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577B1 -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 - Google Patents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577B1
KR101754577B1 KR1020170020044A KR20170020044A KR101754577B1 KR 101754577 B1 KR101754577 B1 KR 101754577B1 KR 1020170020044 A KR1020170020044 A KR 1020170020044A KR 20170020044 A KR20170020044 A KR 20170020044A KR 101754577 B1 KR101754577 B1 KR 10175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receiving
sludge
leachate
g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2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도록 슬러지가 수용되는 호퍼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슬러지가 수용되는 중공된 구조의 호퍼본체와, 상기 호퍼본체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호퍼본체에 수용된 상기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호퍼본체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한쌍의 게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게이트들 사이로 배출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출수를 수용한 후 배출시키는 침출수수용장치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출수를 전달받아 드레인 배관부에 전달하는 침출수수용장치를 개폐부에 배출관을 통해 침출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드레인 배관부의 입구를 상기 게이트들이 맞닿는 부분과 같이 길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설비비용이 절감되고, 침출수가 낙하되어 이동되는 거리가 줄어들어 외부로 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게이트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드레인 배관부를 고정식으로 배치시킬 수 있어 슬러지를 배출시 드레인 배관부를 이송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 {Hopper device hav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본 발명은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출수를 전달받아 드레인 배관부에 전달하는 침출수수용장치를 개폐부에 배출관을 통해 침출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드레인 배관부의 입구를 상기 게이트들이 맞닿는 부분과 같이 길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설비비용이 절감되고, 침출수가 낙하되어 이동되는 거리가 줄어들어 외부로 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게이트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드레인 배관부를 고정식으로 배치시킬 수 있어 슬러지를 배출시 드레인 배관부를 이송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수 과정을 거친 슬러지는 슬러지 저장용 호퍼에 임시로 저장되었다가, 트럭과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후속 처리 장소로 옮겨진다. 상기 슬러지 저장용 호퍼는 한 쌍의 게이트들을 포함하는데, 슬러지를 호퍼에 저장할 때에는 게이트들이 닫힌 상태에 놓이고, 슬러지를 호퍼로부터 트럭으로 자유낙하시킬 때에는 게이트들이 열린 상태에 놓인다. 게이트들의 이와 같은 개폐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게이트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도어의 일 측면이 서로 접촉되는 틈새가 형성되고, 이 틈새를 통하여 슬러지 케이크로부터의 침출수가 유출되어 케이크 호퍼뿐만 아니라 호퍼 하방의 바닥이 오염됨으로써 주기적인 청소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청소를 위한 경제적 손실 비용이 발생하며, 유출되는 침출수는 수질환경법 위반사항으로서 법적 처벌대상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10-2015-0116293호에서와 같이 호퍼의 하부에 침출수를 수거하는 수거용기를 설치하고, 수거용기의 길이방향 양측 하부에 각각 상기 수거용기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양단이 결합된 레일부를 설치한 후 수거용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에 대하여 상기 수거용기를 왕복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휠부를 설치하고, 수거용기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침출수를 받아 집수조로 전달하도록 수거용기의 길이방향 일 측에 레일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일 측에는 유로로 유입된 침출수를 집수조로 전달하기 위한 연장관이 마련된 중계용기와 수거용기의 이동 및 이동방향을 조종하기 위한 이동조종부와를 설치하여 침출수를 이동시켜 분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출수 이동,분리를 위한 장치는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침출수가 수용되는 수거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레일부와 이동조절부를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를 위한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며 기계적인 구동에 의해 작동하게 되므로 고장에 의한 유지보수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발생되며, 중계용기를 통해 침출수를 중계해야 하므로 침출수가 이동경로가 늘어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침출수를 수용하기 위해 드레인 배관을 설치되는데, 호퍼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드레인 배관이 걸림되어 작업자가 드레인 배관을 회전시켜 간섭범위내에서 벗어나게 배치한 후 호퍼의 슬러지를 배출하게 되며, 이후 재차 호퍼가 폐쇄되면 원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출수를 전달받아 드레인 배관부에 전달하는 침출수수용장치를 개폐부에 배출관을 통해 침출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드레인 배관부의 입구를 상기 게이트들이 맞닿는 부분과 같이 길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설비비용이 절감되고, 침출수가 낙하되어 이동되는 거리가 줄어들어 외부로 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게이트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드레인 배관부를 고정식으로 배치시킬 수 있어 슬러지를 배출시 드레인 배관부를 이송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러지를 이송시키도록 슬러지가 수용되는 호퍼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슬러지가 수용되는 중공된 구조의 호퍼본체와, 상기 호퍼본체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호퍼본체에 수용된 상기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호퍼본체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한쌍의 