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358B1 -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 Google Patents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358B1
KR101706358B1 KR1020150023780A KR20150023780A KR101706358B1 KR 101706358 B1 KR101706358 B1 KR 101706358B1 KR 1020150023780 A KR1020150023780 A KR 1020150023780A KR 20150023780 A KR20150023780 A KR 20150023780A KR 101706358 B1 KR101706358 B1 KR 10170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dle
key
too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361A (ko
Inventor
박중한
Original Assignee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35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03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thermal effects on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터렛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에 장착된 공구홀더의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기어박스 내에 설치된 일체형의 드라이브샤프트를 두 개의 샤프트 즉, 회전축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로 분리하여 드라이브샤프트에서 분리된 아이들샤프트가 센터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열변형에 의한 센터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 및 회전축샤프트로 이어지는 결합 오차를 흡수하고, 샤프트의 결합시 가공오차에 의한 키의 대칭도 불량과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동심도 불량에 의한 회전소음을 줄인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이다.

Description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Tool turret having separating type shaft}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터렛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에 장착된 공구홀더의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기어박스 내에 설치된 일체형의 드라이브샤프트를 두 개의 샤프트 즉, 회전축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로 분리하여 드라이브샤프트에서 분리된 아이들샤프트가 센터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열변형에 의한 센터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 및 회전축샤프트로 이어지는 결합 오차를 흡수하고, 샤프트의 결합시 가공오차에 의한 키의 대칭도 불량과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동심도 불량에 의한 회전소음을 줄인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이다.
일반적으로 터렛공구대는 범용선반, 머시닝센터, 자동선반 등의 공작기계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공구교환이 용이하고 장착할 수 있는 공구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한 대의 공작기계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이러한 터렛공구대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특허 제10-0635256호에 개시되어 있는 편심량을 조절하는 하우징이 형성된 터렛공구대가 있으며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터렛공구대는 회전공구를 구동시키는 메인모터 및 공구교환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가 형성된 터렛공구대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터와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외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샤프트와 키이로 결합되어 있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또 다른 키이로 연결된 공구구동샤프트와, 상기 공구구동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공구로 구성된 회전공구구동부;와, 상기 서보모터의 축에 형성된 모터풀리와, 상기 모터풀리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으며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기어샤프트와, 상기 기어샤프트를 내포하며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기어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스퍼기어와, 상기 스퍼기어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선회커빅커플링과, 상기 선회커빅커플링의 회전을 제한해주는 고정커빅커플링과, 상기 선회커빅커플링 및 고정커빅커플링에 착탈되어 디스크의 회전을 간섭하거나 간섭을 해제하는 피스톤커빅커플링으로 구성된 공구교환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터렛공구대의 경우 기어샤프트와 선회커빅커플링 간의 물림량 즉, 물림율을 조절해줌으로써 소음을 줄이고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기어박스의 소켓(드라이브샤프트)을 샤프트에 결합시킬 때 키 결합에 의한 대칭도 불량과 샤프트와 기어박스의 조립 동심도 불량에 의해 발생하는 편심 등으로 키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구구동샤프트와 샤프트가 고속 회전함에 따라 베어링과 베벨기어 간의 마찰로 인해 발생된 열이 샤프트에도 전달되는데, 이로써 샤프트 자체에 복잡한 형태의 열변형이 일어나게 되며 이 영향으로 키의 결합에 추가적으로 좋지 못한 조건을 제공하여 소음이 더욱 커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소음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특허 제10-1072989호에 제안되어 있는 스핀들 분리형 공구홀더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스핀들에 형성된 키와 드라이브샤프트에 형성된 키홈에 의해 모터의 동력이 회전공구로 전달되는 터렛공구대용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회전공구가 결합되는 콜렛과 직접 접촉되어 동력이 전달되며 디스크에 일부가 삽입되는 바디 내에 형성된 제1툴스핀들과, 상기 제1툴스핀들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키이가 형성된 제2툴스핀들로 나누어 형성되되, 상기 제1툴스핀들과 제2툴스핀들은 핀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스핀들 