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180B1 -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180B1
KR101753180B1 KR1020160082756A KR20160082756A KR101753180B1 KR 101753180 B1 KR101753180 B1 KR 101753180B1 KR 1020160082756 A KR1020160082756 A KR 1020160082756A KR 20160082756 A KR20160082756 A KR 20160082756A KR 101753180 B1 KR101753180 B1 KR 10175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ard
cover
fastening
reinforc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용
양인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6008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80B1/ko
Priority to PCT/US2017/037477 priority patent/WO201800509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가 장착된 트레이를 전자기기에 삽입하고 인출하기 위한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드를 장착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카드 소켓에 삽입 및 인출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에 있어서, 카드 소켓의 입구를 커버링하는 커버편과, 상기 커버편보다 얇은 두께로 상기 카드 소켓 내부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편을 구비하는 커버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커버부의 결합편에 체결되는 일측 단부의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에서 카드 소켓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의 보강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기 결합편에 체결되는 금속 재질의 한 쌍의 보강 프레임; 및 카드가 장착되는 장착홀 또는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결합편에 일체로 접합되는 비금속 재질의 트레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레이부는 보강 프레임이 체결된 상기 커버부를 인서트 물로 하는 인서트 사출로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및 그 제조방법{Card connec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카드 접속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가 장착된 트레이를 전자기기에 삽입하고 인출하기 위한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카드(메모리 카드 또는 SIM카드)가 장착되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경우 사용상 편리성을 위해 카드를 트레이에 탑재한 상태로 삽입하고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카드 트레이는 CNC 가공, 금속 분말 사출 등과 같은 금속 가공 트레이와, 플라스틱 사출 가공 트레이로 구분된다.
구분 가공방법 재질 가격 강도 두께 크기
금속가공 트레이 CNC가공 알루미늄 고가 얇다 중간
금속분말사출 스테인레스스틸 고가 얇다 작다
플라스틱 트레이 사출 플라스틱 저가 두껍다 크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 가공 트레이는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지만 알루미늄 등과 같은 고가의 금속 재질을 사용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와 반대로 플라스틱 트레이는 제조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강도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특히, 금속 가공 트레이는 전기기기에서 접촉 또는 비접촉에 의한 전기적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는 비접촉 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이나 무선 충전수단 등을 구비하는데, 금속 소재의 트레이가 카드 소켓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이러한 무선통신에 간섭되어 통신품질의 불량을 초래하거나, 전기적인 쇼트 등으로 기기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등록특허 10-1554128호(선행문헌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접속기구(1)를 삽입과 인출을 위한 커버부(handle, 11)와 카드가 장착되는 트레이부(body, 12)를 별도로 분리하여, 상기 커버부(11)는 금속 재질로 제조하고, 상기 트레이부(12)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한 후, 이들을 일체로 결합하는 방식의 카드 접속기구(1)를 제시하고 있다. 이때, 이종 재질의 커버부(11)와 트레이부(12)는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선행문헌1의 트레이부(12)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전기적 간섭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면서, 카드 접속기구는 커버부(11)가 금속 소재로 구성되어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메탈 느낌의 스마트폰 케이스와 외관이 조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의 카드 접속기구(1)는 이종 재질의 커버부(11)와 트레이부(12)가 접합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구조로서, 외부로부터 강한 외력이 작용할 때 그 접합이 파괴되어 커버부(11)와 트레이부(12)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카드 접속기구의 커버부와 트레이부는 이종 재질의 접합에 따른 특성상 그 접합면의 결합력에 한계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카드 접속기구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간섭을 해결하고 접속기구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10-1596316호(선행문헌2)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본체(21)에 금속 프레임(22)이 결합되는 구조의 카드 접속기구(2)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2의 카드 접속기구(2)는 비금속 재질의 트레이 본체(21)가 커버부와 트레이부를 구성하고, 금속 재질의 프레임(22)이 인서트 몰딩으로 트레이 본체(21)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카드 접속기구(2)는 커버부와 트레이부가 분리될 우려가 없으며, 비금속 재질에 의하여 전기적인 간섭을 최소로 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카드 접속기구(2)는 커버부와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 금속 프레임(22)이 형성되어, 고가의 금속 재질에 의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접속기구(2)는 비록 비금속 재질의 트레이 본체에 의하여 직접적인 접촉에 따른 전기적 간섭은 방지할 수 있으나, 내부에 금속 재질이 위치하여 비접촉에 의한 간섭과 이에 따른 통신품질의 불량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10-1554128호(2015.09.14.등록, 휴대단말기용 SIM 카드 트레이) 한국등록특허 10-1596316호(2016.02.16.등록, 전자기기용 카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 캐리어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자기기와 전기적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을 나타낼 수 있는 카드 접속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커버부와 트레이부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드를 장착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카드 소켓에 삽입 및 인출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에 있어서,
