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314A -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314A
KR20150145314A KR1020140074298A KR20140074298A KR20150145314A KR 20150145314 A KR20150145314 A KR 20150145314A KR 1020140074298 A KR1020140074298 A KR 1020140074298A KR 20140074298 A KR20140074298 A KR 20140074298A KR 20150145314 A KR20150145314 A KR 20150145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composition
weight
composition
carboxy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렬
강옥화
문수현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314A/ko
Publication of KR2015014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르페노이드(terpenoid)계 정유성분인 카르본(carv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하며, 특히 피부에 감염성이 높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뛰어나고,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carvone}
본 발명은 테르페노이드(terpenoid)계 정유성분인 카르본(carv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백 종의 항균제가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항생제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병원균들이 항생제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내성획득의 기회가 많아지게 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높은 원내감염성을 획득한 포도상구균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농양이나 창상감염 등의 피부감염 및 독소쇼크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유해세균이다. 이러한 황색포도상구균 중에서 반합성 페니실린(penicillin)인 메티실린(methi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균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라고 한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높은 원내감염성을 보유한 다제내성균으로, mecA 유전자에 의하여 생성된 변형된 페니실린 결합 단백(altered penicillin binding protein, PBP 2a, PBP 2')으로 인하여 모든 베타락탐(β-lactam)계 항생제에 내성을 일으키며,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퀴놀론(quinolone), 마크로라이드(macrolide)계 항생제에 대해 다제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 중 선택할 수 있는 항생제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1961년 영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유럽 여러 나라에서 매년 1~2%로 비율이 점차 증가하다가 1990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분리율이 증가되어 포도상구균 중 75%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포도상구균은 보통 건강한 사람의 피부와 비강의 점막에서 집락을 형성하고 있으나 높은 보균율로 인하여 농양이나 창상 등의 경증의 피부 감염 뿐 아니라 폐렴, 패혈증 등의 중증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감염 후 사망률이 높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항생제 내성 문제를 낮추면서 기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동식물로부터 유래한 천연물로부터 항생물질을 찾아내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128716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99941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테르페노이드(terpenoid)계 정유성분인 카르본(carv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이성질체인 R-(-)-카르본과 S-(+)-카르본의 혼합사용으로 인한 상승적인 항균작용으로 피부에 감염성이 높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더욱 뛰어난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르본과 기존 항생물질을 혼합사용으로 인한 상승적인 항균활성을 가져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르본(carv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카르본은 R-(-)-카르본, S-(+)-카르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카르본은 항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생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생물질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s)계, 베타락탐(β-lactams)계, 마크로라이드(macrolides)계,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s)계, 글리코펩티드(glycopeptides)계, 린코마이신(lincosamides)계,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계, 퀴놀론(quinolones)계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항생물질은 겐타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네틸마이신, 아미카신, 카나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네오마이신 등의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생물질은 항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엔테라이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캄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등에 항균 활성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또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SA)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균 감염성 질환은 농양, 피부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급성유방암, 부종병, 유방염, 장형대장균증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르페노이드(terpenoid)계 정유성분인 카르본(carv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광학이성질체인 R-(-)-카르본과 S-(+)-카르본의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카르본과 기존 항생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승적인 항균작용을 가지며, 특히 피부에 감염성이 높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뛰어나고,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여 약학, 화장료, 식품 또는 동물 사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르본(carvone)은 테르페노이드(terpenoid)계 정유성분으로, 광학이성질체인 카르본은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두 종류의 분자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의 R-(-)-카르본은 스피어민트 향이 나고, 상기 화학식 2의 S-(+)-카르본은 캐러웨이 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R-(-)-카르본 및 S-(+)-카르본은 식품 및 의약품 산업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카르본은 R-(-)-카르본, S-(+)-카르본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 모두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R-(-)-카르본 및 S-(+)-카르본을 함께 병용할 경우 두 이성질체의 상승효과로 인해 각각의 R-(-)-카르본 및 S-(+)-카르본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더욱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카르본 및 S-(+)-카르본을 함께 사용할 경우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비율로 혼합하여야만 병용으로 인한 상승효과를 최대 발현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본은 항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조성물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7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항생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생물질은 통상 항생제로 사용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s)계, 베타락탐(β-lactams)계, 마크로라이드(macrolides)계,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s)계, 글리코펩티드(glycopeptides)계, 린코마이신(lincosamides)계,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계, 퀴놀론(quinolones)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항생물질로 겐타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네틸마이신, 아미카신, 카나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네오마이신 등의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항생물질은 항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조성물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7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항생물질은 