분리형 공구홀더가 제안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의 경우 공구홀더에 적용된 것이어서 터렛공구대 내에 발생하는 샤프트의 열변형에 따른 오차와 소음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일체로 구성되어 있던 기어박스의 드라이브샤프트를 회전축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로 인위적으로 분리하여 센터샤프트와 회전축샤프트 사이에 별도의 아이들샤프트를 넣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샤프트 간의 자유도를 높여 센터샤프트와 기어박스의 결합 시 샤프트의 열변형에 의한 결합 치수의 오차를 흡수하고, 가공오차에 의한 키 대칭도 불량과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동심도 불량에 의한 회전소음을 줄인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아이들샤프트에 형성하는 키와 키홈을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 및 센터샤프트 간의 결합 자유도를 향상시켜 운전소음을 줄이고 샤프트의 열변형에 따른 치수 오차의 흡수력을 배가한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는 공작기계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고정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 동력이 외부로 표출되는 모터샤프트와, 상기 모터샤프트와 커플링에 의해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동력이 한 쌍의 베벨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공구구동샤프트와, 절삭공구가 착탈되는 공구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공구홀더결합홈이 형성된 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터렛공구대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모터샤프트와 커플링으로 결합되는 센터샤프트와, 상기 센터샤프트와 일정거리 떨어져 동일 축선상 회전되며 베벨기어가 결합되는 회전축샤프트와, 상기 센터샤프트와 회전축샤프트 사이에 형성되어 센터샤프트의 회전동력을 회전축샤프트로 전달하는 아이들샤프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는 종래 일체로 구성되어 있던 기어박스의 드라이브샤프트를 회전축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로 인위적으로 분리하여 센터샤프트와 회전축샤프트 사이에 별도의 아이들샤프트를 넣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샤프트 간의 자유도를 높여 센터샤프트와 기어박스의 결합 시 샤프트의 열변형에 의한 결합 치수의 오차를 흡수하고, 가공오차에 의한 키 대칭도 불량과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동심도 불량에 의한 회전소음을 줄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의 전체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X-X섹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Y-Y섹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구성도
도 7은 종래 터렛공구대의 구성도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터렛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에 장착된 공구홀더의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기어박스 내에 설치된 일체형의 드라이브샤프트를 두 개의 샤프트 즉, 회전축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로 분리하여 드라이브샤프트에서 분리된 아이들샤프트가 센터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열변형에 의한 센터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 및 회전축샤프트로 이어지는 결합 오차를 흡수하고, 샤프트의 결합시 가공오차에 의한 키의 대칭도 불량과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동심도 불량에 의한 회전소음을 줄인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의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의 정면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X-X섹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Y-Y섹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는 공작기계에 고정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에 고정 결합되는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모터(10)의 일측에 형성되어 구동모터(10)의 구동 동력이 외부로 표출되는 모터샤프트(11)와, 상기 모터샤프트(11)와 커플링(12)에 의해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의 동력이 한 쌍의 베벨기어(13)를 통해 전달되는 공구구동샤프트(14)와, 절삭공구가 착탈되는 공구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공구홀더결합홈(3)이 형성된 디스크(2)를 포함하여 구성된 터렛공구대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는 모터샤프트(11)와 커플링(12)으로 결합되는 센터샤프트(21)와, 상기 센터샤프트(21)와 일정거리 떨어져 동일 축선상 회전되며 베벨기어(13a)가 결합되는 회전축샤프트(23)와, 상기 센터샤프트(21)와 회전축샤프트(23) 사이에 형성되어 센터샤프트(21)의 회전동력을 회전축샤프트(23)로 전달하는 아이들샤프트(22)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먼저, 몸체(1)는 사각형이나 원통형 박스 형상의 프레임이며, 공작기계에 고정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1)에는 구동모터(10)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10)는 회전공구를 회전시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며, 구동모터(10)와 별개로 인덱싱모터(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덱싱모터(30)는 디스크(2)를 회전시켜 공구교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로써, 경우에 따라 구동모터(10)와 인덱싱모터(30)를 하나의 모터로 처리한 원-모터형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10)의 구동동력이 외부로 표출되는 모터샤프트(11)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샤프트(11)의 일측에는 커플링(12)이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12)은 샤프트(20)와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샤프트(20)는 센터샤프트(21), 아이들샤프트(22) 및 회전축샤프트(23)를 모두 포함하는 명칭이며, 종래기술로 설명한 드라이브샤프트는 회전축샤프트(23)와 아이들샤프트(22)를 포함하는 명칭이다.
