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159B1 -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159B1
KR101754159B1 KR1020160007510A KR20160007510A KR101754159B1 KR 101754159 B1 KR101754159 B1 KR 101754159B1 KR 1020160007510 A KR1020160007510 A KR 1020160007510A KR 20160007510 A KR20160007510 A KR 20160007510A KR 101754159 B1 KR101754159 B1 KR 10175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posed
unit
air injectio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길
Original Assignee
김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길 filed Critical 김재길
Priority to KR102016000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2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6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6Assisting moving, forwarding or guiding of material
    • B65H2301/4461Assisting moving, forwarding or guiding of material by blowing air towards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2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gas blast
    • B65H2406/12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2Defective operating conditions
    • B65H2511/521Presence of foreign object or undesirable material, i.e. material of another nature than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6Damages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261Clogging
    • B65H2601/2612Pol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머본체의 공간부 내에서 루프형성장치로의 진입전(前) 구간을 통과하게 되는 원단 하부 측에 원단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며 또는/ 및 증열 처리되어 출고되기 전의 원단 하부 측에 원단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가 유입되는 내부 유로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를 좌우 분반(分半)하였을 때 좌측 및 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에어분사모듈;을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에어분사모듈의 각 노즐이 좌측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구조를 갖고, 상기 제2에어분사모듈의 각 노즐이 우측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구조를 가짐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에어분사모듈의 각 노즐에서 토출된 에어에 의해 원단의 변사말림이 확포되도록 구현한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SPREAD APPARATUS OF TEXTILE MACHINE}
본 발명은 섬유기계에서 연속 이송되는 원단의 변사말림을 확포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원단을 향해 좌우 폭 방향으로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원단 변사말림을 펴주게 되는 비(非)접촉식 확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섬유기계에서 길이가 긴 원단을 이송하거나 권취(捲取)하는 과정에서 원단의 변사말림을 방지하고자 원단을 펴주게 되는 확포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96534호(2005.09.14.등록) 섬유기계의 원단 확포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원단이 길게 연속으로 이송되는 중간에 설치되고 지지대에 나선형 요철부가 있는 확포롤러와 가이드롤러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확포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롤러와 확포롤러의 양단을 각각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하되, 일측은 서로 맞물리면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반대방향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하고, 반대쪽에는 서로 간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일방향 동력전달수단을 연결하며, 일측의 어느 한 반대방향 동력전달수단과 타측의 어느 한 동일방향 동력전달수단을 가이드롤러에 설치할 때는 일방향베어링을 설치하되, 각 반대가 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구성한 기술이다.
이때 확포롤러에 의한 원단 펼침 시, 확포롤러 위치에서만 펼쳐지고 특히 섬유기계의 증열 처리장치인 스티머(steamer) 내로 원단이 진입되면 내부의 고온에서 열과 장력으로 다시 원단의 접힘과 변사의 말림현상이 발생하여 증열불량의 원인이 되어 품질의 저하와 생산성저하, 원가상승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원단이 확포롤러와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서, 원단이 날염된 날염포인 경우 날염면의 오염 및 스침현상이 발생하고 아울러 인장오염으로 인해 제품 불량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문헌.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96534호(2005.09.14.등록)
본 발명은 섬유기계, 특히 날염 처리된 원단인 날염포가 연속 이송되는 스티머(steamer) 장치 내에서 날염포를 향해 좌우 폭 방향으로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원단 변사말림을 비(非)접촉식으로 확포하여 날염면의 오염 및 스침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는,
