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061B1 -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061B1
KR101753061B1 KR1020150079178A KR20150079178A KR101753061B1 KR 101753061 B1 KR101753061 B1 KR 101753061B1 KR 1020150079178 A KR1020150079178 A KR 1020150079178A KR 20150079178 A KR20150079178 A KR 20150079178A KR 101753061 B1 KR101753061 B1 KR 101753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foliate
diabetes
powder
diabetic ra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081A (ko
Inventor
이성현
최봉겸
이선혜
김남석
장환희
김정봉
김행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7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06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삼채(Allium hookeri) 잎 분말은 당뇨 흰쥐에 급여하였을 때, 삼채 뿌리 분말이나 삼채 잎 추출물에 비해 공복시 혈당과 당화혈색소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혈중 인슐린 수준 및 췌장 내 인슐린 분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삼채 잎 분말을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llium hookeri leaf powder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mellitus}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Diabetes)은 대표적인 만성 성인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는 전체 인구의 약 5%정도로 최소한 250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뇨병은 혈중에 있는 당분이 인슐린 분비의 부족이나 인슐린의 작용 및 기능 부족으로 인해 에너지로 사용되지 못하고 혈액에 남아 있게 되는 질병이다.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식생활의 서구화, 비만증,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을 들을 수 있다. 현재 미국, 유럽 및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비만 및 당뇨병의 증가로 인한 사회 경제적인 파장이 엄청나며, 한국의 경우도 경제적 발전으로 인해 당뇨병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2025년경에는 3억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Kim, Y., Diabetes Care, 1995, 18:545-548).
당뇨병은 크게 인슐린 의존성인 제1형 당뇨병과 비의존성 제2형 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다. 제1형 당뇨병 환자는 유전적 원인 또는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하여 인슐린을 거의 분비하지 못하며, 제2형 당뇨병 환자는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은 정상이다. 많은 경우 비만을 동반하는 제2형 당뇨병은 혈중 내 지방산의 증가로 인하여 인슐린저항성이 유도되어 포도당 대사에 이상이 발생하여 결국 혈중 내 혈당이 높아지는 질환이며, 아울러, 췌장소도의 기능 부전 및 이로 인한 인슐린 분비의 이상과 신호 전달 이상이 제2형 당뇨병의 원인으로 또한 생각된다.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 병인의 주요 요소로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90%이상에서 나타나며, 고혈당이 나타나기 수년 전부터 선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Haffner S M, et al. JAMA, 1990, 263:2893-2898). 인슐린 저항성과 이에 따른 대사 이상 및 혈관계 이상들의 집합체를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insulin resistance syndrome) 또는 대사 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라 한다. 인슐린 저항성과 대사증후군은 심혈관계 질환, 특히 관동맥 질환의 위험도 증가와 연관성이 있으며(Isomaa B, et al. Diabetes Care, 2001, 24:683-9), 대사증후군으로 인해 관동맥 질환의 위험도와 사망률을 3배 정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Lakka H, et al. JAMA, 2002, 288:2709-2716).
대사증후군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관상 또는 동맥경화증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는 것으로서 1988년 Reaven(Reaven GM, Diabetes, 1988, 37:1595-1607)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되었다. 대사증후군은 인슐린저항성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 과체중이나 비만을 동반하고 있다. 대사증후군은 또한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이며,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제1형 당뇨병과 달리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가 대사증후군을 동반할 때 사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Bonora E, et al. Diabet Med., 2004, 21:52-8; Ford ES, Diabetes Care., 2005, 28:1769-78; Alexander CM, et al. Diabetes, 2003, 52:1210-1214). 또한, 제2형 당뇨병의 대혈관 및 미세혈관 합병증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의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어 있다(Mykkanen L, et al. Diabetologia., 1993, 36:553-559; Haffner SM, et al. Diabetes, 1992, 41:715-722).
