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172B1 - 복수의 성분을 저장 및 계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성분을 저장 및 계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172B1
KR101754172B1 KR1020100071329A KR20100071329A KR101754172B1 KR 101754172 B1 KR101754172 B1 KR 101754172B1 KR 1020100071329 A KR1020100071329 A KR 1020100071329A KR 20100071329 A KR20100071329 A KR 20100071329A KR 101754172 B1 KR101754172 B1 KR 101754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area
membrane
discharge passage
storag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074A (ko
Inventor
만프레드 오브리스트
요세프 에틀린
사산 하비비-나이니
Original Assignee
술저 믹스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술저 믹스팩 아게 filed Critical 술저 믹스팩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01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2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with means for dividing the material flow into separate sub-flows and for repositioning and recombining these sub-flows; Cross-mixing, e.g. conducting the outer layer of the material nearer to the axis of the tube or vice-versa
    • B01F25/4321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with means for dividing the material flow into separate sub-flows and for repositioning and recombining these sub-flows; Cross-mixing, e.g. conducting the outer layer of the material nearer to the axis of the tube or vice-versa the subflows consisting of at least two flat layers which are recombined, e.g. using means having restriction or expansion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5Squeezing a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88Tear-lines for removing successive sections of a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병합 사용(joint use)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1)는, 제1 성분(5)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저장 영역(2) 및 제2 성분(6)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저장 영역(3)을 포함하며, 제1 저장 영역(2)은 제2 저장 영역(3)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1 저장 영역(2)은 막(4)에 의해 제2 저장 영역(3)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저장 영역(2)이 막(4)의 제1 측면(11) 상에 연장하고, 제2 저장 영역(3)이 막(4)의 제2 측면(12) 상에 연장하게 된다. 제1 저장 영역은 제1 배출 통로(7)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저장 영역(3)은 제2 배출 통로(8)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출 통로(7) 및 제2 배출 통로(8)는 공통의 혼합 통로(9) 내로 개방된다. 제1 및 제2 저장 영역(2, 3)과 제1 및 제2 배출 통로(7, 8) 사이에 라인 형상의 꼬임 지점(kinking site)이 배치된다.

Description

복수의 성분을 저장 및 계량하는 장치{APPARATUS FOR THE STORAGE AND METER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본 발명은 사용 전에 서로 직접 혼합되어 혼합된 상태로 이용장치에 공급되어야 하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 및 계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예컨대 다성분 접착제의 개개의 성분의 저장을 위해 이용된다. 다른 응용으로는 식품 산업 또는 의료용 조제품의 패키징이 있다. 이들 장치 모두는 개개의 성분이 사용 전까지 밀폐될 수 있는 별도의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장치는 1회용으로 설계되는 경우에는 흔히 블리스터 패키징(blister packaging)으로 지칭된다. 액상 또는 분말 상태의 충전 재료를 위한 블리스터 패키징의 챔버는 대체적으로 이들 충전 재료를 보관 상태의 환경으로부터 밀봉 방식으로 밀폐하는 딥 드로운 막(deep drawn film) 및 실링 막으로 구성된다.
식료품, 화장품, 의약품, 치과용 제품, 밀봉 화합물 또는 접착제에 대한 다양한 이용장치에서, 복수의 성분은 이들이 의도한 용도에 제공되기 전에 분리되어 저장된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혼합된 상태로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장치가 예컨대 EP 1 947 028 A2에 개시되어 있다.
EP 1 947 028 A2에 따른 장치는, 제1 성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성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이들 2개의 저장 영역은 실질적으로 서로의 위에 배치된다. 각각의 저장 영역은 커버에 의해 견고하게 밀폐될 수 있는 오목부(indentation)를 포함한다. 이 커버는 봉합부(seam)를 형성하면서 오목부로 밀봉될 수 있으며, 저장 영역은 구체적으로는 용접 연결인 연결 부재에 의해 봉합부 외측에 연결 가능하다. 이 커버는 막, 구체적으로 딥 드로운 막으로서 설계되는 것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화학 약품에 대한 저항성과 같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접될 표면이 손쉽게 용접될 수 있는 가소성 물질로 구성되는 알루미늄 복합체 막과 같은 다층 막이 용이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혼합 부재는 DE 20 2005 001 203 U1에 공지되어 있는 다성분 필름 컨테이너용으로 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저장 영역을 결합할 수 있다. 저장 영역은 일측면이 혼합 영역 내로 개방되며, 이 혼합 영역은 저장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각각의 성분이 저장되고 있는 동안에는 이 성분을 위해 제공된 저장 공간에 별도로 저장된다.
DE 20 2005 001 203 U1에 개시된 제1 실시예에서는, 저장 영역 사이에 분리 웹(separating web)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저장 영역은 반구형 쉘(half-shell)로서 형성되며, 이 반구형 쉘은 성분으로 채워지고, 혼합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홈형상의 리세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분리 웹은 배출되는 성분에 의해 소정의 지점에서 따로 떨어져 프레스되어,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홈형상의 리세스에 대한 통로를 개방시킨다.
DE 20 2005 001 203 U1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격벽을 분단(parting)함으로써 성분의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저장 영역과 혼합 부재 간의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혼합기에 개방 펀치(opening punch)가 부착된다.
이러한 용도를 위해, 혼합 부재가 플런저(plunger)를 통해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된다.