내부 공간부와, 이에 연결된 원단 인입구 및 인출구와, 상기 공간부에 원단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루프형성장치로 이루어진 스티머(steamer)본체를 포함하는 섬유기계에서 원단의 변사말림을 확포하기 위한 확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머본체의 공간부 내에서 상기 루프형성장치로의 진입전(前) 구간을 통과하게 되는 원단 하부 측에 원단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가 유입되는 내부 유로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를 좌우 분반(分半)하였을 때 좌측 및 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에어분사모듈;
을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에어분사모듈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좌측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디의 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1유통공과, 상기 각 제1유통공에 설치되고 좌측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구조를 갖는 다수의 제1노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에어분사모듈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우측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디의 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2유통공과, 상기 각 제2유통공에 설치되고 우측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구조를 갖는 다수의 제2노즐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에어분사모듈의 각 노즐에서 토출된 에어에 의해 원단의 변사말림이 확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는,
섬유기계 내에서 루프 형성 및 증열 처리 등의 공정에 앞서 원단(날염포)을 향해 좌우 폭 방향으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변사말림을 확포하여 주고, 아울러 앞선 공정이 완료된 후 원단 출고 전에도 확포장치를 배치하여 변사말림을 확포하여 줌으로서, 인장오염을 방지하고 제품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확대 구성도,
도 3은 도 1의 B에 대한 확대 구성도,
도 4는 에어분사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및 요부 확대 구성도,
도 5는 확포장치 및 루프형성장치가 설치된 스티머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6은 루프형성장치에서 컨베이어유닛A 및 컨베이어유닛B, 가이드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7은 제1 및 제2 컨베이어체인에 제1 및 제2 브래킷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8은 제3 및 제4 컨베이어체인에 제3 및 제4 브래킷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9는 하강 교차 지점과 상승 교차 지점에서 이송바유닛이 이동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10은 구동안내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11은 날염포에 대한 루프 형성 과정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를 기준으로 스티머본체의 인입구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스티머본체의 인출구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1을 기준으로 제1에어분사모듈 측을 좌부(左部) 또는 좌방, 제2에어분사모듈 측을 우부(右部) 또는 우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우선, 이하에서 설명될 섬유기계는 연속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가공, 증열 등의 처리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기계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날염 처리된 원단(이하에서는 날염포라고 칭함)을 증열 처리시키기 위한 스티머(steamer)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스티머의 스티머본체(S)는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S1)와, 전방 측에 상기 공간부(S1)와 연결되는 인입구(S2)와, 후방 측에 상기 공간부(S1)와 연결되는 인출구(S3)와, 상기 공간부(S1)에 원단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루프형성장치(L)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은 원단의 루프 형성을 위해 상기 루프형성장치(L)로 진입되기 전의 원단 변사말림을 확포하고, 또는/및 루프 형성 후 증열 처리되어 출고되기 전의 원단 변사말림을 확포하기 위한 확포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는,
크게 바디(100), 제1에어분사모듈(200), 그리고 제2에어분사모듈(300)을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 내에서 상기 루프형성장치(L)로의 진입전(前) 구간을 통과하게 되는 원단 하부 측에 원단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가 유입되는 내부 유로(101)
를 포함하는 좌우 긴 형태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에어분사모듈(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100)를 좌우 분반(分半)하였을 때 좌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서 좌측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디(10)의 유로(101)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1유통공(201), 그리고
상기 각 제1유통공(201)에 설치되고 좌측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구조를 갖는 다수의 제1노즐(20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분사모듈(200)은 제1소켓부(203)를 더 포함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소켓부(203)는
상기 제1유통공(201)에 고정 배치되는 제1미들몸체(203a),
상기 제1미들몸체(203a) 상단부(上端部)에서 상방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탑몸체(203b),
상기 제1미들몸체(203a) 하단부(下端部)에서 하방 연장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1) 내로 돌출되는 제1바텀몸체(203c),
상기 제1 미들, 탑 및 바텀 몸체(203a, 203b, 203c) 내를 상하 관통하는 제1설치공간부(203d), 그리고
