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907B1 - 감각 개선제 - Google Patents

감각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907B1
KR101748907B1 KR1020137020954A KR20137020954A KR101748907B1 KR 101748907 B1 KR101748907 B1 KR 101748907B1 KR 1020137020954 A KR1020137020954 A KR 1020137020954A KR 20137020954 A KR20137020954 A KR 20137020954A KR 101748907 B1 KR101748907 B1 KR 10174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basic protein
protein fraction
derived
derived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427A (ko
Inventor
켄 가토
노리코 우에다
히로시 우에노
유코 오노
노리미치 나카하타
다카히로 모리야
다이사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4Oxidoreductases (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8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40Transferrins, e.g. lactoferrins, ovotransfer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4Mixtures of enzymes or proenzymes covered by more than a single one of groups A61K38/44 - A61K38/46 or A61K38/51 - A61K38/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65Oxidoreductases (1.) acting on hydrogen peroxide as acceptor (1.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1Serine endopeptidases (3.4.21)
    • C12Y304/21001Chymotrypsin (3.4.2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1Serine endopeptidases (3.4.21)
    • C12Y304/21004Trypsin (3.4.21.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3Aspartic endopeptidases (3.4.23)
    • C12Y304/23002Pepsin B (3.4.23.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11/00Oxidoreductases acting on a peroxide as acceptor (1.11)
    • C12Y111/01Peroxidases (1.11.1)
    • C12Y111/01007Peroxidase (1.11.1.7), i.e. horseradish-peroxid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Abstract

안전하고, 일상적으로 섭취 혹은 피부에의 도포에 의해,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감각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구 섭취나 피부에의 도포에 의해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감각 개선용 음식품 또는 사료,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감각 개선제를 제공한다.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경구 섭취, 혹은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감각, 특히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개선할 수 있어, 감각 개선용 음식품 또는 사료, 화장품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각 개선제{SENSE-IMPROVING AGENT}
본 발명은, 염기성 단백질 분획 또는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말초 신경의 둔화를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감각 개선제, 및 이 감각 개선제를 배합한 감각 개선용 음식품 또는 사료,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에 따라서 골다공증이나 인지증 등, 가령에 따른 질환의 증가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가령에 따른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여러가지 의약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의약품은 항상 부작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식생활의 재검토나, 특정한 식품 성분의 섭취에 의해, 가령에 따른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예컨대, 골다공증에 대해서는, 우유에 포함되는 염기성 단백질의 섭취에 의해, 상기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 우유중에 비교적 많이 포함되는 인지질인 스핑고미엘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알츠하이머형 기억 장애를 예방 혹은 개선하는 기억 장애 예방 치료제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가령에 따른 증상의 하나로서,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들 수 있지만, 이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는, 가령 뿐만 아니라, 당뇨병 등의 질환에 의해서도 생긴다.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는, 예컨대, 뜨거운 것에 닿았을 때에, 정확하게 뜨겁다고 느끼지 못하여, 화상 등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이나, 통각의 둔화에 의해 부상의 발견이 늦어지는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한다. 최근, 이와 같은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 가령이나 질환에 의한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개선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외인성의 세라미드나 내인성의 세라미드의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효소인 스핑고미엘리나아제나 포스파티딜콜린 특이적 포스포리파아제 C는, 주화 섬유아세포 3T3 세포를 통한 신경 모델 세포인 P-12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그러나, 전술한 세라미드나 효소는 식품 성분이 아니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어서는 안전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 보다 안전하고, 일상적인 섭취 혹은 피부에의 도포에 의해,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제제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8-15133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46883호 공보
비특허문헌 1 : 코스메톨로지 연구 보고(2002) 제10호; 나카하타 노리미치, 오오쿠보 사토코 : 피부 보호 작용을 갖는 세라미드의 생리 작용 발현 기구에 관한 연구
본 발명은, 안전하고, 일상적으로 섭취 혹은 피부에의 도포에 의해,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감각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구 섭취나 피부에의 도포에 의해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감각 개선용 음식품 또는 사료,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전하고, 감각의 둔화에 대하여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에 관해 예의 탐색을 진행시킨 바, 젖 유래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라고 함)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단백질 분해 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이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이라고 함)을 경구 섭취, 혹은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감각, 특히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이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감각 개선제를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또, 이 감각 개선제를 음식품이나 사료 등에 배합하여 감각 개선용 음식품 또는 사료, 화장품으로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감각 개선제.
(2) 상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그 아미노산 조성중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15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분획인 (1)의 감각 개선제.
(3) 상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젖 또는 젖 유래의 원료를 양이온 교환 수지에 접촉시켜 염기성 단백질을 흡착시키고, 이 수지에 흡착한 분획을 염농도 0.1 M∼1.0 M의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얻어지는 분획인 (1) 내지 (2)에 기재된 감각 개선제.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감각 개선제.
