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531B1 -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 Google Patents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531B1
KR101754531B1 KR1020160050866A KR20160050866A KR101754531B1 KR 101754531 B1 KR101754531 B1 KR 101754531B1 KR 1020160050866 A KR1020160050866 A KR 1020160050866A KR 20160050866 A KR20160050866 A KR 20160050866A KR 101754531 B1 KR101754531 B1 KR 101754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thacrylate
parts
acrylate
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호
Original Assignee
정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호 filed Critical 정대호
Priority to KR102016005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은 (A) 에틸렌성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와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중합체 100 중량부; (B)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 15 내지 30 중량부; (C)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 1 내지 2 중량부; (D) 몬탄산염 90 내지 95 중량% 및 로디닉산의 고형분 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결합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E) 가소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Binder Composition for Elastic Flooring Material}
본 발명은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로, 주차장 등의 바닥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바닥재에 탄성을 부여하면서 우수한 부착강도, 내마모성 및 미끄럼 저항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VOC 함량이 낮은 보다 친환경적인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특정 용도의 도로포장에 사용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시멘트에 합성고무, 수지, 기타 다양한 첨가제를 부가한 개질 아스팔트가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기온, 중대형 차량의 증대로 인한 강도 향상, 제품 고급화 요구 등을 반영하려는 노력에 기인한다.
통상적으로 도로 포장재용 바인더는 천연 아스팔트와 석유 아스팔트로 대별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석유 아스팔트를 도로포장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는 침입도에 따라서 크게 5가지로 구분되며, 그 품질에 관련하여 KS M 2201, KS M2250 등의 표준규격을 만족해야 한다. 아스팔트 바인더에 있어서 다양한 기계적 스트레스(열적균열, 피로, 패임)를 방지하는 기능이 중요하다. 이외에 조경시설물, 건물의 옥상, 야외 공연장 등의 용도에 따라 첨가제의 물성이 달라지지만 대체로 탄성이 부여된 도로 포장용 바닥재에 대한 요구가 있다.
한편, 제품 고급화의 일환으로 등장한 칼라 아스콘은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와 무기질 혼화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시공한 것으로 초창기에는 자전거 도로 등에 한정되었으나 강도 등의 물성이 개선되면서 점차 자동차 도로로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다만 칼라 아스팔트 및 칼라 콘크리트에 주로 유용성 바인더가 사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확대하여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경보호차원의 대책이 선결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4228호에서는 수용성 우레탄계 바인더를 사용한 탄성력 강화재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공개특허에서는 아스팔트느 콘크리트의 포장 시에 사용되는 바인더 조성물을 수분산성 고무류와 수용성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계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동적 전단응력과 우수한 터프니스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도로 등의 노면 포장재로써 내마모성이나 미끄럼 저항성과 같은 물성향상을 보이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4149호에서는 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바인더로 이용하여 내수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바닥재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 따른 바닥재 조성물은 기본 물성이 우수하고 중금속이 함유되지 않지만 VOC 함량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아 공원이나 어린이 놀이터와 같은 시설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조성의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OC 함량이 극히 낮은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내재되어 있는 목적은 아래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은
(A) 에틸렌성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와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중합체 100 중량부;
(B)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 15 내지 30 중량부;
(C)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 1 내지 2 중량부;
(D) 몬탄산염 90 내지 95 중량% 및 로디닉산의 고형분 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결합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E) 가소제 1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에틸렌성 단량체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글리시딜), 알릴글리시딜에테르, 옥세탄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세탄(allyl oxetane), 1,2-에폭시-4-비닐시클로헥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B)은 3-아미노트리에톡시실란(3-aminotriethoxysilane),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octadecyltrichloro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lane), 헥사메틸다이실라젠(hexamethyldisilazane), 및 트리데카플루로오-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1-트리클로로실란(tridecafluoro-1,1,2,2-tetrahydrooctyl-1-trichloro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C)은 감마아미노실란,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ethoxysilyl-propyl) ami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 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 ami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소제(E)는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DEGDB),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DPGDB),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TEGDB), 1,2-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PGDB), 벤질 프탈레이트(BBP), 디-n-부틸 프탈레이트(DBP),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DI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및 디부틸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부착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VOC 함량이 극히 낮으며,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는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은 (A) 에틸렌성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와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중합체 100 중량부, (B)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 15 내지 30 중량부, (C)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 1 내지 2 중량부, (D) 몬탄산염 90 내지 95 중량% 및 로디닉산의 고형분 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결합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E) 가소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조성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베이스 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용 우레탄계 바인더 조성물의 베이스 중합체(A)는 에틸렌성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와 아세테이트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베이스 중합체(A)의 에틸렌성 단량체는 바람직하게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에틸렌성 단량체이며, 본 발명의 베이스 중합체(A)의 아세테이트 단량체는 점착 강도와 유연성을 지닌 아세테이트 단량체로 이들의 중합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단량체들의 중합체는 에멀젼 형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베이스 중합체(A)의 에틸렌성 단량체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글리시딜), 알릴글리시딜에테르, 옥세탄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세탄(allyl oxetane), 1,2-에폭시-4-비닐시클로헥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의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에틸렌성 단량체는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에틸렌성 단량체로,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갖는 에틸렌성 단량체는 베이스 중합체(A)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로 사용한다.