상기 제1설치공간부(203d) 상부 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선부(203e)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노즐(202)은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나선부(203e)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제1대응나선부(202a)와, 내부에 상기 제1설치공간부(203d)와 연통되는 제1경로(202b)를 갖는 'ㄱ'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1경로(202b)가 좌측으로의 토출형 'ㄱ'자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미들몸체(203a)는 상기 제1유통공(201)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제2에어분사모듈(3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100)를 좌우 분반(分半)하였을 때 우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서 우측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디(100)의 유로(101)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2유통공(301), 그리고
상기 각 제2유통공(301)에 설치되고 우측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구조를 갖는 다수의 제2노즐(30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에어분사모듈(300)은 제2소켓부(303)를 더 포함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2소켓부(303)는
상기 제2유통공(301)에 고정 배치되는 제2미들몸체(303a),
상기 제2미들몸체(303a) 상단부에서 상방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탑몸체(303b),
상기 제2미들몸체(303a) 하단부에서 하방 연장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1) 내로 노출되는 제2바텀몸체(303c),
상기 제2 미들, 탑 및 바텀 몸체(303a, 303b, 303c) 내를 상하 관통하는 제2설치공간부(303d), 그리고
상기 제2설치공간부(303d) 상부 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나선부(303e)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노즐(302)는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2나선부(303e)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제2대응나선부(302a)와, 내부에 상기 제2설치공간부(303d)와 연통되는 제2경로(302b)를 갖고 상기 제1노즐(202)과 서로 대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2경로(302b)가 'ㄱ'자에 대향되는 우측으로의 토출형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미들몸체(303a)는 상기 제2유통공(301)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분사모듈(200)의 제1노즐(202)과 상기 제2에어분사모듈(300)의 제2노즐(302)는 서로 동일한 수량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및 제2 에어분사모듈(200, 300)의 각 노즐(202, 302)에서 토출된 에어가 원단의 변사말림을 좌우로 펴주게 됨으로서, 결국 원단의 변사말림이 확포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형성장치(L)로의 진입전 구간을 통과하게 되는 원단 하부 측 전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둘 이상의 상기 단위체(U)에 의해 하나의 집합체(A)를 이룬다.
결국 상기 바디(100), 제1에어분사모듈(200), 그리고 제2에어분사모듈(300)을 포함하는 단위체(U)가 원단 하부 측 전후로 인접하게 각각 배치됨으로서, 상기 집합체(A)는 원단의 변사말림을 확포하는데 있어 좀 더 용이한 확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에서 상기 인입구(S2)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S4)와, 상기 루프형성장치(L)에 구비되어 원단이 걸쳐지게 되는 이송바유닛(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S4)와 상기 이송바유닛(50) 사이 구간을 통과하는 원단 상부 측에 에어를 토출하게 되는 에어분사유닛(4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분사유닛(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 상부 측에 원단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가 유입되는 내부 에어유로(401a)를 갖는 좌우 긴 형태의 분사프레임(401),
상기 분사프레임(401)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분사프레임(401)의 에어유로(401a)와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유통공(402),
상기 각 분사유통공(402)에 설치되고 하측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구조를 갖는 다수의 분사노즐(403), 그리고
상기 분사유통공(402)에 고정 배치되는 분사미들몸체(404a)와, 상기 분사미들몸체(404a) 상단부에서 상방 연장되어 상기 분사프레임(401)의 에어유로(401a) 내로 돌출되는 분사탑몸체(404b)와, 상기 분사미들몸체(404a) 하단부에서 하방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분사바텀몸체(404c)와, 상기 분사미들몸체(404a), 분사탑몸체(404b) 및 분사바텀몸체(404c) 내를 상하 관통하는 분사설치공간부(404d)와, 상기 분사설치공간부(404d) 하부 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분사나선부(404e)로 이루어진 분사소켓부(40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403)은 상단부 외주면에 상기 분사나선부(404e)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분사대응나선부(403a)와, 내부에 상기 분사설치공간부(404d)와 연통되는 분사경로(403b)를 갖는 일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사미들몸체(404a)는 상기 분사유통공(402)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분사유닛(400)은 상기 가이드롤러(S4)와 상기 이송바유닛(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바유닛(50)에 걸쳐지게 되는 원단 상부 측을 향해 에어를 토출함으로서, 원단 루프 형성을 도와주게 되고, 아울러 원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와 상기 에어분사유닛(400)의 분사프레임(401)은 이들의 양단부(兩端部)가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 양 내벽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에어분사모듈(200)과 상기 에어분사유닛(400)으로의 에어 공급을 위해서,
