ja) 化粧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37867Y1 (ko) 유브이 프린터를 이용한 이중겹침 인쇄의 마루판재
CN112172371A (zh) 结构件、结构件的制作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