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593B1 -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 Google Patents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593B1
KR101754593B1 KR1020160008647A KR20160008647A KR101754593B1 KR 101754593 B1 KR101754593 B1 KR 101754593B1 KR 1020160008647 A KR1020160008647 A KR 1020160008647A KR 20160008647 A KR20160008647 A KR 20160008647A KR 101754593 B1 KR101754593 B1 KR 10175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
diameter
information
diameter information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희
Original Assignee
동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인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동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102016000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65H26/0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a predetermined dia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carrying output of an electrodynamic device, e.g. a tachodynam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4Diameter, e.g. of roll or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3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를 이용한 지름 결정방법은,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을 설정하는 재질설정단계와,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기 설정된 마찰계수보다 큰 경우, 상기 페이퍼 롤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페이퍼 롤과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단계와, 상기 페이퍼 롤의 외표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페이퍼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와, 상기 페이퍼 롤과의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페이퍼 롤과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제2 지름정보를 획득하는 지름정보 획득단계와, 상기 제1 지름정보 및 상기 제2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지름정보를 상기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하는 지름결정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페이퍼 롤의 재질에 따라 지름 측정방법을 달리하고, 복수의 지름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METHOD FOR DETEMINING OF DIAMETER OF PAPER ROLL}
본 발명은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글 드럼 와인더에 사용되는 페이퍼 롤의 지름을 측정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싱글 드럼 와인더 시스템에서 페이퍼 롤의 기본 중량 및 종이 등급의 강도가 감소하고 더 큰 직경을 가진 페이퍼 롤이 요구될수록 롤의 구조 분석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페이퍼 롤의 구조는 특정 등급의 가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페이퍼 롤의 구조를 분석하는데 종이장력(paper tension), 닢 압력(nip pressure) 및 토크(torque)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소는 페이퍼 롤의 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지름의 함수로서 와인더 소프트웨어에 프로그래밍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6400호(2007. 02. 23 공고)는 "두루마리 형성을 위하여 심지에 망상 물질을 감는 리와인딩 머신 및 대응 감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확하고 균일하게 감는 현저한 능력을 갖는 두루마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망상 물질을 심지에 감기위한 리와인딩 머신(rewinding machine)에 있어서, 망상 물질은 와인딩 드럼에 공급되고 두루마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심지로 전달되고, 심지는 제어 방식으로 지지되고 회전되며 와인딩 드럼에 위치하는 동안 심지에 망상 물질이 감긴 두루마리가 커지면서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롤의 재질에 따라 롤의 구조를 다르게 분석하는 기술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정확한 롤의 지름을 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페이퍼 롤의 재질에 따라 지름 측정방법을 달리하고, 복수의 지름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를 이용한 지름 결정방법은,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을 설정하는 재질설정단계와,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기 설정된 마찰계수보다 큰 경우, 상기 페이퍼 롤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페이퍼 롤과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단계와, 상기 페이퍼 롤의 외표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페이퍼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와, 상기 페이퍼 롤과의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페이퍼 롤과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제2 지름정보를 획득하는 지름정보 획득단계와, 상기 제1 지름정보 및 상기 제2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지름정보를 상기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하는 지름결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기 설정된 마찰계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페이퍼 롤의 구동축의 회전속도와 상기 페이퍼 롤의 선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름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회전속도 및 상기 선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페이퍼 롤의 제3 지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름결정단계는 