외부로부터 흡기된 에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 레귤레이터(501)와, 에어를 가열시키기 위한 전기식 히팅유닛(502)과, 가열된 에어에 포함된 응축수를 배출시키고 응축수가 제거된 에어를 공급시키기 위한 스팀트랩(503)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가 설치되는 스티머(steamer) 및 이에 구비되는 루프형성장치(L)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머본체(S)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 전방 측에 이와 연통되는 인입구(S2)가 형성되고,
상기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 후방 측에 이와 연통되는 인출구(S3)가 형성되며,
상기 스티머본체(S)의 전방, 후방 및 상부에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인입구(S2)로 인입되는 날염포와 상기 인출구(S3)로 인출되는 날염포를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S4)들이 설치되고, 또 상기 인출구(S3)로 인출된 날염포를 균일한 폭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진락롤러(S5) 등이 설치되며, 또 상기 인입구(S2)와 인출구(S3) 측에 각각 배기용 팬(S7)이 설치되며, 또 상기 인출구(S3) 측에는 날염포를 강제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S8)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 전후 하부 측에는 다수의 순환팬(S9)이 설치되고, 후술할 컨베이어유닛B(20)의 제3컨베이어체인(21) 또는 후술할 제4컨베이어체인(23)의 이송궤도 상에 배치되어 날염포의 체류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센서(S10)가 설치된다.
상기 루프형성장치(L)는
크게 컨베이어유닛A(10), 컨베이어유닛B(20), 구동유닛A(30), 구동유닛B(40), 이송바유닛(50) 및 가이드유닛(60)으로 이루어지는데,
우선,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前端部) 측에서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에 의해 넘겨진 이송바유닛(50) 및 이에 걸쳐진 날염포(1)가 증열 처리되도록 서행 구동하게 되고, 후단부(後端部) 측에서 이송바유닛(50) 및 증열 처리된 날염포(1)를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으로 넘겨지게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 긴 장공 타입의 이송궤도를 갖는 엔드리스(endless)형 제1컨베이어체인(1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제1프론트 및 제1리어 스프로켓(12, 13), 그리고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과 동일한 이송궤도를 갖는 제2컨베이어체인(14)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1프론트 및 제1리어 스프로켓(12, 13)과 서로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프론트 및 제2리어 스프로켓(15, 1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은 좌측에 전후 수평으로 상기 제1프론트 및 제1리어 스프로켓(12, 13)이 배치되고, 또 우측에 전후 수평으로 상기 제2프론트 및 제2리어 스프로켓(15, 16)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각 스프로켓(12, 13, 15, 16) 및 이하에서 설명된 스프로켓들은 상기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 내벽에 설치되며, 특히 좌측에 위치한 스프로켓들은 공간부(S1) 좌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고 우측에 위치한 스프로켓들은 공간부(S1) 우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 긴 장공 타입이라 함은 좌측에 우측으로 개구된 반원과, 우측에 좌측으로 개구된 반원과, 이 두 반원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두 직선에 의해 이루어진 형상을 의미하고, 이때 장공 타입의 이송궤도라 함은 장공 타입이 이루는 형상을 따라 이송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머본체(S)의 인입구(S2)로 인입된 날염포(1)를 이송바유닛(50)과 함께 상기 컨베이어유닛A(10) 측으로 넘기고 증열 처리된 날염포(1) 및 이가 걸쳐지게 되는 이송바유닛(50)을 다시 넘겨받게 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에서 상기 제1프론트스프로켓(12)과 인접한 영역을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과 하강 교차되게 지나가고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에서 상기 제1리어스프로켓(13)과 인접한 영역을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과 상승 교차되게 지나가는 이송궤도를 포함하는 엔드리스형 제3컨베이어체인(21)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프론트 및 제1리어 스프로켓(12, 13) 좌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제3스프로켓(22), 그리고
상기 제3컨베이어체인(21)과 동일한 이송궤도를 갖는 제4컨베이어체인(23)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각 제3스프로켓(22)과 서로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프론트 및 제2리어 스프로켓(15, 16) 우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제4스프로켓(2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강 교차되게 지나가고라 함은 우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3컨베이어체인(21)과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이 서로 십자(+)형태로 하강 교차되게 지나가는 형태를 의미하고, 특히 상기 제3컨베이어체인(21)은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에서 이가 감겨진 제1프론트스프로켓(12)과 인접한 후방 영역을 지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 교차되게 지나가고라 함은 우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3컨베이어체인(21)과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이 