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796B1 -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796B1
KR101752796B1 KR1020170047528A KR20170047528A KR101752796B1 KR 101752796 B1 KR101752796 B1 KR 101752796B1 KR 1020170047528 A KR1020170047528 A KR 1020170047528A KR 20170047528 A KR20170047528 A KR 20170047528A KR 101752796 B1 KR101752796 B1 KR 101752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ar
total station
hole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대원항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항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항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부를 장착부를 통해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넓은 지역에 대한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투명재질의 자외선차단판으로 이루어진 자외선차단수단을 구비하여 측정시 측정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측정부를 구성하는 토탈스테이션과 작업자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위치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UV and visual of surveying device}
본 발명은 측지측량 분야 기술 중에서,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량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넓은 지역에 대한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측정 시야는 확보할 수 있으면서 자외선을 차단하여 작업자와 토탈스테이션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토탈스테이션의 수평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작업위치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이 편리하도록 한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지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측량기기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이다.
이러한 토탈스테이션은 각도와 거리를 함께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로서 전자식 세오돌라이트(Electronic Theodolite)와 광파측거기(EDM; Electro Optical Instruments)가 하나의 기리로 통합되어 있어 측정한 자료를 빠른 시간 안에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전자식 측각기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토탈스테이션을 차량에 장착하여 그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좌표에 맞게 차량을 이동시켜 변화된 지형지물을 측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토탈스테이션은 보통 자외선이 강한 주간에 작업자에 의해 측량을 실시하는 것이 보편적이어서 장기간 측량시에는 일사병 등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는 물론, 토탈스테이션이의 표면이나 정밀성을 갖는 내부 기기들이 오동작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작업자가 장시간 측량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7134호(2001.10.30. 등록) "야외작업자용 이동식 차양스탠드"(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지지판과 3개의 지주로 이루어지는 삼각대에 지지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하단이 지면에 착지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단에 차양을 설치한 것으로서, 측량기가 설치된 삼각대의 주위에 설치하여 작업자와 측량기에 대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일일이 차양 및 거치대를 펼치거나 접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에 대한 수납이 불편하여 작업자들이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932호(2016.07.18. 등록) "적외선 차단 기능이 부설된 시야 확보가 용이한 측량장치"(이하, '선행기술2'라 함)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2는 토탈스테이션 등의 측량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넓은 지역에 대한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외선을 차단하여 작업자와 토탈스테이션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토탈스테이션이 한 쌍의 이동대에 이동체와 고정축에 의하여 고정지지되는 것으로서 차량이 정차한 도로가 경사진 경우 한 쌍의 이동대 자체가 경사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에 고정지지되는 토탈스테이션도 경사진 상태로 설치될 수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토탈스테이션에 구비된 수평조절수단에 의하여 수평을 조절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토탈스테이션에 구비된 수평조절수단은 조절각도범위가 적기 때문에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서는 토탈스테이션을 정확하게 수평으로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2는 토탈스테이션이, 차량의 이동시에는 적재함에 적재된 상태로 되고, 측량시에는 적재함의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로 되며, 측량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적재함의 후단부와 토탈스테이션 사이에 위치하여야 하는데, 적재함의 후단부와 토탈스테이션 사이에는 한 쌍의 이동바가 가로질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적재함의 후단부와 토탈스테이션 사이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 한 쌍의 이동바 밑을 통하여 들어가야 하고, 다시 작업을 마치고 나올 때에도 허리를 굽혀 한 쌍의 이동바 밑을 통해 빠져나와야 하므로 작업 위치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측량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넓은 지역에 대한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자외선을 차단하여 작업자와 토탈스테이션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토탈스테이션의 수평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작업위치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이 편리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932호(2016.07.18. 등록) "적외선 차단 기능이 부설된 시야 확보가 용이한 측량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932호(2016.07.18. 