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060B1 -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060B1
KR102292060B1 KR1020190153579A KR20190153579A KR102292060B1 KR 102292060 B1 KR102292060 B1 KR 102292060B1 KR 1020190153579 A KR1020190153579 A KR 1020190153579A KR 20190153579 A KR20190153579 A KR 20190153579A KR 102292060 B1 KR102292060 B1 KR 10229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holesterol
weight
insulin
honey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868A (ko
Inventor
유동술
최규동
황인구
김우석
Original Assignee
유동술
최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술, 최규동 filed Critical 유동술
Priority to KR102019015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0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료들을 대상으로 한 고지방식이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 체중, 혈당 및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수치 감소, 고분자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수치 증가, 저분자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 수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1); 경구 당부하 검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한 면에서(실험예 2), 본 발명의 상기 조합 추출물이 저분자 콜레스테롤 억제 및 비만 예방 즉, 체중 증가 저해 효과 및 저분자 콜레스테롤 억제 효능 면에서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는 예기치 못한 항비만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하였으며, 시판되는 약물인 pioglitazone과 유사한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탁월하고 강력한 치료효능을 확인함으로서 비만증/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of the combined extract of Cissus verticillata and Cyclopia Intermedia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본 발명은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O'Rahilly S, et al., Diabetologia, 31 pp792-797, 1988;
[문헌 2]Barnett AH, et al., Diabetologia, 20, pp87-93, 1981
[문헌 3]Smith U., et al.,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6, pp897-904, 2002
[문헌 4] Mayerson AB, et al., Am. Fam. Physician, 55 pp817-824, 1997;
[문헌 5] Vannasaeng S, et al., J. Med. Assoc. Thai., 78, pp578-585, 1995
[문헌 6] Kannel, W.B. and McGee, D.L. JAMA, 241, pp2035-2038, 1979
[문헌 7]Fuller, J.H., Lancet, 1, pp1373-1376, 1980
[문헌 8] Drobnik J, Oliveira AB, "Cissus verticillata (L.) Nicolson & C.E. Jarvis (Vitaceae): its identification and usage in the sources from 16th to 19th century". J. Ethnopharmacol., 171, pp317-329, 2015.
[문헌 9] Miller AB et al., harm. Biol., 53, pp548-554, 2015
[문헌 10] Song M et al., Neurochem. Int., 121, pp75-85, 2018
[문헌 11] Joung H et al., J. Med. Food, 20, pp439-447, 2017).
본 발명은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혈액 중에 포도당의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고혈당증(hyperglycemia)을 특징으로 하며, 혈액 중 포도당이 적절히 세포에서 활용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출이 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혈액으로 들어온 포도당이 세포로 들어가서 이용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자(pancreas) 베타(β)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의 도움이 필요하며, 당뇨병은 인슐린이 부족(1형 당뇨병)하거나 인슐린은 충분하더라도 포도당을 세포 속으로 넣어주는 역할을 하지 못하면(2형 당뇨병), 포도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되고 혈액 속에 남아돌아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여 결국 소변으로 포도당이 넘쳐 나오게 된다.
제1형 당뇨병(type Ⅰ 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이라고 하며, 이자의 베타세포가 바이러스의 감염, 자가면역 질환에 의해 파괴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세포가 없기 때문에 혈당을 조절하지 못한다. 이러한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은 유전적으로 나타나거나, 젊은 계층에서 나타나며, 발병 빈도는 전체 당뇨병의 10-15 %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나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70% 이상에서 당뇨병이 관찰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유전적 요인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O'Rahilly S, et al., Diabetologia, 31 pp792-797, 1988; Barnett AH, et al., Diabetologia, 20, pp87-93, 1981).