에틸렌성 단량체 함유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바닥재 제조시의 응집력, 접착력이 부족하게 되고,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합성시에 비닐기와의 과도한 잉여 발열반응에 의해 겔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점착제 용액의 보존 안정성도 악화되어 가교계의 제어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베이스 중합체(A)에 사용되는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의 함량은 베이스 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로 사용한다. 이 범위 내에서 초기 및 최종 접착력이 우수하고, 모르타르 등과의 혼화 시에 응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수지(A)를 이루는 중합체는 상술한 에틸렌성 단량체와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를 이온 성분이 제거된 물속에서 셀룰로오즈계 콜로이드(colloid)를 전체 중량대비 약 5 중량%로 가하고, 설파이드(sulfide)와 소디움계 촉매를 약 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여 3~5 ㎏/㎠의 압력 하에서 균일양의 에틸렌 유도체를 첨가하면서, 적정 분자량이 확인되면 pH를 4~6 정도로 조절하면서 유백색 액체의 물질을 중합하여 제조한다. 이때, 항균제(biocide)를 첨가물로 이용하여도 좋고 진공상태로 하여 미반응 모노머를 0.5%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에 사용되는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B)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계면에 자기조립 박막층을 형성하여 수지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특히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과 미끄럼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자기조립 유기화합물의 예로는 3-아미노트리에톡시실란(3-aminotriethoxysilane),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octadecyltrichloro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lane), 헥사메틸다이실라젠(hexamethyldisilazane), 트리데카플루로오-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1-트리클로로실란(tridecafluoro-1,1,2,2-tetrahydrooctyl-1-trichlorosilane) 및 이들 중 최소한 2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기조립 특성을 갖는 유기물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서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B)은 베이스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한다.
(C)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용 우레탄계 바인더 조성물에 사용되는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C)는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B)과는 별도로 유·무기물의 상호간 부착증진을 위해 사용한다. 적절한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C)의 예로, 감마아미노실란,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ethoxysilyl-propyl) ami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 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 ami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중에서 단독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C)은 유기물의 관능기와 아미노의 결합을 도모한다. 즉, ~NH₂아미노기는 유기물에, 실란기는 무기물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C)의 함유량은 베이스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를 사용한다. 과도한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C)의 사용은 기본 도막 형성 시의 분자량 저하를 유발시켜 물성에 나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공극 사이로 침투하는 깊이의 관점에서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저분자량으로 인해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약점이 있어 내구성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격을 고려한 경제성 측면의 불리함도 있으므로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D) 결합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합제(D)는 몬탄산염과 로디닉산의 고형분을 혼합한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몬탄산염은 선형 알리파틱 체인(linear aliphatic chain)이 긴 카르복실산에 염(salt)이 이온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특히 염은 칼슘염과 나트륨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선형 알리파틱 체인의 탄소수는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몬탄산 염의 산 값(Acid value)은 ISO 2114에 제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2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로디닉산(rhodinic acid)은 자연계로부터 추출되는 물질 중의 하나로, 천연물이면서 식품 등의 첨가물이나 보존제로 사용되는 성분 중의 하나이다. 로디닉산의 분자량은 170.25 이고, 선형 분자식은 (CH3)2C=CHCH2CH2CH(CH3)CH2CO2H이다. 본 발명에서 로디닉산은 몬탄산염과 혼합하여 바닥재 조성물에 친환경성을 부여한다. 즉, 로디닉산 컬러 콘크리트나 탄성 콘크리트와 같은 바닥 포장재에서 발생하는 VOC 배출량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몬탄산염은 사용되는 결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90 내지 95 중량%로 사용되며, 로디닉산은 5 내지 10 중량%로 사용한다. 이러한 성분비를 갖는 결합제는 베이스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VOC 미방출 성능의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몬탄산 염 자체에 의한 모르타르와의 결합력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E) 가소제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용 우레탄계 바인더 조성물에 사용되는 가소제(E)는 폴리머 바인더의 물리적 특성을 개질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접착성 결합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며, 에이징(aging) 후 결합의 파괴를 방지한다. 가소제는 폴리머를 연화시키고, 접착력 정도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접착성 결합에 가요성을 부가하며, 가소제는 또한 폴리머 성분을 위한 유체 운반체(fluid carrier)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는 베이스 중합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용성이어야 한다. 가소제는 화학적 안정성, 비인화성, 저독성 및 저휘발성을 지녀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소제(E)는 벤조에이트계와 프탈레이트계의 가소제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디벤조에이트 가소제,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DEGDB),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DPGDB),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TEGDB), 1,2-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PGDB) 중에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 벤질 프탈레이트(BBP), 디-n-부틸 프탈레이트(DBP),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DI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부틸프탈레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벤조에이트계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제(E)의 함량은 베이스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한다.