(5)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가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및 판크레아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백질 분해 효소인 (4)에 기재된 감각 개선제.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또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배합한 감각 개선용 음식품 또는 사료, 화장품.
(7)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피부에의 도포에 의해 포유동물의 감각을 개선하는 방법.
(8) 상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그 아미노산 조성중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15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분획인 (7)의 방법.
(9) 상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젖 또는 젖 유래의 원료를 양이온 교환 수지에 접촉시켜 염기성 단백질을 흡착시키고, 이 수지에 흡착한 분획을 염농도 0.1 M∼1.0 M의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얻어지는 분획인 (7) 또는 (8)에 기재된 방법.
(10)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피부에의 도포에 의해 포유동물의 감각을 개선하는 방법.
(11)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가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및 판크레아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백질 분해 효소인 (10)에 기재된 감각 개선제.
본 발명에 의해,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감각 개선제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배합한 감각 개선용 음식품 또는 사료,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각 개선제는,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에 있다. 이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소젖, 사람젖, 산양젖, 양젖 등 포유류의 젖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며, 또, 이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음 성질을 갖고 있다.
1) 소듐도데실술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SDS-PAGE)에 의하면 분자량 3,000∼80,000 범위의 여러 종류의 단백질로 이루어진다.
2) 95 중량% 이상이 단백질이며, 기타 소량의 지방, 회분을 포함한다.
3) 단백질은 주로 락토페린 및 락토퍼옥시다아제로 이루어진다.
4)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리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15 중량% 이상 함유한다.
이러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예컨대, 탈지유나 유청 등의 유원료를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염기성 단백질을 흡착시키고, 이 수지에 흡착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0.1 M∼1 M의 염농도의 용출액으로 용출하고, 이 용출 분획을 회수하여, 역침투(RO)막이나 전기 투석(ED)법 등에 의해 탈염 및 농축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얻는 방법으로는, 젖 또는 젖 유래의 원료를 양이온 교환체에 접촉시켜 염기성 단백질을 흡착시킨 후, 이 양이온 교환체에 흡착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pH 5를 넘고 이온 강도 0.5를 넘는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얻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5-202098호 공보), 알긴산 겔을 이용하여 얻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소61-246198호 공보), 무기의 다공성 입자를 이용하여 유청으로부터 얻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1-86839호 공보), 황산화에스테르 화합물을 이용하여 젖으로부터 얻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소63-255300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과 동일한 아미노산 조성을 갖고 있고, 예컨대,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키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판크레아틴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킴으로써, 평균 분자량 4,000 이하의 펩티드 조성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각 개선제는, 상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그대로 감각 개선제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 외에, 당류나 지질, 단백질, 비타민류, 미네랄류, 플레이버 등, 다른 의약품, 음식품이나 사료에 통상 사용하는 원재료 등을 혼합하는 것이나, 또한 통상법에 따라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드링크제 등으로 제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포제로는, 유액, 크림, 로션, 팩 등 통상의 도포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도포제는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며,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그 제조 과정에서 적절하게 배합하면 되고, 화장품으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에 더하여, 다른 감각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 예컨대 세라미드나 스핑고미엘리나아제, 스핑고미엘린 등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각 개선제의 유효량으로는, 후술하는 마우스에서의 시험에 있어서, 체중 1 kg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10 m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mg 이상 경구 섭취시킴으로써 말초에서의 감각이 개선되기 때문에, 통상 성인 1인 1일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10 m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mg 이상 섭취함으로써 감각, 특히,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피부 도포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0.001∼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감각 개선용 음식품으로는, 통상의 음식품, 예컨대 요구르트, 유음료, 와퍼, 디저트 등에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배합하면 된다. 이들 감각 개선용 음식품에 관해서는, 성인 1인 1일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10 mg 이상 섭취시키기 위해, 음식품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지만 음식품 100 g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0.5∼2000 mg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감각 개선용 사료는, 통상의 사료, 예컨대 가축용 사료나 애완동물 사료 등에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배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이들 사료에 관해, 1일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배합하는 경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10 mg 이상 섭취시키기 위해서 사료 100 g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0.5∼2000 mg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배합하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용액중에서 첨가, 배합하기 위해서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탈이온수에 현탁 혹은 용해하여 교반 혼합한 후, 의약품, 음식품이나 사료의 형태로 조제하여 사용한다. 교반 혼합의 조건으로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면 되고, 울트라 디스퍼서나 TK 호모믹서 등을 사용하여 교반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조성물의 용액은, 의약품, 음식품이나 사료에 사용하기 쉽도록, 필요에 따라서, RO막 등에서의 농축이나, 동결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의약품, 음식품이나 사료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살균 처리가 가능하고, 분말형에서는 건열 살균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함유하는 액형, 겔형, 분말형, 과립형 등 여러가지 형태의 의약품, 음식품이나 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및 시험예를 제시하여, 본 발명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양이온 교환 수지의 술폰화키토펄(후지방적 주식회사 제조) 400 g을 충전한 컬럼(직경 5 cm×높이 30cm)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컬럼에 미살균 탈지유 40 리터(pH 6.7)를 유속 25 ml/min로 통액시켰다. 통액후, 이 컬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0.98 M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0.02 M 탄산 완충액(pH 7.0)으로 수지에 흡착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용출했다. 그리고, 이 용출액을 역침투(RO)막에 의해 탈염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형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21 g을 얻었다(실시예품 1). 얻어진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관해, 소듐도데실술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SDS-PAGE)에 의해 측정한 바, 분자량은 3,000∼80,000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고, 성분 조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 6N 염산으로 110℃, 24시간 가수분해한 후, 아미노산 분석 장치(L-8500형, 히타치제작소 제조)로 그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 ELISA법에 의해, 그 단백질 조성을 분석한 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0% 이상의 락토페린 및 락토퍼옥시다아제가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그대로 본원 발명의 감각 개선제로서 사용 가능하다.