카드 소켓의 입구를 커버링하는 커버편과, 상기 커버편보다 얇은 두께로 상기 카드 소켓 내부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편을 구비하는 커버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커버부의 결합편에 체결되는 일측 단부의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에서 카드 소켓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의 보강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기 결합편에 체결되는 금속 재질의 한 쌍의 보강 프레임; 및 카드가 장착되는 장착홀 또는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결합편에 일체로 접합되는 비금속 재질의 트레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레이부는 보강 프레임이 체결된 상기 커버부를 인서트 물로 하는 인서트 사출로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보강편의 연장 방향이 전환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체결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더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에서 카드 소켓 내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결합편과 상기 보강 프레임의 체결편은 단차 구조를 이루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체결편에 버(burr)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는 버 홀(burr hole)이 형성되어 상기 버 홀(burr hole)에 삽입되는 상기 버(burr)에 대한 스피닝(spinning) 가공으로 체결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체결편과 결합편에 리벳 홀(rivet hole)이 형성되고 상기 리벳 홀을 관통하는 리벳에 의하여 체결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결합편과 상기 체결편의 접착(bonding) 또는 용접(welding)에 의하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드를 탑재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카드 소켓에 삽입 및 인출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한 쌍의 체결편, 상기 체결편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편 및 상기 보강편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걸림편을 갖는 보강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이송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b) 카드 소켓의 입구를 커버링하는 커버편과 상기 커버편보다 얇은 두께로 상기 커버편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편을 갖는 커버부를 준비하여, 상기 체결편가 상기 결합편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의 보강 프레임에 상기 커버부를 체결하는 단계;
(c) 일체를 이루는 상기 보강 프레임과 커버부를 인서트 물로 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지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에 트레이부를 사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이송 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하여 카드 접속기구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보강 프레임에 커버부를 체결하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보강 프레임을 인서트 물로 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상기 커버부를 사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 프레임은 공정 진행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커버부를 체결하는 상기 (b) 단계와, 상기 트레이부를 사출하는 상기 (c) 단계와, 상기 카드 접속기구를 분리하는 상기 (d) 단계의 공정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드를 수용하는 트레이부가 비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접촉 또는 비접촉에 따른 전자기기와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고가의 금속 재질의 사용을 최소로 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와 트레이부 사이의 결합력을 최대로 하여 외력에 의하여 커버부와 트레이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다른 카드 접속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 카드 접속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커버부와 보강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와 보강 프레임의 다양한 체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 카드 접속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커버부와 보강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10)는 카드 접속기구(10)를 카드 소켓에 삽입/인출시 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면서 카드 소켓의 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100, handle), 카드를 장착한 상태에서 카드 소켓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트레이부(300, body) 및 커버부(100)와 트레이부(300)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커버부(100)와 트레이부(300) 사이에 개입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200, frame)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카드 접속기구(10)가 카드 소켓 내부로 삽입될 때, 트레이부(300)는 트레이 삽입 경로를 따라 카드 소켓 내부로 삽입되며 커버부(100)는 트레이 삽입 경로의 입구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커버부(100)는 외측으로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자기기 케이스와 강도의 균형(balance)을 유지하면서 견고성을 보장하며, 내측으로는 트레이부(3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커버부(10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소재 구성되며, CNC 가공이나 단조 가공 등의 공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0)는 전자기기 케이스이 소재에 따라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도 구성될 수도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의 커버부(100)는 사출 공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면서 카드 소켓 입구를 커버링하는 커버편(110)과, 커버편(110)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편(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버편(110)은 카드 소켓 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며, 결합편(120)은 커버편(110)보다 얇은 두께(폭)를 이루면서 카드 소켓 내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다. 