제2형 당뇨병(type Ⅱ 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이자의 베타세포가 정상형태로 있지만, 체내의 인슐린 내성(insulin resistance) 등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은 나이가 많은 성인이나 비만인 청장년층에게서 흔히 나타나며,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85-90%를 차지하고 있다.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은 비만에 의해서 질병이 촉진되는데, 그 이유는 음식물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면 혈당 증가가 유도되며, 증가된 혈당은 이자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과다한 인슐린이 혈액으로 분비하게 된다. 이 때 과다로 분비된 인슐린에 의해 혈액은 고인슐린혈증(hyperinsulinemia)을 유발하고, 고인슐린혈증으로 인해서 간과 같은 표적장기는 과도한 반응을 하게 되며, 과도한 반응을 줄이기 위해 인슐린 수용체가 간 등에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인슐린 수용체의 감소는 결국 인슐린에 대한 반응을 줄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이자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더라도 결국 인슐린에 의한 효과는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혈당이 증가하였을 때 혈당을 억제하지 못해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Smith U., et al.,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6, pp897-904, 2002).
지금까지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연구는 다양한 접근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식이요법 및 운동, 인슐린의 직접 투여나 혈당강하 약물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당강하 약물로 알려진 것에는 설포닐유레아, 티아졸리딘디온, 비구아니드 등이 있는데 이들이 효과적으로 혈당을 낮추기는 하지만, 부작용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설포닐유레아의 경우 저혈당증이나 소화불량, 현기증, 졸림 등의 경미한 증상에서부터 신장 및 간 질환, 심혈관 사망률의 증가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그 사용에 매우 제약이 따른다. 한편 티아졸리딘디온은 인슐린이 있는 환경에서 인슐린에 의한 반응을 증진시켜 주는 것이므로, 인슐린이 체내에서 분비되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적혈구의 형태 이상 등을 유발하여, 현기증, 두통 등을 유발하고, 단지 인슐린의 존재 시에 효과적이며 적혈구 이상 및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Mayerson AB, et al., Am. Fam. Physician, 55 pp817-824, 1997; Vannasaeng S, et al., J. Med. Assoc. Thai., 78, pp578-585, 1995). 이러한 부작용 때문에 합성물질의 사용에는 매우 제약이 많이 따르므로, 합성물질보다는 천연물질의 사용이 부작용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비만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대사성질환의 가장 바탕에 있기 때문에, 인슐린의 분비이상을 초래하는 비만을 조절할 시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 뿐 아니라, 각종 대사성 질환, 인슐린이 분비 이상과 관련된 치매 등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고혈당으로 인한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은 당뇨성 동맥경화, 말초신경마비, 신장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당화혈색소 수치는 당뇨병 환자에서 심장질환, 망막변증, 신장병증, 혈액순환 장애, 망막손상, 신경세포 손상, 신장 기능 저하 및 혈관 합병증 등 심각한 만성적 합병증(Kannel, W.B. and McGee, D.L. JAMA, 241, pp2035-2038, 1979)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정상인에 비해서 당뇨환자에 있어서는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혈전,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높다(Fuller, J.H., Lancet, 1, pp1373-1376, 1980).
인슐리나 (Cissus verticillata)는 16세기 역사적 자료에서 처음으로 기술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위가 허약허거나, 열이 있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경우에 처방되었다(Drobnik J, Oliveira AB, "Cissus verticillata (L.) Nicolson & C.E. Jarvis (Vitaceae): its identification and usage in the sources from 16th to 19th century". J. Ethnopharmacol., 171, pp317-329, 2015).