서로 십자(+)형태로 상승 교차되게 지나가는 형태를 의미하고, 특히 상기 제3컨베이어체인(21)은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에서 이가 감겨진 제1리어스프로켓(13)과 인접한 전방 영역을 지나가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은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 전후 및 하부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3 및 제4 컨베이어체인(21, 23)과 맞물리는 다수의 서브스프로켓(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A(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각 스프로켓(12, 13, 15, 16)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제1프론트스프로켓(12) 또는 제1리어스프로켓(13)에 연결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2프론트스프로켓(15) 또는 제2리어스프로켓(16)에 연결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2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각 스프로켓(12, 13, 15, 16)이 회전되게 구현하거나,
또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별도의 스프로켓A을 구비하고 상기 제1프론트스프로켓(12) 또는 제1리어스프로켓(13)에 구동축의 스프로켓A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별도의 스프로켓B을 구비하며 상기 제2프론트스프로켓(15) 또는 제2리어스프로켓(16)에도 별도의 스프로켓C을 구비하고 구동축과 연결되는 별도의 축에도 스프로켓D을 구비한 후 체인에 의해 연결함으로서,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각 스프로켓(12, 13, 15, 16)이 회전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B(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의 각 스프로켓(22, 2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의 제3스프로켓(22) 중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4스프로켓(24) 중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2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각 스프로켓(22, 24)이 회전되게 구현하거나,
또는 전술한 구동유닛A(30)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구동모터로 각 스프로켓(22, 24)이 상호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바유닛(50)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염포(1)가 걸리는, 즉 걸쳐지게 되는 원통형의 행잉(hanging)부(51), 그리고
상기 행잉부(51) 양단부(兩端部)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제1 및 제2 이너로드(52, 5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행잉부(51)는 걸쳐지게 되는 날염포(1)의 좌우 폭과 상응하거나 이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바유닛(50)은 상기 제1 및 제2 이너로드(52, 53) 단부(端部) 각각에 형성되는 사각 단면의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54, 5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유닛(6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A(30)과 구동유닛B(40)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유닛A(10) 및 컨베이어유닛B(20) 구동 시, 상기 이송바유닛(50)이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의 제3 및 제4 컨베이어체인(21, 23)을 따라 함께 이동되다가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제1 및 제2 컨베이어체인(11, 14)과 교차되는 지점 중 하강 교차 지점(P1)에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체인(11, 14)으로 넘겨져 함께 이동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의 제3 및 제4 컨베이어체인(21, 23)과 교차되는 지점 중 상승 교차 지점(P2)에서 상기 제3 및 제4 컨베이어체인(21, 23)으로 넘겨져 함께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제1컨베이어체인(11)에 구비된 인접한 두 핀(P)에 장착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에 대해 직교되는 외측 방향으로 개구(開口)된 제1서포트(611)를 갖고 상기 제1컨베이어체인(1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브래킷(61),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제2컨베이어체인(14)에 구비된 인접한 두 핀(P)에 장착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체인(14)에 대해 직교되는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제2서포트(621)를 갖고 상기 제2컨베이어체인(14)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각 제1브래킷(61)과 서로 좌우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브래킷(62),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의 제3컨베이어체인(21)에 구비된 하나의 핀(P)에 회동케 장착되고 회동 부위 하측에 상방 개구된 제3서포트(631)를 갖고 상기 제3컨베이어체인(2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3브래킷(63),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의 제4컨베이어체인(23)에 구비된 하나의 핀(P)에 회동케 장착되고 회동 부위 하측에 상방 개구된 제4서포트(641)를 갖고 상기 제4컨베이어체인(23)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각 제3브래킷(63)과 서로 좌우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4브래킷(6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3브래킷(63)의 제3서포트(631)와 상기 제4브래킷(64)의 제4서포트(641) 각각은 사각의 단면 공간을 가짐으로서, 상기 각 서포트(631, 641)에 안착 지지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54, 55)가 비(非)회전 된다.