삼채(Allium hookeri)는 동아시아의 중국 남부, 인도, 부탄, 스리랑카 등에 분포하며, 숲, 습지 및 해발 1400 m 내지 4200 m의 초원지대에서 자란다. 뿌리 부추라고도 하며, 맛과 모양이 인삼과 비슷하다고 하여 삼채(蔘菜)라고도 하며, 쓴맛, 단맛, 매운맛의 3가지 맛이 난다하여 삼채(三菜)라고도 한다. 식물체의 높이는 약 0.6 내지 1 m이며, 삼채의 알뿌리, 잎 및 꽃을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삼채의 당뇨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능에 대하여 알려진 바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당뇨 예방 및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삼채 잎 분말을 당뇨 흰쥐에 급여하였을 때, 공복시 혈당과 당화혈색소가 감소하였고, 혈중 인슐린 수준 및 췌장 내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삼채 잎 분말이 당뇨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채(Allium hookeri)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삼채(Allium hookeri) 잎 분말은 당뇨 흰쥐에 급여하였을 때, 삼채 뿌리 분말이나 삼채 잎 추출물에 비해 공복시 혈당과 당화혈색소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혈중 인슐린 수준 및 췌장 내 인슐린 분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삼채 잎 분말을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당뇨 흰쥐에서 삼채잎 및 삼채뿌리 분말, 삼채잎추출물의 혈당 감소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당뇨 흰쥐에서 삼채잎 및 삼채뿌리 분말, 삼채잎추출물의 당화혈색소 감소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당뇨 흰쥐에서 삼채잎 및 삼채뿌리 분말, 삼채잎추출물의 혈중 인슐린 증가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당뇨 흰쥐 췌장에서 삼채잎 및 삼채뿌리 분말, 삼채잎추출물의 인슐린 분비 증가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당뇨를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당뇨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당뇨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기능성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거나 생리기능 활성화를 통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식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한 것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삼채 잎 분말은 1 내지 5%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공복시 혈당 및 당화혈색소를 감소시키고, 혈중 인슐린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뇨는 제2형 당뇨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삼채 잎 분말을 제조하여, 당뇨 흰쥐의 사료에 배합하여 8주간 급여하여 공복시 혈당 변화를 확인한 결과, 삼채 잎 분말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삼채 잎 추출물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당은 8%, 삼채 뿌리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당은 15%, 삼채 잎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당은 31%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1 참조), 당화혈색소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삼채 잎 분말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삼채 잎 추출물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당화혈색소는 38%, 삼채 뿌리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당화혈색소는 34%, 삼채 잎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당화혈색소는 40%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2 참조), 혈중 인슐린 수준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삼채 잎 분말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삼채 잎 추출물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중 인슐린 수준은 1.5배, 삼채 뿌리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중 인슐린 수준은 1.5배, 삼채 잎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중 인슐린 수준은 2.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3 참조), 췌장 내 인슐린 분비 변화를 확인한 결과, 삼채 잎 분말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뿐만 아니라 삼채 뿌리 분말이나 삼채 잎 추출물을 복용한 당뇨 흰쥐에 비해 삼채 잎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상기 결과들로 삼채 잎 분말이 삼채 뿌리 분말이나 삼채 잎 추출물에 비해 당뇨 흰쥐에서 혈당 및 당화혈색소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인슐린 분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은 당뇨 흰쥐에 급여하였을 때, 삼채 뿌리 분말이나 삼채 잎 추출물에 비해 공복시 혈당과 당화혈색소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혈중 인슐린 수준 및 췌장 내 인슐린 분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삼채 잎 분말을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또는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삼채 잎 분말의 양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당뇨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삼채 잎 분말은 1 내지 5%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공복시 혈당 및 당화혈색소를 감소시키고, 혈중 인슐린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뇨는 제2형 당뇨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은 당뇨 흰쥐에 급여하였을 때, 삼채 뿌리 분말이나 삼채 잎 추출물에 비해 공복시 혈당과 당화혈색소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혈중 인슐린 수준 및 췌장 내 인슐린 분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삼채 잎 분말을 당뇨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법률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지 제조,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삼채 잎 분말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삼채( Allium hookeri ) 잎 분말의 제조
삼채는 전라북도 순창군 농업기술센터의 형태학적 평가를 통해 동정된 것을 구입하여, 세척 후 잎과 뿌리를 분리한 후, 잎을 동결 건조(PVTFD 10R, Ilsin Lab, 양주, 대한민국)한 후, 동결건조된 삼채 잎을 균일하게 40 메쉬(mesh) 분쇄기(FM909T, Hanil, 원주,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분말로 만들어, -75℃에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삼채잎).