게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게이트들 사이로 배출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출수를 수용한 후 배출시키는 침출수수용장치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수용장치는 상기 게이트들 중 어느 하나의 게이트에 설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회동시키는 상기 게이트들 중 다른 하나의 게이트에 형성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는 어느 하나의 게이트 하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들 사이로 배출되는 침출수를 수용하며, 일단에는 수용된 침출수를 드레인 배관부로 전달하도록 배출관이 형성된 수용호퍼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축부 및 상기 수용호퍼를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축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동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게이트들 중 다른 하나의 게이트 양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호퍼는 하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출수가 자중에 의해 경사진 상기 수용호퍼에 안내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드레인 배관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축부가 끼움되도록 체결공을 갖는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에는 베어링이 더 마련되어 상기 축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호퍼는 상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배출경사면이 형성되어, 회동시 상기 배출경사면을 따라 상기 침출수가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는 침출수를 전달받아 드레인 배관부에 전달하는 침출수수용장치를 개폐부에 배출관을 통해 침출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드레인 배관부의 입구를 상기 게이트들이 맞닿는 부분과 같이 길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설비비용이 절감되고, 침출수가 낙하되어 이동되는 거리가 줄어들어 외부로 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게이트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드레인 배관부를 고정식으로 배치시킬 수 있어 슬러지를 배출시 드레인 배관부를 이송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에 있어, 침출수수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에 있어, 침출수수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호퍼장치라 명명함)는 집된 슬러지를 수용하여 저장한 후 이송수단(300)으로 공급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호퍼장치(10)로서, 이에 이와 같은 호퍼장치(10)는 호퍼본체(20)와 개폐부(30)와 작동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본체(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틀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슬러지가 수용됨과 아울러 외부로 배출되도록 중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본체(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틀(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지면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틀(100)의 내부에는 상기 호퍼본체(20)의 하부에 배치되게 이송차량이나 수레가 배치되어, 상기 호퍼본체(20)에서 전달되는 슬러지를 수용한 후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호퍼본체(20)는 하부로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시켜 경사진 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호퍼본체(20)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가 더 설치되어, 상기 호퍼본체(20)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 슬러지가 걸림없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호퍼본체(20)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호퍼본체(20)에 수용된 상기 슬러지를 일정시간 보관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호퍼본체(20)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한쌍의 게이트(2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30)에는 상기 게이트(21,21')들 사이로 배출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출수를 수용한 후 배출시키는 침출수수용장치(22)가 더 마련된다.
상기 게이트(2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구조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 회동패널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패널의 단부가 호퍼본체(20)에 회동되게 축결합된다.
상기 게이트(21,21')의 하부는 하향으로 곡선진 패널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게이트(21,21')의 하부가 맞닿는 부분으로 침출수가 배출된다.
상기 침출수수용장치(22)는 상기 게이트(21,21')들 중 어느 하나의 게이트(21)(도면상 좌측 도 1참조)에 설치되는 수용부(221)와, 상기 수용부(221)를 회동시키는 상기 게이트들 중 다른 하나의 게이트(21')(도면상 우측 도 1참조)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긴 바형상의 가압부재(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221)는 어느 하나의 게이트(21) 하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축부(221a)와, 상기 축부(221a)에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21,21')들 사이로 배출되는 침출수를 수용하며, 일단에는 수용된 침출수를 드레인 배관부(200)로 전달하도록 배출관(221b')이 형성된 수용호퍼(221b)와, 상기 축부(221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222)의 가압에 의해 상기 축부(221a) 및 상기 수용호퍼(221b)를 회전시키는 회동부재(221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21,21')들 중 어느 하나의 게이트(21)에는 상기 축부(221a)가 끼움되도록 체결공(221d')을 갖는 브라켓(221d)들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체결공(221d')에는 베어링이 더 마련되어 상기 축부(221a)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 배관부(200)는 상술한 프레임틀(100)에 형성되어,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수용호퍼(221b)의 배출관(221b')을 통해 배출되는 침출수를 전달받아 이송시키게 된다.