실시예
제조예 1: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
에틸렌성 단량체로 분자량 124.18의 1,2-에폭시-4-비닐시클로헥산(중국 MOLBASE사) 1.5 kg과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로 비닐 아세테이트(미국 PubChem사, 제품번호 7904) 1.4 g을 이용하여 물속에서 콜로이드 중합 반응을 시켜 베이스 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베이스 중합체(A) 100 g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성분들을 혼합하였다.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B)은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Sigma-Aldrich사, 제품번호 104817) 20 g를 적용하였다.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C)로,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EVONIK사, 제품명 Dynasylan® AMEO) 1.5 g을 사용하였다. 결합제(D)로 몬탄산염(Clariant사, CaV 102) 4 g과 로디닉산 고형분(Sigma-Aldrich사, 제품번호 364428) 1 g을 혼합물 5 g을 준비하였다. 가소제(E)로 디옥틸 프탈레이트(대정시약, 제품번호 3061-4405) 3 g을 사용하였다. 이들 성분을 혼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을 이용하여 흙과 굵은 골재가 각각 75 중량 및 25 중량%가 함유된 콘크리트 매트릭스 5 kg에, 시멘트 1.5 kg, 고화재(쌍용 지오크리트) 0.5 kg, 혼화재 0.5 kg을 혼합하여 양생하여 70 x 70 x 20 mm 크기의 모르타르 시험편을 제조하고, 그 상부에 폴리우레탄 수지(송원산업(주), SONGSTOMERTM P-2185A) 1 kg 및 바인더 조성물 0.5 kg을 혼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시험용 밑판을 이용하여 각종 물성을 테스트하였다. 물성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부착강도
실시예 1에 따른 시험편을 제작할 때, 온도 20±3 ℃, 상대습도 50±5 % 조건에서 7 일간 양생하여 제작하였다. 이 시험편을 가지고 KS F 4936 (콘크리트 보호용 도막재)에 따라 온·냉반복후 부착강도는 표준 양생이 완료된 후 시험체를 20±2 ℃ 물속에 18 시간 담가 둔 뒤, 즉시 -20±3 ℃의 항온 챔버 속에서 3 시간 냉각시키고, 이어서 50±3 ℃로 3시간 가열하였다. 이를 1 사이클로 하여 10회 반복한 뒤, 20±3 ℃에서 2 시간 정치한 후 부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2) 내마모성
KS F 2813 건축재료 및 건축구성 부품의 마모 시험방법(연마지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연마륜은 CS-17, 추의 무게는 1,000g, 회전수는 1,000회로 하였다.
(다) 미끄럼 저항성
미끄럼 저항성 시험은 KS F2375 [노면의 미끄럼 저항성 시험 방법(BPN)]에 따라 시험하였다.