등록) "적외선 차단 기능이 부설된 시야 확보가 용이한 측량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량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넓은 지역에 대한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측정 시야는 확보할 수 있으면서 자외선을 차단하여 작업자와 토탈스테이션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토탈스테이션의 수평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작업위치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이 편리하도록 한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및 자외선을 차단하여 상기 측정부와 작업자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차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변화된 지형지물을 측정하며 작업자가 측정하는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GPS안테나, GPS수신기, 토탈스테이션 및 작업용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GPS안테나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나사보스가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토탈스테이션의 손잡이 상에 구비된 나사돌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기 토탈스테이션은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의 각도와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펜컴퓨터용 소프트웨어와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에 구비된 입력 및 표시부와, 렌즈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수평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차량의 적재함 상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바와 상단바, 상기 하단바와 상단바 사이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단바와, 상기 수평바의 후단부와 중단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각 한 쌍씩의 현수바와, 상기 현수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장착판로 이루어지는 이동장착대와; 상기 이동장착대를 차량의 적재함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전후방향안내수단과; 상기 이동장착대를 차량의 적재함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방향구동수단과; 상기 장착판의 상면에 좌우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이동대와; 상기 좌우이동대의 상부에 3차원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3차원회동대와; 상기 좌우이동대와 3차원회동대 사이에 설치되는 3차원회동구동수단과; 상기 3차원회동대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토탈스테이션결합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향안내수단은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전후단부가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봉과, 상기 이동장착대의 하단바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봉에 안내되는 좌우 한 쌍의 안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은 상기 적재함의 상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크루와, 상기 하단바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스크루에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너트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이동대를 상기 장착판에 대하여 좌우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이동대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나사관통공과, 상기 나사관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판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나사관통공과 장공을 관통하는 좌우위치조절나사와, 상기 장착판의 하부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절나사에 체결되는 좌우위치조절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3차원회동대를 3차원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좌우이동대의 상면에는 구형지지구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3차원회동대의 하면에는 상기 구형지지구에 대응하여 하면이 개방된 구형홈을 가지는 구형회동체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3차원회동구동수단은 상기 좌우이동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둥각도 간격을 두고 상기 좌우이동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와, 리니어액튜에이터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3차원회동대의 하면에 접촉되는 작동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탈스테이션결합나사는 상기 3차원회동대의 상면 중심부에 고정된 브래킷에 관통하여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3차원회동대의 상면과 브래킷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토탈스테이션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나사부가 체결되는 나사홀을 가지는 나사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이동장착대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장착판의 좌우측 후단부에 형성되며 나사공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힌지부와, 상단에 상기 나사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중단부에 나사관통공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지지각과, 상기 관통공를 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각을 상기 장착판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나사와, 상기 장착판의 좌우측 선단부에 형성되며 나사공이 구비된 고정편과, 상기 지지각의 중단부에 형성된 나사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외선차단수단은 상기 상단바와 수평바 및 후단바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상단수평차단판과, 상기 상단바와 수직바의 상단부 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전단수직차단판과, 상기 후단바와 현수바의 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후단수직차단판과, 상기 수직바와 현수바의 상단부와 수평바의 측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수직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에 의하면 측정부를 장착부를 통해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넓은 지역에 대한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투명재질의 자외선차단판으로 이루어진 자외선차단수단을 구비하여 측정시 측정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측정부를 구성하는 토탈스테이션과 작업자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위치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이 편리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의 이동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의 측정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의 이동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다른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의 측량상태 사시도,
도 5는 이동지지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이동지지대와 자외선차단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이동지지대와 토탈스테이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부(100)와, 상기 측정부(100)를 차량(1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00) 및 자외선을 차단하여 상기 측정부(100)와 작업자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차단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100)는 변화된 지형지물을 측정하며 작업자가 측정하는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GPS안테나(110), GPS수신기(120), 토탈스테이션(130) 및 작업용 컴퓨터(140)를 포함한다.