즉, 상기 배출관(221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호퍼(221b)의 일단에 형성되어, 드레인 배관부(200)로 침출수를 전달함으로서, 종래기술에서 발생되는 드레인 배관부(200)의 입구를 상기 게이트(21,21')들이 맞닿는 부분과 같이 길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되고, 게이트(21,21')들이 회동하면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드레인 배관부(200)를 이송시켜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드레인 배관부(200)를 고정식으로 배치하여 침출수의 배출 및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221c)는 상기 축부(221a)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222)는 상기 회동부재(221c)를 가압하도록 상기 게이트(21,21')들 중 다른 하나의 게이트 양단부(21')에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재(221c)는 긴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부(221a)의 양단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221c)의 일면에는 상기 가압부재(222)가 가압시 마찰과 소음을 줄이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더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호퍼(221b)는 상기 배출관(221b')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오퍼에 충진된 침출수가 자중에 의해 경사진 상기 수용호퍼(221b)에 안내되어 상기 배출관(221b')을 통해 상기 드레인 배관부(200)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40)는 실린더이며, 상단부가 상기 호퍼본체(20)에 힌지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호퍼본체(2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개폐부(30)를 작동(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수용호퍼(221b)는 상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배출경사면(221b")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호퍼(221b)가 회동시 도 8b 및 도 8c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경사면(221b")을 따라 상기 침출수가 순차적으로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1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탈수시킨 슬러지가 상기 호퍼본체(20)에 충진되면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도 8a에서와 같이 상기 호퍼본체(20)의 하부를 폐쇄시킨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된 슬러지에서 침출수가 흘러내려 상기 게이트(21,21')들 사이로 침출수가 배출되면, 순차적으로 침출수가 상기 수용호퍼(221b)로 충진되면서 상기 수용호퍼(221b)의 배출관(221b')을 통해 상기 드레인 배관부(200)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작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게이트(21,21')들이 외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221c)를 가압하고 있던 상기 가압부재(222)가 상호 분리되면서, 편심되게 축결합된 상기 수용호퍼(221b)가 자중에 의해 상기 축부(221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게이트(21,21')들 사이로 상기 호퍼본체(20)의 슬러지가 이송수단(300)으로 배출되어 전달됨으로써,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되며, 반대로 상기 게이트(21,21')들이 상호 맞닿게 회전하게 되면 사익 가압부재(222)가 상기 회동부재(221c)를 가압하면서 회전될 상기 수용호퍼(221b)의 상부가 상기 게이트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침출수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는, 호퍼본체의 침출수를 전달받는 침출수수용장치를 마련하여, 게이트를 개방시 자중에 의해 수용호퍼가 회전하여 호퍼본체에서 슬러지를 배출시키고 침출수는 수용호퍼의 배출관을 통해 드레인 배관부로 전달하여 종래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인 드레인 배관부의 입구를 상기 게이트들이 맞닿는 부분과 같이 길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되고, 게이트들이 회동하면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드레인 배관부를 이송시켜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호퍼장치 20 : 호퍼본체
30 : 개폐부 40 : 작동부
21 : 게이트 21' : 게이트
22 : 침출수수용장치 221 : 수용부
221a : 축부 221b : 수용호퍼
221b' : 배출관 221b" : 배출경사면
221c : 회동부재 221d : 브라켓
221d' : 체결공
222 : 가압부재
100 : 프레임틀 200 : 드레인 배관부
300 : 이송수단

Claims (6)

  1. 슬러지를 이송시키도록 슬러지가 수용되는 호퍼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슬러지가 수용되는 중공된 구조의 호퍼본체와,
    상기 호퍼본체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호퍼본체에 수용된 상기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호퍼본체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한쌍의 게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게이트들 사이로 배출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출수를 수용한 후 배출시키는 침출수수용장치가 더 마련된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로서,