이와 함께, 최근의 논문을 통해서 인슐리나는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서 높은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Miller AB et al., The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Guatemalan medicinal plants. Pharm. Biol., 53, pp548-554, 2015), 인슐리나 차의 혈당강하효과가 알려진 바가 있고(일본특허공개 제 2001-238649호, 2001. 09. 14. 공개), 동속식물인 시서스속 식물(Cissus quadrangularis), 베르노니아속식물(Vernonia glabra) 및 키토산(chotosan) 조합의 체중억제 효과가 개시된 바가 있다 (국제 특허공개 제 PCT/WO 2001/15716 A1).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는 멜리안투스과(Melianth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 남아프리카의 절벽지역을 따라서 자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꽃에서 꿀 향기가 난다고 하여 허니부쉬라는 이름이 붙여진 식물로서 민간요법으로 감기, 불면증, 배탈을 치료하는데 이용되어 왔으며, 동속식물인 시클로피아속 식물(Cyclopia subternata) 식물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가 개시된 바가 있다 (국제 특허공개 제 PCT/WO 2008/110552 A2)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의 조합 추출물의 비만 질환에 대한 상승적인 치료효과가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치료제들의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천연물에서 비만저해 효능이 있는 물질을 검색하던 중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 추출물에서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체중, 혈당 및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수치 감소, 고분자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수치 증가, 저분자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 수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1), 억제 효능 면에서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는 예기치 못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함으로서 비만증/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는 코스타리타, 칠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멕시코, 미국 등 수입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로 독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수입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 상대 배합비가 1 : 0.01 내지 100(w/w)의 배합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 0.5 내지 50(w/w)의 배합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0.2 내지 20 (w/w)의 배합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 1 (w/w)의 배합 중량부,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1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1 (w/w) 의 배합 중량부인 조합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인슐리나 및/또는 허니부쉬 추출물은 개개 시료의 전초, 줄기, 잎, 뿌리 등의 부위 시료를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 주정 또는 에탄올,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50 % 주정 또는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은
(1)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의 추출물, 또는
(2) 개개 인슐리나 추출물 및 허니부쉬 추출물들의 혼합물, 또는
(3) 이들 조합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합 추출물은 인슐리나 추출물 및 허니부쉬 추출물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생약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뿐 아니라, 상기 추출물의 농축물 및 희석물, 및 상기 추출물, 농축물, 및 희석물의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추출물"은 생약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상기 추출물의 건조물, 상기 추출물의 농축물 또는 희석물, 및 상기 농축물 또는 희석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을 0.1~50 중량%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비만증"이란 체내에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동맥경화 및 췌장염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비만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합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건조된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를 각각 세척 및 세절 후 건조된 재료 중량 대비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8 배 부피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수회 섞은 다음에 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1주일, 바람직하게는 14시간 내지 52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법, 열수 추출법, 상온 추출법 또는 환류추출법, 바람직하게는 상온 추출법을 약 1 내지 2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회 반복 수행하는 제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얻은 추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얻는 개개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개개 건조 추출물 분말을 건조 중량 상대 배합비가 1 : 0.01 내지 100(w/w)의 배합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 0.5 내지 50(w/w)의 배합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0.2 내지 20(w/w)의 배합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 1 (w/w)의 배합 중량부,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1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1 (w/w)로 배합하여 제 3단계 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조합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을 0.1~50 중량%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는 오랫동안 식용되거나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 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및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 에틸렌 글리콜 및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및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및 글리 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0.0001~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50) 중량%의 함량으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및 뇌혈관내 (intracere 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약학 투여형태 또는 티백제, 침출차, 건강 음료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 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 식품으로는 빵, 떡류, 건과류, 견과류, 캔디류, 초콜릿류, 츄잉껌, 쨈류와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류, 빙과류, 아이스크림 분말류와 같은 아이스크림 제품류 우유류, 저지방 우유류, 유당분해우유, 가공유류, 산양유, 발효유류, 버터유류, 농축유류, 유크림류, 버터유, 자연치즈, 가공치즈, 분유류, 유청류와 같은 유가공품류 식육가공품, 알가공품, 햄버거와 같은 식육제품류 어묵, 햄, 소세지, 베이컨 등의 어육가공품과 같은 어육제품류 라면류, 건면류, 생면류, 유탕면류, 호화건먼류, 개량숙면류, 냉동면류, 파스타류와 같은 면류 과실음료, 채소류음료, 탄산음료, 두유류, 요구르트 등의 유산균음료, 혼합음료와 같은 음료 간장, 된장, 고추장, 춘장, 청국장, 혼합장, 식초, 소스류, 토마토케첩, 카레, 드레싱과 같은 조미식품 마가린, 쇼트닝 및 피자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20) g, 바람직하게는 약 (5~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목적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들을 대상으로 한 고지방식이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 체중, 혈당 및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수치 감소, 고분자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수치 증가, 저분자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 수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1); 본 발명의 상기 조합 추출물이 개개 추출물보다 저분자콜레스테롤 억제 및 비만 예방 즉, 체중 증가 저해 효과 및 저분자콜레스테롤 억제 효능 면에서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는 예기치 못한 상승적인 항비만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함으로서 비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정상군, 고지방식이 투여군, 고지방식이 투여군에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 추출물을 8주 투여한 군으로, 매주 체중의 변화를 측정한 도표이며,
도2는 정상군, 고지방식이 투여군, 고지방식이 투여군에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 혼합물을 8주 투여한 후에 간(liver) 조직을 채취하여 hematoxylin & eosin으로 염색한 도이며,
도3은 정상군, 고지방식이 투여군, 고지방식이 투여군에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 혼합물을 8주간 투여 후에 이자(pancreas) 조직을 글루카곤(glucagon)에 대한 항체로 면역염색을 한 도이다.