카르본과 혼합 사용되어 카르본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두 물질의 상승작용에 의해 항균활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광학이성질체인 2종의 카르본, 즉 R-(-)-카르본 및 S-(+)-카르본을 모두 사용하고, 여기에 더하여 항생물질을 함께 사용할 경우 최대의 항균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카르본과 항생물질을 혼합사용 시 배합비율은 항생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본 100중량부에 대하여 50~100중량부의 항생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배합비율이 전술한 범위로 포함될 경우 항균 활성에 있어 더욱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카르본과 기존 항생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승적인 항균작용에 의해 세균, 구체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엔테라이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캄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등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성분이나 기존 항생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현저히 향상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피부에 감염성이 높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더욱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또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SA)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더욱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으로 세균 감염성 질환에 대한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균 감염성 질환은 농양, 피부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급성유방암, 부종병, 유방염, 장형대장균증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7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0.001 내지 100㎎/㎏/day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항균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인 항균 조성물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항균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4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동물 사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조성물은 가축에게 급여함으로써 동물에서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된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고, 메탄생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이 투여되는 동물은 바람직하게 반추동물일 수 있고, 그 종류로는 소, 낙타, 사슴, 기린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서, 상기 가축은 바람직하게는 반추동물일 수 있는데, 그 종류로는 소, 낙타, 사슴 또는 기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조성물에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동물 사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에는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보조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성분은 곡물(예를 들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쌀 등), 식물성 단백질 사료(예를 들어, 평지, 콩, 해바라기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동물성단백질 사료(예를 들어, 혈분, 육분, 골분, 생선분 등), 당분 및 유제품(예를 들어, 각종 분유 또는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지질(예를 들어, 동물성 지방, 식물성 지방 등),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이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될 수도 있고,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혼합하여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은 사료의 탑드레싱으로도 혼합될 수도 있고, 사료와 별도의 첨가제, 또는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의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투여하는 단독 일일 섭취량 또는 분할 일일 섭취량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R-(-)-카르본 포함 항균 조성물 제조
R-(-)-카르본은 TCI(Tokyo Chemical Industry)에서 구입하였으며, 상기 R-(-)-카르본을 96웰 플레이트에 최고농도 20㎎/㎖에서 최저농도 0.97㎍/㎖에 이르도록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R-(-)-카르본 포함 항균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S-(+)-카르본 포함 항균 조성물 제조
S-(+)-카르본은 TCI(Tokyo Chemical Industry)에서 구입하였으며, 상기 S-(+)-카르본을 96웰 플레이트에 최고농도 20㎎/㎖에서 최저농도 0.97㎍/㎖에 이르도록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S-(+)-카르본 포함 항균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3. R-(-)-카르본 및 S-(+)-카르본 포함 항균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DMSO에 희석시킨 각각의 R-(-)-카르본 및 S-(+)-카르본 희석액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항균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4. 카르본 및 항생물질 함유 항균 조성물 제조
겐타마이신(시그마 알드리치 사로부터 구입)을 96웰 플레이트에 최고농도 20㎎/㎖에서 최저농도 0.97㎍/㎖에 이르도록 순차적으로 희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항균 조성물에 겐타마이신 희석액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항균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5. 카르본 및 항생물질 함유 항균 조성물 제조
겐타마이신(시그마 알드리치 사로부터 구입)을 96웰 플레이트에 최고농도 20㎎/㎖에서 최저농도 0.97㎍/㎖에 이르도록 순차적으로 희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항균 조성물에 겐타마이신 희석액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항균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이하 실험예에서 사용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TCC 33591 및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ATCC 25923 표준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4종의 S. aureus 임상 균주(MRSA인 DPS-1, DPS-2, DPS-3 및 DPS-4)는 원광대학교 병원의 환자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계대배양 활성 시 배지는 Mueller Hinton Agar(MHA, Difco, USA)를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의 배양에 사용된 배지와 모든 기구는 오토클레이브(온도 121℃, 1.3기압에서 15분)를 사용하여 멸균하여 사용하였으며, 균주는 -70℃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보관하였다.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1종,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1종,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임상분리(clinical isolates)한 MRSA 4종(DPS(Department of Plastic Surgery)-1, 2, 3, 4)을 뮬러 힌톤 아가(Muller-Hinton Agar)에 접종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0.5 Mcfarland standard 표준탁도(1.5×108CFU/㎖)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카르본 및 항생물질의 겐타마이신 항균력 측정
DMSO에 R-(-)-카르본 및 S-(+)-카르본을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최고농도 20㎎/㎖에서 최저농도 0.97㎍/㎖에 이르도록 순차적으로 희석하였다. 그 다음,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된 MRSA ATCC 33591, MSSA ATCC 25923 및 임상 분리한 MRSA 5종(DPS-1, DPS-2, DPS-3 및 DPS-4)의 균을 탁도 0.5 Mcfarland standard 1.5×108CFU/㎖을 기준으로 접종하여 최종 1.5×105CFU/spot이 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37℃의 인큐베이터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미생물이 증식되지 않은 가장 낮은 약물 농도를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정하였다. 상기 R-(-)-카르본 및 S-(+)-카르본와 겐타마이신의 6종의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R-(-)-카르본 및 S-(+)-카르본의 항균활성은 500~1,000㎍/㎖의 최소억제농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R-(-)-카르본 및 S-(+)-카르본의 병용 시 상승효과 측정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R-(-)-카르본 및 S-(+)-카르본의 병용 시 상승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체커보드(Checkerboard) 희석법을 시행하였다.
