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687B1 -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687B1
KR101749687B1 KR1020160049916A KR20160049916A KR101749687B1 KR 101749687 B1 KR101749687 B1 KR 101749687B1 KR 1020160049916 A KR1020160049916 A KR 1020160049916A KR 20160049916 A KR20160049916 A KR 20160049916A KR 101749687 B1 KR101749687 B1 KR 10174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t
composition
antibiotic
epoxyoctadeca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687B1/ko
Priority to US16/096,375 priority patent/US10695314B2/en
Priority to PCT/KR2017/004359 priority patent/WO201718869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을 열처리하여 얻어진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다제내성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뛰어나고,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ntibacterial agent compris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본 발명은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을 열처리하여 얻어진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퓨란지방산(furan fatty acids, F-acids)은 퓨란 고리로 특정되는 큰 그룹의 지방산이며, 하나의 α-위치에서 탄소수 9, 11 또는 13을 갖는 분지되지 않은 지방산 사슬(unbranched fatty acid chain) 및 다른 α-위치에서 탄소수 3 또는 5를 갖는 짧은 직선형사슬 알킬기(straight-chain alkyl group)를 가지고 있다. 대개 상기 퓨란링의 2개의 β-위치는 하나 또는 2개의 메틸 잔기 또는 다른 기 중 하나로 치환된다. 또한 퓨란 고리의 β-위치 모두에서 어떠한 치환도 없는 퓨란지방산은 엑소카르퍼스 쿠프레시포르미스(Exocarpus cupressiformis)의 종유(seed oil)에서 발견되었다. 퓨란지방산은 식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미생물 및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미량성분(trace component)으로서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퓨란지방산의 생물학적 역할은 완전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퓨란지방산이 항산화제, 항종양제 및 항혈전제(antithrombotic)로 작용하는 다양하고 중요한 생물학적 기능과 관련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일부 어류에서 퓨란지방산은 간 지질(liver lipids)에서 25%까지 포함되고 산란기 동안 축적됨으로써 퓨란지방산과 수정과정(fertilization process) 사이의 가능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퓨란지방산이 풍부한 어류의 소비와 관상동맥 심장병(coronary heart disease) 사망률 사이의 상관관계는 몇몇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퓨란지방산은 혈소판 응집에 대한 저해효과를 가지며 잠재적 항종양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퓨란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산화를 방지하고 식물에서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연구는 퓨란지방산이 보조기질(co-substrate)로서 리놀레산 존재 시 고리 열림(ring opening)에 의해 산화되어 다이옥센(dioxoenes)을 형성함으로써 퓨란지방산이 라디칼 스캐빈저(radical scavenger)로 작용함을 보고하였다.
퓨란지방산의 생합성은 복잡하고 다양하다. 대부분의 퓨란지방산의 생합성의 전구체는 리놀레산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이 퓨란지방산의 기본 골격을 합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류에 방사성-표지된 사료공급(feeding)으로 수행된 연구는 어류가 상기 알킬 곁사슬과 상기 퓨란지방산의 퓨란 고리를 합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류에서 퓨란지방산은 음식(diet), 특히 조류(algae)로부터 기원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 결과 퓨란지방산은 채소류, 어류와 같은 음식을 통해 인체에 유입된다. 음식-유래 퓨란지방산은 포유동물의 조직 및 혈액, 특히 인지질에 유입되는데, 라디칼 스캐빈저로 작용하여 혈소판 응집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퓨란지방산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잘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확인된 바가 없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14866호
본 발명에서는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고, 특히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증함으로써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용 항균제제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제내성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뛰어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약학, 화장료, 식품 또는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7,9-epoxy-octadeca-7,9-dieno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다제내성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고,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여 약학, 화장료, 식품 또는 동물 사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으로부터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제내성 포도상구균(MRSA 01ST001)에 대한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항균활성을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반 포도상구균과 다제내성 포도상구균(MRSA 01ST001)에 대한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항균활성을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처리농도에 따른 미생물(MRSA 01ST001) 생장저해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처리농도에 따른 시간별 잔류 생존미생물(MRSA 01ST001)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은 탄소수 18개의 지방산 사슬 위에 7번 탄소와 10번 탄소가 에폭시구조로 연결되고 7번, 8번, 9번, 10번 탄소로 이루어진 퓨란링을 형성하고 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9381410-pat00001
상기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은 화학적으로 합성되거나 천연에서 얻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을 단일 열처리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은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에 헥산을 가하여 혼합한 후 열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도 1 참조).
상기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은 하이드록시 지방산의 일종으로 탄소수 18개의 지방산 사슬 위에 7번 탄소와 10번 탄소에 각각 1개씩 총 2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며, 8번 탄소와 9번 탄소 사이에 1개의 트랜스이중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이다.