도4는 정상군, 고지방식이 투여군, 고지방식이 투여군에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 혼합물을 8주간 투여 후에 이자(pancreas) 조직을 인슐린(insulin)에 대한 항체로 면역염색을 한 도이다.
도5는 정상군, 고지방식이 투여군, 고지방식이 투여군에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 추출물을 4주간 투여 후에, 인슐린 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 g/kg의 농도로 포도당을 경구투여 후에 경구 당부하 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를 통해 얻어진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인슐리나 추출물의 제조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코스타리카에서 수입) 잎 및 줄기를 채집하고 건조하여 건조상태의 인슐리나 잎 및 줄기 42 g을 마쇄기로 곱게 마쇄한 후 여기에 30% 에탄올 1 L를 가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지한 후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회전증발기(N-1000, Tokyo Rikakikai,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하고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DRC-100+FDU-2100, 렙코퍼레이션)를 이용하여 48시간동안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분말상태의 인슐리나 추출물(11.96 g)을 얻었다 (이하, CV30E라 함).
참고예 2: 허니부쉬 추출물의 제조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독일산에서 수입) 잎을 채집하고 건조하여 건조상태의 허니부쉬잎 42 g을 마쇄기로 곱게 마쇄한 후 여기에 30% 에탄올 1 L를 가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지한 후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회전증발기(N-1000, Tokyo Rikakikai,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하고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DRC-100+FDU-2100, 렙코퍼레이션)를 이용하여 48시간동안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분말상태의 허니부쉬 추출물(10.85 g)을 얻었다 (이하, CI30E라 함).
실시예 1: 다양한 조합비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상기 참고예의 인슐리나(Cissus verticillata)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추출물을 하기와 같이 배합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1-1. 혼합 추출물 (0.3:1)
상기 인슐리나 추출물과 허니부쉬 추출물을 건조 중량 기준으로 0.3:1 (인슐리나 추출물 : 허니부쉬 추출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개개 추출물을 상기 배합비로 완전하게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이하, “CB1”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1-2. 혼합 추출물 (1:1)
상기 인슐리나 추출물과 허니부쉬 추출물을 중량 기준으로 1:1 (인슐리나 추출물 : 허니부쉬 추출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개개 추출물을 상기 배합비로 완전하게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이하, “CB2”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1-3. 혼합 추출물 (3:1)
상기 인슐리나 추출물과 허니부쉬 추출물을 중량 기준으로 2:1 (인슐리나 추출물 : 허니부쉬 추출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개개 추출물을 상기 배합비로 완전하게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이하, “CB3”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1-4. 혼합 추출물 (10:1)
상기 인슐리나 추출물과 허니부쉬 추출물을 중량 기준으로 10:1 (인슐리나 추출물 : 허니부쉬 추출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개개 추출물을 상기 배합비로 완전하게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이하, “CB4”라 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인슐리나 추출물 및 허니부쉬와의 혼합추출물의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 대사 관련 강하 효과
상기 참고예 1,2 및 실시예의 인슐리나 추출물, 허니부쉬 개개 단독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추출물 시료의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 체중, 혈당 및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수치, 고분자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수치, 저분자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수치 및 중성지방(triglyceride) 수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실험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Song M et al., Chronic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gerbils increases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TOR activation, and elicits neuronal death in the striatum following brief transient ischemia. Neurochem. Int., 121, pp75-85, 2018).