분리 웹을 따로따로 프레스하기 위해 또는 격벽의 분단을 위해 플런저 상에 가해지는 힘은, 분리 웹 또는 격벽이 이송 및 저장 시의 분출 및 손상으로부터 충전 재료를 보호하고 또한 이들 충전 재료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큰 벽두께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크다.
플런저는 1회용으로 설계된 장치를 위해서는 그에 따라 소형으로 되므로, 충전 재료의 성분이 혼합되어 분배될 때에 저장 영역에 대한 통로를 신뢰성 있게 개방하기 위해 몇몇 기술을 필요로 한다.
대안으로서, DE 20 2005 001 203 U1에서는 해당 성분을 혼합 부재에 보내는 통로에 도달하는 개방 펀치를 제공한다. 개방 펀치에 압박력이 가해지면, 2개의 저장 영역 사이에 위치된 막이 개방 펀치에 의해 뚫리게 된다. 그 후, 예컨대 저장 영역이 압박력의 인가에 의해 함께 프레스되면, 충전 재료의 해당 성분이 혼합 부재에 대한 통로를 통해 이동한다. 이 경우에는 단지 막만이 뚫어지게 되므로, 가해지는 힘은 명백히 더 작지만, 2개의 통로가 차례로 개방되기 때문에 그에 따라서 통로의 개방은 몇몇 기술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것은 제2 성분을 위한 통로의 개방이 완료되기 전에 통로에 및 혼합 부재에 이미 성분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개방 펀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기술 및 경험이 요구된다.
또한, 혼합 부재를 혼합 부재의 하우징과 함께 변위시킴으로써 격벽을 분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해결 방법에 따르면, 혼합 부재는 혼합 부재의 하우징과 함께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조되어야 한다. 이들 2개의 부품은, 성분이 혼합 부재에 안내되고 또한 혼합 부재를 통해 안내되지만, 다른 지점에서, 구체적으로 혼합 부재와 그 하우징을 포함하는 부품들 간의 연결부에서 또한 저장 영역에서는, 성분의 배출이 신뢰적으로 방지되도록, 연결 부재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해결 방법은 너무 복잡하고 1회용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이 간편하고 적은 개방 힘을 이용하면서도 간략한 이동에 의해 신뢰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저비용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병합 사용(joint use)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충족된다. 본 장치는, 제1 성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성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저장 영역은 상기 제2 저장 영역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것은 제1 저장 영역이 제2 저장 영역 위에 또는 아래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저장 영역은 막에 의해 상기 제2 저장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저장 영역이 상기 막의 제1 측면 상에 연장하고, 상기 제2 저장 영역이 상기 막의 제2 측면 상에 연장하게 된다. 상기 제1 저장 영역은 제1 배출 통로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저장 영역은 제2 배출 통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 통로 및 상기 제2 배출 통로는 공통의 혼합 통로 내로 개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저장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배출 통로 사이에 라인 형상의 꼬임 지점(kinking site)이 배치된다. 라인 형상의 꼬임 지점이란, 꼬임 지점이 라인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라인은 직선 형상일 수도 있고 또는 곡선 형상일 수도 있다.
혼합 부재가 혼합 통로에 배치되어 성분을 사용하기 전에 성분을 균질하게 혼합할 수 있다. 혼합 부재는 특히 정적 혼합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저장 영역 및 상기 제1 배출 통로는 상기 막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저장 영역 및 상기 제2 배출 통로는 상기 막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충전 재료가 양측 저장 영역으로부터 동시에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2개의 저장 영역 상에 수동으로 압력이 가해져 손으로 함께 압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장치는 저장 영역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배출 보조부에 클램프될 수도 있다. 저장 영역의 가요성 덮개가 이러한 압력으로 내려앉게 된다. 충전 재료가 저장 영역을 전부 빠져나올 때까지 분배가 지속함에 따라 저장 영역의 볼륨은 지속적으로 감소된다. 저장 영역의 벽부는 마찬가지로 하나의 덮개 막 또는 복수의 덮개 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배출 통로 및 상기 제2 배출 통로가 베이스를 갖는다. 이 베이스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 통로와 하나의 부분으로 되며, 배출 통로와 결합하는 혼합 부재를 갖는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베이스는 대응하는 저장 영역과 마주보는 단부를 가지며, 꼬임 지점이 베이스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상기 배출 통로가, 대응하는 상기 배출 통로와 관련된 상기 저장 영역의 방향으로 상기 꼬임 지점을 지나 연장하는 분단 부재(parting element)를 갖는다. 제1 성분을 제1 저장 영역에 밀봉 방식으로 유지하고 또한 제2 성분을 제2 저장 영역에 밀봉 방식으로 유지하는 막은, 분단 부재를 통해 분단될 수 있다.
상기 분단 부재는 절결부(cut-out)를 포함하는 것이 이롭다. 이 절결부는 분단된 막이 대응하는 배출 통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한다.