< 비교예 1> 삼채 뿌리 분말의 제조
삼채는 전라북도 순창군 농업기술센터의 형태학적 평가를 통해 동정된 것을 구입하여, 세척 후 잎과 뿌리를 분리한 후, 뿌리를 동결 건조(PVTFD 10R, Ilsin Lab, 양주, 대한민국)한 후, 동결건조된 삼채 뿌리를 균일하게 40 메쉬(mesh) 분쇄기(FM909T, Hanil, 원주,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분말로 만들어, -75℃에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삼채뿌리).
< 비교예 2> 삼채 추출물의 제조
삼채 잎을 수세한 후 동결건조(PVTFD 10R, Ilsin Lab, 양주, 대한민국)하였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쇄한 후, 시료 100 g에 중량 대비 20배의 70% 발효주정을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씩 2회 반복하여 교반추출(Jeio tech sk-71, Lab companion, 대전, 대한민국)하였다. 추출물은 ADVANTEC 페이퍼(No.6)(ADVANTEC Co., 도쿄, 일본)를 이용하여 감압여과하였고, 감압농축기(EYELA N-1000, Riakikai Co., Ltd., 도쿄, 일본)를 사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 하여 실험에 비교군으로 사용하였다(삼채잎추출물).
< 실시예 2> 실험동물의 준비
5주령의 C57BLKS/J-db/db(db/db) 마우스(2형 당뇨 및 비만)(중앙실험동물(주), 대한민국)에 삼채 무첨가 사료(대조군) 및 삼채 첨가 사료(약 3%)(삼채잎 섭취군)와 식수를 8주간 자유롭게 급여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의 온도는 24℃±1, 습도는 55±5%로 조절하였고, 인공조명을 통한 명암교대는 12시간씩으로 유지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관리는 국립농업과학원 동물윤리심사위원회의 심의를 준수하였다.
< 실험예 1> 삼채에 의한 공복시 혈당의 변화 확인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에 의한 당뇨 흰쥐에서 공복시 혈당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삼채 잎 분말, 상기 <비교예 1>의 삼채 뿌리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의 삼채 잎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2>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삼채 무첨가 사료(대조군) 및 삼채 첨가 사료(약 3%)(삼채잎분말, 삼채뿌리분말, 삼채잎추출물)를 8주간 급여한 후,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액 내 공복시의 혈당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채 잎 분말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삼채 잎 추출물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당은 8%, 삼채 뿌리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당은 15%, 삼채 잎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당은 31%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 실험예 2> 삼채에 의한 당화혈색소의 변화 확인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에 의한 당뇨 흰쥐에서 당화혈색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삼채 잎 분말, 상기 <비교예 1>의 삼채 뿌리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의 삼채 잎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2>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삼채 무첨가 사료(대조군) 및 삼채 첨가 사료(약 3%)(삼채잎분말, 삼채뿌리분말, 삼채잎추출물)를 8주간 급여한 후, 마우스 HbA1C(당화 헤모글로빈(glycosylated hemoglobin) 헤모글로빈 A1c) 효소면역학적인 방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키트(MyBioSource, Inc.)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채 잎 분말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삼채 잎 추출물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당화혈색소는 38%, 삼채 뿌리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당화혈색소는 34%, 삼채 잎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당화혈색소는 40%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 실험예 3> 삼채에 의한 혈중 인슐린(insulin) 수준의 변화 확인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에 의한 당뇨 흰쥐에서 혈중 인슐린 수준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삼채 잎 분말, 상기 <비교예 1>의 삼채 뿌리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의 삼채 잎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2>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삼채 무첨가 사료(대조군) 및 삼채 첨가 사료(약 3%)(삼채잎분말, 삼채뿌리분말, 삼채잎추출물)를 8주간 급여한 후, 마우스 단일클론(monoclonal) 항-렛트(anti-rat) 인슐린 항체가 코팅된 렛트/마우스 인슐린 ELISA 키트(Merck Millipore, 미국)를 이용하여 혈중 인슐린 함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채 잎 분말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삼채 잎 추출물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중 인슐린 수준은 1.5배, 삼채 뿌리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중 인슐린 수준은 1.5배, 삼채 잎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혈중 인슐린 수준은 2.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 실험예 4> 삼채에 의한 췌장 내 인슐린 분비 변화 확인
본 발명의 삼채 잎 분말에 의한 당뇨 흰쥐에서 췌장 내 인슐린 분비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삼채 잎 분말, 상기 <비교예 1>의 삼채 뿌리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의 삼채 잎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2>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삼채 무첨가 사료(대조군) 및 삼채 첨가 사료(약 3%)(삼채잎분말, 삼채뿌리분말, 삼채잎추출물)를 8주간 급여한 후,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췌장을 분리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탈수와 투명화 과정을 거쳐 파라핀 포맷을 한 후, 절편기(rotary microtome)(Jung Histocut 820, Leica, 독일)을 사용하여 7 ㎛ 두께의 파라핀 조직 절편을 제작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을 수행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 방법은 췌장 조직 절편을 0.1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PB)으로 세척한 후 조직 절편 내에 내재되어 있을 과산화효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0.3%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고, 1% normal goat serum(Vector Laboratories, Inc.)