(4) VOC 함량
VOC 함량 시험은 USEPA Methods 24 Surface Coatings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5) 중금속
중금속 시험은 납, 카드뮴, 6가크롬, 수은의 검출량을 시험하며 시험방법은 KS M ISO 3856-1 (도료와 바니시-“가용성” 금속 함량 측정-제1부:납 함량 측정 방법-불꽃 원자 흡수 분광법과 디티존 분광 광도법), KS M ISO 3856-4 (도료와 바니시-“가용성” 금속 함량 측정-제4부:카드뮴 함량 측정 방법-불꽃 원자 흡수 분광법과 전해 반응 분석법), KS M ISO 3856-5
(도료와 바니시의 "가용성" 금속 함량 측정액상도료의 안료부분이나 분체 도료의 6가 크롬 함량 측정방법-Diphenylcarbazide), KS M ISO 3856-7 도료와 바니시의“가용성”금속 함량 측정-제7부:도료 중 안료분과 수용성 도료 중 액상분의 수은 함량 측정 방법-비불꽃 원자 흡수 분광법으로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40127151-pat00001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은 부착강도, 내마모성,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고, VOC 함량이 극히 낮으며,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는 탄성 바닥재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A) 에틸렌성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와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중합체 100 중량부;
    (B)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 15 내지 30 중량부;
    (C)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 1 내지 2 중량부;
    (D) 몬탄산염 90 내지 95 중량% 및 로디닉산의 고형분 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결합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E) 가소제 1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성 단량체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글리시딜), 알릴글리시딜에테르, 옥세탄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세탄(allyl oxetane), 1,2-에폭시-4-비닐시클로헥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조립 유기고분자 화합물(B)은 3-아미노트리에톡시실란(3-aminotriethoxysilane),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octadecyltrichloro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lane), 헥사메틸다이실라젠(hexamethyldisilazane), 및 트리데카플루로오-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1-트리클로로실란(tridecafluoro-1,1,2,2-tetrahydrooctyl-1-trichloro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C)은 감마아미노실란, 비스(3-트리에톡실릴-프로필)아민(Bis(3-triethoxysilyl-propyl) amine), 비스(3-트리메톡실릴-프로필) 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 ami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E)는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DEGDB),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DPGDB),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TEGDB), 1,2-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PGDB), 벤질 프탈레이트(BBP), 디-n-부틸 프탈레이트(DBP),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DI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및 디부틸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KR1020160050866A 2016-04-26 2016-04-26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KR101754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66A KR101754531B1 (ko) 2016-04-26 2016-04-26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66A KR101754531B1 (ko) 2016-04-26 2016-04-26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531B1 true KR101754531B1 (ko) 2017-07-07

Family

ID=5935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866A KR101754531B1 (ko) 2016-04-26 2016-04-26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431B1 (ko) * 2018-12-06 2019-08-26 주식회사 국지건설 교량 도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0509A (ja) 1998-11-23 2002-09-17 アクゾ ノーベル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それから形成されたコーティング
JP2005206823A (ja) 2003-12-25 2005-08-04 Techno Polymer Co Ltd 熱硬化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離型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0509A (ja) 1998-11-23 2002-09-17 アクゾ ノーベル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それから形成されたコーティング
JP2005206823A (ja) 2003-12-25 2005-08-04 Techno Polymer Co Ltd 熱硬化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離型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431B1 (ko) * 2018-12-06 2019-08-26 주식회사 국지건설 교량 도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91599B (zh) 一种聚合物水泥基防水涂料
JP2018519436A5 (ko)
KR101498872B1 (ko) 방수성능과 내마모성능을 강화시킨 폴리머계 시멘트 방수제 및 이것의 제조방법
CN102796243B (zh) 一种聚氨酯改性环氧树脂胶粘剂、其制备方法及应用
KR101893792B1 (ko) Ldpe 및 sis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991466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uring concrete
KR102078141B1 (ko) 점도가 제어된 논슬립 특성을 갖는 도로 도포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3794B1 (ko) Ldpe 및 sis를 포함하는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40089074A (ko) 유·무기 복합 친환경 방오코팅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TW201702327A (zh) 底漆組成物及其製造方法
KR101926121B1 (ko) 부착성, 유연성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바닥재용 규사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92947B1 (ko) 냄새 저감 및 미끄럼방지 효과가 향상된 미끄럼 방지 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001651B1 (ko)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방법.
CN108047949A (zh) 建筑用聚氨酯改性沥青防水涂料及其生产方法
KR101754531B1 (ko) 탄성 바닥재용 바인더 조성물
CN107418173A (zh) 包括表面改性的微球体的低密度模塑料
KR100887763B1 (ko) 차선도색용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KR100632867B1 (ko) 유색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개질아스팔트
EP3538620A1 (de) Vernetzbare silikonmischungen enthaltend einen guanidinkatalysator und einen haftvermittler
KR101250000B1 (ko) 건축 바닥재용 다용도 에폭시수지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74436B1 (ko) 유색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CN114729224A (zh) 用于化学固定技术的迈克尔加成硬化混合体系
CN104496389A (zh) 一种仿花岗岩无机干粉复合岩片涂料
KR102547496B1 (ko) 폴리우레아 수지를 활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A2782452C (en) Aqueous dispersion primer, coating produced therewith and also method for producing a vapour barrier or an intermediate layer on a sub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