상기 GPS안테나(110)는 토탈스테이션(13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공위성(1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GPS안테나(110)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나사보스(111)가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토탈스테이션(130)의 손잡이(132) 상에 구비된 나사돌기(112)에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GPS수신기(120)는 GPS안테나(1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으며, 작업용 컴퓨터(140)와 유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테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GPS수신기(120)는 기준국GPS와 오차보정 신호를 송수신하는 RFM모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토탈스테이션(130)은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의 각도와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펜컴퓨터용 소프트웨어와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부(131)와, 상기 본체부(131)의 상단부에 구비된 손잡이(132)와, 상기 본체부(131)의 전후방에 구비된 입력 및 표시부(133)와, 렌즈부(134) 및, 상기 본체부(131)의 하단에 구비되는 수평조절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조절부(135)는 본체부(131)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조절판(136)과, 상기 상부조절판(136)의 하부에 이격 설치된 하부조절판(137) 및, 상기 상부조절판(136)과 하부조절판(137)에 나사결합되며 손잡이부(138)이 구비된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수평조절나사(13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조절판(136) 상에는 구비된 수평을 확인하기 위한 수평계(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상의 토탈스테이션(130)의 구성은 통상적인 토탈스테이션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작업용 컴퓨터(140)는 상기 GPS수신기(120) 및 토탈스테이션(130)과 유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GPS(110) 및 토탈스테이션(130)에서 각각 측정된 좌표값의 변환 및 편집이 가능한 소프토웨어가 내장된다.
따라서 GPS측량의 결과 산출되는 경도, 위도 및 높이로 표시되는 위피좌표를 토탈스테이션(130) 측량에 이용하기 위하여 방위각과 거리로 표시되는 현행 국가좌표체계로 변환하는 좌표변환 작업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좌표변환 및 입력작업은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GPS수신기(120)로 측량한 결과와 토탈스테이션(3130)의 측량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검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표변환 작업은 상기 작업용 컴퓨터(140)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GPS수신기(120)의 내부에 좌표변환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변환된 좌표값이 작업용 컴퓨터(140)에 송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작업용 컴퓨터(140)는 GPS수신기(120) 및 토탈스테이션(13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도 또는 지적도와 같은 측량도 작성 및 편집 가능한 CAD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CAD프로그램이 내장되는 경우 위치좌표에 관한 데이터를 확보함과 동시에 현장에서 지형도 또는 지적도와 같은 측량도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컴퓨터(140)는 사무실의 메인컴퓨터와 연결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현장에서 측정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사무실의 메인컴퓨터로 송신하거거나 메인컴퓨터에 저장된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00)는 차량(10)의 적재함(11) 상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바(211)와 상단바(212), 상기 하단바(211)와 상단바(212) 사이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바(213)와, 상기 수직바(213)의 상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바(214)와, 상기 수평바(214)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단바(215)와, 상기 수평바(214)의 후단부와 중단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각 한 쌍씩의 현수바(216)와, 상기 현수바(216)의 하단에 결합되는 장착판(217)로 이루어지는 이동장착대(210)와; 상기 이동장착대(210)를 차량(10)의 적재함(1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전후방향안내수단(220)과; 상기 이동장착대(210)를 차량(10)의 적재함(1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방향구동수단(230)과; 상기 장착판(217)의 상면에 좌우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이동대(240)와; 상기 좌우이동대(240)의 상부에 3차원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3차원회동대(250)와; 상기 좌우이동대(240)와 3차원회동대(250) 사이에 설치되는 3차원회동구동수단(260)과; 상기 3차원회동대(25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토탈스테이션결합나사(27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장착대(210)의 하단바(211), 상단바(212), 수직바(213), 수평바(214)와 후단바(215) 및 현수바(216)는 사각파이프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이동장착대(210)의 장착판(217)은 철판과 같은 판재를 사용하여 현수바(216)의 하단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전후방향안내수단(220)은 상기 적재함(11)의 바닥에 전후단부가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봉(221)과, 상기 이동장착대(210)의 하단바(211)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봉(221)에 안내되는 좌우 한 쌍의 안내편(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안내봉(221)은 고정블록(222)에 의하여 적재함(11)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블록(222)는 적재함(11)의 바닥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안내편(223)에는 상기 안내봉(221)이 관통되는 안내공(224)이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230)은 상기 적재함(11)의 상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31)와, 상기 구동모터(231)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크루(232)와, 상기 하단바(223)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스크루(232)에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234)를 가지는 너트블록(23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스크루(232)는 모터(231) 측의 단부가 지지블록(235)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지지블록(235)는 적재함(11)의 바닥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31)는 상기 장착판(217) 상에 설치되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장착판(217) 상에 설치되는 스위치(236)의 조작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대(240)를 상기 장착판(217)에 대하여 좌우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이동대(240)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나사관통공(241)과, 상기 나사관통공(241)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판(217)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242)과, 상기 나사관통공(241)와 장공(242)을 관통하는 좌우위치조절나사(243)와, 상기 장착판(217)의 하부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절나사(243)에 체결되는 좌우위치조절너트(244)가 구비된다.
