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557B1 -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557B1
KR101751557B1 KR1020127009270A KR20127009270A KR101751557B1 KR 101751557 B1 KR101751557 B1 KR 101751557B1 KR 1020127009270 A KR1020127009270 A KR 1020127009270A KR 20127009270 A KR20127009270 A KR 20127009270A KR 101751557 B1 KR101751557 B1 KR 10175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el
furniture
core
sleev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467A (ko
Inventor
오스카 라이히
토마스 나겔
Original Assignee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9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8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of cylindric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7/12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05D7/12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04Expa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2Dowels;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S403/13Furnitur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10T403/595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Hinges (AREA)
  • Dowel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부품(13)의 천공부(14)에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다웰 슬리이브(14)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가 다웰 코어(3)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다웰 코어(3)상에서 다웰 슬리이브(4)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장치(5)를 갖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웰 코어(3)가 반경 방향으로 탄력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FASTENING DEVICE FOR FURNITURE FITTINGS}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가구부품의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이러한 고정장치를 갖는 가구부속품, 이러한 가구부속품을 갖는 가구부품과, 이러한 가구부품을 갖는 가구제품에 관한 것이다.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보다 다웰형 고정체를 이용하여 가구부속품을 고정하는 것의 이점은 조립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되어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다웰형 고정체의 다른 이점은 스크류와는 달리 이들이 지나치게 조여지지 않는 것에 있는 바, 스크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크류가 지나치게 조여질 때 가구부품에서 가구부속품의 고정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특허문헌 DE 200 02 994 U1에는 가구부품의 천공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이브형 고정부를 갖는 것으로 가구부품에 인접하는 결합동체를 갖는 가구부품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부속품이 기술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결합동체에 지지되는 슬리이브형 고정부를 위한 고정체가 가구부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결합동체의 측면에 제공된다.
특허문헌 WO 1999/024723 A1에는 가구부품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부속품이 기술되어 있는 바, 이는 가구부품에 인접하는 결합동체, 가구부품의 천공부에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외면에 축방향으로 편중된 다수의 고정돌기, 좋기로는 원추형 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웰형 팽창슬리이브와, 팽창슬리이브용으로서 결합동체로부터 돌출된 펙형 팽창부를 가지며, 결합동체에 지지되는 팽창슬리이브용 고정체가 가구부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부속품의 측면에 제공된다.
또한 특허문헌 EP 1 054 168 A2 및 DE 295 06 600 U1에도 종래기술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가구부속품은 가구부품의 재질이 고정장치로부터 가구부품으로 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 결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종래기술의 결점이 없고 종래기술 보다 개선된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개선된 가구부속품, 개선된 가구부품 및 개선된 가구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고정장치, 이러한 고정장치를 갖는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가구부속품, 이러한 가구부속품을 갖는 청구항 제20항에 따른 가구부품 및 이러한 가구부품을 갖는 청구항 제21항에 따른 가구제품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탄성 다웰 코어의 효과는 가구부품이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졌을 때 이러한 다웰 코어가 내부에서 변형되고 가구부품이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졌을 때 다웰 코어가 약간만 내부에서 탄력을 보이는 것이다. 일정한 폐쇄압력이 작동장치에 가하여져 재질이 상이한 고정장치와 가구부품 사이에 가하여지므로 경질목재, MDF, 칩보드, 연질목재 등과 같은 여러 재질에서도 증가되고 균일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가구부품에서 재질에 따른 공차의 효과는 동일한 재질의 일부 부품은 어느 정도 경질이고 일부는 어느 정도 연질이어서 유사하며 가구부품에 가구부속품을 고정하는데 다른 역효과는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종속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가구부속품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가구부속품의 고정장치의 정단면도.
도 2a는 개방된 상태에 있는 고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2b는 폐쇄된 상태에 있는 고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a는 개방상태의 고정장치가 가구부품의 천공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3b는 폐쇄된 상태의 고정장치와 가구부품의 천공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가구부속품이 구비된 가구부품을 보인 사시도.
