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35B1 - 위치조절이 가능한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위치조절이 가능한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535B1
KR101749535B1 KR1020160080690A KR20160080690A KR101749535B1 KR 101749535 B1 KR101749535 B1 KR 101749535B1 KR 1020160080690 A KR1020160080690 A KR 1020160080690A KR 20160080690 A KR20160080690 A KR 20160080690A KR 101749535 B1 KR101749535 B1 KR 10174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gear box
gear
set screw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규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043Accessories for spind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10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driven essentially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02Driving working spindles
    • B23Q2705/023General aspects of driving a bor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02Driving working spindles
    • B23Q2705/026Main drive for the spindles of mi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 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spacer)를 이용하지 않고 공구대 본체와 기어박스 간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기어박스를 체결한 상태에서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드라이빙 샤프트의 이상 소음 및 진동을 개선할 수 있는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조절이 가능한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Position-adjustable gear box, tool post and machine tools}
본 발명은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 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spacer)를 이용하지 않고 공구대 본체와 기어박스 간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기어박스를 체결한 상태에서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드라이빙 샤프트의 이상 소음 및 진동을 개선할 수 있는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NC 선반과 같은 공작기계는 베드, 상기 베드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공구가 장착되는 공구대, 상기 베드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심압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공작기계의 공구대를 보여주는 것으로 종래의 공구대(10)는 제1 모터(11b)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11a)가 구비된 공구대 본체(11), 환형으로 상기 공구대 본체(1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복수 개의 공구(12a)를 장착한 디스크(12), 상기 디스크(12)의 내측 공간을 덮는 커버(13) 및 상기 디스크(12)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샤프트(11a)의 회전 동력을 베벨기어를 통해 동력전달 방향을 90도 전환시키면서 상기 공구(12)에 전달하는 기어박스(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디스크(12)는 제2 모터(11c)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공구를 교체한다.
한편, 상기 기어박스(14)에는 상기 메인 샤프트(11a)와 스플라인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15), 상기 제1 베벨기어(15)와 기어 결합하며 동력전달 방향을 90도 회전시키는 제2 베벨기어(16a), 상기 제2 베벨기어(16a)의 회전축 상에 결합하여 상기 공구(12a)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빙 샤프트(16)가 구비된다.
도 2는 종래의 공작기계의 공구대에서 공구와 드라이빙 샤프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구(12a)는 상기 디스크(12)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단부(12b)에 키(12c)가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16)는 상기 공구(12)의 키(12c)와 키홈결합하기 위한 홈(1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12b)은 일자형으로 상기 공구(12a)가 선회할 때, 공구의 키(12c)가 지나갈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12)의 회전에 의해 공구(12a)가 보관위치(b)에서 체결위치(c)로 이동하면, 상기 공구(12a)의 키(12c)는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16)의 홈(16b)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16)가 회전하면, 상기 공구(12a)의 단부(12b)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한편, 상기 공구(12a)의 키(12c)는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16)의 홈(16b)의 에 진입하거나 빠져나갈 때 서로 접촉하지 않아야 하고, 홈(16b)의 내측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공구의 키(12c)가 파손될 수 있고,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렇게 키(12c)와 홈(16b)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체결되기 위해서는 기어박스(14)의 위치가 정밀하게 조절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기어박스(14)와 공구대 본체(11) 사이에 스페이서(17)를 삽입하여 기어박스(14)의 위치를 조절하였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7)를 이용하여 상기 기어박스(14)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은, 먼저, 상기 스페이서(17)를 상기 공구대 본체(11)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기어박스(14)를 가 조립한 후, 상기 키(12c)의 중심과 상기 홈(16b)의 중심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그 단차를 측정한다.
