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818B1 - 승마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승마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818B1
KR101751818B1 KR1020150081521A KR20150081521A KR101751818B1 KR 101751818 B1 KR101751818 B1 KR 101751818B1 KR 1020150081521 A KR1020150081521 A KR 1020150081521A KR 20150081521 A KR20150081521 A KR 20150081521A KR 101751818 B1 KR101751818 B1 KR 101751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d
present
coupl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840A (ko
Inventor
대 규 권
미 유
철 운 홍
창 호 유
승 록 강
선 혜 신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81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Abstract

승마 운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장부와 일정한 각을 유지하며 일체로 움직이는 등자부 및 상기 안장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는 운동상태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마 운동 장치 {HORSE RIDING DEVICE}
본 발명은 승마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장부 및 등자부를 일체로 움직여 상체 및 하체의 운동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마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마는 생명이 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의 운동이다.
승마는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는 전신운동으로 허리를 곧게 펴고 하는 운동이므로 자세교정에 도움이 된다. 또한,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승마는 유산소성 운동능력, 체지방 개선, 근력 향상 등에서 순기능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순기능 효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경제적 여건, 장소 또는 시간 등의 제약으로 실제 승마를 적극적으로 즐길 수 없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실내에서도 즐길 수 있고, 승마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승마 운동 기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안장부를 상, 하, 좌, 우로 움직여 실제 말과 같은 승마감을 제공하는 승마 운동 장치가 개발되었다.
다만, 현재까지 진행된 승마 운동 장치에서는 상체운동에 중점을 둔 움직임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상체뿐만 아니라 하체에도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승마 운동 장치가 개발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0853809호 (2008.08.1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0903968호 (2009.06.1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안장부와 등자부가 일체로 움직여 하체의 운동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마 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안장부와 등자부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체의 운동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마 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등자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마 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안장부에 설치되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및 발판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 분포를 이용하여 승마 운동을 조절할 수 있는 승마 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장부와 일정한 각을 유지하며 일체로 움직이는 등자부 및 상기 안장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는 운동상태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중공부를 포함하는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중공부에 나사 결합되는 내측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의 일단에는 한 쌍의 제1 고정구가 위치되고, 상기 내측부재의 일단에는 한 쌍의 제2 고정구가 위치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중심에 위치하는 제1 기준홀을 공유하고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구가 결합되는 복수의 한 쌍의 제1 결합홀 및 상기 복수의 한 쌍의 제1 결합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중심에 위치하는 제2 기준홀을 공유하고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구가 결합되는 복수의 한 쌍의 제2 결합홀 및 상기 복수의 한 쌍의 제2 결합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발판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안장부는 상기 안장부의 가로축 변위와 세로축 변위를 측정하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동상태 분석부는 상기 안장부를 상, 하, 좌, 우로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 상기 안장부의 가로축 변위와 세로축 변위 및 상기 등자부의 압력으로 상기 안장부의 진동 속도를 제어하는 운동 제어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에 의하면 안장부와 등자부가 일체로 움직여 하체의 운동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에 의하면 안장부와 등자부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체의 운동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등자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에 의하면 안장부에 설치되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및 발판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 분포를 이용하여 승마 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마 운동 장치의 등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승마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승마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마 운동 장치의 구성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구성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구성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승마 운동 장치(100)는 몸체부(10), 안장부(20), 등자부(30) 및 운동상태 분석부(4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100)의 골격을 구성한다.
또한, 몸체부(10)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베이스(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100)에서 균형을 잡도록 상체의 자세를 조절하여야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부(20)는 몸체부(10)에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안장부(20)는 몸체부(10)와 수직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안장부(20)는 중심부가 움푹 패인 말등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말등의 형상을 가지는 안장부(20)에 탑승하여 운동하므로써 실제 승마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안장부(20)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텐셔미터(21)는 기계적인 변위를 전기적인 출력신호로 나타낼 수 있는 장치이다.