도 1a는 가구부품(13)을 위한 가구부속품(2)을 보인 것으로, 이는 가구부품(13)에 형성된 두개의 천공부(14)(도시하지 않았음)에 삽입되는 고정장치(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고정장치(1)는 두개의 다웰 코어(3)와 두개의 다웰 슬리이브(4)를 가지며 이들은 가부부품(13)의 두 천공부(14)에 삽입될 수 있다. 다웰 코어(3)와 가구부속품(2)의 고정플랜지(10) 사이에는 스페이서 디스크(spacer disk)(12)가 배치된다. 핀(15) 때문에 다웰 슬리이브(4)는 고정플랜지(10)의 방향으로 작동장치(5)에 의하여 당기어질 수 있다. 다웰 코어(3)는 이러한 다웰 코어(3)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원통형 스프링 코어 슬리이브를 형성하는 길이방향 슬리트(6)를 갖는다.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의 재질은 금속, 특히 스프링강이 좋다. 우선실시형태에서, 다웰 슬리이브(4)는 C67 스프링강으로 구성되고 다웰 코어(3)는 C60 스프링강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다웰 슬리이브(4)가 작동장치(5)에 의하여 고정플랜지(10)의 방향으로 당기어지는 경우, 이는 다웰 코어(3)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서 가구부품(13)의 천공부(14)내에 가구부속품(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도 1b 및 도 3b 참조).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다웰 코어(3)는 고정플랜지(10)상에 배치된다. 다웰 코어(3)와 고정플랜지(10) 사이에는 스페이서 디스크(12)가 배치되며, 스페이서 디스크(12)의 일부분이 고정플랜지(10)측으로 돌출되고 스페이서 디스크의 다른 일부분이 천공부(14)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 디스크(12)는 가구부품(13)의 하중이 작용할 때 측방향의 힘을 수용할 수 있어 한편으로는 다웰 코어(3)가 안정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스템 전체가 강하게 당기어지는 경우에도 고정플랜지(10)는 거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돌기(18)가 구비된 스페이서 디스크(12)는 고정플랜지(10)의 슬로트에 삽입되어 이러한 고정플랜지(10)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다웰 슬리이브(4)는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다웰 슬리이브(4)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b는 가구부품(13)의 천공부(14)에 배치된 가구부속품(2)을 보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구부속품(2)의 고정장치(1)는 힌지컵(11)의 천공부(16)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천공부(14)에 배치된다.
도 2a는 고정장치(1)가 구비된 가구부속품(2)을 보인 것으로 이러한 고정장치에 의하여 가구부속품이 가구부품(13)(도시하지 않았음)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고정장치(1)는 이 실시형태에서 힌지 레버의 형태인 작동장치(5)를 갖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힌지 레버에 의하여 당기어질 수 있게 되어 있는 다웰 슬리이브(4)는 힌지컵(11)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2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작동장치(5)가 도 2b에서 보인 수평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다웰 슬리이브(4)가 상기 작동장치(5)에 의하여 작동장치(5)의 방향으로 당기어져 다웰 코어(3)에서 팽창한다.
도 3a는 가구부품(13)과 그 천공부(14)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천공부(14)에는 다웰 코어(3), 스페이서 디스크(12) 및 다웰 슬리이브(4)가 삽입된다. 선택적인 스페이서 디스크(12)는 다웰 코어(3)상에 배치되고 다웰 슬리이브(4)가 다웰 코어(3)상에서 당기어질 때 고정플랜지(10)에서 다웰 코어(3)가 거의 변형되지 않아 시스템 전체에서 개선된 힘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는 이들이 반경방향으로(radially) 탄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금속물질로 구성된다. 아울러, 이들은 길이방향의 슬리트를 갖는 바, 이 실시형태에서, 다웰 코어(3)에는 연속적인 길이방향의 슬리트(6)(도시하지 않았음)가 형성되어 있고 다웰 슬리이브(4)에는 불연속적인 다수의 길이방향 슬리트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에는 축선방향으로 단(段)을 이루는 다수의 경사면(7, 7', 7", 8, 8', 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축선방향"이란 고정장치의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의 삽입방향에 일치하는 천공부(14)의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웰 슬리이브(4)의 내면(9)은 단면이 주름형이고 다웰 코어(3)의 외면(9')도 단면이 주름형이어서, 이들 주름형의 두 내외면(9, 9')은 서로 매칭된다.