분단 부재는 배출 통로와 관련된 저장 영역의 방향으로 꼬임 지점을 지나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아암을 갖는 것이 이롭다. 이와 달리, 저장 영역이 대응하는 배출 통로의 방향으로 꼬임 지점을 지나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아암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아암은, 배출 통로로부터 출발하는 경우에는, 배출 통로의 이동 시에, 또한 아암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배출 통로에 연결된다. 이것은, 아암의 이동이 배출 통로의 이동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출 통로가 회전 이동을 통해 저장 영역에 대해 꼬임 지점을 중심으로 이동되면, 분단 부재의 대응하는 아암은 막과 접촉하게 되고, 막에 압박력을 가하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압박력에 의해 막이 약화되거나 뚫어지게 되어, 해당 성분에 대한 경로가 배출 통로의 방향으로 뚫리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아암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막과 마주보는 절단 에지를 갖는다. 이 절단 에지는 막과 절단 에지의 접촉 후에 작은 압박력을 이용하여 막에 슬릿 형상의 개구가 발생되도록 설계된다. 절단 에지는 분단 부재의 팁에 또는 팁에 인접하여, 즉 2개의 아암이 함께 하는 지점에 배치된다.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의 각각은, 상기 막을 마주보는 절단 에지가 배치되는 팁(tip)을 형성한다. 절단 에지가 막을 마주보는 아암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 연장하면, 그리고 이 절단 에지가 함께 구체적으로는 점의 형태로 팁에 도달하게 되면, 전체 압박력이 하나의 지점에 집중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막을 뚫기 위해 통로의 작은 변형이 요구되므로, 막을 분단시키기 위해 극히 작은 압박력이 요구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절결부는, 상기 팁,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아암, 및 대응하는 상기 배출 통로의 베이스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개구를 가능한 한 최대로 함으로써, 분단된 막의 일부분이 이 개구를 다시 폐쇄하여, 하나의 성분의 분배가 다른 성분으로 인해 지연되고, 그에 따라 2개의 성분의 혼합 비율이 허용되지 않은 정도로 변경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배출 통로는 베이스 및 이 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제1 벽부 및 제2 벽부를 포함한다. 배출 통로에 있는 벽부는 어셈블리의 일부로서의 배출 통로를 밀폐하는 막이 베이스 위에 놓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나 이상의 아암이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 벽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 아암은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벽부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암 및 벽부는 하나의 피스로 생산되는 혼합 부재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 부재는 특히 사출 성형 공정에서 가소성 물질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팁의 반대측에 위치된 면은 둥근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둥근 부분은 분단 부재가 장치의 보관 시에 손상되지 않아야 하는 막에 의해 둘러싸이게 될 때에 특히 이롭다. 저장 영역이 덮개 막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배출 통로 및 혼합 부재를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이 덮개 막으로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 덮개 막은 손가락 압력으로 변형될 수 있어야 한다. 즉, 가요성을 가져야 한다. 이 덮개 막이 에지 위로 이동하면, 저장 영역 사이의 막과 분단 부재의 접촉 시에는 요구되지만, 대응하는 성분이 생성된 누출부에 의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덮개 막의 경우에는 결코 요구되지 않는 바대로 분단이 이루어진다.
막은 이 막이 꼬여진 상태에서 아암 및/또는 분단 부재에 의해 분단될 수 있도록 꼬임 지점을 따라 꼬여질 수 있다.
상기 분단 부재는, 상기 저장 영역을 밀폐하는 상기 막과 상기 제1 및 제2 배출 통로의 베이스 중의 하나 이상의 베이스 사이의 각도가 180° 미만인 때에는, 상기 막이 상기 분단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측면에 분단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추가하여, 상기 분단 부재는, 상기 저장 영역을 밀폐하는 상기 막과 상기 제1 및 제2 배출 통로의 베이스 중의 하나 이상의 베이스 사이의 각도가 180°보다 클 때에는, 상기 막이 상기 분단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측면에 분단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막은,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꼬임 지점의 제1 측면 상의 막과, 배출 통로를 포함하는 꼬임 지점의 제2 측면 간의 각도가 180°보다 클 때에는, 반대측에 배치된 저장 영역의 측면에서 분단 부재를 통해 분단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라, 상기 혼합 부재는 상기 막에 수용될 수 있어, 혼합 부재의 수용을 위한 튜브의 제조가 생략될 수 있다. 혼합 부재의 벽부는 이러한 점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덮개 막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혼합 부재 위에 배치되는 덮개 막은, 구체적으로 혼합 부재 아래에 배치되는 덮개 막과 연동한다. 덮개 막은 각각의 경우에 제1 또는 제2 저장 영역 중의 하나 이상을 둘러싸는 동일한 덮개 막인 것이 이롭다.
혼합 부재의 2개의 측면 에지에 2개의 덮개 막이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놓여진다. 2개의 덮개 막은 여기서는 지지 영역을 따라 서로 접촉하며, 이 지지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어 혼합 통로가 액밀(fluid-tight) 방식으로 덮개 막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용접 또는 밀봉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이롭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추가하여, 봉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혼합 부재와 덮개 막 사이에는 통형의 공간(hollow space)이 유지된다. 혼합 통로가 원형 단면을 가지면, 이 통형 공간은 작아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 성분과 제2 성분의 분배 시에 누출이 발생한다. 덮개 막은 성분에 의해 덮개 막의 내측면 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혼합 부재의 벽부를 이탈(peel off)할 수 있다.
혼합 통로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혼합 부재는 상기 덮개 막이 돌출부에 접촉하도록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덮개 막이 혼합 부재와 타이트하게 접촉하게 되고, 또한 분배될 성분의 압력 하에서 혼합 부재로부터 덮개 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대 이상의 장점이 얻어진다.