상기 샤프트(20)의 일측에는 한 쌍의 베벨기어(13a, 13b) 중 샤프트(20)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는 베벨기어(13a)가 결합되고, 상기 베벨기어(13a)에는 기어로써 치합되며 상기 샤프트(20)의 회전축과 수직하는 회전축을 가지는 또 다른 베벨기어(13b)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두 개의 베벨기어(13a, 13b)를 한 쌍의 베벨기어(13)로 칭한다.
한 쌍의 베벨기어(13) 중 샤프트(20) 쪽에 결합된 베벨기어(13a)와 치합되는 베벨기어(13b)는 공구구동샤프트(14)와 고정 결합되어 있어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공구구동샤프트(14)는 디스크(2)에 형성된 공구홀더결합홈(3)에 결합되는 공구홀더(도시하지 않음)에 키와 키홈의 결합으로써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공구홀더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공구로 최종적으로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의 구성이 아닌 센터샤프트(21)와 회전축샤프트(23)로 나뉘어져 구성되며, 상기 센터샤프트(21)와 회전축샤프트(23) 사이에는 별도의 아이들샤프트(2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아이들샤프트(22)는 일측에 키(22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키홈(22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센터샤프트(21)에는 상기 키(22a)에 대응되는 키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23)에는 아이들샤프트(22)에 형성된 키홈(22b)에 대응되는 형상의 키(23a)가 형성되어 있어, 센터샤프트(21)로 전달된 구동모터(10)의 구동동력이 아이들샤프트(22)의 키(22a)를 통해 아이들샤프트(22)로 전달되고 이후 회전축샤프트(23)의 키(23a)를 통해 회전축샤프트(23)로 전달된다.
도 5와 6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들샤프트(22)에 형성된 키(22a)와 회전축샤프트(23)에 형성된 키(23a)는 각 키의 길이 방향의 중심면이 서로 어긋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형태이다.
즉, 아이들샤프트(22)에 형성된 키(22a)와 키홈(22b)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닌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로 인해 아이들샤프트(22)는 센터샤프트(21)와 회전축샤프트(23)에 의해 움직임에 제한을 받는다.
즉, 아이들샤프트(22)에 형성된 키(22a)는 센터샤프트(21)의 키홈(21a)에 결합될 때 센터샤프트(21)의 키홈(21a)이 형성된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으나 상기 키홈(21a)의 폭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으며, 아이들샤프트(22)에 형성된 키홈(22b)은 회전축샤프트(23)의 키(23a)와 결합될 때 상기 회전축샤프트(23)의 키(23a)에 의해 키(23a)가 형성된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으나 키(23a)의 폭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어 결국 상기 아이들샤프트(22)는 센터샤프트(21)의 키홈(21a)과 회전축샤프트(23)의 키(23a)에 의해 움직임에 간섭을 받게 되어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들샤프트(22)와 회전축샤프트(23)에는 핀홀(22c, 2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홀(22c, 23b)에는 핀(24)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핀(24)에 의해 아이들샤프트(22)는 회전축샤프트(23)와 항상 결합되어 있으며 핀(24)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고, 아이들샤프트(22)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항상 축심과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재질의 지지링(25)이 끼워져 있다.