커버편(110)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편(120)에는 보강 프레임(200)과 트레이부(300)가 결합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200)은 일측은 커버부(100)의 결합편(120) 상면 또는 하면에 체결되고, 타측은 트레이부(300)에 인서트 몰딩되어 이들의 결합을 보강한다. 보강 프레임(200)은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일 예로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의 체결은 다양한 방식의 체결수단(150)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300)는 카드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카드 소켓에 삽입될 때 전기적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트레이부(300)는 중앙에 홀 또는 홈 형상의 카드 장착홀(300a)이 마련되며,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트레이부(300)는 보강 프레임(20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커버부(100)의 결합편(120)과 접합된다. 즉, 트레이부(300)는 커버부(100)의 결합편(120)에 접함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보강 프레임(200)과도 접합이 이루어져 커버부(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카드 접속기구(10)는 커버부(100)의 결합편(120)에 트레이부(300)가 직접 접합되어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커버부(100)의 결합편(120)과 카드 접속기구(10) 사이에 금속 재질의 보강 프레임(200)이 더 개입되어 이들의 결합을 보강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커버부(100)와 카드 접속기구(10)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의 A-A 방향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는 결합편(120)이 단차 구조를 이룬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편(120)은 커버편(110)보다 얇은 두께를 이루면서 돌출되는 제1결합편(121)과, 다시 제1결합편(121)보다 얇은 두께를 이루면서 돌출되는 제2결합편(122)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단차를 이루는 결합편(120)은 접합 면적을 증가시켜 트레이부(300)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보강 프레임(200)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편(210)이 제2결합편(122)과 체결될 수 있으며, (b)와 같이 보강 프레임(200)의 체결편(210)도 제1체결편(211)과 제2체결편(212)의 단차 구조를 이루어 이들이 각각 제1결합편(121)과 제2결합편(122)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분리형 보강 프레임을 나타내었고, (b)와 (c)는 일체형 보강 프레임을 나타내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 프레임(200)은 커버부(100)의 결합편(120)에 체결되는 일측 단부의 체결편(210)과, 체결편(2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편(220)과, 보강편(220)의 단부가 절곡되는 걸림편(230)으로 구성되며, 커버부(100)의 길이 방향 양 측부에서 결합편(12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결편(210)은 커버부(100)의 결합편(120)에 체결되기 위한 구성으로, 결합편(12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수단(도 4의 150 참조)이 마련된다. 또한, 보강편(220)은 트레이부(300)와의 접합 면적을 확대시키는 구성으로, 체결편(210)에서 카드 소켓 내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보강편(220)은 인서트 사출시 사출 수지와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므로 보강 프레임(200)이 트레이부(300)와의 접합력을 더욱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걸림편(230)은 인서트 사출된 트레이부(300)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보강편(220) 단부에서 절곡되면서 연장된다. 보강편(220) 단부가 절곡되는(즉, 연장 방향이 전환되는) 걸림편(230)은 걸림턱으로 기능 하므로, 인서트 사출 후 트레이부(300)가 보강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걸림편(230)은 보강편(220) 단부에서 상,하,좌,우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카드 접속기구(10)의 두께를 고려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보강 프레임(200)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보강 프레임(200)은 커버부(100)의 양 측단에서 결합편(120)에 각각 체결된다. 이러한 보강 프레임(200)은 트레이부(300)의 양측 테두리부 내부로 수용되어 커버부(100)와 트레이부(300)의 결합력을 보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보강 프레임(200)은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240)에 의하여 한 쌍의 체결편(210)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체형의 보강 프레임(200)은 연결편(240)도 커버부(100)의 결합편(120)에 체결되어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의 체결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국, 트레이부(300)에 대한 결합력을 더욱 강하게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연결편(240)과 결합편(120)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트레이부(300)의 사출 수지가 주입되는 수지 주입홀 또는 주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주입홀은 연결편(240)과 결합편(120)이 상하로 관통되는 홀 또는 홈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을 인서트 물로 하는 인서트 사출시 사출 수지가 주입홀에 채워져, 인서트 사출로 형성된 트레이부(300)와 커버부(100) 또는 보강 프레임(200)의 분리가 방지되어 이들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편(240)이 구비된 일체형의 보강 프레임(200)은 (c)와 같이 연결편(24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편(250)은 한 쌍의 보강편(220) 사이에 위치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부(100)의 중앙 부분에서 트레이부(300)와의 결합력을 보강한다. 