과 0.3% Triton X-100(Sigma, 미국)으로 1시간 처리하여 비특이성 항원의 반응을 제거하였다. 항-인슐린 항체(anti-insulin antibody)를 1:1000 희석배율로 희석하여 조직 절편에 떨어뜨린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1차 항체의 희석은 0.1 M 인산완충액에 1% normal goat serum과 0.3% Triton X-100이 섞여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 후 조직 절편들은 실온에서 15분 동안 2회 0.1 M 인산완충액으로 세척하였으며, Hsu 등(1981)의 방법에 따라 2차 항체인 바이오틴이 결합된 항-토끼 IgG(biotinylated anti-rabbit IgG)(Vector Laboratories, Inc.)를 1:200으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시 15분간 2회 0.1 M 인산완충액으로 세척과정을 거친 후 페록시다아제(peroxidase)가 표지된 ABC 용액에 담가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시 0.1 M 인산완충액으로 15분간 2회 세척하고 30 mg의 3-3' 다이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를 150 ㎖의 0.1 M 인산완충액에 녹인 용액에서 5분간 반응시켰고, 과산화수소를 0.005% 되게 첨가하여 갈색의 발색반응을 약 5분간 시행하였다. 반응이 끝난 조직들은 다시 0.1 M 인산완충액으로 여러 차례 세척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탈수와 투명화를 거친 후 permount로 봉입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채 잎 분말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뿐만 아니라 삼채 뿌리 분말이나 삼채 잎 추출물을 복용한 당뇨 흰쥐에 비해 삼채 잎 분말을 복용한 당뇨 흰쥐의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상기 결과들로 삼채 잎 분말이 삼채 뿌리 분말이나 삼채 잎 추출물에 비해 당뇨 흰쥐에서 혈당 및 당화혈색소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인슐린 분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삼채(Allium hookeri)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공복시 혈당 및 당화혈색소를 감소시키고, 혈중 인슐린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는 제2형 당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50079178A 2015-06-04 2015-06-04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3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178A KR101753061B1 (ko) 2015-06-04 2015-06-04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178A KR101753061B1 (ko) 2015-06-04 2015-06-04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081A KR20160143081A (ko) 2016-12-14
KR101753061B1 true KR101753061B1 (ko) 2017-07-05

Family

ID=5757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178A KR101753061B1 (ko) 2015-06-04 2015-06-04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212B1 (ko) * 2019-09-02 2021-02-17 박무순 약용 및 식용 천연물의 건조분말과 발효액을 혼합하여 숙성한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39159B1 (ko) * 2019-09-02 2021-04-13 박무순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09B1 (ko) 2013-04-05 2014-09-24 김호현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52970B1 (ko) 2014-03-04 2015-09-1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또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09B1 (ko) 2013-04-05 2014-09-24 김호현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52970B1 (ko) 2014-03-04 2015-09-1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또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연지.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5년 4월, pp. 295-3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081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692B1 (ko)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52382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3008262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KR101269208B1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3061B1 (ko)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782969B1 (ko) 발효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22535353A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KR101883096B1 (ko) 쿠퍼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급성 폐 손상 또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82492B1 (ko) 페룰릭산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92059B1 (ko)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017933A (ko) 당뇨병 개선 효과능이 있는 탱자 발효 조성물
KR101001159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6151419B2 (ja) ポリフェノール吸収促進剤
KR101047796B1 (ko)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갖는 냉초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102556621B1 (ko) 울금 및 정향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6231B1 (ko) 엘루테로사이드 e를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 또는 인슐린 저항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2060B1 (ko)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6881B1 (ko) 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70108432A (ko) 치커리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90015423A (ko) 아위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026857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