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882B1 -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 - Google Patents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882B1
KR101752882B1 KR1020150182195A KR20150182195A KR101752882B1 KR 101752882 B1 KR101752882 B1 KR 101752882B1 KR 1020150182195 A KR1020150182195 A KR 1020150182195A KR 20150182195 A KR20150182195 A KR 20150182195A KR 101752882 B1 KR101752882 B1 KR 10175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ap
sealing member
inclined surface
bent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3371A (ko
Inventor
김동관
우문만
임성주
Original Assignee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8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스트캡과 결합되는 실링부재의 접촉면을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브러쉬부로 구성하여 결합강도를 대폭 증대시킴에 따라 기존 러버부와 더스트캡 간의 결합강도 증대목적으로 수행되는 본딩공정을 제거함과 동시에 결합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피스톤 밸브 및 피스톤 로드가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베이스 쉘의 일단을 커버하는 더스트캡의 내측 결합홈에 배치되어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하는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피스톤 로드가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원판형태로 형성되되 테두리측이 하부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는 금속재질의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 상에 형성되는 러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러시부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연 테두리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요철 형태를 구성하며, 상기 절곡부는 수평부의 외연 테두리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경사면 보다 수직선과의 경사각이 작은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러버부는 상기 수평부의 상부측 및 절곡부의 제1경사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더스트캡의 내측 결합홈에 강제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Sealing Member of Shock Absorber Dust Cap}
본 발명은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스트캡과 결합되는 실링부재의 접촉면을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브러쉬부로 구성하여 결합강도를 대폭 증대시킴에 따라 기존 러버부와 더스트캡 간의 결합강도 증대목적으로 수행되는 본딩공정을 제거함과 동시에 결합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는 조작성능이나 승차감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완충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의 바퀴와 차체 사이에는 진동이나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스프링과 조합되는 완충장치, 즉 쇽업소버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 쇽업소버는, 작동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로드의 말단에 장착되어 이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마련된 밸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쇽업소버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 쉘(1)의 상부에는 피스톤 로드(R)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G)와, 실린더 내부에 충전된 작동유체를 밀봉하기 위한 오일 씰(oil seal, S)이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이들 로드 가이드(G)와 오일 씰(S)을 보호하기 위해서 베이스 쉘(1)의 상단에는, 복수의 이물질 배출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더스트캡(Dust cap, 2)이 씌워진다.
이와 같은 더스트캡(2)의 내측에는 오일 씰(S)의 상부측으로 피스톤 로드(R)와 더스트캡(2)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실링부재(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링부재(3)는 상기 피스톤 로드(R)가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반형의 브러시부(3a)와 상기 브러시부(3a)를 감싸게 몰딩(molding) 되는 러버부(3b) 및 상기 러버부(3b)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측의 상기 러버부(3b)로부터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R) 사이의 틈을 실링 하는 차단막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러버부(3b)는 외주면에 걸림돌기(3ba)가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러버부(3b)의 외주를 따라 링형으로 형성되거나 구슬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더스트캡(2)의 결합홈(2a)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ba)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3ba)와 대응되게 걸림홈(2b)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3ba)가 형성되는 러버부(3b)와 상기 더스트캡(2)의 내벽면 간에는 접착제를 통한 본딩공정이 수행되어 더스트캡(2)의 수직압에 대해 실링부재(3)가 이탈되는 문제를 보완하도록 구성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걸림돌기(3ba)가 형성되는 실링부재(3)를 더스트캡(2)의 결합홈(2a) 내벽면에 압입하고 본딩 공정까지 수행함에 따라 작업공수가 증대되고, 실링부재(3)와 더스트캡(2) 간의 결합강도 또한 목표치보다 높지 않아 작업공수를 감소시키고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더스트캡과 결합되는 실링부재의 접촉면을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브러쉬부로 구성하여 결합강도를 대폭 증대시킴에 따라 기존 러버부와 더스트캡 간의 결합강도 증대목적으로 수행되는 본딩공정을 제거함과 동시에 결합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피스톤 밸브 및 피스톤 로드가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베이스 쉘의 일단을 커버하는 더스트캡의 내측 결합홈에 배치되어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하는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피스톤 로드가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원판형태로 형성되되 테두리측이 하부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는 금속재질의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 상에 형성되는 러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러시부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연 테두리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요철 형태를 구성하며, 상기 절곡부는 수평부의 외연 테두리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경사면 보다 수직선과의 경사각이 작은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러버부는 상기 수평부의 상부측 및 절곡부의 제1경사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더스트캡의 내측 결합홈에 강제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러버부와 더스트캡 간의 결합강도 증대목적으로 수행되는 본딩공정을 제거함에 따라 작업공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더스트캡과 결합되는 실링부재의 접촉면을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브러쉬부로 구성함에 따라 결합강도가 기존 보다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쇽업쇼버의 더스트캡 및 실링부재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더스트캡과 실링부재 간의 결합면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캡과 실링부재 간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캡과 실링부재 간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00)는 피스톤 로드(L)가 삽입되는 중공부(10a)가 형성되며 원판형태로 형성되되 테두리측이 하부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는 금속재질의 브러시부(10)와, 상기 브러시부(10) 상에 형성되는 러버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부(10)는 중공부(10a)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외연 테두리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1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절곡부(12)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부(12a)가 형성되어 요철 형태를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12)에 절개부(12a)를 형성하는 이유는 더스트캡(2)과의 결합면에 상기 절곡부(12)가 요철형태로 압입되어 접함에 따라 일종의 쐐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압입시에는 더스트캡(2)의 결합홈(2a)으로 내입되게 되나, 내입 후에는 더스트캡(2)의 수직압이 가해지더라도 절곡부(12)의 요철형태가 쐐기 기능을 하여 쉽게 하부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
아울러 기존 실링부재의 경우 더스트캡(2)과 접촉면이 러버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러버의 신축성으로 인해 더스트캡(2)의 수직압에 대해 쉽게 이탈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100)는 더스트캡(2)과의 접촉면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브러쉬부(10)의 절곡부(12)가 담당함에 따라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12)는 압입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절곡부(12)는 수평부(11)의 외연 테두리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경사면(12b)과 상기 제1경사면(12b)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경사면(12b) 보다 수직선과의 경사각이 작은 제2경사면(12c)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면(12b)은 수직방향에 대해 큰 교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러버부(20)는 브러쉬부(10)의 수평부(11) 상부면과 제1경사면(12b) 외주면 상에 접착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경사면(12c)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더스트캡(2) 간의 마찰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절개부(12a)의 형성 위치 또한 제2경사면(12c)에 위치된다.
상기 제1경사면(12b)과 제2경사면(12c)의 바람직한 길이는 절곡부(12)의 길이에서 1:1 내지 1.2:0.8 정도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경사면(12c)은 제1경사면(12b) 보다 수직방향에 대한 교각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링부재(100)는 더스트캡(2)의 결합홈(2a)에 강제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기존에서와 같이 별도의 본딩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재 요철형상의 절곡부(12)가 쐐기 역할을 수행하여 더스트캡(2)의 수직압 작용시에도 실링부재(100)가 이탈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100)는 기존의 본딩공정이 제거됨은 물론 더스트캡(2)과의 결합강도가 보다 증대되어 이중의 시너지 효과를 유도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 브러쉬부 10a : 중공부
11 : 수평부 12 : 절곡부
12a : 절개부 12b : 제1경사면
12c : 제2경사면 20 : 러버부
100 : 실링부재