다음, 상기 기어박스(14)와 상기 스페이서(17)를 상기 공구대 본체(11)에서 분리하고 상기 단차만큼 상기 스페이스(17)의 두께를 현합(연마)한 후, 다시 상기 기어박스(14)와 상기 스페이서(17)를 상기 공구대 본체(11)의 전면에 체결하고 상기 키(12c)의 중심과 상기 홈(16b)의 중심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분리하여 현합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즉, 상기 기어박스(14)의 위치조절을 위해서는 상기 기어박스(14)와 상기 스페이서(17)를 상기 공구대 본체(11)에서 탈부착하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며, 현합이 잘못될 경우 공구 회전시 소음이 발생하거나 상기 기어박스(14) 내 베어링에 과다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7)를 과다 현합할 경우, 재사용이 불가하므로 스페이서를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초에 상기 스페이서(17)의 두께가 정확하게 현합되더라도, 상기 기어박스(14)를 유지보수를 위해 탈착할 경우 위치가 달라질 수 있어 상기 스페이서(17)를 다시 현합하거나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9222호, 공작기계용 주축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이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위치조절이 가능한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어박스를 공구대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정밀하게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고, 위치조절을 위해 탈부착 작업의 반복이 필요 없어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공구대에 구비되고, 공구대의 메인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구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세트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기어박스로서, 상기 공구대는 상기 메인 샤프트가 구비되는 공구대 본체, 환형으로 회전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공구가 장착되며, 일측이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의 개방된 타측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기어 세트를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디스크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기어박스 본체; 상기 기어박스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 본체를 상기 공구대 본체에 고정하는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 및 상기 기어박스 본체를 관통하여 끝단이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접촉하며,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기어박스 본체와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 간의 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막대끝 세트 스크류;를 포함하여, 상기 기어박스 본체와 상기 공구대 본체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지 않고,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기어박스 본체와 상기 공구대 본체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본체에는 상기 공구대 본체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삽입되어 결합 위치를 가이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본체에는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의 후방에 삽입되어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용 세트 스크류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가 구비되는 공구대 본체; 회전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공구가 장착되며, 회전 중심이 위치하는 중앙부가 관통되어 개방된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이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개방된 타측을 덮는 커버; 상기 디스크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부착되는 상기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 샤프트와 스플라인 결합하는 베벨기어; 및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벨기어의 타단과 기어 결합하며, 상기 공구가 상기 디스크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빙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단 부에 키가 구비되고,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는 상기 공구를 향하는 단 부에 키 홈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크가 회전하여 상기 공구의 키가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의 키 홈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의 회전력이 상기 공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를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드; 상기 베드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공작 대상물을 가공하는 제 4 항의 공구대; 및 상기 베드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작 대상물을 지지하는 심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에 의하면, 스페이서를 이용하지 않고 기어박스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에 의하면, 기어박스를 공구대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막대끝 세트 스크류의 조임 정도를 가변하며 정밀한 위치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어박스의 반복적인 탈부착이 필요 없어 조립시간 및 조립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에 의하면, 기어박스의 정밀한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드라이빙 샤프트의 이상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구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공구대에서 기어박스의 드라이빙 샤프트와 공구가 서로 키홈결합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의 평면, 전면 및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의 평면, 전면 및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100)는 공작기계의 공구대(1000)에 구비되고, 상기 공구대(1000)의 메인 