    상기 침출수수용장치는 상기 게이트들 중 어느 하나의 게이트에 설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회동시키는 상기 게이트들 중 다른 하나의 게이트에 형성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는 어느 하나의 게이트 하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들 사이로 배출되는 침출수를 수용하며, 일단에는 수용된 침출수를 드레인 배관부로 전달하도록 배출관이 형성된 수용호퍼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축부 및 상기 수용호퍼를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축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동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게이트들 중 다른 하나의 게이트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호퍼는 하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출수가 자중에 의해 경사진 상기 수용호퍼에 안내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드레인 배관부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게이트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축부가 끼움되도록 체결공을 갖는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에는 베어링이 더 마련되어 상기 축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며,
    상기 수용호퍼는 상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배출경사면이 형성되어, 회동시 상기 배출경사면을 따라 상기 침출수가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호퍼본체는 하부로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시켜 경사진 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호퍼본체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가 더 설치되어, 상기 호퍼본체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 슬러지가 걸림없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가압시 마찰과 소음을 줄이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더 접착시키는 되며,
    상기 수용호퍼는 상기 배출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호퍼에 충진된 침출수가 자중에 의해 경사진 상기 수용호퍼에 안내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드레인 배관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20044A 2017-02-14 2017-02-14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 KR10175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44A KR101754577B1 (ko) 2017-02-14 2017-02-14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44A KR101754577B1 (ko) 2017-02-14 2017-02-14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577B1 true KR101754577B1 (ko) 2017-07-19

Family

ID=5942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44A KR101754577B1 (ko) 2017-02-14 2017-02-14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5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927B1 (ko) 2019-04-23 2020-01-17 박윤수 슬러지배출량 조절기능을 갖는 호퍼장치
KR20220021664A (ko)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엔바이로텍 집·배수부가 설치된 슬러지 저장 케익 호퍼
JP7311928B1 (ja) 2022-11-04 2023-07-20 大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ホッパ及びドレン受樋装置
KR20230141059A (ko) 2022-03-31 2023-10-10 인천광역시 호퍼장치의 물받이 탈수케익 제거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927B1 (ko) 2019-04-23 2020-01-17 박윤수 슬러지배출량 조절기능을 갖는 호퍼장치
KR20220021664A (ko)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엔바이로텍 집·배수부가 설치된 슬러지 저장 케익 호퍼
KR102368250B1 (ko) * 2020-08-14 2022-03-02 주식회사 엔바이로텍 집·배수부가 설치된 슬러지 저장 케익 호퍼
KR20230141059A (ko) 2022-03-31 2023-10-10 인천광역시 호퍼장치의 물받이 탈수케익 제거구조
JP7311928B1 (ja) 2022-11-04 2023-07-20 大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ホッパ及びドレン受樋装置
JP2024067280A (ja) * 2022-11-04 2024-05-17 大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ホッパ及びドレン受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577B1 (ko) 물받이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호퍼장치
US7958820B2 (en) Compactor construction
JP6034359B2 (ja) 固液分離回収装置
CN113060455A (zh) 全密封垃圾车
CA2704876C (en) Bulk material handling vehicle
CN202358591U (zh) 一种餐厨垃圾输送机
JP6292924B2 (ja) 塵芥収集車
KR101750097B1 (ko)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US2316137A (en) Truck mixer
KR102067927B1 (ko) 슬러지배출량 조절기능을 갖는 호퍼장치
US5755387A (en) Spreader assembly
US2303491A (en) Apparatus for cleaning catch basins
US1704917A (en) Dewatering vehicle
JP7311928B1 (ja) ホッパ及びドレン受樋装置
KR100963286B1 (ko) 정수 및 하수 처리장의 호퍼 물받이 장치
EP1581383B1 (en) Screw press compaction apparatus
JPH08140575A (ja) バイブ洗浄装置とその汚水遮断装置
KR102134602B1 (ko) 레미콘차량용 회전형 폐수저장장치
JPS643520Y2 (ko)
CN107298269B (zh) 液压垃圾处理三螺旋装置
JP3105139B2 (ja) 塵芥収集車の汚水逆流防止装置
KR200357261Y1 (ko) 음식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물 배출장치
CN209537015U (zh) 搅拌站污水废料处理装置
CN213919745U (zh) 一种环保型餐厨垃圾沥水装置
JP6633432B2 (ja) ダストド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