이때, 돌출편(250)의 단부에는 보강편(220)과 마찬가지로 걸림편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와 보강 프레임의 다양한 체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에서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은 결합편(120)과 체결편(210) 사이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며, 이때, 다양한 구조의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과 같이 보강 프레임(200)의 버(151, burr)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보강 프레임(200)의 체결편(210)에는 일측으로 버(151)가 돌출 형성되고, 커버부(100)의 결합편(120)에는 상기 버(151)에 대응되는 버 홀(152, burr hole)이 형성되며, 버 홀(152)에 삽입된 버(151)에 대한 스피닝(spinning) 가공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리벳(153, rivet)을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결합편(120)과 체결편(210)에는 리벳 홀(154, rivet hole)이 각각 형성되고, 리벳(153)이 상기 리벳 홀(154)들을 관통하여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를 체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와 같이 접착테이프(155, bonding)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결합편(120)과 체결편(210) 사이에 양면 접착성의 접착테이프(155)가 개입되어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을 체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와 같이 용접(156, welding)을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결합편(120)과 체결편(210)은 접착 처리되거나 용접 처리됨으로써,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부(100)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금속 소재의 보강 프레임(200)을 인서트 물로 하는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편(240)이 더 구비되는 일체형의 보강 프레임(200)은 연결편(240)과 결합편(120) 사이에도 상기와 같은 체결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1a 내지 11e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11a 와 같이 커버부(100)를 제조하여 준비한다. 이때, 커버부(100)는 커버편(110)과 결합편(120)이 성형되어야 하며 재질에 따라 CNC 가공이나 단조 가공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00)의 제조와는 별도로 도 11b 와 같이 이송 프레임(400)을 제조하여 준비한다. 이송 프레임(400)은 중앙에 트레이부(300)가 사출되기 위한 공간부(400a)를 형성하면서 사각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는 보강 프레임(200)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송 프레임(400)은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CNC 가공이나 단조 가공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c 와 같이 이송 프레임(400)의 보강 프레임(200)에 별도로 제조한 커버부(100)를 체결한다. 커버부(100)의 체결을 위하여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에는 버(burr)와 버 홀(burr hole)과 같은 체결수단(150)들이 미리 형성된다. 보강 프레임(200)에 커버부(100)가 체결되거나 인서트 사출 된 후, 도 11d 와 같이 일체로 체결된 커버부(100)와 보강 프레임(200)을 인서트 물로 하여 트레이부(300)를 사출하여, 이송 프레임(400)에서 카드 접속기구(10)를 제조한다. 이어서, 보강 프레임(200)을 이송 프레임(400)으로부터 절단하여 카드 접속기구(10)를 이송 프레임(40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드 접속기구(10)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커버부(100)가 플라소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커버부(100)도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보강 프레임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즉, 도 11b 와 같이 보강 프레임(200)이 일체로 형성된 이송 프레임(400)은 준비하고, 도 11c 와 같이 보강 프레임(200)을 인서트 물로 하여 커버부(100)를 1차 사출한다. 그리고 도 11d 와 같이 보강 프레임(200)과 커버부(100)의 사출물을 인서트 물로 하여 트레이부를 2차 사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속기구(10)는 이송 프레임(400)을 이용함으로써,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이송 프레임(400)은 다수개가 연속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송 프레임(400)은 이용한 카드 접속기구(10)의 제조 공정은 일반적으로 이송 프레임(400)이 횡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진행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송 프레임(400)은 횡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다수의 이송 프레임(400)은 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커버부 체결(또는 커버부 사출), 트레이부 사출 및 카드 접속기구 분리 공정이 순서대로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때, 이송 프레임(400)의 이송을 위하여 타 측에는 프레임 이송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가 연결된 이송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 카드 접속기구 제조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대량 생산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카드 접속기구
100 : 커버부
110 : 커버편 120 : 결합편
200 : 보강 프레임
210 : 체결편 220 : 보강편
230 : 걸림편 240 : 연결편
250 : 돌출편
300 : 트레이부
400 : 이송 프레임

Claims (11)

  1. 카드를 장착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카드 소켓에 삽입 및 인출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에 있어서,
    카드 소켓의 입구를 커버링하는 커버편과, 상기 커버편보다 얇은 두께로 상기 카드 소켓 내부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편을 구비하는 커버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커버부의 결합편에 체결되는 일측 단부의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에서 카드 소켓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의 보강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기 결합편에 체결되는 금속 재질의 한 쌍의 보강 프레임; 및