1-1. 실험동물의 사육 및 투여방법
실험동물로는 체중 25.7-28.2 g의 수컷 C57BL/6 마우스(Orientbio, Seongnam, South Korea) 35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빛을 가하는 일정한 명암주기 하에서 온도 22 ± 2 ℃와 상대습도 55 ± 10 %로 사육하였고, 음식과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였다.
1-2. 체중, 혈당 및 대사 관련 강하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의 혈당 및 체중 강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시작과 동시에 오전 10시에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꼬리를 조금 잘라 혈액을 얻은 다음 자동혈당계(ACCU-CHEK, Roche, Mannheim, Germany)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군에 60% 지방이 함유된 사료를 동물에게 급이하였으며, 인슐리나 또는 허니부쉬 단독투여군 및 이의 조합추출물을 60 mg/kg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혈당 강하, 지질 대사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이 우수한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pioglitazone(액피오정 30 mg, 유한양행)을 투여하였다.
이와 같은 고지방사료 투여,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 추출물 또는 pioglitazone 투여를 8주간 지속하였으며, 동물을 1일간 금식한 후에 alfaxalone (Alfaxan, 75 mg/kg Careside, Seongnam, South Korea)과 xylazine (10 mg/kg; Bayer Korea, Seoul, South Korea)의 혼합제재를 투여하여 동물을 희생한 다음, 체중을 측정하고, 혈액을 채취하였다.
그 결과는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으며, 표 1 및 도 1에서 보면 동물의 주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모든 실험군에서 지속적인 체중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무런 물질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에서 체중의 증가폭이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한편 고지방식이군(high fat diet, HFD)의 경우 투여 2주차부터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체중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을 투여하거나, pioglitazone을 투여하는 경우에 고지방식이만 투여한 군에 비해 체중이 적게 관찰이 되었으나, 인슐리나-허니부쉬 추출물을 3:1로 조합하여 투여한 군의 경우 체중 감소가 가장 큰 폭으로 관찰되었다. 체내 지방을 채취하여 확인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고지방식이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지방 무게가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지방 무게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와의 3:1 조합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지방 무게의 감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체중 변화 및 지방무게에 미치는 영향 실험 결과
구분 체중 (g) 억제율(%)* 지방 무게 (g) 억제율(%)
정상군 32.7±2.88 - 1.39 -
고지방식이군(HFD) 44.3±3.58 0 2.79 0
양성대조군(pioglitazone) 42.7±3.71 3.61 2.97 -6.45
실시예 1- 1 (0.3:1 복합제) 39.2±3.63 11.5 2.72 2.51
실시예 1- 2 (1:1 복합제) 37.2±3.01 16.0 2.63 5.73
실시예 1- 3 (3:1 복합제) 35.1±2.27 20.8 2.27 18.6
실시예 1- 4 (10:1 복합제) 38.6±3.91 12.9 2.58 7.53
*억제율(%)은 고지방식이군(HFD) 기준임.
표 2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혈당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95%의 신뢰구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고지방식이군에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 또는 pioglitazone을 투여하는 경우 혈당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인슐리나-허니부쉬 추출물을 3:1로 조합하여 투여한 군의 경우 혈당 상승의 억제가 가장 크게 관찰되었다.
혈당에 미치는 영향 실험 결과
구분 혈당 (mg/dL) 억제율(%)*
정상군 102.3±12.62 -
고지방식이군(HFD) 222.6±12.43 0
양성대조군 181.6±14.08 18.42
실시예 1- 1 (0.3:1 복합제) 183.2±17.79 17.70
실시예 1- 2 (1:1 복합제) 170.9±16.55 23.23
실시예 1- 3 (3:1 복합제) 153.6±10.09 31.00
실시예 1- 4 (10:1 복합제) 166.7±15.05 25.11
*억제율(%)은 고지방식이군(HFD) 기준임.