도 3b는 도 3a에서 보인 바와 같은 고정장치(1)의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를 보인 것으로, 예외적으로 이러한 도 3b에서는 고정장치(1)가 작동장치(5)(도 2a 및 도 2b 참조,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작동되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고정장치(1)의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가 가구부품(13)의 천공부(14)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다웰 코어(3)에는 선택적인 스페이서 디스크(12)가 구비되어 있어 하중이 작용할 때 가구부속품(2)에 측방향의 힘을 수용함으로서 고정플랜지(10)에서 다웰 코어(3)가 거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작동장치(5)(도시하지 않았음)를 작동시킴으로서, 다웰 슬리이브(4)가 고정플랜지(10)의 방향으로 당기어지고 다웰 코어(3)상에서 팽창되어 고정장치(1)를 가구부품(13)의 천공부(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웰 코어(3)의 경사면(7, 7')이 다웰 슬리이브(4)의 경사면(8, 8')에 매칭되어 있으므로 여러 축선방향 위치에서 다웰 슬리이브(4)의 균일한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다웰 슬리이브(4)의 연속적인 팽창은 일부는 경질이고 일부는 연질인 가구부품(13)의 재료상 공차가 균일하여 이들이 가구부품(13)에 가구부속품(12)을 고정하는데 부정적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 더욱이, 반경방향으로 탄력이 작용하는 다웰 코어(3)는 경질목재, MDF, 칩보드, 연질목재 등 가구부품(13)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재질에 가구부속품(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경질의 재질이 가구부품(13)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탄성의 다웰 코어(3)가 내측으로 크게 변형되나 반대로 연질의 재질이 가구부품(13)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다웰 코어(3)가 크게 변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재질에 관계없이 일정한 부하가 고정장치(1)로부터 가구부품(13)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구부품(13)에서 가구부속품(2)의 충분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상태와 이완상태 모두에서,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는 일정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바, 이는 가구부품(13)에 큰 하중이 가하여질 때 탄성의 다웰 코러(3)가 고정장치(1)를 가구부품(13)측으로 가압하여 이와 같이 부하가 가하여지는 상태에서도 가구부품(13)의 천공부(14)에 가구부속품(2)이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속적인 팽창에 의하여, 즉, 다웰 슬리이브(4)가 그 하측단부에서만 팽창되지 않고 그 외면을 따라 전체가 팽창되므로 "너무 큰" 가구부품(13)의 천공부(14)에서 부하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고, 천공부(14)에서 향상된 고정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이완상태인 경우에도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는 서로 면접촉하여 고정장치(1)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가구부품(13)의 천공부(14)에 가구부속품(2)과 그 고정장치(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하며 가구부속품(2)이 가구부품(13)에 신속히 착설될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정장치(1)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 가구부품(13)에 가구부속품(2)을 양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가구부품(13)의 재질상 공차가 가구부속품(2)을 고정시키는데 부정적인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 더욱이,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가 힘의 전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므로 작동장치(5)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가구부속품(2)이 고정장치(1)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가구부품(13)을 갖는 가구제품(17)을 보이고 있다.
비록 이들 실시형태가 힌지컵(11)의 외측에 고정장치(1)가 배치되는 것을 보이고 있으나, 이에 어떠한 제한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정장치(1)는 가구부품(13)에 가구부속품(2)을 고정하기 위하여 가구부품(13)의 다른 천공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가구부품에 사용되는 가구부속품을 고정하기 위한 예시된 실시형태의 고정장치는 명백히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고 각각은 가구부속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개념을 구현하는 많은 가능성 있는 실시형태인 것이다.
1: 고정장치, 2: 가구부속품, 3: 다웰 코어, 4: 다웰 슬리이브, 5:작동수단, 6: 길이방향 슬리트, 7, 7', 7", 8, 8', 8": 경사면. 9: 내면, 9': 외면, 10: 고정플랜지, 11: 힌지컵, 12: 스페이서 디스크, 13: 가구부품, 14: 천공부, 15: 핀, 16: 천공부, 17: 가구제품, 18: 돌기.