전술한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로부터 제1 성분과 제2 성분을 분배하는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을 고정하는 단계;
제2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제1 배출 통로 및 제2 배출 통로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꼬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저장 영역 및 상기 제2 저장 영역의 회전 이동이 발생하도록 하여, 막이 분단 부재 상에 놓이게 되도록 하는 단계;
해당 저장 영역이 대응하는 배출 통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분단 부재를 통해 상기 막을 분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저장 영역 및 상기 제2 저장 영역 상으로 압박력을 가하는 단계;
상기 제1 성분을 상기 제1 저장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배출 통로에 분배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성분을 상기 제2 저장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배출 통로에 분배하는 단계;
상기 제1 성분과 상기 제2 성분을 혼합 통로에서 혼합시켜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통로로부터 상기 혼합물을 분배하는 단계.
상기 꼬임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 저장 영역 및 상기 제2 저장 영역의 이동에 후속하여,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이동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저장 영역 및 상기 제2 저장 영역의 회전 이동이 상기 꼬임 지점을 중심으로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막이 상기 분단 부재 상에 놓이게 되도록 하고, 상기 분단 부재를 통해 상기 막을 분단시킨다.
고정 부재는 사용자의 손 또는 분배 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보조부는 장치의 수용에 적합하도록 된다. 본 장치는 분배 보조부의 내측에 유지되며, 분배 보조부의 조작에 의해 장치로부터 성분이 분배된다.
본 장치의 2개의 저장 영역은 막 또는 덮개 막, 바람직하게는 열용접,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서로 타이트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열용접은 특히 간편하고 신뢰적인 공정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를 위해, 간편하게 용접될 수 있고 또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딥 드로잉 막이, 용접 장치의 대향 배치된 2개의 가열 스탬프의 프레싱에 의해 함께 용접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장치를 저장 영역, 혼합 통로, 배출 통로의 커버의 일부분의 벽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2 저장 영역을 갖는 도 2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혼합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꼬임 지점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꼬임 이동을 행한 후의 도 6의 상세도.
도 8은 제1 변형예에 따른 혼합 통로의 단면도.
도 9는 제2 변형예에 따른 혼합 통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의 3개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합 사용을 위해 설계된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2개의 성분이 필요에 따라 별도로 저장될 수 있고, 함께 분배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를 위에서 본 도면이며, 장치(1) 중에서 제1 저장 영역(2)에 속하고 제1 성분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장치는 제1 성분(5)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저장 영역(2) 및 제2 성분(6)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저장 영역(3)을 포함한다. 도 1의 저장 영역(2)의 벽부에는 절결부가 도시되어 이 벽부 뒤에 감춰진 성분(5)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각각의 저장 영역(2, 3)은 구체적으로 반구형 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저장 영역(2)은 막(4)에 의해 제2 저장 영역(3)과 분리되어, 2개의 저장 영역의 각각과 막 사이에 밀폐 챔버가 형성된다. 2개의 저장 영역(2, 3)의 각각은 지지 부재(31, 32)를 갖는다. 지지 부재(31, 32)는 밀폐 챔버를 결합시킨다. 제1 저장 영역(2)과 제2 저장 영역(3)은 봉합부(33)를 형성하면서 지지 부재를 따라 밀봉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연결 부재(34)에 의해 봉합부(33) 외측에서 추가로 연결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지지 부재(31) 및 저장 영역(2)은 덮개 막(enveloping film)(3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 및 저장 영역(3)은 덮개 막(39)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별한 반응성 성분에 대해서는, 해당 저장 영역(2, 3)의 내측 벽부에 특수 라이닝 또는 코팅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도 2는 저장 영역(2, 3), 혼합 통로(9), 및 제1 배출 통로(7)와 제2 배출 통로(8)의 일부분의 벽부가 제거된 상태의 장치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는, 혼합 통로(9) 내에 진입되는 부분까지의 제2 배출 통로(8)가 보이도록 막(4)이 부분적으로 생략되어, 배출 통로(7, 8)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있다. 혼합 통로(9)는 혼합 부재(3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저장 영역(2, 3)과 제1 및 제2 배출 통로(7, 8) 사이에 꼬임 지점(10)이 배치된다.
제1 저장 영역(2)과 제1 배출 통로(7)는 막(4)의 제1 측면(11)에 배치되고, 제2 저장 영역(3)과 제2 배출 통로(8)는 막(4)의 제2 측면(12)에 배치된다. 제1 측면(11)은 제2 측면(12)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배출 통로(7, 8) 중의 하나 이상은 해당 배출 통로(7, 8)와 관련된 저장 영역(2, 3)의 방향으로 꼬임 지점(10)을 지나 연장하는 아암(arm)(13, 14, 15, 16)을 갖는다. 배출 통로에 속하는 각각 2개의 인접 아암은 서로 연결된다. 도 2에 따라, 아암(13)은 아암(14)에 연결되고, 이들 2개의 아암(13, 14)은 배출 통로(7)에 속한다. 또한, 아암(15)은 아암(16)에 연결되고, 이들 2개의 아암(15, 16)은 배출 통로(8)에 속한다. 2개의 아암은 각각 분단 부재(parting element)(24, 44)를 형성한다.
도 3은 도 2에서와 같이 제1 저장 영역(2)을 생략한 상태로 제2 저장 영역(3)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3은 제2 측면(12) 상에 위치되는 장치(1)의 부분 및 제1 배출 통로(7)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는 제2 저장 영역(3)이 더 잘보이도록 막(4)이 생략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를 위한 혼합 통로(9)의 반대측에 위치된 저장 영역의 단부에는 웹(3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웹(37)은 제1 고정 부재에 의해 분배 보조부에 고정될 수 있다. 분배 보조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분배 보조부에 대한 예는 WO2006/079413에서 볼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동일한 작용을 갖는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들의 기능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지 않다면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예컨대, 웹(37)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변형이 제1 또는 제2 저장 영역 내에 배치된 충전 재료의 수동 분배에 특히 적합하다.