혈청에서 측정한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지방식이군에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 또는 pioglitazone을 투여하는 경우 혈중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인슐리나-허니부쉬 추출물을 3:1로 조합하여 투여한 군의 경우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pioglitazone을 투여군과 거의 비슷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고분자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저분자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수치를 비교해보면, 고분자콜레스테롤 수치는 군에 따라 차이가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저분자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는 고지방식이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 및 pioglitazone을 투여한 경우 모두 저분자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슐리나-허니부쉬 추출물을 3:1로 조합하여 투여한 군의 경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pioglitazone과 유사한 정도의 저분자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 참조).
혈중 총콜레스테롤 수치, 고분자 콜레스테롤 수치, 저분자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에 미치는 영향 실험 결과
구분 대사 관련 지표 (mM)
혈중 총콜레스테롤 고분자 콜레스테롤 저분자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정상군 1.036±0.083 0.410±0.035 0.820±0.078 0.258±0.020
고지방식이군(HFD) 1.786±0.138 0.397±0.059 1.896±0.147 0.495±0.045
양성대조군 1.118±0.078 0.363±0.016 1.145±0.065 0.306±0.019
실시예 1- 1 (0.3:1 복합제) 1.499±0.098 0.367±0.024 1.451±0.128 0.419±0.048
실시예 1- 2 (1:1 복합제) 1.286±0.093 0.390±0.037 1.250±0.097 0.390±0.043
실시예 1- 3 (3:1 복합제) 1.136±0.069 0.363±0.022 1.019±0.091 0.291±0.031
실시예 1- 4 (10:1 복합제) 1.352±0.103 0.391±0.039 1.199±0.115 0.315±0.036
1-3. 간 및 이자 형태 변화 확인 실험
상기 실험예 1의 동물을 대상으로 안락사 이후 동물에서 간 및 이자를 채취하고, 10%중성포르말린(10% neutral buffered formalin, HT501128, Merck)으로 조직을 24시간 고정하였다. 이후에 통상적인 탈수 및 청명화 과정을 거친 다음, 파라핀 조직 포매를 실시하였다.
포매된 조직은 3-㎛의 절편을 제작하여 silane이 코팅된 슬라이드(5116-20F, Muto-Glass, Muto Pure Chemicals, Tokyo, Japan)에 붙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hematoxylin & eosin (HE, ab245880, Abcam)염색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시행하였으며, 이자에서 글루카곤 및 인슐린의 조직 내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글루카곤(glucagon) 및 인슐린(insul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수행하였다.
도 2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간조직을 대상으로 HE염색을 확인한 결과 정상군의 경우 간세포의 세포질에 지방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군의 경우 간세포의 실질에 지방이 침윤되어 세포질에 염색되지 않는 세포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한편 고지방식이에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 또는 pioglitazone을 투여한 경우 지방으로 인해 세포질에 염색되지 않는 부분이 다소 적게 관찰되었으며, 특히 인슐리나-허니부쉬 추출물을 3:1로 조합하여 투여한 군의 경우 세포질에서 매우 적은 공포만이 관찰되어 간에서 지방의 축적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및 4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이자조직을 대상으로 글루카곤, 인슐린에 대한 면역염색을 확인한 결과, 글루카곤에 염색된 세포는 이자섬(pancreatic islet)의 변연부위(periphery)에서만 관찰 되었으며, 인슐린에 염색된 세포는 이자섬 전체에 걸쳐서 확인되었다. 인슐린, 글루카곤을 함유하고 있는 세포는 인슐리나 허니부쉬 조합추출물 또는 pioglitazone을 투여한 경우 모두에서 큰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고지방식이를 먹인 군에서 이자섬 이외의 지역에서 인슐린에 염색된 세포들이 관찰이 되었으나, 인슐리나-허니부쉬 추출물을 3:1로 조합하여 투여한 경우와 pioglitazone을 투여한 경우에서는 이자섬 이외에 인슐린에 염색된 세포가 거의 관찰되지 않아, 대조군과 유사한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합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고지방식이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 체중, 혈당 및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저분자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 수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1), 특히, 조합 추출물인 실시예 1-1에서 1-4 중에 실시예 1-3인 인슐리나와 허니부쉬 3:1 복합제에서 지방 무게의 급격한 감소효과, 혈당 감소효과, 저분자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의 급격한 감소효과를 보여 3:1 조합 추출물이 현저히 비만/당뇨 억제활성을 가짐을 나타냈다.