상기 좌우위치조절나사(243)는 상단에 손잡이부(245)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45)의 외주면에는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하여 미끄럼방지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3차원회동대(250)를 3차원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좌우이동대(240)의 상면에는 구형(球形)지지구(251)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3차원회동대(250)의 하면에는 상기 구형지지구(251)에 대응하여 하면이 개방된 구형홈(253)을 가지는 구형회동체(252)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구형회동체(252)는 구형지지구(251)가 구형홈(253)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구형홈(253)에서 구형지지구(251)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2개로 분할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구형지지구(251)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좌우이동대(24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나사공의 체결에 의하여 또는 용접에 의하여 좌우이동대(240)에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구형회동체(252)는 상단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3차원회동대(25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나사공의 체결에 의하여 또는 용접에 의하여 3차원회동대(250)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상기 3차원회동구동수단(260)은 상기 좌우이동대(24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을 두고 상기 좌우이동대(240)의 상면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261)와, 리니어액튜에이터(261)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3차원회동대(250)의 하면에 접촉되는 작동봉(2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261)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을 가지는 모터로 구성하고, 상기 작동봉(262)는 상기 암나사에 나사맞춤되는 스크루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작동봉(262)의 상단에는 반구형접촉부(263)를 형성하고, 상기 3차원회동대(250)의 저면에는 상기 반구형접촉부(263)에 대응하는 반구형홈(264)을 형성함으로써 작동봉(262)와 3차원회동대(250)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261)는 3차원회동대(250)의 상면에 수평센서를 설치하고, 이 수평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3개의 리니어액튜에이터(261)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3차원회동대(250)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센서는 통상적인 수평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용 컴퓨터(140)에 설치되는 제어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토탈스테이션결합나사(270)는 상기 3차원회동대(250)의 상면 중심부에 고정된 브래킷(273)에 관통하여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부(271)와, 상기 나사부(27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3차원회동대(250)의 상면과 브래킷(273)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부(272) 및, 상기 토탈스테이션(130)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나사부(271)가 체결되는 나사홀을 가지는 나사보스(2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탈스테이션결합나사(270)는 나사부(271)가 브래킷(273)을 관통하여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의 손잡이부(272)가 3차원회동대(250)의 상면과 브래킷(273)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므로 임의로 이탈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수평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72)의 외주부에는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하여 미끄럼방지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200)는 이동장착대(21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2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280)은 상기 장착판(217)의 좌우측 후단부에 형성되며 나사공(281a)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힌지부(281)와, 상단에 상기 나사공(281a)에 대응하는 관통공(282a)이 형성되고 중단부에 나사관통공(282b)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지지각(282)과, 상기 관통공(282a)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281a)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각(282)을 상기 장착판(217)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나사(283)와, 상기 장착판(217)의 좌우측 선단부에 형성되며 나사공(284a)이 구비된 고정편(284)과, 상기 지지각(282)의 중단부에 형성된 나사관통공(282b)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284a)에 체결되는 고정나사(285)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나사(283)는 상기 관통공(282a)을 관통하여 나사공(281a)에 체결되는 나사부(283a)와 상기 나사부(283a)의 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83b)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83b)의 외주면에는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하여 미끄럼방지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나사(285)는 상기 나사관통공(284a)을 관통하여 나사공(284a)에 체결되는 나사부(285a)와 상기 나사부(285a)의 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85b)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85b)의 외주면에는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하여 미끄럼방지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외선차단수단(300)은 상기 상단바(212)와 수평바(214) 및 후단바(215)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상단수평차단판(310)과, 상기 상단바(212)와 수직바(213)의 상단부 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전단수직차단판(320)과, 상기 후단바(215)와 현수바(216)의 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후단수직차단판(330)과, 상기 수직바(213)와 현수바(216)의 상단부와 수평바(214)의 측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수직차단판(3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수평차단판(310), 전단수직차단판(320), 후단수직차단판(330) 및 측면수직차단판(340)은 투명유리판 또는 투명합성수지판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도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단수평차단판(310), 전단수직차단판(320), 후단수직차단판(330) 및 측면수직차단판(340)은 통상적인 철골구조물에 대한 유리판의 부착방법에 의하여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상기 상단수평차단판(310), 전단수직차단판(320), 후단수직차단판(330) 및 측면수직차단판(340)을 가상선으로 표시하였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착부(200)가 차량(10)의 적재함(11)에 설치되고, 측정부(100)의 토탈스테이션(130)이 장착부(200)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측정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전후방향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1)를 전진방향으로 가동시켜 구동스크루(232)가 전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이동장착대(210)에 결합된 너트박스(233)와 구동스크루(232)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이동장착대(21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적재함(11) 상에 적재된 상태로 된다(도 1 및 도 3 참조).