샤프트(11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구(12a)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100)의 내부에는 동력 전달 방향을 90도로 절환하는 기어 세트가 구비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기어박스(100) 내부에 기어 세트의 구성을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기어 세트는 도 1에 도시한 제1 베벨기어(15), 제2 베벨기어(16a) 및 드라이빙 샤프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기어박스(10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구대(1000)는 제1 모터(11a)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11a)가 구비되는 공구대 본체(11), 일측이 상기 공구대 본체(11)의 일면(전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전중심이 위치하는 중앙부가 관통된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회전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의 공구(12a)가 장착되는 디스크(12), 상기 디스크(12)의 개방된 타측을 덮는 커버(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100)는 상기 디스크(12)의 내측 공간(12d)에 위치하며, 상기 공구대 본체(11)의 일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12)는 상기 공구대 본체(11)에 구비되는 제2 모터(11c)에 의해 회전하며, 소정의 공구 교환 위치(도 2의 'c'위치 참조)로 공구를 이동시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12)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공구(12a)의 단부에는 키(12c)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12)를 향하는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16)의 단부에는 홈(도 1의 '16b' 참조)형성되며, 상기 키(12c)의 회전 중심이 상기 제1 베벨기어(15)와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16)의 회전축 교차점(x)과 일치할 경우 상기 키(12c)와 상기 홈(16b)은 정확한 위치에서 키홈결합하며, 이상 소음 및 진동의 발생없이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16)의 회전력이 상기 공구(12a)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16)에 키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구(12a)의 단부에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구대(1000)를 갖는 하나의 공작기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공작기계는 베드(bed), 상기 베드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공구대(1000) 및 상기 베드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어 공작 대상물을 지지하는 심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어박스(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기어박스(100)는 기어박스 본체(110),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120) 및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는 상기 기어 세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디스크(12)의 내측 공간(12d)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는 일면이 상기 공구대 본체(11)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기어 세트의 제1 베벨기어(15)가 상기 메인 샤프트(11a)와 스플라인 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에는 타면에서 일면으로 관통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120)를 체결할 수 있는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 삽입홀(111)과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를 체결할 수 있는 세트 스크류 삽입홀(113)이 타공된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 삽입홀(111)이 네 개로 타공되고, 상기 세트 스크류 삽입홀(113)이 두 개로 타공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다만, 상기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 삽입홀(111)과 상기 세트 스크류 삽입홀(113)은 각각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의 평면 중심에 대해 대칭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로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 삽입홀(111)의 내측에는 탭이 가공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를 상기 공구대 본체(11)에 가 체결하여,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와 상기 공구대 본체(11) 간의 간격(a)을 조절한 후, 최종적으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120)는 상기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 삽입홀(111)에 삽입되어 상기 공구대 본체(11)의 일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를 상기 공구대 본체(11)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120)는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와 나사결합하지 않고, 상기 공구대 본체(11)와는 나사결합한다.
이는 전술하였듯이,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를 가 체결하여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와 상기 공구대 본체(11) 간의 간격(a)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는 끝단부에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세트 스크류로써 상기 세트 스크류 삽입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와 나사결합하며, 끝단은 상기 공구대 본체(11)의 일면과 접촉한다.
또한,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와 상기 공구대 본체(11) 간의 간격(a)을 가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를 많이 회전시켜 조임 정도가 클 경우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와 상기 공구대 본체(11) 간의 간격(a)은 커진다. 역으로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를 적게 회전시켜 조임 정도가 작을 경우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짧아지고,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와 상기 공구대 본체(11) 간의 간격(a)은 작아진다.