결국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54, 55)가 상기 제3 및 제4 서포트(631, 64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바유닛(50)이 비(非)회전된 상태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이송바유닛(50)에 걸쳐진 날염포(1)가 상기 이송바유닛(50)으로부터 흘러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날염포(1)에 대한 루프 형성 실패를 초래할 수 있는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서와 같이, 상기 각 제1브래킷(61)의 제1서포트(611)와 상기 각 제2브래킷(62)의 제2서포트(621)는 바닥에 상기 제1 및 제2 이너로드(52, 53)와 상응하거나 이보다 큰 곡률을 가지며, 또 각 상단부가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즉, 상부로 갈수록 단면 공간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이너로드(52, 53)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각 제3브래킷(63)의 제3서포트(631)와 상기 각 제4브래킷(64)의 제4서포트(641)는 각 상단부가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즉, 상부로 갈수록 단면 공간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54, 55)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상기 제3서포트(631)와 제4서포트(641) 각각은 좌측과 우측에 벽에 형성되어 있어 이에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로드(54, 55)의 좌우 움직임에 제한된다.
아울러 상기 각 제3브래킷(63)과 각 제4브래킷(64) 각각은 제3컨베이어체인(21)에 구비된 핀(P)과 제4컨베이어체인(23)에 구비된 핀(P)에 회동케 장착된 상태에서 무게가 하부 측에 편중되어 있어 자중에 의해 항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의 제3 및 제4 컨베이어체인(21, 23) 각각에 제3 및 제4 브래킷(63, 64)이 장착될 때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제1 및 제2 컨베이어체인(11, 14) 각각에 구비된 제1 및 제2 브래킷(61, 62)이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체인(11, 14)의 구동에 의해 후방 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 하강 교차 지점(P1)에 위치한 제1 및 제2 브래킷(61, 62)이 후방 측으로 이동하고 전방 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 브래킷(61, 62)이 하강 교차 지점(P1)에 도달해 위치하기까지의 이동소요시간과,
상기 컨베이어유닛B(20)의 제3 및 제4 컨베이어체인(21, 23) 각각에 구비된 제3 및 제4 브래킷(63, 64)이 스티머본체(S)의 인입구(S2)로 인입된 날염포(1)를 걸어 함께 이동하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하강 교차 지점(P1)에 도달해 위치하기까지의 이동소요시간이 서로 상응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브래킷(63, 64)의 장착 간격이 설정된다.