즉, 포텐셔미터(21)는 안장부(20)의 가로축 변위와 세로축 변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텐셔미터(21)에 의해 체크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이용하여 승마 운동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등자부(30)는 안장부(20)에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등자부(30)는 안장부(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장부(20)와 일정한 각을 유지하며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장부(20)가 움직일 때 등자부(30)가 일체로 움직임으로써 안장부의 움직임이 등자부(3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안장부(20)에 의해 전달되는 상체의 움직임의 패턴과 등자부(30)에 의해 전달되는 하체의 움직임 패턴이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반면에, 안장부(20)과 등자부(30)가 별개로 움직인다면, 안장부(20)에 의해 전달되는 상체의 움직임의 패턴과 등자부(30)에 의해 전달되는 하체의 움직임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등자부(30)의 움직임을 제공하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 하체의 운동력이 상승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장부(20)와 등자부(30)가 일체로 움직임으로써 안장부(20)의 운동력을 이용하여 하체의 운동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등자부(30)는 결합부재(31), 연결부(32) 및 발판부(33)를 포함한다.
결합부재(31)는 안장부(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결합부재(31)는 안장부(20)의 사용자가 탑승하는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면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부(32)는 결합부재(31)와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연결부(32)는 결합부재(3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연결부(32)는 결합부재(31)를 통해 안장부(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안장부(20)가 움직일 때, 연결부(32)는 안장부(20)와 일정한 각을 유지하며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안장부(20)에 결합되는 연결부(32)의 결합각도에 따라 연결부(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체의 근육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재(31)와 연결부(32)의 결합각도를 달리하고, 상기 결합각도를 유지하며 안장부(2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재(31)와 연결부(32)의 결합각도를 조절하며 안장부(20)와 연결부(32)가 일체로 움직이므로써 안장부(20)에 의해 전달되는 상체의 움직임이 연결부(32)에 의해 전달되는 여러 하체 근육에 전달될 수 있다.
결국, 결합부재(31)와 연결부(3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장부(20)의 운동력을 이용하여 하체의 여러 근육에 운동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33)는 연결부(32)에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발판부(33)는 연결부(3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발판부(33)는 연결부(3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장부(20)가 움직일 때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32)에 결합되는 발판부(33)의 결합각도에 따라 발판부(33)에 의해 지지되는 발목 및 종아리 근육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2)와 발판부(33)의 결합각도를 달리하고, 상기 결합각도를 유지하며 안장부(2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2)와 발판부(33)의 결합각도를 조절하며 안장부(20)와 발판부(33)가 일체로 움직이므로써 안장부(20)에 의해 전달되는 상체의 움직임이 발판부(33)에 의해 전달되는 여러 종아리 및 발목 근육에 전달될 수 있다.
결국, 연결부(32)와 발판부(3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장부(20)의 운동력을 이용하여 발목 및 종아리의 여러 근육에 운동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2)와 발판부(33) 각각이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하므로써 안장부(20)의 운동력이 하체 또는 발목 및 종아리의 여러 근육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100)를 통해 상체 운동뿐만 아니라 하체 운동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다만, 연결부(32)와 발판부(3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2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발판부(33)는 압력 센서(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333)에 의하면 발판부(33)에 인가되는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압력 센서(333)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좌, 우 발판부(33)에 인가되는 압력 분포를 측정하므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의 운동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333)에 의해 측정된 압력 분포를 이용하여 승마 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운동상태 분석부(40)는 안장부(20)에 설치되고, 운동상태 분석부(40)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상태가 분석된다.
즉, 운동상태 분석부(40)를 통해 사용자는 승마 운동 중에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확인하고, 승마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 장치(100)는 안장부(20)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움직이는 등자부(30)에 의해 상체 및 하체의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승마 운동 장치의 등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재(31)는 복수의 한 쌍의 제1 결합홀(311) 및 한 쌍의 제1 고정나사(312)를 포함한다.