실험예 2. 인슐리나와 허니부쉬 혼합추출물의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 경구 당부하 내성 강하 효과
상기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 시료의 경구 당부하 내성 강하 효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실험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Joung H et al., Fermented Moringa oleifera decreases hepatic adiposity and ameliorates glucose intolerance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J. Med. Food, 20, pp439-447, 2017).
2-1. 실험동물의 사육 및 투여방법
실험동물로는 체중 26.2-27.9 g의 수컷 C57BL/6 마우스(Orientbio) 35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빛을 가하는 일정한 명암주기 하에서 온도 22 ± 2 ℃와 상대습도 55 ± 10 %로 사육하였고, 음식과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였다.
2-2. 경구 당부하 내성 강하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1의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의 당부하 내성 강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시작과 동시에 오전 10시에 꼬리를 조금 잘라 혈액을 얻은 다음 자동혈당계(ACCU-CHEK)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이 후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군에 60% 지방이 함유된 사료를 동물에게 급이하였으며, 실시예의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을 60 mg/kg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고지방사료를 투여하였으며,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을 4주간 지속적으로 투여하였으며, 1 g/kg의 농도로 포도당을 경구투여를 실시한 다음, 30, 60, 90, 120분 후에 꼬리를 조금 잘라 혈액을 얻어 자동혈당계(ACCU-CHEK)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포도당 경구투여 30분 경에 혈당은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포도당 경구 투여 30분 후에 급격하게 혈당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상군이 다른군과 비교했을 때, 혈당이 가장 적게 상승하였으며, 이후 혈당의 하락은 가장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고지방식이를 급이한 동물의 경우 포도당 경구 투여 30분 후에 혈당이 가장 높게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후에 혈당이 감소하였으나, 다른 군에 비해 혈당이 높게 유지되었다. 한편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포도당 경구 투여 후에 혈당의 상승폭이 적게 나타났으며, 특히 인슐리나-허니부쉬 추출물을 3:1로 조합하여 투여한 군의 경우 다른 조합보다 혈당강하 효능 면에서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는 예기치 못한 상승적인 항당뇨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시판중인 약제와 비슷한 효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표 4)
경구 당부하 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에 미치는 영향 실험 결과
구분 Area under the curve 억제율(%)*
정상군 25938.45 -
고지방식이군(HFD) 37898.85 0
양성대조군 33129.75 12.58
실시예 1- 2 (1:1 복합제) 32571.50 14.06
실시예 1- 3 (3:1 복합제) 30120.30 20.52
실시예 1- 4 (10:1 복합제) 32105.15 15.29
*억제율(%)은 고지방식이군(HFD) 기준임.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조합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고지방식이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 체중, 혈당 및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수치 감소, 고분자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수치 증가, 저분자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 수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1); 경구 당부하 검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본 발명의 상기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 3:1 조합 추출물이 저분자콜레스테롤 억제 및 비만 예방 즉, 체중 증가 저해 효과 및 저분자콜레스테롤 억제 효능 면에서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는 예기치 못한 항비만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CB1 추출물 ------------------------------------------ 20 mg
유당 ----------------------------------------------- 100 mg
탈크 ------------------------------------------------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CB2 추출물 ----------------------------------------- 1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CB3 추출물 ------------------------------------------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 3 mg
락토오스 -------------------------------------------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CB3 추출물 -------------------------------------- 10 mg
만니톨 --------------------------------------------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 2974 mg
Na2HPO412H2O ------------------------------------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CB4 추출물 ----------------------------------------- 10 mg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CB2 추출물 --------------------------------------- 1000 mg
비타민 혼합물 ---------------------------------------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70 μg
비타민 E ------------------------------------------ 1.0 mg
비타민 B1 ---------------------------------------- 0.13 mg
비타민 B2 ---------------------------------------- 0.15 mg
비타민 B6 ----------------------------------------- 0.5 mg