한편, 상기 루프형성장치(L)는 구동안내수단(7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구동안내수단(7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제1 및 제2 컨베이어체인(11, 14) 구동 시, 상기 제1브래킷(61)의 제1서포트(611)와 상기 제2브래킷(62)의 제2서포트(621) 각각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이송바유닛(50)을 구름운동케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제1프론트 및 제1리어 스프로켓(12, 13) 사이에 배치되는 제1서포트블록(71),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제2프론트 및 제2리어 스프로켓(15, 16) 사이에 배치되는 제2서포트블록(72),
상기 이송바유닛(50)의 제1 및 제2 이너로드(52, 53) 각각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블록(71, 72) 상부 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스프로켓(73, 74),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블록(71, 72) 각각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스프로켓(73, 74)과 서로 맞물리게 되는 제1 및 제2 대응맞물림부(75, 7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블록(71, 72) 각각은 상기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 양측 내벽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대응맞물림부(75, 76)는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블록(71, 72)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스프로켓(73, 74)의 튜스(tooth)와 맞물리게 되는 래크(rack)형 톱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블록(71, 72)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장착 고정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컨베이어유닛A(10)의 제1 및 제2 컨베이어체인(11, 14) 구동 시, 이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 제1브래킷(61)의 제1서포트(611)와 제2브래킷(62)의 제2서포트(621) 각각에 상기 이송바유닛(50)의 제1 및 제2 이너로드(52, 53)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스프로켓(73, 74)과 상기 제1 및 제2 대응맞물림부(75, 76)가 서로 맞물려 있기에 상기 이송바유닛(50)은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611, 621) 내에서 구름 운동을 하면서 이동하게 됨으로서, 완전히 건조되지 못한 날염포(1)가 이송바유닛(50)의 행잉부(51)에 걸쳐서 자중에 의해 걸쳐진 부위에 하중을 받거나 열을 받아 변색되거나 날염포(1)의 상하 부위 발색 편차로 인한 발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기존의 스텝 바이 스텝 구동 방식(일정 구간 이동 후 정지를 반복하는 방식)에서 정지 및 출발 시 날염포(1)가 흔들리게 되어 스침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이송바유닛(50)이 연속으로 회전 동작을 하게 되어 이송바유닛(50)에 대한 흔들림 동작을 제한하게 됨으로서 날염포(1)에 대한 스침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
101 : 유로
200 : 제1에어분사모듈
201 : 제1유통공
202 : 제1노즐
202a : 제1대응나선부
202b : 제1경로
203 : 제1소켓부
203a : 제1미들몸체
203b : 제1탑몸체
203c : 제1바텀몸체
203d : 제1설치공간부
203e : 제1나선부
300 : 제2에어분사모듈
301 : 제2유통공
302 : 제2노즐
302a : 제2대응나선부
302b : 제2경로
303 : 제2소켓부
303a : 제2미들몸체
303b : 제2탑몸체
303c : 제2바텀몸체
303d : 제2설치공간부
303e : 제2나선부
400 : 에어분사유닛
401 : 분사프레임
401a : 에어유로
402 : 분사유통공
403 : 분사노즐
403a : 분사대응나선부
403b : 분사경로
404 : 분사소켓부
404a : 분사미들몸체
404b : 분사탑몸체
404c : 분사바텀몸체
404d : 분사설치공간부
404e : 분사나선부

Claims (4)

  1. 내부 공간부(S1)와, 이에 연결된 원단 인입구(S2) 및 인출구(S3)와, 상기 공간부(S1)에 원단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루프형성장치(L)로 이루어진 스티머(steamer)본체(S)를 포함하는 섬유기계에서 원단의 변사말림을 확포하기 위한 확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 내에서 상기 루프형성장치(L)로의 진입전(前) 구간을 통과하게 되는 원단 하부 측에 원단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가 유입되는 내부 유로(101)를 갖는 바디(100); 및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100)를 좌우 분반(分半)하였을 때 좌측 및 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에어분사모듈(200, 300);
    을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에어분사모듈(200)은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서 좌측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디(100)의 유로(101)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1유통공(201)과, 상기 각 제1유통공(201)에 설치되고 좌측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구조를 갖는 다수의 제1노즐(2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에어분사모듈(300)은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서 우측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디(100)의 유로(101)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2유통공(301)과, 상기 각 제2유통공(301)에 설치되고 우측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구조를 갖는 다수의 제2노즐(302)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에어분사모듈(200, 300)의 각 노즐(202, 302)에서 토출된 에어에 의해 원단의 변사말림이 확포되며,