상기 제2 지름정보 및 상기 제3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2 지름정보를 상기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기 설정된 마찰계수 미만이며 금속재인 경우, 상기 페이퍼 롤의 회전수와 상기 페이퍼 롤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름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페이퍼 롤의 회전수와 상기 페이퍼 롤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페이퍼 롤의 제4 지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름결정단계는 상기 제2 지름정보 및 상기 제4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2 지름정보를 상기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이퍼 롤의 재질에 따라 지름 측정방법을 달리하고, 복수의 지름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싱글 드럼 와인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중 페이퍼 롤과의 각도 및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중 페이퍼 롤과의 거리, 회전속도 및 선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중 페이퍼 롤과의 거리, 페이퍼 롤의 회전수 및 페이퍼 롤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싱글 드럼 와인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싱글 드럼 와인더 시스템(100)은 언와인더 장치(111-1), 제1 리와인더 장치(112-1), 제2 리와인더 장치(113-1), 센터 롤(114) 및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200a, 200b, 200c)를 포함한다. 언와인더 장치(111-1)는 제1 페이퍼 롤(111)을 푸는 역할을 한다. 감겨진 제1 페이퍼 롤(111)을 모터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제1 리와인더 장치(112-1) 및 제2 리와인더 장치(113-1) 측으로 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리와인더 장치(112-1)는 센터 롤(114)을 통해 공급된 제1 페이퍼 롤(111)을 제2 페이퍼 롤(112)로 다시 감는 역할을 한다. 제2 리와인더 장치(113-1)는 센터를 통해 공급된 제1 페이퍼 롤(111)을 제3 페이퍼 롤(113)로 다시 감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2 페이퍼 롤(112) 및 제3 페이퍼 롤(113)은 센터 롤(114)을 기준으로 3시, 9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200a, 200b, 200c)는 언와인더 장치(111-1), 제1 리와인더 장치(112-1) 및 제2 리와인더 장치(113-1)에 각각 형성되어 제1 페이퍼 롤(111), 제2 페이퍼 롤(112) 및 제3 페이퍼 롤(113)의 지름을 결정한다. 이 경우,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200a, 200b, 200c)는 제1 페이퍼 롤(111), 제2 페이퍼 롤(112) 및 제3 페이퍼 롤(113) 각각의 표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직간접적으로 롤의 지름을 결정한다. 또한,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200a, 200b, 200c)는 페이퍼 롤의 재질에 따라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복수의 측정방법을 통해 페이퍼 롤의 지름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페이퍼 롤의 지름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200a, 200b, 200c)의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은 먼저 페이퍼 롤의 재질을 설정하되, 페이퍼 롤의 마찰계수가 기 설정치보다 큰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다시 말해, 페이퍼 롤이 코팅되거나 도장되어 페이퍼 롤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이 부적법한 경우인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기 설정된 마찰계수보다 큰 경우에는 접촉식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접촉식으로 페이퍼 롤의 지름을 측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기 설정된 마찰계수보다 큰 경우, 페이퍼 롤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페이퍼 롤과의 각도를 측정하고, 페이퍼 롤의 외표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페이퍼 롤과의 거리를 측정한다(S120).
다음으로, 페이퍼 롤과의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름정보를 획득하고, 페이퍼 롤과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제2 지름정보를 획득한다(S130). 제1 지름정보 및 제2 지름정보는 페이퍼 롤에 대한 접촉식/비접촉식 방식으로 지름을 측정한 것으로, 각각 독립적인 페이퍼 롤의 지름값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1 지름정보 및 제2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제1 지름정보와 제2 지름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 밖이면 다시 S120 단계로 돌아가서 페이퍼 롤의 지름을 재측정하게 된다. 제1 지름정보와 제2 지름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이면 1 지름정보를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제1 지름정보의 값에 신뢰도를 두기 때문이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제2 지름정보를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페이퍼 롤과의 각도 및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중 페이퍼 롤과의 각도 및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300)는 페이퍼 롤(300a)에 접촉하는 접촉 롤러(300b)를 통해 측정된 페이퍼 롤(300a)과의 각도가 센서(310)로 전달되며, 제어부(320)는 측정된 각을 페이퍼 롤(300a)의 지름으로 변환하여 계산하게 된다. 이는 곧 제1 지름정보가 된다. 이 경우, 접촉 롤러(300b)는 기 설정된 마찰력을 가지며, 전위차계 또는 아날로그 근접센서, 홀 효과 센서 또는 펄스 인코더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300)는 페이퍼 롤(300a)에 비접촉하는 초음파 장치(300c)를 통해 감지된 페이퍼 롤(300a)과의 거리 정보가 센서(310)로 전달되며, 제어부(320)는 측정된 거리를 페이퍼 롤(300a)의 지름으로 변환하여 계산하게 된다. 이는 곧 제2 지름정보가 된다. 이 경우, 초음파 장치(300c)는 아날로그 광학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음파 장치(300c)에서 페이퍼 롤(300a)의 외표면에 초음파를 조사하면 페이퍼 롤(300a)의 표면에 도달했다가 반사하여 되돌아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거리는 페이퍼 롤(300a)의 반경에 비례하는 지름 값이 측정된다.