Figure 112013071862552-pct00001
Figure 112013071862552-pct00002
Figure 112013071862552-pct00003
실시예 2
양이온 교환 수지의 SP 도요펄(도소주식회사 제조) 30 kg을 충전한 컬럼(직경 100cm×높이 10cm)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컬럼에 121℃에서 30초간가열 살균한 치즈 훼이 3t(pH 6.2)를 유속 10 리터/min로 통액시켰다. 통액후, 이 컬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0.9 M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0.1 M 시트르산 완충액(pH 5.7)으로 수지에 흡착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용출했다. 그리고, 이 용출액을 전기 투석(ED)법에 의해 탈염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형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183 g을 얻었다(실시예품 2). 얻어진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그대로 본원 발명의 감각 개선제로서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50 g을 증류수 10 리터에 용해한 후, 1% 판크레아틴(시그마사 제조)을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80℃에서 10분간 가열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 48.3 g을 얻었다(실시예품 3). 얻어진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은 그대로 본원 발명의 감각 개선제로서 사용 가능하다.
[시험예 1]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의 확인)
피부에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섬유아세포의 세포주인 3T3 세포를, 실시예품 1 및 실시예품 3을 0.03 내지 1%의 농도로 첨가한 상태로 2일간 배양했다(실시예품 1 : A군, 실시예품 3 : B군). 또, 대조로서, 3T3 세포를, 실시예품 1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실시예품 3의 젖 유래 염기성 펩티드질 분획을 첨가하지 않고 2일간 배양했다(C군). 이들 배양 상청을 이용하여 신경의 모델 세포인 PC-12 세포를 배양하여, PC-12 세포의 형태적인 분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A군 및 B군의 배양 상청은, 양쪽 모두 PC-12 세포를 강하게 분화시켰다. 또, 이 실험을 수회 반복하여, 분화의 비율을 광학 현미경하에 관찰한 결과, A군, B군 모두 95% 이상의 세포에 분화가 보였다. 한편, C군의 배양 상청은, PC-12 세포를 분화시키지 않고, 수회의 반복 실험에서의 광학 현미경하의 관찰에 있어서, 분화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서, 실시예 1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실시예 3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이, 신경의 모델 세포인 PC-12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동물 실험에 의한 감각 개선 효과의 확인)
Woolfe, MacDonald 등이 개발한 열자극에 대한 행동학적 연구법인 핫플레이트 시험으로 열자극에 의한 감각 개선 효과를 평가했다. 24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Hos : HR-1)를 10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실시예품 2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마우스 체중 1 kg당 각각 0 mg, 10 mg, 20 mg이 되도록 1일 1회 존데로 경구 투여하여 4주간 사육했다. 투여 종료시에 54℃의 핫플레이트에 마우스를 놓고, 마우스가 핫플레이트로부터 발을 떼거나, 일어서거나, 점프하는 등의 도피 행동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그 때, 열자극으로부터 도피 행동으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도피 행동 양성 반응 시간)의 최장 시간을 30초로 설정하여, 도피 행동 양성 반응 시간이 30초 이상인 경우, 그 시간은 30초로 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71862552-pct0000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품 2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10 mg 섭취함으로써, 도피 행동 양성 반응 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이 보이고, 20 mg에서는 분명히 단축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실시예품 2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섭취함으로써, 감각, 특히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를 예방ㆍ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경구 섭취에 의한 감각 개선 효과의 확인)
손의 감각의 둔화를 느끼고 있는 건강한 고령자(평균 연령 75±3세)를 10명씩, 5군으로 나누었다. 각각을,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섭취하지 않은 군(A군), 실시예 1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10 mg 섭취한 군(B군), 20 mg 섭취한 군(C군), 실시예 3의 젖 유래 염기 펩티드 분획을 10 mg 섭취한 군(D군), 20 mg 섭취한 군(E군)으로 하여, 6주간 섭취하게 했다. 섭취전과 6주간의 섭취 종료후에 표재 지각계 알게지오미터(algesiometer)(인터크로스사 제조)를 이용하여, 상완 내측의 통각을 기준으로 하여 손바닥과 발바닥 장심의 통각을 사용 방법에 기초하여 정상, 저하 I∼III의 총 4단계로 측정했다. 또, 6주간의 섭취 종료후에, 각각의 고령자에게 손의 감각의 개선에 관해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5, 6, 7, 8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ㆍ5종류의 굵기가 다른 핀과 5개의 지점(支點) 위치에서 통각을 평가했다. 우선, 가장 가는 1 pin을 상완 내측에 굴려, 정상적인 통각의 정도를 피험자에게 확인했다.