비타민 B12 ---------------------------------------- 0.2 μg
비타민 C ------------------------------------------- 10 mg
비오틴 ---------------------------------------------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 1.7 mg
엽산 ----------------------------------------------- 50 μg
판토텐산 칼슘 ------------------------------------- 0.5 mg
무기질 혼합물 --------------------------------------- 적량
황산제1철 ---------------------------------------- 1.75 mg
산화아연 ----------------------------------------- 0.82 mg
탄산마그네슘 ------------------------------------- 25.3 mg
제1인산칼륨 ---------------------------------------- 15 mg
제2인산칼슘 ---------------------------------------- 55 mg
구연산칼륨 ----------------------------------------- 90 mg
탄산칼슘 ------------------------------------------ 100 mg
염화마그네슘 -------------------------------------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CB2 추출물 --------------------------------------- 1000 mg
구연산 ------------------------------------------ 1000 mg
올리고당 ------------------------------------------ 100 g
매실농축액 ------------------------------------------ 2 g
타우린 ---------------------------------------------- 1 g
정제수를 가하여 -----------------------------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Claims (6)

  1. 인슐리나 (Cissus verticillata) 잎 또는 줄기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잎의 건조 중량 상대 배합비가 1: 0.2 내지 20 (w/w)의 배합 중량부로 구성된 조합의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인슐리나 (Cissus verticillata) 잎 또는 줄기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잎의 건조 중량 상대 배합비가 1: 0.2 내지 20 (w/w)의 배합 중량부로 구성된 조합의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삭제
  6. 인슐리나 (Cissus verticillata) 잎 또는 줄기 및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잎의 건조 중량 상대 배합비가 1: 0.2 내지 20 (w/w)의 배합 중량부로 구성된 조합의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20190153579A 2019-11-26 2019-11-26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9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79A KR102292060B1 (ko) 2019-11-26 2019-11-26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79A KR102292060B1 (ko) 2019-11-26 2019-11-26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68A KR20210064868A (ko) 2021-06-03
KR102292060B1 true KR102292060B1 (ko) 2021-08-19

Family

ID=7639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579A KR102292060B1 (ko) 2019-11-26 2019-11-26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0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5716A1 (en) 1999-08-27 2001-03-08 Medex Scientific (Uk) Limited Plant extract mixtures and their uses
WO2008110552A2 (en) 2007-03-12 2008-09-18 Zadec Aps An anti-diabetic extract of honeybus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5716A1 (en) 1999-08-27 2001-03-08 Medex Scientific (Uk) Limited Plant extract mixtures and their uses
WO2008110552A2 (en) 2007-03-12 2008-09-18 Zadec Aps An anti-diabetic extract of honeybush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 Jack 외. 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 Vol. 110, 2017, pp. 216-229*
Cleide de Sousa Lino 외. American Journal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Vol. 2(4), pp. 178-188,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68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542213A (zh) 肥胖抑制組成物
KR101427784B1 (ko)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902932B1 (ko) 엉겅퀴 및 흰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제거한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2059B1 (ko)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92060B1 (ko)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10771B1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939089B1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1001159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02045B1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32349A (ko) 신품종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082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20160143081A (ko)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10074865A (ko) 발효 찻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50050779A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33672B1 (ko) 엉겅퀴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5909B1 (ko) 오갈피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허혈-재관류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9272B1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321579B1 (ko) Kiom 법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