Claims (21)

  1. 반경방향으로 탄력을 갖는 원통형의 다웰 슬리이브(4);
    가구부품(13)의 천공부(14)에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다웰 슬리이브(4)내에 배치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다웰 코어(3); 및
    다웰 슬리이브(4)가 다웰 코어(3)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다웰 코어(3)상에서 다웰 슬리이브(4)가 이완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장치(5)를 포함하며,
    다웰 코어(3)는 반경방향으로(radially) 탄력을 갖도록 길이방향 슬리트(slit, 6)가 형성되고,
    다웰 코어(3) 및 다웰 슬리이브(4) 각각은, 다웰 슬리이브(4)가 작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다웰 코어(3)에 대하여 이동될 때 다웰 코어(3) 상에서 팽창하도록, 환형의 측벽면 상에 서로 상응하는 결합면(engagement surfaces)을 포함하며,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는 팽창상태 및 이완상태에서 다웰 코어(3)의 결합면이 다웰 슬리이브(4)의 결합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다웰 코어(3)에 대한 다웰 슬리이브(4)의 상대적인 축선방향 운동 및 다웰 코어(3)의 반경방향 탄력에 의하여 다웰 슬리이브(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웰 슬리이브(4)의 균일한 팽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웰 코어(3)가 원통형인 스프링 코어 슬리이브의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트(6)는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인 길이방향의 연속 슬리트(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다웰 코어(3)의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다웰 코어(3)의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7, 7', 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다웰 코어(3)의 결합면은 축선방향으로 단(段)을 이루는 다수의 경사면(7, 7', 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다웰 슬리이브(4)가 반경 방향으로 탄력을 갖도록 길이방향 슬리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다웰 슬리이브(4)의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다웰 슬리이브(4)의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8, 8', 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다웰 슬리이브(4)의 결합면은 축선방향으로 단을 이루는 다수의 경사면(8, 8', 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다웰 슬리이브(4)은 단면이 주름형인 내면(9)을 가지고 다웰 코어(3)도 단면이 주름형인 외면(9')을 가지며, 이들 주름형의 두 내외면(9, 9')이 서로 매칭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13.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질은 스프링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작동장치(5)가 힌지 레버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15. 제1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고정장치(1)를 갖는 가구부속품(2).
  16. 제15항에 있어서, 가구부속품(2)에 고정플랜지(10)가 구비되고, 다웰 코어(3)가 고정플랜지(10)상에 배치되며 다웰 슬리이브(4)는 작동장치(5)에 의하여 고정플랜지(10)의 방향으로 당기어질 수 있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
  17. 제15항에 있어서, 가구부속품(2)이 가구부품(13)의 두 천공부(14)에 삽입될 수 있는 두 개의 다웰 코어(3)와 두 개의 다웰 슬리이브(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
  18. 제15항에 있어서, 가구부속품(2)이 힌지컵(11)을 구비하고, 고정장치(1)가 힌지컵(11)의 외측에 놓이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
  19. 제15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디스크(12)가 다웰 코어(3)와 고정플랜지(10)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속품.
  20. 가구부속품(2)을 갖는 가구부품(13)에 있어서, 상기 가구부속품(2)은 청구항 1 내지 10, 12, 및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장치(1)를 가지며, 고정장치(1)의 다웰 코어(3)와 다웰 슬리이브(4)만이 가구부품(13)의 각 천공부(14) 내로 돌출되어 들어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품.
  21. 청구항 제20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가구부품(13)을 갖는 가구제품(17).
KR1020127009270A 2009-10-12 2010-09-13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KR101751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160209A AT508384B1 (de) 2009-10-12 2009-10-12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möbelbeschläge
ATA1602/2009 2009-10-12
PCT/AT2010/000328 WO2011044597A1 (de) 2009-10-12 2010-09-13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möbelbeschlä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467A KR20120096467A (ko) 2012-08-30
KR101751557B1 true KR101751557B1 (ko) 2017-06-27

Family

ID=4306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270A KR101751557B1 (ko) 2009-10-12 2010-09-13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016975B2 (ko)
EP (1) EP2488064B1 (ko)
JP (1) JP5727490B2 (ko)
KR (1) KR101751557B1 (ko)
CN (1) CN102595970B (ko)
AT (1) AT508384B1 (ko)
BR (1) BR112012008523B1 (ko)
CA (1) CA2777246C (ko)
ES (1) ES2424003T3 (ko)
SI (1) SI2488064T1 (ko)
WO (1) WO2011044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4215B2 (en) * 2014-11-20 2017-05-30 Hardware Resources, Inc. Removable compact hinge and method of use
US10722029B2 (en) * 2017-04-20 2020-07-28 David O. Boone Revocable Trust Framed full access cabinet
AT519915B1 (de) 2017-05-11 2020-11-15 Blum Gmbh Julius Dübel zum Befestigen von Beschlagteilen
AT520913A1 (de) * 2018-02-01 2019-08-15 Blum Gmbh Julius Möbelbeschla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885B2 (ja) * 1988-01-27 2000-10-30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リーランド スタンフォード ジュニア ユニバーシティ 集積方式の大容量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2119A (en) * 1953-04-22 1956-09-11 John E Jackson Method of making a bolt anchor shield
US3460429A (en) * 1967-04-19 1969-08-12 Jack La Torre Expansible fastener with expander therefor
DE2617191C2 (de) * 1976-04-20 1985-12-05 Hilti Ag, Schaan Spreizdübel
JPH0135928Y2 (ko) * 1985-04-03 1989-11-01
JPH03103885A (ja) 1989-09-19 1991-04-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DE9216182U1 (ko) * 1992-11-27 1993-01-21 Haefele Gmbh & Co., 7270 Nagold, De
ES2086240T3 (es) * 1993-02-08 1996-06-16 Blum Gmbh Julius Caja de bisagra.