즉, 상기 핀(24)에 의해 아이들샤프트(22)는 회전축샤프트(23)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되며, 상지 지지링(25)에 의해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회전축샤프트(23)의 회전중심선과 아이들샤프트(22)의 회전중심선은 서로 일치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만약, 지지링(25)이 없는 상태에서 아이들샤프트(22)가 회전축샤프트(23)에 핀(24)으로 조립이 된다면 아이들샤프트(22)의 키(22a)가 형성된 방향이 중력이 향하는 방향 즉, 지면 쪽으로 향하게 된다면 자중에 의해 센터샤프트의 키홈(21a)에서 빠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링(25)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디스크(2) 내에 설치되는 기어박스(4) 내에 최적의 물림률로 한 쌍의 베벨기어(13)를 조립하고, 이후 상기 한 쌍의 베벨기어(13) 중 일측의 베벨기어(13a)에는 회전축샤프트(23)를 조립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23)에 아이들샤프트(22)를 조립하여 고속회전을 통해 베벨기어 간의 결합상태를 시험하게 된다. 이후 베벨기어(13)와 회전축샤프트(23) 및 아이들샤프트(22)가 조립된 어셈블리를 센터샤프트(21)의 키홈(21a)에 결합함으로써 샤프트(20)에 의해 동력전달계통의 조립을 마무리할 수 있다.
물론, 베벨기어(13) 간의 조립에 앞서 일측의 베벨기어(13a)에는 회전축샤프트(23)가 결합되어 있어야 하고, 타측의 베벨기어(13b)에는 공구구동샤프트(14)가 결합되어 있어야 하며, 베벨기어(13)와 회전축샤프트(23)의 조립 전 상기 회전축샤프트(23)와 아이들샤프트(22)를 미리 결합하여 조립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만약 아이들샤프트(22)가 없는 상태 즉, 회전축샤프트(23)에 형성된 키가 센터샤프트(21)의 키홈(21a)에 그대로 결합되는 종래 방식의 경우에 상기 키와 키홈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져 조립이 된다면 고속 회전시 키가 키홈에 부딪히는 현상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이로써 소음이 심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이들샤프트(22)의 키(22a)와 센터샤프트(21)의 키홈(21a)의 중심이 어느 정도 어긋나 있어도 이들 키(22a)와 키홈(21a)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샤프트(23)의 키(23a)와 아이들샤프트(22)의 키홈(22b)에 의해 핀(24)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흡수해내며, 회전축샤프트(23)의 키(23a)와 아이들샤프트(22)의 키홈(22b)의 중심이 어느 정도 어긋날 경우에는 이들 키(23a)와 키홈(22b)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샤프트(22)의 키(22a)와 센터샤프트(21)의 키홈(21a)에 의해 쉽게 흡수해낼 수 있으므로 소음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든다.
구동모터(10)에서 공구구동샤프트(14)까지의 동력전달과정을 살펴보면, 구동모터(10)의 구동동력이 모터샤프트(11)를 통해 출력되고 커플링(12)을 통해 센터샤프트(21)로 전달되며, 상기 센터샤프트(21)의 키홈(21a)과 아이들샤프트(22)의 키(22a)를 통해 아이들샤프트(22)로 전달되고 아이들샤프트(22)로 전달된 동력은 아이들샤프트(22)의 키홈(22b)과 회전축샤프트(23)의 키(23a)를 통해 회전축샤프트(23)로 전달되며, 상기 회전축샤프트(23)에는 베벨기어(13a)가 고정 결합되어 있어 한 쌍의 베벨기어(13a, 13b)를 통해 공구구동샤프트(14)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공구구동샤프트(14)로 전달된 회전동력은 공구구동샤프트(14)에 형성된 키홈에 의해 공구홀더의 키(도시하지 않음)로 전달되어 결국 회전공구로 전달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핀(24)은 회전축샤프트(23)에 결합되는 부분과 아이들샤프트(22)와 결합되는 부분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회전축샤프트(23)에는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아이들샤프트(22)와는 어느 정도의 여유가 있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핀(24) 전체의 직경을 일정하게 가져가되 회전축샤프트(23)의 핀홀(23b)과 아이들샤프트(22)의 핀홀(22c) 직경을 다르게 가져가 상기 핀(24)이 회전축샤프트(23)에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핀(24)에 나사를 형성하여 회전축샤프트(23)와 나사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링(25)은 회전축샤프트(23)와 결합된 아이들샤프트(22)가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 즉, 아이들샤프트(22)의 자중만 지지링(25)에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서로의 회전축이 동일한 축선 즉, 