도 4b에는 혼합 통로(9) 및 2개의 저장 영역(2, 3)이 제1 및 제2 덮개 막(38, 39)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덮개 막은 성분 및 혼합 부재(35)를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이하의 설명은 당연히 제1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장치의 제조를 위해, 제1 덮개 막(38)이 지지대 또는 몰드 상에 위치되며, 이 지지대 또는 몰드는 제1 저장 영역(2) 형상의 절결부와, 제1 배출 통로(7) 및 혼합 통로(9)를 위한 절결부를 가지고 있다. 덮개 막은 지지대 상에서 모든 절결부 내에 놓이도록 지지대에 배치된다. 제1 저장 영역(2)을 위한 절결부는 제1 배출 통로(7) 또는 혼합 통로(9)를 위한 절결부에 연결되지 않는다. 제1 저장 영역(2)은 그에 따라 제1 성분(5)으로 채워질 수 있다. 제1 저장 영역(2)이 제1 성분(5)으로 채워지면, 제1 저장 영역(2)은 막(4)에 의해 덮여지며, 액밀(fluid-tight) 방식으로 밀폐된다. 그러므로, 제1 성분(5)은 제1 저장 영역(2)에 밀봉된다.
후속하여, 제2 덮개 막(39)은, 제2 저장 영역(3) 형상의 절결부와 제2 배출 통로(8) 및 혼합 통로(9)를 위한 절결부를 갖는 지지대 상에 위치된다. 덮개 막(39)은 지지대 상의 모든 절결부에 놓이도록 지지대 또는 몰드 상에 위치된다. 제2 저장 영역(3)을 위한 절결부는 제1 배출 통로(7) 또는 혼합 통로(9)를 위한 절결부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저장 영역(3)의 절결부는 제2 성분(6)으로 채워질 수 있다. 제2 저장 영역(3)이 제2 성분(6)으로 채워지면, 제2 저장 영역(3) 또한 막(40)에 의해 덮여질 수 있으며, 액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저장 영역(3)에 성분(6)이 밀봉된다. 그러나, 특정의 환경 하에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막(40)이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단계에서, 혼합 부재(35)가 혼합 통로(9)를 위한 절결부에 배치되며, 제2 배출 통로(8)가 대응하는 절결부에 배치된다. 혼합 부재(35)는 제1 및 제2 배출 통로(8, 9)에 하나의 파트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한 이들의 정렬이 필요 없도록 하는 것이 이롭다. 제2 저장 영역은 이 경우에는 막(40)에 의해 밀폐될 필요는 없으며, 그 이유는 후속 단계에서, 제1 성분(5)이 밀봉되어 있는 제1 저장 영역(2)과 함께 제1 덮개 막(38)이 제2 덮개 막(39), 제2 성분(6) 및 혼합 부재 상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2개의 성분은 서로 분리된다.
제1 덮개 막(38) 및 제2 덮개 막(39)은 어떠한 절결부도 갖지 않는 해당 덮개 막의 일부분인 접촉면을 따라 서로 연결되며, 이로써 한편으로는 제2 저장 영역(3)에 제2 성분(6)이 밀봉되고, 또한 혼합 부재(35)가 제1 및 제2 배출 통로(7, 8)와 함께 제1 및 제2 덮개 막(38, 39)에 밀봉된다.
중간 단계에서, 추가의 막이 제2 저장 영역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2 저장 영역(3)이 막(40)에 의해 마찬가지로 밀봉된다. 이 변형예는, 장치의 어셈블리에서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및/또는 제2 성분이 대기 중에 노출되지 않거나 광에 민감한 경우, 또는 제2 성분이 배출 통로 또는 심지어는 혼합 부재에 진입될 위험이 있는 경우에 이롭다.
이하에서는, 저장 영역(2, 3)에 밀봉된 2개의 성분(5, 6)이 동시에 분배되어 혼합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는 혼합 부재(35) 및 대응하는 배출 통로(7, 8)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혼합 부재(35) 및 배출 통로(7, 8)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이 이로운 단일 부품으로서 설계된다. 각각의 배출 통로는 베이스(18, 19), 각각의 제1 측벽(20, 22) 및 제2 측벽(21, 23)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8) 및 에지만이 보이고 있는 베이스(19)는 판형 부재(41)와 통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배출 통로(7, 8)가 베이스(18, 19)를 형성한다. 베이스는 해당 저장 영역(2, 3)을 마주보는 단부(29)를 가지며, 베이스의 단부(29)에 의해 꼬임 지점(10)이 형성된다.
각각의 아암(13, 14, 15, 16)은, 이러한 용도의 막(4)과 마주보고 있고 또한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절단 에지(17)를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꼬임 지점(10)의 영역에서의 도 1∼3,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다.