US5685678A (en) * 1995-02-21 1997-11-11 Giannuzzi; Anthony C. Fail-safe anchor bolt assembly for cracked masonry
DE59600259D1 (de) * 1995-04-19 1998-07-16 Salice Arturo Spa Befestigungselement
DE29506600U1 (de) 1995-04-19 1995-09-07 Salice Arturo Spa Befestigungselement
AT404666B (de) * 1995-10-30 1999-01-25 Blum Gmbh Julius Schublade
CA2276780C (en) * 1997-11-07 2007-01-09 Julius Blum Gesellschaft M.B.H. Fitting
IT244454Y1 (it) * 1998-12-23 2002-03-11 Ferrari Franco Base per il fissaggio rapido di una cerniera per mobili
AT3825U1 (de) 1999-03-04 2000-08-25 Blum Gmbh Julius Beschlag zur lösbaren befestigung an einem möbelteil
AT407777B (de) 1999-04-26 2001-06-25 Blum Gmbh Julius Verbindungsbeschla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möbelteile
GB2357327B (en) * 1999-12-16 2003-04-23 Miguel Angel Rioja Calvo Connection device for furniture panels
DE19962955C2 (de) * 1999-12-24 2001-10-11 Henke Paul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DE10229300B3 (de) * 2002-06-29 2004-03-25 Werthmüller Systeme Geisa GmbH & Co.KG Verbindungssystem für Bauteile, insbesondere für Möbelteile
DE20219104U1 (de) * 2002-12-09 2003-04-24 Johann Nepomuk Jerger Metallwa Befestigungselement für werkzeuglose Montage von Möbeln
JP3103885U (ja) * 2004-03-10 2004-08-26 川湖工廠股▲分▼有限公司 ヒンジ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885B2 (ja) * 1988-01-27 2000-10-30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リーランド スタンフォード ジュニア ユニバーシティ 集積方式の大容量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08384A4 (de) 2011-01-15
SI2488064T1 (sl) 2013-09-30
AT508384B1 (de) 2011-01-15
CN102595970B (zh) 2016-08-17
ES2424003T3 (es) 2013-09-26
US9016975B2 (en) 2015-04-28
EP2488064A1 (de) 2012-08-22
EP2488064B1 (de) 2013-05-01
JP5727490B2 (ja) 2015-06-03
CA2777246A1 (en) 2011-04-21
BR112012008523B1 (pt) 2020-05-05
CA2777246C (en) 2016-10-18
US20120195708A1 (en) 2012-08-02
BR112012008523A2 (pt) 2016-04-05
JP2013507541A (ja) 2013-03-04
WO2011044597A1 (de) 2011-04-21
CN102595970A (zh) 2012-07-18
KR20120096467A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557B1 (ko)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US6299397B1 (en) Double ended expansion fastener
JP6502929B2 (ja) 押込み締結具
US11105355B2 (en) Connecting device
JP2001511386A5 (ko)
JPH06341414A (ja) 締着具
KR20080016549A (ko) 슬라이드 베어링을 구비한 슬라이드 베어링 시스템 및 슬라이드 베어링 조립방법
WO2004032772A3 (fr) Systeme de fixation a plaque
US20180163808A1 (en) Friction device and friction damper comprising a friction device of this type
KR101751558B1 (ko)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CN106870528B (zh) 用于连接两个家具元件的装置的暗榫布置
JP2011069442A (ja) プラスチック製ブラインドリベット
JPH09140487A (ja) 支持脚
ATE384906T1 (de) Aussen zylindrisches glied zur befestigung in einer öffnung
JP4336465B2 (ja) 拡開可能な固定素子
JP2009019735A (ja) 物品の固定構造及びヒンジ装置
WO2010007998A1 (ja) スクリュグロメット
EP2282067B1 (en) Connecting fitting
JP3545301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2009264487A (ja) クリップ
JP2008248966A (ja) 固定具
TW201901043A (zh) 用於固定配件部件的膨脹螺絲
PT955414E (pt) Fixacao de postes para semaforos ou equipamentos similares
EP1282781A1 (en) Anchor and nut assembly
EP1201935A1 (en) Fasten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