상기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와 헥산의 혼합 비율은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의 원활한 혼합 및 생성반응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사용된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 양의 0.5배~1,000배에 해당하는 양으로 헥산을 혼합하는 것이 바림작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 10㎎당 10~1000μl의 헥산을 혼합하는 것이다.
상기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과 헥산의 혼합한 후 열처리는 30~150℃에서 1~15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95℃에서 12~96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01ST001에 대한 항균활성을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미생물성장 억제정도를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제내성 포도상구균인 MRSA 01ST001에 대해 항생제 내성균 감염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반코마이신과 유사한 정도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액체배지를 이용한 미생물생장 억제정도에서는 MIC90의 경우 15.6 ppm의 값을 나타내어 다제내성 포도상구균에 대해 높은 미생물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은 다제내성 포도상구균 항균제제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며, 다제내성 포도상구균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 중 포함되는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농도는 대상미생물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게는 항균 조성물에 0.1~3,000㎍/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농도가 0.1㎍/ml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3,000㎍/ml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체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생제 감수성균, 항생제 내성균 모두에 항균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항생제 내성균에 더욱 효과가 있어 항생제로 치료가 어려운 감염 질환의 치료가 가능하다.
상기 항생제는 반코마신계, 아미노글리코시드계, 메티실린계, 퀴놀계, 린코마이신계, 글루코펩티드계, 테트라사이클린계, 마크로라이드계, 베타락탐계 등일 수 있다.
상기 항생제 내성균은 상기 항생제들에 내성을 갖는 균으로, 그람양성균 또는 그람음성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람양성균인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다제내성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다제내성 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또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SA)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인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으로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에 대한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은 농양, 피부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부종병, 유방염, 장형대장균증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 등의 피부외용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구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부위에 국부적으로 사용되는 피부외용제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보존제, 의약 침투를 보조하는 용매, 연고 및 크림의 경우 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탄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과 같은 통상적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나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유효성분, 즉 항균 조성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구강, 심장내, 골수내, 경막내, 경피, 장관, 피하, 설하 또는 국소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기준으로 100~200㎎/㎏/일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식품 첨가제 또는 식이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이 식품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항균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조성물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의 균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동물 사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조성물은 가축에게 급여함으로써 동물에서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된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이 투여되는 동물은 바람직하게 반추동물일 수 있고, 그 종류로는 소, 낙타, 사슴, 기린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서, 상기 가축은 바람직하게는 반추동물일 수 있는데, 그 종류로는 소, 낙타, 사슴 또는 기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조성물에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동물 사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에는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보조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성분은 곡물(예를 들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쌀 등), 식물성 단백질 사료(예를 들어, 평지, 콩, 해바라기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동물성단백질 사료(예를 들어, 혈분, 육분, 골분, 생선분 등), 당분 및 유제품(예를 들어, 각종 분유 또는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지질(예를 들어, 동물성 지방, 식물성 지방 등),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이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될 수도 있고,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혼합하여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은 사료의 탑드레싱으로도 혼합될 수도 있고, 사료와 별도의 첨가제, 또는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의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투여하는 단독 일일 섭취량 또는 분할 일일 섭취량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EODA 제조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DOD) 10㎎와 용매로 헥산 500μl을 4ml 유리바이얼에 넣은 후 95℃에서 24시간 동안 히팅 블록(heat block; Barnstead/Thermolyne Type 176000 Dri-Bath)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질소 플러싱(nitrogen flushing)을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반응 생성물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1:1, v/v)의 혼합물에 녹여 산물을 얻었다.