먼저, R-(-)-카르본의 최소억제농도에서 이분의 일(1/2)씩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웰 플레이트에 가로방향으로 주입하였다. 그리고 S-(+)-카르본의 최소억제농도에서 이분의 일(1/2)씩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웰 플레이트에 세로방향으로 주입하였다. 그 후 MRSA ATCC 33591, MSSA ATCC 25923 및 임상 분리한 MRSA 4종(DPS-1, DPS-2, DPS-3 및 DPS-4)의 균액을 표준탁도액(0.5 Mcfarland standard)에 맞추어 10㎕씩 각각 첨가하였다.
혼합 효과는 체커보드 딜루션(checkerboard dilution) 법을 통해 확인하고, 플랙셔널 인히비터리 콘센트레이션 인덱스(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FIC) index)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난 배합농도의 결과를 하기 수학식에 대입하여 FIC 지수(index)를 산출하였다. 두 약물을 병용했을 때 최소억제농도를 분할 저해 농도 지수(FICI,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라 하여 범위에 따라 FIC 지수 ≤ 0.5 : 상승효과(synergy) 있음, FIC 지수 = 0.5~0.75 : 부분적인 상승효과(partial synergy), FIC 지수 = 0.75~1 : 상가적 상승효과(additive effect), FIC 지수 = 1~4 : 무효(indifference), FIC 지수 = 4 < : 길항효과(indifferent)로 판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FIC index(FICI) = FICA + FICB = [A]/MICA + [B]/MICB
상기 수학식에서, FICA는 [A]/MICA이고, FICB는 [B]/MICB이며, MICA와 MICB는 단일약물 A와 B의 MIC이며, [A]와 [B]는 병용한 A와 B 약물의 MIC이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R-(-)-카르본 및 S-(+)-카르본의 병용 시 MRSA ATCC 33591, MSSA ATCC 25923 및 임상 분리한 MRSA 4종(DPS-1, DPS-2, DPS-3 및 DPS-4)의 포도상구균에 대한 분할저해농도 지수(FICI)는 0.12~0.37의 범위를 나타내어 전체 균주에 대한 상승효과(synergy effect)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카르본과 항생물질 병용 시 상승효과 측정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카르본과 항생물질의 병용 시 상승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체커보드(Checkerboard) 희석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체커보드 실험은 상기 실시한 최소억제농도 실험을 바탕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R-(-)-카르본 또는 S-(+)-카르본의 최소억제농도에서 이분의 일(1/2)씩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웰 플레이트에 가로방향으로 주입하였다. 그리고 겐타마이신(GET)의 최소억제농도에서 이분의 일(1/2)씩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웰 플레이트에 세로방향으로 주입하였다. 그 후 MRSA ATCC 33591, MSSA ATCC 25923 및 임상 분리한 MRSA 4종(DPS-1, DPS-2, DPS-3 및 DPS-4)의 균액을 표준탁도액(0.5 Mcfarland standard)에 맞추어 10㎕씩 각각 첨가하였다. 혼합 효과는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상기 표 3 및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R-(-)-카르본 또는 S-(+)-카르본과 항생물질인 겐타마이신의 병용 시 MRSA ATCC 33591, MSSA ATCC 25923 및 임상 분리한 MRSA 4종(DPS-1, DPS-2, DPS-3 및 DPS-4)의 포도상구균에 대한 분할저해농도 지수(FICI)는 각각 0.09~0.38과, 0.19~0.31로 전체 균주에 대한 상승효과(synergy effect)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약학 제제의 제조
산제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20㎎, 유당 100㎎ 및 탈트 10㎎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전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산제를 제조하였다.