복수의 한 쌍의 제1 결합홀(311)은 제1 기준홀(3111) 및 복수의 결합부재 홀(3112)로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한 쌍의 제1 결합홀(311)은 한 쌍의 제11 결합홀(311a), 한 쌍의 제12 결합홀(311b) 및 한 쌍의 제13 결합홀(311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한 쌍의 제1 결합홀(311)은 두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1 결합홀(311a), 한 쌍의 제12 결합홀(311b) 및 한 쌍의 제13 결합홀(311c) 각각은 제1 기준홀(3111)을 공유하고 제1 기준홀(3111)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결합부재 홀(31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홀(3111)은 원형일 수 있고, 복수의 결합부재 홀(3112)은 다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고정나사(312)는 원형의 제1 고정나사(312a)와 다각형의 제1 고정나사(312b)가 쌍을 이루어 결합부재(31)와 연결부(3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 기준홀(3111)에는 원형의 제1 고정나사(312a)가 결합되고, 복수의 결합부재 홀(3112) 중 어느 하나에는 다각형의 제1 고정나사(312b)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2)는 한 쌍의 제1 고정구(321)와 한 쌍의 제2 고정구(3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고정구(321)는 연결부(32)의 일단에 위치되고, 한 쌍의 제2 고정구(322)는 연결부(32)의 일단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단에 위치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고정구(321)는 원형의 제1 고정구(321a)와 다각형의 제1 고정구(321b)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제2 고정구(322)는 원형의 제2 고정구(322a)와 다각형의 제2 고정구(322b)로 구성될 수 있다.
발판부(33)는 복수의 한 쌍의 제2 결합홀(331) 및 한 쌍의 제2 고정나사(312)를 포함한다.
복수의 한 쌍의 제2 결합홀(331)은 제2 기준홀(3311) 및 복수의 발판부 홀(3312)로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한 쌍의 제2 결합홀(331)은 한 쌍의 제21 결합홀(331a), 한 쌍의 제22 결합홀(331b) 및 한 쌍의 제23 결합홀(331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한 쌍의 제2 결합홀(331)은 두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1 결합홀(331a), 한 쌍의 제22 결합홀(331b) 및 한 쌍의 제23 결합홀(331c) 각각은 제2 기준홀(3311)을 공유하고 제2 기준홀(3311)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발판부 홀(33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홀(3311)은 원형이고, 복수의 발판부 홀(3312)은 다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2 고정나사(332)는 원형의 제2 고정나사(332a)와 다각형의 제2 고정나사(332b)가 쌍을 이루어 발판부(33)와 연결부(3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2 기준홀(3311)에는 원형의 제2 고정나사(332a)가 결합되고, 복수의 발판부 홀(3312) 중 어느 하나에는 다각형의 제2 고정나사(332b)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합부재(31)와 연결부(32)의 회전가능한 결합 및 연결부(32)와 발판부(33)의 회전가능한 결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결합부재(31)와 연결부(32)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결합부재(31)와 연결부(32)가 동일축상에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32)의 한 쌍의 제1 고정구(321)는 결합부재(31)의 한 쌍의 제11 결합홀(311a)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기준홀(3111)과 원형의 제1 고정구(321a)는 원형의 제1 고정나사(312a)에 의해 결합되고, 결합부재 홀(3112)과 다각형의 제1 고정구(321b)는 다각형의 제1 고정나사(312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2)가 일정각도(α) 기울어져 결합부재(31)에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32)의 한 쌍의 제1 고정구(321)는 결합부재(31)의 한 쌍의 제12 결합홀(311b)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기준홀(3111)과 원형의 제1 고정구(321a)은 원형의 제1 고정나사(312a)에 의해 결합되고, 결합부재 홀(3112)과 다각형의 제1 고정구(321b)는 다각형의 제1 고정나사(312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각형의 제1 고정나사(312b)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홀(3112)을 변경시켜 연결부(32)가 결합부재(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각형의 제1 고정나사(312b) 단 하나의 체결을 달리하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하체 운동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2)와 발판부(33)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부(32)와 발판부(33)가 동일축상에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32)의 한 쌍의 제2 고정구(322)는 발판부(33)의 한 쌍의 제21 결합홀(331b)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기준홀(3311)과 원형의 제2 고정구(322a)는 원형의 제2 고정나사(322a)에 의해 결합되고, 발판부 홀(3312)과 다각형의 제2 고정구(322b)는 다각형의 제2 고정나사(332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판부(33)가 일정각도(β) 기울어져 연결부(32)에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32)의 한 쌍의 제2 고정구(322)는 발판부(33)의 한 쌍의 제22 결합홀(331b)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기준홀(3311)과 원형의 제2 고정구(322a)는 원형의 제2 고정나사(332a)에 의해 결합되고, 발판부 홀(3312)과 다각형의 제2 고정구(322b)는 다각형의 제2 고정나사(332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각형의 제2 고정나사(332b)에 결합되는 발판부 홀(3311)을 변경시켜 발판부(33)가 연결부(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각형의 제2 고정나사(332b) 단 하나의 체결을 달리하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하체 운동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승마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승마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232)는 외측부재(323)와 내측부재(324)를 포함한다.