따라서 장착부(200)와 토탈스테이션(130)을 차량(10)에 의하여 측정위치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측정위치로 이동하여 측정하는 경우에는 전후방향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1)를 후진방향으로 가동시켜 구동스크루(232)가 후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이동장착대(210)에 결합된 너트박스(232)와 구동스크루(231)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이동장착대(21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적재함(11)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도 2 및 도 4 참조).
이 상태에서, 이동장착대(210)와 적재함(11)의 후단 사이에는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생기게 되어 작업자는 이 공간 내에서 지면에 발을 딛고 서서 토탈스테이션(130)을 이용한 측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동장착대(210)는 수직바(213)와 현수바(216)는 상단에서 수평바(21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간에 대한 작업작의 출입시 간섭을 일으키는 부분이 없어 작업자의 출입이 편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3차원회동대(250)는 좌우이동대(240)에 대하여 구형지지구(251)와 구형회동체(252)에 의하여 3차원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좌우이동대(240)와 3차원회동대(250) 사이에는 3차원회동구동수단(26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3차원회동대(250)에 설치된 수평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업용 컴퓨터(140)에 구비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3차원회동구동수단(260)을 구성하는 리니어액튜에이터(261)가 제어되며, 3차원회동대(250)가 3차원회동 하면서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좌우이동대(240)를 장착판(217)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켜 좌우위치를 조절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구동수단(230)에 의하여 장착부(200)와 토탈스테이션(1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확한 토탈스테이션(130)의 중심부가 측정위치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토탈스테이션(130)에 의한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GPS안테나(110)에 의한 GPS신호의 수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280)은 이동시에는 힌지나사(283)와 고정나사(285)를 조여서 지지각(282)의 상단부와 중단부가 각각 힌지부(281)과 고정편(284)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적재함(11)에 적재하여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도 1 및 도 3 참조).
측정시에는 힌지나사(283)를 이완시키고 고정나사(285)를 완전히 풀어내어 지지각(282)이 힌지나사(28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지지각(282)의 하단이 지면에 접지되도록 한 다음, 힌지나사(283)를 조여서 지지각(282)의 상단을 힌지편(281)에 고정시킴으로써 지지각(282)이 이동장착대(210)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이동장착대(210)와 토탈스테이션(130)가 안정된 자세로 유지되어 안정된 측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도 2 및 도 4 참조).