배출 통로(7, 8)는, 막이 위에 연장하는 베이스(18, 19), 제1 벽부(20) 및 제2 벽부(21)를 포함하며, 아암(13, 14, 15, 16)이 막(4)에 의해 베이스(18, 19)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13, 14, 15, 16)은 제1 또는 제2 벽부(20, 21, 22, 23)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다. 분단 부재(24, 44)는 해당 저장 영역(2, 3)의 방향으로 꼬임 지점(10)으로부터 연장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아암(13, 14, 15, 16)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해당 배출 통로(8, 9)의 각각의 베이스(18, 19)는 분단 부재(24, 44) 내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도면에 나타내어져 있지 않다. 각각의 제1 및 제2 아암(13, 14, 15, 16) 중의 하나 이상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막(4)을 마주보는 절단 에지(17)가 배치되는 팁(36)을 형성한다.
제1 배출 통로(7)에 속하는 분단 부재(24)는 절결부(26)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배출 통로(8)에 속하는 분단 부재(44)는 절결부(46)를 포함하고 있다. 절결부(26)는 팁(36),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암(13, 14) 및 제1 배출 통로(7)의 베이스(18)에 의해 둘려싸여져 있다. 절결부(46)는 팁(41),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암(15, 16) 및 제2 배출 통로(8)의 베이스(19)에 의해 둘려싸여져 있다.
대응하는 배출 통로(7, 8)는 베이스(18, 19)로부터 연장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벽부(20, 21, 22, 23)를 가지며, 아암(13, 14, 15, 16) 중의 하나 이상이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 벽부(20, 21, 22, 23)에 결합된다. 인접한 각각 2개의 아암은 막(4)을 마주보는 측면 상에 날카로운 에지를 갖는 대응하는 팁(36, 41)과 함께 연장한다. 이에 추가하여, 아암은 막(4)을 마주보는 측면 상에 날카로운 에지를 가질 수도 있다.
팁(36, 41) 반대측에 위치된 면은 둥근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 막(38, 39) 중의 하나가 이 둥근 부분 위에 놓이게 되면, 덮개 막에 외부 압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예컨대 복수의 장치가 서로의 위에 적층되거나 또는 분배 시에 해당 배출 통로에 인접한 저장 영역에 실수로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부하가 가해지는 때에, 덮개 막이 손상되는 것을 이 둥근 부분에 의해 방지한다.
막(4)은, 저장 영역(2, 3)을 밀폐하는 막(4)과 제1 배출 통로(7)의 베이스(18) 사이의 각도가 180°미만인 때에는, 분단 부재(24)를 통해 제1 측면(11)에 분단될 수 있다.
막(4)은, 저장 영역(2, 3)을 밀폐하는 막(4)과 제2 배출 통로(8)의 베이스(19) 사이의 각도가 180°보다 클 때에는, 분단 부재(44)를 통해 제2 측면(12)에 분단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1 변형예의 혼합 통로(9)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혼합 통로는 덮개 막(38, 39)에 수용되는 혼합 부재(35)를 포함하고 있다. 혼합 부재(35)는 덮개 막(38, 39)이 돌출부(30) 상에 놓여지도록 하나 이상의 돌출부(30)를 갖는 것이 이롭다. 돌출부(30)는 혼합 부재(35)의 외측 벽부의 대향 배치된 측면에 성형될 수 있다. 돌출부(30)의 형상은 덮개 막(38, 39)과 혼합 부재(35) 사이에 통형의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덮개 막(38, 39)이 각각의 경우에 돌출부(30)와 가능한 한 타이트하게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혼합 부재는 4변형 단면, 구체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제2 변형예에 따른 혼합 통로(9)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이 혼합 통로(9) 및 혼합 통로에 배치된 혼합 부재(35)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돌출부(30)는, 오목한 만곡부(42, 43)를 갖는 2개의 표면 피스와, 이 2개의 표면 피스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평면형의 표면(45)을 갖는 표면 피스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2개의 표면 피스(42, 43) 또한 평면형이거나 또는 볼록한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도 8에 도시된 팁이 평탄화되고, 평면형 표면(45)을 형성한다. 평면형 표면(45)은 또한 약간의 만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2개의 덮개 막(38, 39)은 표면 피스(42, 43) 및 평면형 표면(45)을 밀봉 방식으로 접촉하고, 바람직하게는 밀봉 또는 용접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평면형 표면(45)과 직접 결합한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추가하여, 봉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중의 어떠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다성분 접착제 또는 다성분 밀봉 재료의 분리 저장 및 공동 분배(joint dispensing)에 특히 적합하다. 치과 분야 또는 충전 재료에서의 이용장치를 위한 몰드 조성물이 추가의 응용분야가 된다.
제1 및 제2 저장 영역(2, 3)에 위치된 2개의 제1 및 제2 성분(5, 6)이 장치로부터 분배되어야 하면, 이하의 단계가 필요하다:
제1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저장 영역(2, 3)을 포함하는 제1 단부(27)를 고정하는 단계;
제2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배출 통로(7, 8)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단부(28)를 고정하는 단계;
제1 고정 부재를 제2 고정 부재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켜, 꼬임 지점을 중심으로 제1 단부(27)의 회전 이동이 발생하도록 하여, 막(4)이 아암(13, 14, 15, 16) 상에 놓이게 되도록 하는 단계;
해당 저장 영역(2, 3)이 해당 배출 통로(7, 8)에 연결되도록 아암(13, 14, 15, 16)을 통해 막(4)을 분단하는 단계;
제1 저장 영역(2) 및 제2 저장 영역(3) 상으로 압박력을 가하는 단계;
제1 저장 영역(2)으로부터 제1 성분(5)을 제1 배출 통로(7)에 분배하는 동시에, 제2 저장 영역(3)으로부터 제2 성분(6)을 제2 배출 통로(8)에 분배하는 단계;
제1 성분(5)과 제2 성분(6)을 혼합 통로(9)에서 혼합시켜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혼합 통로(9)로부터 혼합물을 분배하는 단계.