결정부(330)는 접촉 롤러(300b)를 이용한 경우에 측정된 제1 지름정보와 초음파 장치(300c)를 이용한 경우에 측정된 제2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제1 지름정보 또는 제2 지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최종 페이퍼 롤(300a)의 지름으로 결정한다. 만약 제1 지름정보와 제2 지름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접촉 롤러(300b) 및 초음파 장치(300c)를 이용하여 재측정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기 설정된 마찰계수보다 작은 경우,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금속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다음으로, 페이퍼 롤이 비금속재인 경우에는 페이퍼 롤의 구동축의 회전속도와 페이퍼 롤의 선속도를 측정한다(S160). 다음으로, 페이퍼 롤의 구동축의 회전속도와 페이퍼 롤의 선속도를 이용하여 페이퍼 롤에 대한 제3 지름정보를 획득한다(S170). 다음으로, 제2 지름정보와 제3 지름정보가 오차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80). 이 경우, S130 단계에서 측정된 제2 지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름정보와 제3 정보가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제2 지름정보를 페이퍼 롤의 최종 지름정보로 결정한다. 이는 제2 지름정보를 제3 지름정보보다 신뢰도록 두기 때문이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제3 지름정보를 페이퍼 롤의 최종 지름정보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지름정보와 제3 지름정보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다시 S160 단계로 되돌아가서 제3 지름정보를 다시 획득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페이퍼 롤과의 거리, 회전속도 및 선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중 페이퍼 롤과의 거리, 회전속도 및 선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400)는 페이퍼 롤(400a)에 비접촉하는 초음파 장치(400b)를 통해 감지된 페이퍼 롤(400a)과의 거리 정보가 센서(410)로 전달되며, 제어부(420)는 측정된 거리를 페이퍼 롤(400a)의 지름으로 변환하여 계산하게 된다. 이는 곧 제2 지름정보가 된다. 이 경우, 초음파 장치(400b)는 아날로그 광학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음파 장치(400b)에서 페이퍼 롤(400a)의 외표면에 초음파를 조사하면 페이퍼 롤(400a)의 표면에 도달했다가 반사하여 되돌아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거리는 페이퍼 롤(400a)의 반경에 비례하는 지름 값이 측정된다.
또한,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400)는 페이퍼 롤(400a)에 비접촉하는 RPM 측정장치(400c)와 선속도 측정장치(400d)를 이용하여 그 비율에 따라 페이퍼 롤(400a)의 지름을 측정한다. 이는 곧 제3 지름정보가 된다. RPM 측정장치(400c)는 페이퍼 롤(400a)의 구동축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센서(410)로 전달한다. 선속도 측정장치(400d)는 페이퍼 롤(400a)로부터 감기거나 풀리는 페이퍼의 선속도를 측정하여 센서(410)로 전달한다. 제어부(420)는 측정된 RPM 정보와 선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퍼 롤(400a)의 지름으로 변환하여 계산하게 된다. 이는 곧 제3 지름정보가 된다.