진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재료가 바람직하며, 외력이 작용할 경우 그 형태가 변하여 아이들샤프트(22)가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어야 하고 이후 외력이 제거될 경우 지지링(25) 자체의 탄성에 의해 최초의 형태 즉, 회전축샤프트(23)에 대한 아이들샤프트(22)의 진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링(25)의 재료로서는 합성고무나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측에 별도의 멈춤링(26)을 이용해 그 결합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지지링(25)의 일측 단면은 회전축샤프트(23)에서 돌출된 돌출면에 맞닿아 있고 타측 단면은 멈춤링(26)에 의해 아이들샤프트(22)에서 빠지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
미설명부호는 기어박스(4)와 네임플레이트(5) 및 커버(6)로써, 기어박스(4)는 베벨기어(13) 및 공구구동샤프트(14)가 조립되어 있는 박스이며, 네임플레이트(5)는 디스크(2)에 결합되며 공구번호가 새겨져 있는 판이고, 커버(6)는 네임플레이트(5)에서 착탈될 수 있어 베벨기어와 베어링 등의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센터샤프트(21)와 아이들샤프트(22) 및 회전축샤프트(23)는 키와 키홈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키 대신 다각형의 돌기를 형성하고 키홈 대신 상기 다각형의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종래 베벨기어가 조립되어 있던 드라이브샤프트를 분리하여 회전축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로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드라이브샤프트는 그대로 둔 채로 센터샤프트를 두 개의 샤프트로 분리하여 분리된 두 개의 샤프트를 센터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센터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를 핀으로 결합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핀으로 결합한 뒤 상기 센터샤프트와 아이들샤프트 간의 직진성을 유지하기 위해 탄성 재질의 지지링을 끼울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는 종래 일체로 구성되어 있던 기어박스(4)의 드라이브샤프트를 회전축샤프트(23)와 아이들샤프트(22)로 인위적으로 분리하여 센터샤프트(21)와 회전축샤프트(23) 사이에 별도의 아이들샤프트(22)를 넣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샤프트 간의 자유도를 높여 샤프트(20)의 결합 시 열변형에 의한 결합 치수의 오차를 흡수하고, 가공오차에 의한 키 대칭도 불량과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동심도 불량에 의한 회전소음을 줄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몸체 2. 디스크 3. 공구홀더결합홈
4. 기어박스 5. 네임플레이트 6. 커버
10. 구동모터 11. 모터샤프트 12. 커플링
13, 13a, 13b. 베벨기어 14. 공구구동샤프트
20; 샤프트
21. 센터샤프트 21a. 키홈
22. 아이들샤프트 22a. 키 22b. 키홈
22c. 핀홀
23. 회전축샤프트 23a. 키 23b. 핀홀
24. 핀 25. 지지링 26. 멈춤링
30. 인덱싱모터

Claims (5)

  1. 공작기계에 고정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에 고정 결합되는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모터(10)의 일측에 형성되어 구동모터(10)의 구동 동력이 외부로 표출되는 모터샤프트(11)와, 상기 모터샤프트(11)와 커플링(12)에 의해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의 동력이 한 쌍의 베벨기어(13)를 통해 전달되는 공구구동샤프트(14)와, 절삭공구가 착탈되는 공구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공구홀더결합홈(3)이 형성된 디스크(2)를 포함하여 구성된 터렛공구대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는 모터샤프트(11)와 커플링(12)으로 결합되는 센터샤프트(21)와, 상기 센터샤프트(21)와 일정거리 떨어져 동일 축선상 회전되며 베벨기어(13a)가 결합되는 회전축샤프트(23)와, 상기 센터샤프트(21)와 회전축샤프트(23) 사이에 형성되어 센터샤프트(21)의 회전동력을 회전축샤프트(23)로 전달하는 아이들샤프트(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이들샤프트(22)는 일측에 키(22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키홈(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샤프트(21)에는 상기 키(22a)에 대응되는 키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23)에는 아이들샤프트(22)에 형성된 키홈(22b)에 대응되는 형상의 키(2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샤프트(22)에 형성된 키(22a)와 