꼬임 지점(10)을 중심으로 하는 제1 및 제2 저장 영역(2, 3)의 회전에 후속하여,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회전 방향을 따라 제2 고정 부재에 대해 제1 고정 부재의 이동을 발생시켜, 제1 및 제2 저장 영역(2, 3)의 회전 이동이 꼬임 지점(10)을 중심으로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막(4)이 분단 부재(24) 상에 놓이게 되도록 하고, 분단 부재(24)를 통해 막(4)을 분단한다.
고정 부재는 2개의 성분을 원하는 구체적으로는 이용장치에 공급하기 위해 장치로부터 2개의 성분을 분해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손이 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병합 사용(joint use)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제1 성분(5)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저장 영역(2) 및 제2 성분(6)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저장 영역(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 영역(2)은 상기 제2 저장 영역(3)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저장 영역(2)은 막(4)에 의해 상기 제2 저장 영역(3)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저장 영역(2)이 상기 막(4)의 제1 측면(11) 상에 연장하고, 상기 제2 저장 영역(3)이 상기 막(4)의 제2 측면(12) 상에 연장하며, 상기 제1 저장 영역은 제1 배출 통로(7)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저장 영역(3)은 제2 배출 통로(8)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출 통로(7) 및 상기 제2 배출 통로(8)는 공통의 혼합 통로(9) 내로 개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저장 영역(2, 3)과 상기 제1 및 제2 배출 통로(7, 8) 사이에 라인 형상의 꼬임 지점(kinking site)(10)이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상기 배출 통로(7, 8)가, 대응하는 상기 배출 통로(7, 8)와 관련된 상기 저장 영역(2, 3)의 방향으로 상기 꼬임 지점(10)을 지나 연장하는 분단 부재(parting element)(24, 44)를 가지며, 상기 분단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저장 영역(2, 3)의 방향으로 상기 꼬임 지점(10)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아암(13, 14, 15, 16)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및 제2 아암(13, 14, 15, 16)의 각각은, 상기 막(4)을 마주보는 절단 에지(17)가 배치되는 팁(36, 41)을 형성하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 영역(2) 및 상기 제1 배출 통로(7)는 상기 막(4)의 제1 측면(1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저장 영역(3) 및 상기 제2 배출 통로(8)는 상기 막(4)의 제2 측면(12)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배출 통로(7) 및 상기 제2 배출 통로(8)가 베이스(18, 19)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대응하는 상기 저장 영역(2, 3)과 마주보는 단부(29)를 가지고, 상기 꼬임 지점(10)이 상기 베이스의 단부(29)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 부재(24, 44)는 절결부(cut-out)(26 ,46)를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26, 46)는, 상기 팁(36, 41),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아암(13, 14, 15, 16), 및 대응하는 상기 배출 통로의 베이스(18, 19)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7, 8)는 상기 베이스(18, 19)로부터 연장하는 제1 또는 제2 벽부(20, 21, 22, 23)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상기 아암(13, 14, 15, 16)이 대응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벽부(20, 21, 22, 23)와 결합하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36,41)의 반대측에 위치된 면은 둥근 부분을 갖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 부재(24)는, 상기 저장 영역(2, 3)을 밀폐하는 막과 상기 제1 및 제2 배출 통로의 베이스 사이의 각도가 180° 미만인 때에는, 상기 막(4)이 상기 분단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측면(11)에 분단될 수 있고, 상기 저장 영역(2, 3)을 밀폐하는 상기 막(4)과 상기 제1 및 제2 배출 통로의 베이스 사이의 각도가 180°보다 클 때에는, 상기 막(4)이 상기 분단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측면(12)에 분단될 수 있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부재(35)가 상기 막(4)에 수용되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부재(35)는 상기 막(4)이 돌출부(30)에 접촉하도록 하나 이상의 돌출부(30)를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71329A 2009-07-23 2010-07-23 복수의 성분을 저장 및 계량하는 장치 KR101754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6235 2009-07-23
EP09166235.3 2009-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74A KR20110010074A (ko) 2011-01-31
KR101754172B1 true KR101754172B1 (ko) 2017-07-05

Family

ID=4142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329A KR101754172B1 (ko) 2009-07-23 2010-07-23 복수의 성분을 저장 및 계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21577B2 (ko)
EP (1) EP2277800B1 (ko)
JP (1) JP5893239B2 (ko)
KR (1) KR101754172B1 (ko)
CN (1) CN101961615B (ko)
BR (1) BRPI1002721A2 (ko)
ES (1) ES2403079T3 (ko)
TW (1) TW2011197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7801A1 (de) * 2009-07-23 2011-01-26 Sulzer Mixpac AG Vorrichtung zur Lagerung und Dosierung einer Mehrzahl von Komponenten
US8556128B2 (en) * 2010-11-12 2013-10-15 William A. Harper Dispensing channel pump
US9776203B2 (en) * 2012-12-14 2017-10-03 Sulzer Mixpac Ag Dispensing apparatus for a multi-component mass
US9527106B2 (en) 2013-10-31 2016-12-27 Nordson Corporation Applicator and method for dispensing a viscous fluid
EP3075345A1 (en) * 2015-04-02 2016-10-05 DENTSPLY DETREY GmbH Unit dose package
EP3095727B1 (de) * 2015-05-19 2018-06-13 fischerwerke GmbH & Co. KG Von hand ausdrückbares mehrkomponentenbehältnis
EP3342478A1 (en) * 2016-12-29 2018-07-04 Sulzer Mixpac AG Static mixer, a kit of parts and use of said static mixer
DE102017112440A1 (de) * 2017-06-06 2018-12-06 Shin-Etsu Silicones Europe B.V. Gebinde und Dosiervorrichtung für viskose Materiali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9413A2 (de) * 2005-01-26 2006-08-03 Sulzer Chemtech Ag Mehrkomponentenfolienbehält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98453A (de) * 1961-10-25 1966-03-15 Friedrich Richard Schlatter Ko Behälter für den Transport, die Lagerung und Mischung von verschiedenen Substanzen
CH674717A5 (en) * 1987-11-10 1990-07-13 Profil Ag Mixing device for at least two cartridges - has mixing head, semi-outer welded shells, supplies, strips or screw conveyor
US4952068A (en) * 1989-03-21 1990-08-28 Flint Theodore R Static mixing device and container
DE69111480T2 (de) * 1990-02-14 1996-03-14 Shinsozai Sogo Kenkyusho Kk Gefüllter und abgedichteter, unabhängiger Mischbehälter.