결정부(430)는 초음파 장치(400b)를 이용한 경우에 측정된 제2 지름정보와 RPM 측정장치(400c) 및 선속도 측정장치(400d)를 이용한 경우에 측정된 제3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제2 지름정보 또는 제3 지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최종 페이퍼 롤(400a)의 지름으로 결정한다. 만약 제2 지름정보와 제3 지름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초음파 장치(400b), RPM 측정장치(400c) 및 선속도 측정장치(400d)를 이용하여 재측정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S150 단계에서 페이퍼 롤의 재질이 페이퍼 롤의 회전수와 페이퍼 롤의 두께를 측정한다(S190). 이는 페이퍼 롤이 회전하는 횟수를 카운팅하고, 페이퍼 롤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페이퍼 롤의 회전수와 페이퍼 롤의 두께를 이용하여 페이퍼 롤의 제4 지름정보를 획득한다(S200). 다음으로, 제2 지름정보 및 제4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여기서, 제2 지름정보는 S130 단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름정보와 제4 지름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제2 지름정보를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한다(S211). 이는 제2 지름정보에 신뢰도를 두기 때문이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제4 지름정보를 페이퍼 롤의 최종 지름정보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지름정보와 제4 지름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다시 S190 단계로 이동하여 제4 지름정보를 재획득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페이퍼 롤과의 거리, 페이퍼 롤의 회전수 및 페이퍼 롤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에 따른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중 페이퍼 롤과의 거리, 페이퍼 롤의 회전수 및 페이퍼 롤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500)는 페이퍼 롤(500a)에 비접촉하는 초음파 장치(500b)를 통해 감지된 페이퍼 롤(500a)과의 거리 정보가 센서(510)로 전달되며, 제어부(520)는 측정된 거리를 페이퍼 롤(500a)의 지름으로 변환하여 계산하게 된다. 이는 곧 제2 지름정보가 된다. 이 경우, 초음파 장치(500b)는 아날로그 광학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음파 장치(500b)에서 페이퍼 롤(500a)의 외표면에 초음파를 조사하면 페이퍼 롤(500a)의 표면에 도달했다가 반사하여 되돌아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거리는 페이퍼 롤(500a)의 반경에 비례하는 지름 값이 측정된다.
또한,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500)는 페이퍼 롤(500a)에 비접촉하는 RPM 측정장치(500c)와 두께 측정장치(500d)를 이용하여 그 비율에 따라 페이퍼 롤(500a)의 지름을 측정한다. 이는 곧 제4 지름정보가 된다. RPM 측정장치(500c)는 페이퍼 롤(500a)의 구동축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센서(510)로 전달한다. 두께 측정장치(500d)는 페이퍼 롤(500a)의 증가 도는 감소되는 두께를 측정하여 센서(510)로 전달한다. 제어부(520)는 측정된 RPM 정보와 두께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퍼 롤(500a)의 지름으로 변환하여 계산하게 된다. 이는 곧 제4 지름정보가 된다.
결정부(530)는 초음파 장치(500b)를 이용한 경우에 측정된 제2 지름정보와 RPM 측정장치(500c) 및 두께 측정장치(500d)를 이용한 경우에 측정된 제4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제2 지름정보 또는 제4 지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최종 페이퍼 롤(500a)의 지름으로 결정한다. 만약 제2 지름정보와 제4 지름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초음파 장치(500b), RPM 측정장치(500c) 및 두께 측정장치(500d)를 이용하여 재측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싱글 드럼 와인더 시스템
111 : 제1 페이퍼 롤
111-1 : 언와인더 장치
112 : 제2 페이퍼 롤
112-1 : 제1 리와인더 장치
113 : 제3 페이퍼 롤
113-1 : 제2 리와인더 장치
114 : 센터 롤
200a, 200b, 200c :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
300 :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
300a : 페이퍼 롤
300b : 접촉 롤러
300C : 초음파 장치
310 : 센서
320 : 제어부
330 : 결정부
400 :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
400a : 페이퍼 롤
400b : 초음파 장치
400C : RPM 측정장치
400d : 선속도 측정장치
410 : 센서
420 : 제어부
430 : 결정부
500 :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
500a : 페이퍼 롤
500b : 초음파 장치
500C : RPM 측정장치
500d : 두께 측정장치
510 : 센서
520 : 제어부
530 : 결정부

Claims (3)

  1.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를 이용한 지름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을 설정하는 재질설정단계;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기 설정된 마찰계수보다 큰 경우, 상기 페이퍼 롤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페이퍼 롤과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단계;
    상기 페이퍼 롤의 외표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페이퍼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