회전축샤프트(23)에 형성된 키(23a)는 각 키의 길이 방향의 중심면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형태인 것이 특징인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샤프트(22)와 회전축샤프트(23)에는 각각 핀홀(22c, 2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22c, 23b)에는 핀(24)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샤프트(22)와 회전축샤프트(23)가 결합된 외부에는 아이들샤프트(22)와 회전축샤프트(23) 간의 직진성을 유지하기 위해 탄성 재질의 지지링(25)이 끼워져 있는 것이 특징인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KR1020150023780A 2015-02-17 2015-02-17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KR10170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80A KR101706358B1 (ko) 2015-02-17 2015-02-17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80A KR101706358B1 (ko) 2015-02-17 2015-02-17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361A KR20160101361A (ko) 2016-08-25
KR101706358B1 true KR101706358B1 (ko) 2017-02-14

Family

ID=5688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780A KR101706358B1 (ko) 2015-02-17 2015-02-17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7641A (zh) * 2016-11-18 2018-05-25 天津津赫深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机械技术服务业车床
CN107866690A (zh) * 2017-03-15 2018-04-03 常州市新墅机床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径向出刀的动力刀塔传动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615A (ja) 2001-08-30 2003-03-12 Mori Seiki Co Ltd タレット刃物台
KR100655923B1 (ko) * 2006-01-17 2006-12-11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기어박스가 형성된 터렛공구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989B1 (ko) * 2010-01-25 2011-10-12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스핀들 분리형 공구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615A (ja) 2001-08-30 2003-03-12 Mori Seiki Co Ltd タレット刃物台
KR100655923B1 (ko) * 2006-01-17 2006-12-11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기어박스가 형성된 터렛공구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참고사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361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923B1 (ko) 기어박스가 형성된 터렛공구대
JPWO2011132324A1 (ja) 主軸ユニット及びテーブルユニット、並びに工作機械
CN110886835B (zh) 一种基于低速蜗轮蜗杆传动副的消隙机构
KR920000544B1 (ko) 보올 나사 너트
KR101706358B1 (ko) 샤프트 분리형 터렛공구대
JP3187641U (ja) ダブル回転刃切断工具
CN107685162B (zh) 刀塔装置及具有其的机床
KR101464000B1 (ko) 공작 기계용 스핀들 장치
JPS596972Y2 (ja) 万能フライス装置
JP2002205244A (ja) 割り出し装置とその組み立て方法
KR200494509Y1 (ko) 랙과 롤러 피니언을 이용한 동력 전달 기구
KR101925805B1 (ko) 밀링 공구대의 드라이빙 장치
JP4357354B2 (ja) 電動式ロータリアクチュエータ
KR101072989B1 (ko) 스핀들 분리형 공구홀더
JP5377114B2 (ja) 工作機械の割出しテーブル
CN220093774U (zh) 一种可调式角度头
KR20160085123A (ko) 기어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터닝 센터의 터렛 장치
KR101496007B1 (ko) 양면 교차 접속 기어
KR100192558B1 (ko) 수직선반용 턴밀 터릿
KR101675566B1 (ko) 디스크의 상태확인이 용이한 터렛공구대
JP2018013204A (ja) ボール減速機
CN203738077U (zh) 曲轴连杆颈数控车床主轴双级同步带减速传动结构
KR100246920B1 (ko) 베드형 유니버셜 밀링 머신의 구동장치
CN214186286U (zh) 一种坡口机减速进给机构
KR101749535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공구대의 기어박스, 그 기어박스를 갖는 공구대 및 공작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