Claims (5)

  1. 피스톤 밸브 및 피스톤 로드(L)가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베이스 쉘(1)의 일단을 커버하는 더스트캡(2)의 내측 결합홈(2a)에 배치되어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하는 실링부재(100)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100)는
    상기 피스톤 로드(L)가 삽입되는 중공부(10a)가 형성되며 원판형태로 형성되되 테두리측이 하부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는 금속재질의 브러시부(10)와,
    상기 브러시부(10) 상에 형성되는 러버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러시부(10)는 중공부(10a)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외연 테두리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부(12)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부(12a)가 형성되어 요철 형태를 구성하며,
    상기 절곡부(12)는
    수평부(11)의 외연 테두리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경사면(12b)과 상기 제1경사면(12b)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경사면(12b) 보다 수직선과의 경사각이 작은 제2경사면(12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러버부(20)는
    상기 수평부(11)의 상부측 및 절곡부(12)의 제1경사면(12b)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100)는 더스트캡(2)의 내측 결합홈(2a)에 강제끼움방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절개부(12a)는 제2경사면(12c)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82195A 2015-12-18 2015-12-18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 KR10175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195A KR101752882B1 (ko) 2015-12-18 2015-12-18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195A KR101752882B1 (ko) 2015-12-18 2015-12-18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371A KR20170073371A (ko) 2017-06-28
KR101752882B1 true KR101752882B1 (ko) 2017-06-30

Family

ID=5927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195A KR101752882B1 (ko) 2015-12-18 2015-12-18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8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350A (ja) * 2007-08-03 2009-02-19 Nok Corp 自動変速機用ピスト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350A (ja) * 2007-08-03 2009-02-19 Nok Corp 自動変速機用ピス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371A (ko)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583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구조
US6749047B2 (en) Dust cover mounting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EP3184864B1 (en) Sealing structure
JP2016061425A (ja) バンプストッパキャップ
US10336147B2 (en) Spring guide and suspension device
US20180105004A1 (en) Rubber sheet and suspension device
KR20130097421A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립
WO2015170586A1 (ja) スラスト滑り軸受
KR101752882B1 (ko)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
JP6355067B2 (ja) シール装置
JP2013155841A (ja) 懸架装置およびカバー部材
JP6123945B2 (ja) 密封構造
KR10175641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조립구조
JP5860733B2 (ja) アッパーサポート
JP2012052658A (ja) 特に単筒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ロッドのための密封式案内ユニット、及び該密封式案内ユニットのための環状シール組立体
JP3192593U (ja) シール装置
KR101815598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구조
JP2017025950A (ja) バンプストッパ及び緩衝器
JP5497137B1 (ja) 往復動用密封装置
KR101961336B1 (ko) 이중 씰 구조가 적용된 쇼크 업소버
KR101913116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어셈블리
JP4154705B2 (ja) 高粘性液封入マウント装置
KR100741279B1 (ko) 쇽 업소버의 오일씰
KR101723612B1 (ko) 쇽업소버
KR101913117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