    상기 페이퍼 롤과의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페이퍼 롤과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제2 지름정보를 획득하는 지름정보 획득단계;
    상기 제1 지름정보 및 상기 제2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지름정보를 상기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하는 지름결정단계; 및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기 설정된 마찰계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페이퍼 롤의 구동축의 회전속도와 상기 페이퍼 롤의 선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름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회전속도 및 상기 선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페이퍼 롤의 제3 지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름결정단계는,
    상기 제2 지름정보 및 상기 제3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2 지름정보를 상기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하는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롤의 재질이 기 설정된 마찰계수 미만이며 금속재인 경우, 상기 페이퍼 롤의 회전수와 상기 페이퍼 롤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름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페이퍼 롤의 회전수와 상기 페이퍼 롤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페이퍼 롤의 제4 지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름결정단계는,
    상기 제2 지름정보 및 상기 제4 지름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2 지름정보를 상기 페이퍼 롤의 지름으로 결정하는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KR1020160008647A 2016-01-25 2016-01-25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KR10175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47A KR101754593B1 (ko) 2016-01-25 2016-01-25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47A KR101754593B1 (ko) 2016-01-25 2016-01-25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593B1 true KR101754593B1 (ko) 2017-07-06

Family

ID=5935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647A KR101754593B1 (ko) 2016-01-25 2016-01-25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00A (ko) * 2017-08-14 2019-02-22 동인엔지니어링 (주) 섬유사의 권취 제어장치
WO2020059911A1 (ko) * 2018-09-20 2020-03-26 동인엔지니어링(주) 섬유사의 권취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7191A (ja) * 2010-07-09 2012-01-26 Fuji Electric Co Ltd ロール直径の推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7191A (ja) * 2010-07-09 2012-01-26 Fuji Electric Co Ltd ロール直径の推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00A (ko) * 2017-08-14 2019-02-22 동인엔지니어링 (주) 섬유사의 권취 제어장치
KR101957328B1 (ko) * 2017-08-14 2019-03-12 동인엔지니어링(주) 섬유사의 권취 제어장치
WO2020059911A1 (ko) * 2018-09-20 2020-03-26 동인엔지니어링(주) 섬유사의 권취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890B1 (ko) 페이퍼 롤 지름 결정장치
TWI576178B (zh) 在管元件形成溝槽之方法
JPH0455000Y2 (ko)
KR101754593B1 (ko) 페이퍼 롤 지름 결정방법
WO2016175083A1 (ja) 線材巻き取り装置
JP6728741B2 (ja) ビード部検査装置及びビード部検査方法
EP13626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ord to a rotatable mandrel
US201301467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ing a roll to a target
JP3305652B2 (ja) コイル材の巻き込み空気量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US20190135575A1 (en) Motion Drive System for Controlling a Rolling Ring Drive
JP4162000B2 (ja) 糸巻取装置の糸長測定装置
CA250196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paper
JP2020157318A (ja) 巻取装置の尾端停止位置制御方法、尾端停止位置制御装置及び巻取装置
JP2019199321A (ja) フィラメント巻き出し装置
CN114341753B (zh) 边缘堆积测量
JPH1035973A (ja) ウェブロールの残長計測装置
JP2759055B2 (ja) ペイオフリールの自動減速制御方法
JP7018186B2 (ja) ウェブ巻取装置及びウェブ巻取方法
JPH10332344A (ja) ストリップコイルの内外径測定方法
JPS59206111A (ja) 伸線装置の計尺方法
JPH0726295Y2 (ja) テープ巻き装置
CN113460756B (zh) 钢带称重与收卷方法及钢带称重与收卷机构
JP2000185871A (ja) 駆動されるボビンのボビン径を決定する方法と装置並びに該装置を使用するワインダ―
KR20040056097A (ko) 권취 코일의 텔레스코프 측정장치
KR20170074594A (ko) 코일의 빌드업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