상기 제조된 산물은 박층크로마토그라피와 가스크로마토그라피, 가스크로마토그라피/질량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라피 분석은 유리기판 위에 실리카젤(silica gel)로 코팅된 것을 사용하며 산물의 분리를 위한 용매는 Toluene:Dioxan:Acetic acid(79:14:7, v/v/v)의 혼합물을 이용하였다. 산물 분리 후 산물의 확인은 황산 50% 용액을 기판위에 분무한 뒤 100℃에서 10분 이상 가열하여 나타난 spot으로 확인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분석은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 10㎎에 다이아조메탄(Diazomethane) 1ml을 넣어준 후 5분간 실온에 방치하여 수행하였다. 질소가스를 이용해 디아조메탄을 제거한 후, TMSI+Pyridine(1:4, v/v)를 1ml 넣고 40분간 방치하였다. 질소가스를 이용해 잔류용매를 날려버린 후,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위한 용액(Dichrolomethane:Methanol=95:5, v/v)을 200μl 넣어주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최종 시료를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분석기에 1μl 주입하였다. 이때, 사용된 컬럼은 소수성 컬럼을 이용하였고, 분석온도 조건은 100~300℃ 범위에서 시행하였으며, 분석시간은 1시간 이내로 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라피/질량분석기의 분석은 상기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되 컬럼의 길이를 30m 이상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분리된 분자의 디텍터(detector)에 질량분석기를 설치하여 수행하였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확인된 산물의 구조는 7,10-에폭시-옥타데카-7,9-디엔산(7,10-epoxy octadeca-7,9-dienoic acid, EODA)으로서 탄소수 18개의 지방산 사슬 위에 7번 탄소와 10번 탄소가 에폭시구조로 연결되고 7번, 8번, 9번, 10번 탄소로 이루어진 퓨란링을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 2. 항균활성-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생제 내성균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01ST001에 대한 항균활성을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먼저, YDP 배지에 1.5%의 potato agar를 첨가하여 멸균한 뒤 플라스틱 페트리디쉬에 20ml 정도를 부어 굳힌 agar plate를 사용하였다. MRSA 01ST001을 107/ml 정도로 희석한 뒤 500μl 정도를 agar plate 위에 고르게 분산시켰다. 이어서, MRSA 01ST001을 접종한 agar plate 위에 준비된 직경 5㎜ 정도의 필터페이퍼를 올려놓은 뒤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을 50, 100, 200, 400㎍의 농도로 필터페이퍼 위에 접종하였다. 접종 후 37℃에서 2~3일간 배양한 뒤 나타나는 필터페이퍼 주위의 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정도를 확인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 100㎍), 옥사실린(oxacillin 100㎍), 암피실린(ampicillin 100㎍),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페니실린(penicillin 100㎍)을 사용하였다.
Agar plate 상에 clear zone이 나타나는 정도를 가지고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clear zone의 크기가 클수록 항균활성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A의 Spot A~E는 기존의 항생제들을, spot F는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을 처리한 것으로, 모든 처리 시료는 100㎍으로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코마이신을 처리한 spot에서는 clear zone이 나타났으나, 옥사실린, 암피실린, 스트렙토마이신, 페니실린의 경우에는 clear zone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균주인 MRSA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반코마이신만이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한편, 반코마이신의 경우 현재 MRSA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상업적인 항생제로 알려져 있으나, 독성이 매우 강하여 그 사용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경우(spot F)에는 반코실린과 비슷한 크기의 clear zone을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같은 결과로부터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이 다제내성 포도상구균인 MRSA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B는 MRSA 01ST001에 서로 다른 농도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을 처리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clear zone의 크기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은 농도의존적으로 향상된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항균활성-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을 이용하여 일반 포도상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13과 항생제 내성균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01ST001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은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코마이신의 경우 일반 포도상구균과 항생제 내성균인 MRSA에 대해 동일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옥사실린의 경우에는 일반 포도상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13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MRSA 01ST001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경우에는 양쪽 균주에 대해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일반 포도상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13보다 항생제 내성균인 MRSA 01ST001에 대해 오히려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미생물 생장억제효과-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에 대한 미생물 생장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4웰 디쉬에 YDP 배지를 1ml 정도씩 분주한 뒤 DMSO으로 희석된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을 0~250㎍/ml의 다양한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였다.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이 첨가된 각 웰에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01ST001을 100μl 정도로 접종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12시간이 경과한 다음 각 웰로부터 배양액을 회수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배지성분은 제거하고 증류수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한 후 61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생물 성장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미생물의 양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미생물이 성장하지 않는 EODA 농도를 최소제한농도로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때, EODA 무첨가를 대조구로 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잔류 생존 미생물의 농도는 점차 감소하였으며, 처리농도 15.6㎍/ml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90% 이상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MRSA 01ST001에 대한 MIC90 농도는 15.6ppm 이하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미생물 생장억제효과-2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의 처리 후 배양시간에 따른 미생물 생장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4에서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을 무첨가, 15.6, 31.3, 62.5, 125㎍/ml의 농도로 첨가하여 미생물 성장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15.6㎍/ml에서는 배양 4시간 후 잔류 생존 미생물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50% 이상 감소하였으며, 62.5㎍/ml에서는 배양 10분 후 잔류 생존 미생물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10% 미만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처리농도 125㎍/ml에서는 배양시작 10분 이내에 MRSA 01ST001이 모두 사멸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은 다제내성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미생물 생장억제효과가 뛰어나 다제내성 포도상구균 항균제제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은 다제내성 포도상구균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이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매우 효과적일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약학 제제의 제조
산제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20㎎, 유당 100㎎ 및 탈트 10㎎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전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산제를 제조하였다.