외측부재(323)는 결합부재(31)에 결합되고 중공부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외측부재(323)의 일단은 결합부재(31)와 결합되고, 외측부재(323)의 일단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단은 중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측부재(323)의 중공부에는 나사산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산이 외측부재(323)의 중공부 일부에 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공부 전체에 나사산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내측부재(324)는 외측부재(323)의 중공부에 나사결합된다.
상세하게는, 내측부재(324)에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포함되어 외측부재(323)의 중공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내측부재(324)가 외측부재(323)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내측부재(324) 또는 세 개 이상의 내측부재(324)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내측부재(324)는 발판부(33)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내측부재(324)의 일단은 외측부재(323) 또는 다른 내측부재(324)와 결합되고, 내측부재(324)의 일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은 발판부(33)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32)는 외측부재(323)와 내측부재(324)의 결합 길이를 조절하여 연결부(232)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장이 큰 경우 연결부(232)의 길이를 연장하고, 사용자의 신장이 작은 경우 연결부(232)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2)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한 승마 운동 장치(2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32)의 길이가 조절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장이 큰 경우, 외측부재(323)에 삽입된 내측부재(324)를 시계 반대 방향 회전시켜 내측부재(324)가 외측부재(323)와 결합되는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외측부재(323)와 내측부재(324)의 나사결합을 풀어 외측부재(323)에 삽입되는 내측부재(324)의 면적을 감소시켜 연결부(232)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장이 작은 경우, 외측부재(323)에 내측부재(32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내측부재(324)가 외측부재(323)와 결합되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외측부재(323)와 내측부재(324)의 나사결합을 조여 외측부재(323)에 삽입되는 내측부재(324)의 면적을 증가시켜 연결부(232)의 전체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2)는 외측부재(323)와 내측부재(324)의 나사결합 면적의 조절을 통해 용이하게 길이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2)의 길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승마 운동 장치(200)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32)는 결합부재(3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재(31)에 결합되는 연결부(232)의 결합각도를 조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하체의 여러 근육에 승마 운동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2)는 결합되는 발판부(33)의 결합각도를 조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종아리 및 발목의 여러 근육에 승마 운동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연결부(232)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하체에 승마 운동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마 운동 장치의 구성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동상태 분석부(40)는 진동 수단(41), 운동 제어 장치(42) 및 디스플레이 장치(43)를 포함한다.
진동 수단(41)은 안장부(20)를 상, 하, 좌, 우로 진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진동 수단(41)은 몸체부(10)에 내장된 회전축(미도시)을 작동시켜 안장부(20)를 상, 하, 좌, 우로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 제어 장치(42)는 안장부(20)의 진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운동 제어 장치(42)는 포텐셔미터(21) 및 압력 센서(333)으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안장부(20)의 진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운동 제어 장치(42)는 안장부(20)의 변위 및 좌, 우 발판부(33)의 압력 분포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피드백 받아 승마 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3)에는 사용자의 운동 상태가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43)에 표시된 운동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직접 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3)에는 운동 제어 장치(42)에 의해 제어된 운동 속도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운동 속도가 조절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 승마 운동 장치
1 : 베이스
10 : 몸체부
20 : 안장부
21 :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30 : 등자부
31 : 결합부재
311 : 복수의 한 쌍의 제1 결합홀
3111 : 제1 기준홀 3112 : 복수의 결합부재 홀
312 : 한 쌍의 제1 고정나사
312a : 원형의 제1 고정나사 312b : 다각형의 제1 고정나사
32, 232 : 연결부
321 : 한 쌍의 제1 고정구
321a : 원형의 제1 고정구 321b : 다각형의 제1 고정구
322 : 한 쌍의 제2 고정구
322a : 원형의 제2 고정구 322b : 다각형의 제2 고정구
323 : 외측부재 324 : 내측부재
33 : 발판부
331 : 복수의 한 쌍의 제2 결합홀
3311 : 제2 기준홀 3312 : 복수의 발판부 홀
332 : 한 쌍의 제2 고정나사
332a : 원형의 제2 고정나사 332b : 다각형의 제2 고정나사
333 : 압력 센서
40 : 운동상태 분석부
41 : 진동 수단 42 : 운동 제어 장치
43 : 디스플레이 장치
α : 연결부의 회전 각도 β: 발판부의 회전 각도

Claims (7)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장부와 일정한 각을 유지하며 일체로 움직이는 등자부; 및