정제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1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각각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캡슐제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10㎎, 결정성 셀룰로오스 3㎎, 락토오스 14.8㎎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각각의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주사제 제조
1앰플당(2mL)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10㎎, 만니톨 180㎎,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및 Na2HPO4· 2H2O 26㎎으로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액제 제조
정제수에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20㎎, 이성화당 10g 및 만니톨 5g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더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화장료 제제의 제조
유연화장수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0.1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밀크로션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0.1중량%, 글리세린 5.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중량%, 유동파라핀 4.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 스쿠알란 3.1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6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중량%, 프로필파라벤 0.6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영양크림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2.1중량%, 유동파라핀 5.3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6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3.2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마사지크림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유동파라핀 24.0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1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중량%, 폴리솔베이트 60 2.4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식품 제제의 제조
건강식품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1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g,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g, 비타민 C 10㎎, 비오틴 10g,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g,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및 염화마그네슘 24.8㎎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각각의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건강음료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100㎎, 비타민 C 15g, 비타민 E(분말) 100g, 젖산철 19.75g, 산화아연 3.5g, 니코틴산아미드 3.5g, 비타민 A 0.2g, 비타민 B1 0.25g, 비타민 B2 0.3g 및 정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각각의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4. 동물 사료 제조
사료첨가제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100g 및 적량의 부형제를 혼합하여 통상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제조하였다.
사료 제조
실시예 3 내지 5의 항균 조성물 각각 50g, 버섯배지 200g, 소맥피30g, 비트펄프 50g, 쌀주정박 220g, 옥수수후레이크 200g, 전지대두 40g, 전분박 100g, 콘싸일리지 200g, 옥수수속대 180g, 비지 400g, 라이그라스 323g, 지오라이트 14g 및 타피오카 40g을 혼합하여 통상의 사료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제조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1)

  1. 카르본(carv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본은 R-(-)-카르본, S-(+)-카르본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본은 항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생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물질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s)계, 베타락탐(β-lactams)계, 마크로라이드(macrolides)계,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s)계, 글리코펩티드(glycopeptides)계, 린코마이신(lincosamides)계,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계 및 퀴놀론(quinolones)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물질은 겐타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네틸마이신, 아미카신, 카나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및 네오마이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물질은 항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엔테라이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및 캄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또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SA)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10. 제1항 기재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 감염성 질환은 농양, 피부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급성유방암, 부종병, 유방염 및 장형대장균증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감염성 질환의 약학 조성물.
KR1020140074298A 2014-06-18 2014-06-18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50145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98A KR20150145314A (ko) 2014-06-18 2014-06-18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98A KR20150145314A (ko) 2014-06-18 2014-06-18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314A true KR20150145314A (ko) 2015-12-30

Family

ID=5508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298A KR20150145314A (ko) 2014-06-18 2014-06-18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5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19B1 (ko) * 2018-06-07 2019-02-21 신경섭 캡슐화된 가축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41A (ko) 2010-03-03 2011-09-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꽃매미 방제를 위한 유인제 및 기피제
KR20120128716A (ko) 2010-03-26 2012-11-27 세사 알리안스 에스.에이. (-)-카르본, (+)-카르본, 제라니올 및 추가의 정유 성분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생체내 치료 용도를 위한 바이러스 억제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41A (ko) 2010-03-03 2011-09-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꽃매미 방제를 위한 유인제 및 기피제
KR20120128716A (ko) 2010-03-26 2012-11-27 세사 알리안스 에스.에이. (-)-카르본, (+)-카르본, 제라니올 및 추가의 정유 성분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생체내 치료 용도를 위한 바이러스 억제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19B1 (ko) * 2018-06-07 2019-02-21 신경섭 캡슐화된 가축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465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cap3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균 및 항진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00003993A (ko) 쪽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43591B1 (ko)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94807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50133351A (ko) 플라보놀계 화합물 및 항생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50106191A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444416B1 (ko) 복분자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50145314A (ko) 카르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625887B1 (ko) 연두털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0695314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102011721B1 (ko)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
KR101429197B1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49687B1 (ko)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386077B1 (ko) 장구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23665B1 (ko) 그람음성구균 녹농균에 대해 항생제와 상승적 항균효과를 가지는 디플로르에톡하이드록시카르말롤 및 이의 용도
KR101469352B1 (ko) 무청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세균성 약학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23319B1 (ko)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헥산디올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87389B1 (ko) 인삼 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503503B1 (ko) 벌씀바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436923B1 (ko)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KR101686563B1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25636A (ko) 쥐티푸스균으로 유발되는 식중독 또는 급성위장염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