정제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1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각각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캡슐제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10㎎, 결정성 셀룰로오스 3㎎, 락토오스 14.8㎎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각각의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주사제 제조
1앰플당(2mL)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10㎎, 만니톨 180㎎,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및 Na2HPO4· 2H2O 26㎎으로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액제 제조
정제수에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20㎎, 이성화당 10g 및 만니톨 5g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더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화장료 제제의 제조
유연화장수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0.1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밀크로션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0.1중량%, 글리세린 5.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중량%, 유동파라핀 4.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 스쿠알란 3.1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6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중량%, 프로필파라벤 0.6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영양크림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2.1중량%, 유동파라핀 5.3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6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3.2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마사지크림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유동파라핀 24.0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1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중량%, 폴리솔베이트 60 2.4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식품 제제의 제조
건강식품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1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g,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g, 비타민 C 10㎎, 비오틴 10g,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g,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및 염화마그네슘 24.8㎎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각각의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건강음료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100㎎, 비타민 C 15g, 비타민 E(분말) 100g, 젖산철 19.75g, 산화아연 3.5g, 니코틴산아미드 3.5g, 비타민 A 0.2g, 비타민 B1 0.25g, 비타민 B2 0.3g 및 정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각각의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4. 동물 사료 제조
사료첨가제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100g 및 적량의 부형제를 혼합하여 통상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제조하였다.
사료 제조
실시예 1의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EODA) 50g, 버섯배지 200g, 소맥피30g, 비트펄프 50g, 쌀주정박 220g, 옥수수후레이크 200g, 전지대두 40g, 전분박 100g, 콘싸일리지 200g, 옥수수속대 180g, 비지 400g, 라이그라스 323g, 지오라이트 14g 및 타피오카 40g을 혼합하여 통상의 사료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제조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2)

  1.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7,9-epoxy-octadeca-7,9-dieno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티실린계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은 7,10-다이하이드록시-8(E)-옥타데세노산(7,10-dihydroxy-8(E)-octadecenoic acid)을 열처리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티실린계 항생제 내성균은 그람양성균 또는 그람음성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은 항균 조성물에 0.1~3,000㎍/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6. 삭제
  7. 제1항 기재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티실린계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은 약학 조성물 100중량부에 0.01~9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티실린계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티실린계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은 농양, 피부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부종병, 유방염 및 장형대장균증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티실린계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1항 기재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기재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티실린계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1항 기재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티실린계 항생제 내성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


KR1020160049916A 2016-04-25 2016-04-25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4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16A KR101749687B1 (ko) 2016-04-25 2016-04-25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US16/096,375 US10695314B2 (en) 2016-04-25 2017-04-25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PCT/KR2017/004359 WO2017188692A1 (ko) 2016-04-25 2017-04-25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16A KR101749687B1 (ko) 2016-04-25 2016-04-25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687B1 true KR101749687B1 (ko) 2017-06-21

Family

ID=5928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916A KR101749687B1 (ko) 2016-04-25 2016-04-25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6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6889A (ja) 2009-02-05 2012-07-26 ターゲッティド デリバリー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微生物因子の増殖及び生存能力を低下させる方法
JP2014513670A (ja) 2011-02-23 2014-06-05 ユニベルシテ デクス マルセイユ 抗生物質又は防腐剤処理におけるポリアミノイソプレニル誘導体の使用
US9012505B2 (en) 2010-05-14 2015-04-21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ntimicrobial compounds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6889A (ja) 2009-02-05 2012-07-26 ターゲッティド デリバリー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微生物因子の増殖及び生存能力を低下させる方法
US9012505B2 (en) 2010-05-14 2015-04-21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ntimicrobial compounds and uses thereof
JP2014513670A (ja) 2011-02-23 2014-06-05 ユニベルシテ デクス マルセイユ 抗生物質又は防腐剤処理におけるポリアミノイソプレニル誘導体の使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465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cap3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균 및 항진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50132805A (ko) 신규한 항균성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243591B1 (ko)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JP6443804B2 (ja) ナチュラルキラー細胞活性促進剤
KR20150133351A (ko) 플라보놀계 화합물 및 항생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70124426A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49687B1 (ko)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5742634B2 (ja) 新規ヒドロキシスチルベン誘導体
KR102283946B1 (ko) 유자 유래 항염증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2448526B1 (ko) Cape, 퀘르세틴 및 크리신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용 조성물
KR101625887B1 (ko) 연두털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429197B1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US10695314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102635263B1 (ko) 양귀비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50145314A (ko)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411915B1 (ko) 누리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20058413A (ko) 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84358B1 (ko)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498671B1 (ko) 신규한 항균성 화합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471629B1 (ko) 석창포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3814B1 (ko) 파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