    상기 안장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는 운동상태 분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중공부를 포함하는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중공부에 나사 결합되는 내측부재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의 일단에는 한 쌍의 제1 고정구가 위치되고, 상기 내측부재의 일단에는 한 쌍의 제2 고정구가 위치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중심에 위치하는 제1 기준홀을 공유하고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구가 결합되는 복수의 한 쌍의 제1 결합홀 및 상기 복수의 한 쌍의 제1 결합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중심에 위치하는 제2 기준홀을 공유하고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구가 결합되는 복수의 한 쌍의 제2 결합홀 및 상기 복수의 한 쌍의 제2 결합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발판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승마 운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는,
    상기 안장부의 가로축 변위와 세로축 변위를 측정하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상태 분석부는,
    상기 안장부를 상, 하, 좌, 우로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 상기 안장부의 가로축 변위와 세로축 변위 및 상기 등자부의 압력으로 상기 안장부의 진동 속도를 제어하는 운동 제어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장치.
KR1020150081521A 2015-06-09 2015-06-09 승마 운동 장치 KR10175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21A KR101751818B1 (ko) 2015-06-09 2015-06-09 승마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21A KR101751818B1 (ko) 2015-06-09 2015-06-09 승마 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40A KR20160144840A (ko) 2016-12-19
KR101751818B1 true KR101751818B1 (ko) 2017-06-28

Family

ID=5773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521A KR101751818B1 (ko) 2015-06-09 2015-06-09 승마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8034B (zh) * 2017-03-29 2020-06-26 北京大学 一种能够获取人体下肢姿态控制水平的马鞍
KR102614336B1 (ko) * 2021-11-01 2023-12-15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0113B2 (ja) * 2004-11-25 2009-05-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揺動型運動装置
JP2011130810A (ja) * 2009-12-22 2011-07-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運動装置
KR101446043B1 (ko) 2013-05-30 2014-10-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나의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등자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장 및 이를 구비한 승마 시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09B1 (ko) 2006-10-18 2008-08-22 석경재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KR100903968B1 (ko) 2007-11-20 2009-06-25 전자부품연구원 등자쇠 운동을 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0113B2 (ja) * 2004-11-25 2009-05-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揺動型運動装置
JP2011130810A (ja) * 2009-12-22 2011-07-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運動装置
KR101446043B1 (ko) 2013-05-30 2014-10-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나의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등자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장 및 이를 구비한 승마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40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6850B (zh) 下肢模拟健身装置
US7004895B2 (en) Proprioception machine
US4306714A (en) Iso-energetic ankle exerciser
US5879275A (en) Leg exerciser and method
EP1818082A3 (en) Stationary exercise apparatus
US20140213417A1 (en) Gyroscopic exercise device
JP2007029704A (ja) 揺動装置
KR101751818B1 (ko) 승마 운동 장치
KR20140132322A (ko) 발목 운동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발목 운동 장치
KR20090091447A (ko) 하반신 운동기구
US20030096677A1 (en) Oval orbit exercise bike
RU2595595C1 (ru) Тренажер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развития координации движений и вестибуляр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в сложно-координационных видах спорт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US86727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a baseball pitcher
KR101298882B1 (ko)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보드
US20220233914A1 (en) Pelvis training device
US20180078822A1 (en) Adjustabl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Trainer
JP2002200194A (ja) 運動具
CN104144730B (zh) 全身振动器械的上肢连接件装置
US5785665A (en) Body axes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ation of body axis
KR100903968B1 (ko) 등자쇠 운동을 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
CN209865170U (zh) 一种运动员膝关节限位器
CN209060475U (zh) 一种改进型动态平衡训练装置
CN208678290U (zh) 一种动态平衡训练装置
KR101045433B1 (ko) 전신 운동기구
KR101739685B1 (ko)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