또한 상기 지지각(282)는 신축조절 가능한 다리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지면의 굴곡이나 경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단바(212)와 수평바(214) 및 후단바(215)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상단수평차단판(310)과, 상기 상단바(212)와 수직바(213)의 상단부 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전단수직차단판(320)과, 상기 후단바(215)와 현수바(216)의 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후단수직차단판(330)과, 상기 수직바(213)와 현수바(216)의 상단부와 수평바(214)의 측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수직차단판(340)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수단(300)이 구비되어 토탈스테이션(130)와 작업자에 대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토탈스테이션과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수평차단판(310), 전단수직차단판(320), 후단수직차단판(330) 및 측면수직차단판(340)이 투명유리 또는 투명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측정 시야가 확보되어 측정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 11: 적재함
100: 측정부 110: GPS안테나
120: GPS수신기 130: 토탈스테이션
140: 작업용 컴퓨터 150: 인공위성
200: 장착부 210: 이동장착대
220: 전후방향안내수단 230: 전후방향구동수단
240: 좌우이동대 250: 3차원회동대
260: 3차원회동구동수단 270: 토탈스테이션결합나사
280: 지지수단 300: 자외선차단수단

Claims (1)

  1. 측정부(100)와, 상기 측정부(100)를 차량(1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00) 및 자외선을 차단하여 상기 측정부(100)와 작업자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차단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100)는 변화된 지형지물을 측정하며 작업자가 측정하는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GPS안테나(110), GPS수신기(120), 토탈스테이션(130) 및 작업용 컴퓨터(140)를 포함하고,
    상기 GPS안테나(110)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나사보스(111)가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토탈스테이션(130)의 손잡이(132) 상에 구비된 나사돌기(112)에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기 토탈스테이션(130)은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의 각도와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펜컴퓨터용 소프트웨어와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부(131)와, 상기 본체부(131)의 상단부에 구비된 손잡이(132)와, 상기 본체부(131)의 전후방에 구비된 입력 및 표시부(133)와, 렌즈부(134) 및, 상기 본체부(131)의 하단에 구비되는 수평조절부(135)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200)는 차량(10)의 적재함(11) 상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바(211)와 상단바(212), 상기 하단바(211)와 상단바(212) 사이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바(213)와, 상기 수직바(213)의 상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바(214)와, 상기 수평바(214)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단바(215)와, 상기 수평바(214)의 후단부와 중단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각 한 쌍씩의 현수바(216)와, 상기 현수바(216)의 하단에 결합되는 장착판(217)로 이루어지는 이동장착대(210)와; 상기 이동장착대(210)를 차량(10)의 적재함(1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전후방향안내수단(220)과; 상기 이동장착대(210)를 차량(10)의 적재함(1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방향구동수단(230)과; 상기 장착판(217)의 상면에 좌우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이동대(240)와; 상기 좌우이동대(240)의 상부에 3차원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3차원회동대(250)와; 상기 좌우이동대(240)와 3차원회동대(250) 사이에 설치되는 3차원회동구동수단(260)과; 상기 3차원회동대(25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토탈스테이션결합나사(270);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향안내수단(220)은 상기 적재함(11)의 바닥에 전후단부가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봉(221)과, 상기 이동장착대(210)의 하단바(211)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봉(221)에 안내되는 좌우 한 쌍의 안내편(2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230)은 상기 적재함(11)의 상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31)와, 상기 구동모터(231)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크루(232)와, 상기 하단바(211)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스크루(232)에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234)를 가지는 너트블록(233)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이동대(240)를 상기 장착판(217)에 대하여 좌우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이동대(240)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나사관통공(241)과, 상기 나사관통공(241)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판(217)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242)과, 상기 나사관통공(241)와 장공(242)을 관통하는 좌우위치조절나사(243)와, 상기 장착판(217)의 하부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절나사(243)에 체결되는 좌우위치조절너트(244)가 구비되고,