US5161715A (en) * 1991-03-25 1992-11-10 Giannuzzi Anthony C Double-barreled epoxy injection gun
DE4222049C2 (de) * 1992-07-04 1996-11-14 Pharmacia Gmbh Zweikammerbeutel
GB9817578D0 (en) * 1998-08-12 1998-10-07 Cambridge Consultants Pack
US6287612B1 (en) * 1998-12-01 2001-09-11 Nestec S.A. Liquid food products and package therefore
CN2364782Y (zh) * 1998-12-30 2000-02-23 谢国煌 内附吸管的随手杯
US6260735B1 (en) * 2000-05-12 2001-07-17 Colgate-Palmolive Company Uniform dispensing dual chamber sachet
US6612769B2 (en) * 2000-12-13 2003-09-02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ckage and dispensing actuator for multiple-component compositions
FR2826641B1 (fr) * 2001-06-29 2003-09-05 Oreal Dispositif pour la distribution simultanee de deux produits conditionnes separement
US6845883B2 (en) * 2001-10-18 2005-01-25 Kenneth H. Pieri Toothpaste dispenser
US7192179B2 (en) * 2003-07-08 2007-03-20 Angeletta Joseph G Dual mixing system for liquid and lotion applicators
US7325703B2 (en) * 2005-06-16 2008-02-05 R.P. Scherer Technologies, Inc. Multi-cavity blister package for storing and dispensing flowable substances
US20070269253A1 (en) * 2006-05-05 2007-11-22 John Caro Compound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TW200836982A (en) * 2007-01-18 2008-09-16 Sulzer Chemtech Ag A device for the storage and meter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EP1947028B1 (de) 2007-01-18 2012-02-01 Sulzer Mixpac AG Vorrichtung zur Lagerung und Dosierung einer Mehrzahl von Komponenten
US8083103B2 (en) * 2007-03-14 2011-12-27 Sealed Air Corporation (Us) Dispenser with dual pump system
US20090114677A1 (en) * 2007-11-05 2009-05-07 Geoffrey Catherwood Stuart Dual Receptacle Symmetrical Package for Liquids
EP2277801A1 (de) * 2009-07-23 2011-01-26 Sulzer Mixpac AG Vorrichtung zur Lagerung und Dosierung einer Mehrzahl von Komponen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9413A2 (de) * 2005-01-26 2006-08-03 Sulzer Chemtech Ag Mehrkomponentenfolien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61615A (zh) 2011-02-02
CN101961615B (zh) 2015-07-22
JP5893239B2 (ja) 2016-03-23
ES2403079T3 (es) 2013-05-14
US20110017771A1 (en) 2011-01-27
TW201119734A (en) 2011-06-16
EP2277800B1 (de) 2013-04-03
EP2277800A1 (de) 2011-01-26
US9321577B2 (en) 2016-04-26
BRPI1002721A2 (pt) 2012-04-03
JP2011026008A (ja) 2011-02-10
KR20110010074A (ko)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172B1 (ko) 복수의 성분을 저장 및 계량하는 장치
US8689972B2 (en) Packaging for a liquid, powdery or pasty product
EP1341708B1 (en) Package for multiple-component compositions
RU2717917C2 (ru)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KR20070092295A (ko) 조성물을 저장 및 분배하기 위한 장치
EP3259199A1 (en) Multi chamber delivery system
CA2717337C (en) Flexible, flat pouch with port for mixing and delivering powder-liquid mixture
EP2319773A2 (en) Pouch pack having a pressure outlet
US20080173565A1 (en) Device for the storage and meter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US20110017775A1 (en) Apparatus for the storage and meter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JP5000653B2 (ja) 液状及び/又はペースト状の材料を保管及び付与するための装置
JP2007223642A (ja) 化粧料包装体
KR102492048B1 (ko) 화장품을 함유하는 일회용 가변형 캡슐
GB2322114A (en) Pouches for dispensing two-part reactive chemicals
KR101876542B1 (ko) 브리스터를 구비한 미용 팩용 이중 파우치
JP2006503769A (ja) 流体ディスペ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