즉,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를 상기 공구대 본체(11)에서 떼어내지 않고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를 회전시켜 간격(a)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정밀한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세트 스크류 삽입홀(113)에는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의 후방에서 체결되어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용 세트 스크류(150)가 더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중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130)가 풀려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 본체(110)에는 상기 공구대 본체(11)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가이드 핀(140)을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핀(140)은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핀 삽입홀(112)에 삽입되어 상기 공구대 본체(11)를 향해 돌출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구대 본체(11)에는 상기 가이드 핀(140)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핀(140)은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가 상기 공구대 본체(11)에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쉽게 상기 기어박스 본체(110)를 상기 공구대 본체(11)에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0:공구대 100:기어박스
110:기어박스 본체 111:기어박스 고정용 볼트삽입홀
112:가이드핀 삽입홀 113:세트 스크류 삽입홀
120:기어박스 고정용 볼트 130:막대끝 세트 스크류
140:가이드 핀

Claims (5)

  1.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가 구비되는 공구대 본체;
    회전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공구가 장착되며, 회전 중심이 위치하는 중앙부가 관통되어 개방된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이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개방된 타측을 덮는 커버;
    상기 디스크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메인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공구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세트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 샤프트와 스플라인 결합하는 베벨기어; 및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벨기어의 타단과 기어 결합하며, 상기 공구가 상기 디스크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빙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기어 세트를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디스크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기어박스 본체;
    상기 기어박스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 본체를 상기 공구대 본체에 고정하는 기어박스 고정용 볼트; 및
    상기 기어박스 본체를 관통하여 끝단이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접촉하며,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기어박스 본체와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 간의 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막대끝 세트 스크류;를 포함하여,
    상기 기어박스 본체와 상기 공구대 본체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지 않고,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기어박스 본체와 상기 공구대 본체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공구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단 부에 키가 구비되고,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는 상기 공구를 향하는 단 부에 키 홈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크가 회전하여 상기 공구의 키가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의 키 홈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드라이빙 샤프트의 회전력이 상기 공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본체에는 상기 공구대 본체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공구대 본체의 일면에 삽입되어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본체에는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의 후방에 삽입되어 상기 막대끝 세트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용 세트 스크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
  4. 삭제
  5. 베드;
    상기 베드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공작 대상물을 가공하는 제 3 항의 공구대; 및
    상기 베드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작 대상물을 지지하는 심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KR1020160080690A 2016-06-28 2016-06-28 위치조절이 가능한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 KR10174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690A KR101749535B1 (ko) 2016-06-28 2016-06-28 위치조절이 가능한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690A KR101749535B1 (ko) 2016-06-28 2016-06-28 위치조절이 가능한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535B1 true KR101749535B1 (ko) 2017-06-21

Family

ID=5928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690A KR101749535B1 (ko) 2016-06-28 2016-06-28 위치조절이 가능한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5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505A (ja) * 2002-02-27 2003-09-09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旋盤の回転工具タレット
KR100655923B1 (ko) * 2006-01-17 2006-12-11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기어박스가 형성된 터렛공구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505A (ja) * 2002-02-27 2003-09-09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旋盤の回転工具タレット
KR100655923B1 (ko) * 2006-01-17 2006-12-11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기어박스가 형성된 터렛공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3164B2 (en) Dynamic balancing ring for cutter holder
JP5015823B2 (ja) 保持装置若しくは緊締装置における駆動軸とスピンドルとの間の連結装置
EP1671728B1 (en) Turret tool rest
KR102414014B1 (ko) 절삭 휠 탈부착장치
JP5453425B2 (ja) 二方向調整機構を有する切削工具
EP1808267B1 (en) Tool turret
US20140271014A1 (en) Tool holder on which nonrotational tool of machining center is mounted
JP5308893B2 (ja) 工作機械の刃物台
KR101749535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
KR101867211B1 (ko) 양방향 작업 가능한 구조를 갖는 앵글헤드
JP3231421U (ja) 装着位置調整可能なアングルヘッド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位置決め装置
KR101706358B1 (ko)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JP2010537834A (ja) 円筒状コンポーネントを機械加工する機械における高精度案内デバイス
KR101401249B1 (ko)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US20080314212A1 (en) Tool holding module
JPH09136267A (ja) ソケット
KR101838981B1 (ko) 2가지 결합구조를 가지는 bmt타입의 터렛공구대
KR20090006299A (ko) 공구 지지 모듈
KR20200023039A (ko) 타공플레이트 고정지그
JP2733498B2 (ja) 車両に使用されるブレーキ用ドラムの加工方法
KR102507278B1 (ko) 드리븐툴 장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드리븐툴 장착 방법
KR101336482B1 (ko) 공작 기계용 주축 조립체
KR101072989B1 (ko) 스핀들 분리형 공구홀더
KR20170114663A (ko) 밀링머신용 착탈 회전식 드릴 어셈블리
JP5251063B2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