    상기 3차원회동대(250)를 3차원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좌우이동대(240)의 상면에는 구형지지구(251)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3차원회동대(250)의 하면에는 상기 구형지지구(251)에 대응하여 하면이 개방된 구형홈(253)을 가지는 구형회동체(252)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3차원회동구동수단(260)은 상기 좌우이동대(24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을 두고 상기 좌우이동대(240)의 상면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261)와, 리니어액튜에이터(261)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3차원회동대(250)의 하면에 접촉되는 작동봉(26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탈스테이션결합나사(270)는 상기 3차원회동대(250)의 상면 중심부에 고정된 브래킷(273)에 관통하여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부(271)와, 상기 나사부(27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3차원회동대(250)의 상면과 브래킷(273)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부(272) 및, 상기 토탈스테이션(130)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나사부(271)가 체결되는 나사홀을 가지는 나사보스(27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200)는 이동장착대(21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2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280)은 상기 장착판(217)의 좌우측 후단부에 형성되며 나사공(281a)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힌지부(281)와, 상단에 상기 나사공(281a)에 대응하는 관통공(282a)이 형성되고 중단부에 나사관통공(282b)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지지각(282)과, 상기 관통공(282a)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281a)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각(282)을 상기 장착판(217)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나사(283)와, 상기 장착판(217)의 좌우측 선단부에 형성되며 나사공(284a)이 구비된 고정편(284)과, 상기 지지각(282)의 중단부에 형성된 나사관통공(282b)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284a)에 체결되는 고정나사(28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외선차단수단(300)은 상기 상단바(212)와 수평바(214) 및 후단바(215)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상단수평차단판(310)과, 상기 상단바(212)와 수직바(213)의 상단부 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전단수직차단판(320)과, 상기 후단바(215)와 현수바(216)의 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후단수직차단판(330)과, 상기 수직바(213)와 현수바(216)의 상단부와 수평바(214)의 측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수직차단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
KR1020170047528A 2017-04-12 2017-04-12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 KR101752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28A KR101752796B1 (ko) 2017-04-12 2017-04-12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28A KR101752796B1 (ko) 2017-04-12 2017-04-12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796B1 true KR101752796B1 (ko) 2017-07-11

Family

ID=5935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528A KR101752796B1 (ko) 2017-04-12 2017-04-12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7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8502A (zh) * 2019-03-07 2019-07-16 清博(昆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卫星定位修正方法
KR102312034B1 (ko) 2021-05-21 2021-10-14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측량용 자외선 차단과 시야 확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32B1 (ko) 2016-03-29 2016-07-26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자외선 차단 기능이 부설된 시야 확보가 용이한 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32B1 (ko) 2016-03-29 2016-07-26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자외선 차단 기능이 부설된 시야 확보가 용이한 측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8502A (zh) * 2019-03-07 2019-07-16 清博(昆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卫星定位修正方法
KR102312034B1 (ko) 2021-05-21 2021-10-14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측량용 자외선 차단과 시야 확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01199B2 (en) Device for marking or processing a surface, tool, and articulated arm
EP2898291B1 (en) Workflow improvements for stakeout
US7874078B2 (en) Vehicle dimensional measuring system
US9746324B1 (en) Adjustable high precision surveying device
KR101706097B1 (ko) 수평제어 기능 및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기준점 측지정보 수집 시스템
KR101464162B1 (ko) 지상이미지에 적용된 지피에스(gps) 기준점별 수치지도의 세부정보 갱신시스템
US20150362316A1 (en) Surveying system and marking device
JP6285276B2 (ja) 地表の放射線計測装置とその装置を用いた放射線計測方法
KR101752796B1 (ko) 측량기 자외선차단과 시야 보호장치
CN110186442B (zh) 固定于钻机的开孔定向测量装置及方法
KR100878890B1 (ko) 수치지도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지형지물의 높이측정 변경확인시스템
KR101490312B1 (ko) 지형변화를 감지해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KR101820129B1 (ko) 좌표정보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790306B1 (ko) 지형지물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217849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기준점 측지정보 수집 시스템
JP2001227950A (ja) 測量用位置決めマーキング装置
KR101318269B1 (ko) 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비교를 통한 측량성과 업데이트용 관측시스템
KR101641932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부설된 시야 확보가 용이한 측량장치
KR100978947B1 (ko) 지피에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수치정보 갱신시스템
KR101349395B1 (ko) 경사면에서의 안정된 설치가 용이한 지피에스 위치 정밀 측지측량시스템
CN216410212U (zh) 一种建筑工程垂直度检测设备
CN215410864U (zh) 一种rtk移动测绘设备
KR101234348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633802B1 (ko) 지형지물 변화에 따른 지리정보 측량확인시스템
JP7201346B2 (ja) プリズム保持器、及び、当該プリズム保持器を用いる測量ツ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