    상기 제1에어분사모듈(200)은 상기 제1유통공(201)에 고정 배치되는 제1미들몸체(203a)와, 상기 제1미들몸체(203a) 상단부(上端部)에서 상방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탑몸체(203b)와, 상기 제1미들몸체(203a) 하단부(下端部)에서 하방 연장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1) 내로 돌출되는 제1바텀몸체(203c)와, 상기 제1 미들, 탑 및 바텀 몸체(203a, 203b, 203c) 내를 상하 관통하는 제1설치공간부(203d)와, 상기 제1설치공간부(203d) 상부 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선부(203e)로 이루어진 제1소켓부(2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202)은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나선부(203e)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제1대응나선부(202a)와, 내부에 상기 제1설치공간부(203d)와 연통되는 제1경로(202b)를 갖는 'ㄱ'자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에어분사모듈(300)은 상기 제2유통공(301)에 고정 배치되는 제2미들몸체(303a)와, 상기 제2미들몸체(303a) 상단부에서 상방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탑몸체(303b)와, 상기 제2미들몸체(303a) 하단부에서 하방 연장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1) 내로 노출되는 제2바텀몸체(303c)와, 상기 제2 미들, 탑 및 바텀 몸체(303a, 303b, 303c) 내를 상하 관통하는 제2설치공간부(303d)와, 상기 제2설치공간부(303d) 상부 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나선부(303e)로 이루어진 제2소켓부(3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노즐(302)은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2나선부(303e)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제2대응나선부(302a)와, 내부에 상기 제2설치공간부(303d)와 연통되는 제2경로(302b)를 갖고 상기 제1노즐(202)과 서로 대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형성장치(L)로의 진입전 구간을 통과하게 되는 원단 하부 측 전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둘 이상의 상기 단위체(U)에 의해 하나의 집합체(A)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머본체(S)의 공간부(S1)에서 상기 인입구(S2)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S4)와, 상기 루프형성장치(L)에 구비되어 원단이 걸쳐지게 되는 이송바유닛(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S4)와 상기 이송바유닛(50) 사이 구간을 통과하는 원단 상부 측에 에어를 토출하게 되는 에어분사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4. 삭제
KR1020160007510A 2016-01-21 2016-01-21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KR10175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510A KR101754159B1 (ko) 2016-01-21 2016-01-21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510A KR101754159B1 (ko) 2016-01-21 2016-01-21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159B1 true KR101754159B1 (ko) 2017-07-19

Family

ID=5942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510A KR101754159B1 (ko) 2016-01-21 2016-01-21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15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RM20110364A1 (it) Apparecchiatura a più linee per posizionare frutti, in particolare pesche
WO201419539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ildung von verpackungseinheiten
EP28459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washing of fabrics
KR101754159B1 (ko) 섬유기계의 원단 변사말림 확포장치
JP6896290B2 (ja) 搬送装置
KR101699285B1 (ko) 이중 브러쉬 농산물 세척기
KR101694775B1 (ko) 날염포의 무장력 루프 형성 장치
JP5938027B2 (ja) スチーム洗浄装置
JP2015218045A (ja) 物品供給装置
JP2023053984A (ja) ノンフライ麺製造用乾燥装置
US3768283A (en) De-soiling apparatus
KR102055619B1 (ko) 수세부가 구비되는 원단 열처리 가공기
KR101598363B1 (ko) 스트립 건조 장치
KR101228653B1 (ko) 더블레인형 농수축산물 박스 컨테이너 자동세척기
JP5725938B2 (ja) 搬送装置
JP4348588B2 (ja) 容器処理装置
DE102007033912A1 (de) Verfahren zum Glätten von Bekleidungsstücken und Tunnelfinisher
JP2004315187A (ja) 物品の自動搬送水切り装置および自動搬送水切り方法、並びに物品の自動洗浄装置及び自動洗浄方法
CN104773486B (zh) 淋水式杀菌机用的输送装置以及淋水式杀菌机
JPH04106011A (ja) 洗浄用機械を通る部品のためのコンベヤ
JP3020009U (ja) ストランドの冷却搬送装置
KR101254443B1 (ko) 원단 폭 넓이를 갖는 다각형 원단 이송관이 형성되는 염색기
EP3571341B1 (en) Machine for treating folded printed fabrics
JP2019094093A (ja) シュリンク包装機における熱収縮装置
KR100740146B1 (ko) 포직물염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