    카드가 장착되는 장착홀 또는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결합편에 일체로 접합되는 비금속 재질의 트레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레이부는 보강 프레임이 체결된 상기 커버부를 인서트 물로 하는 인서트 사출로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보강편의 연장 방향이 전환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체결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더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연결편에서 카드 소켓 내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결합편과 상기 보강 프레임의 체결편은 단차 구조를 이루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체결편에 버(burr)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는 버 홀(burr hole)이 형성되어, 상기 버 홀(burr hole)에 삽입되는 상기 버(burr)에 대한 스피닝(spinning) 가공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체결편과 결합편에 리벳 홀(rivet hole)이 형성되고, 상기 리벳 홀을 관통하는 리벳에 의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결합편과 상기 체결편의 접착(bonding) 또는 용접(welding)에 의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9. 카드를 탑재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카드 소켓에 삽입 및 인출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한 쌍의 체결편, 상기 체결편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편 및 상기 보강편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걸림편을 갖는 보강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이송 프레임를 준비하는 단계;
    (b) 카드 소켓의 입구를 커버링하는 커버편과 상기 커버편보다 얇은 두께로 상기 커버편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편을 갖는 커버부를 준비하여, 상기 체결편과 상기 결합편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의 보강 프레임에 상기 커버부를 체결하는 단계;
    (c) 일체를 이루는 상기 보강 프레임과 커버부를 인서트 물로 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지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에 트레이부를 사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이송 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하여 카드 접속기구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에 커버부를 체결하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보강 프레임을 인서트 물로 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상기 커버부를 사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제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프레임은,
    공정 진행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커버부를 체결하는 상기 (b) 단계와, 상기 트레이부를 사출하는 상기 (c) 단계와, 상기 카드 접속기구를 분리하는 상기 (d) 단계의 공정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제조방법.
KR1020160082756A 2016-06-30 2016-06-30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75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756A KR101753180B1 (ko) 2016-06-30 2016-06-30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및 그 제조방법
PCT/US2017/037477 WO2018005097A1 (en) 2016-06-30 2017-06-14 Card connec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756A KR101753180B1 (ko) 2016-06-30 2016-06-30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180B1 true KR101753180B1 (ko) 2017-07-19

Family

ID=5942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756A KR101753180B1 (ko) 2016-06-30 2016-06-30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3180B1 (ko)
WO (1) WO201800509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66221U (zh) 2013-02-26 2013-08-28 安费诺-泰姆斯(常州)通迅设备有限公司 一种浮动卡托盘结构
KR101554128B1 (ko) 2014-12-20 2015-09-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sim 카드 트레이
CN105449450A (zh) 2015-12-30 2016-03-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具有按键结构的卡托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28115U (en) * 2007-08-17 2008-03-01 Advanced Connectek Inc Supporting dock for fixing electrical card
KR20160045284A (ko) * 2014-10-17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트레이 분리용 지그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66221U (zh) 2013-02-26 2013-08-28 安费诺-泰姆斯(常州)通迅设备有限公司 一种浮动卡托盘结构
KR101554128B1 (ko) 2014-12-20 2015-09-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sim 카드 트레이
CN105449450A (zh) 2015-12-30 2016-03-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具有按键结构的卡托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5097A1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9239B2 (ja) Rfidタグ
EP1784766B1 (en) Progressive unplugging multi-cards body
US20130231013A1 (en) Crimping terminal
US20170194738A1 (en) Cable Connector
JP2012084444A (ja)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US10741919B2 (en) Antenna device
KR101753180B1 (ko) 전자기기용 카드 접속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6096337B2 (ja) 電子機器用のカードトレイ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トレイキャリアアセンブリ
KR102574606B1 (ko)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9281599B2 (en) Portable device
CN109560444B (zh) 连接器的制造方法
CN201868608U (zh) 一种电子卡连接器
US972236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shell
CN201708385U (zh) 改进的连接器结构
US20200276663A1 (en) Welding connection element
CN104979074A (zh) 感应部件
CN107796954A (zh) 传感器装置及传感器装置中传感器元件与端子板的连接方法
CN107104317A (zh) 一种卡托
KR101971407B1 (ko) 카메라 모듈용 부품의 제조 및 결합 방법
CN104810682B (zh) 插座电连接器
CN209766838U (zh) 一种转换插头及电源适配器
CN206432473U (zh) 具有凸缘保护结构的电连接器及该电连接器的舌板模块
JP2009023670A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0829161B1 (ko) 코일 조립체의 제조방법
WO2007063654A1 (ja) 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及び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