ㆍ다음으로, 손바닥과 발바닥에 1 pin으로 홀더를 갖는 지점의 위치를 순서대로 굴려, 처음에 느낀 통각과 같은 정도의 통각을 느끼는 지점의 위치를 찾았다.
(평가 방법)
알게지오미터는 상완 내측에서 1 pin(지점 50 g)을 굴린 경우와, 손바닥에서의 2 pin(50 g)에서 동일한 통각이 생기도록 설계되어 있고, 사용 방법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또, 통각의 평가에 점수를 매겨, 평균치를 산출했다.
2 pin(50 g)에서 동일한 통각이라면, 정상(0점)
1 pin(50 g)에서 동일한 통각이라면, 저하 I(1점)
1 pin(60 g)에서 동일한 통각이라면, 저하 II(2점)
1 pin(70 g)에서 동일한 통각이라면, 저하 III(3점)
Figure 112013071862552-pct00005
Figure 112013071862552-pct00006
Figure 112013071862552-pct00007
Figure 112013071862552-pct00008
표 5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품 1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실시예품 3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10 mg 섭취함으로써, 손, 발바닥의 감각이 개선되는 경향이 보이고, 20 mg에서는 분명히 개선되었다. 통상, 성인 1인 1일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10 m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mg 이상 섭취함으로써, 감각, 특히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4
(감각 개선용 화장품(크림)의 조제)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실시예품 3)을 사용하고, 표 9에 기재되는 비율로 원료를 혼합하여, 감각 개선용 화장품(크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71862552-pct00009
[시험예 4]
(피부에의 도포에 의한 감각 개선 효과 시험)
손의 감각의 둔화를 느끼고 있는 건강한 고령자(평균 연령 75±3세)를 15명씩, A군, B군의 2군으로 나누었다. A군에서는, 실시예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감각 개선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품(크림)을, B군에서는, 실시예품 4의 감각 개선용 화장품(크림)을 1일 1회 손과 발 전체에 도포했다. 도포 기간은 6주간으로 하고, 도포전과 6주간의 도포 종료후에 표재 지각계 알게지오미터(인터크로스(주)사 제조)를 이용하여, 상완 내측의 통각을 기준으로 손바닥과 발바닥 장심의 통각을 사용 방법에 기초하여 정상, 저하 I∼III의 총 4단계로 측정했다. 또, 6주간의 도포 종료후에, 피험자 각각에게 손의 감각의 개선에 관해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0, 11, 12, 13에 나타낸다. 또한, 측정 방법에 관해서는 시험예 3과 동일하게 행했다.
Figure 112013071862552-pct00010
Figure 112013071862552-pct00011
Figure 112013071862552-pct00012
Figure 112013071862552-pct00013
표 10 내지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품 4의 감각 개선용 화장품(크림)을 도포함으로써, 손, 발바닥의 감각이 개선되는 경향이 보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감각 개선제를 함유하는 크림을 도포함으로써, 감각, 특히 말초에서의 감각의 둔화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감각 개선용 액상 영양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품 1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5 g을 4995 g의 탈이온수에 용해하고, TK 호모믹서(TK ROBO MICS; 특수기화공업사 제조)로, 6000 rpm으로 30분간 교반 혼합하여 염기성 단백질 분획 100 mg/100 g의 염기성 단백질 분획 용액을 얻었다. 이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용액 5.0 kg에, 카제인 4.0 kg, 대두 단백질 5.0 kg, 어유 1.0 kg, 차조기유 3.0 kg, 덱스트린 18.0 kg, 미네랄 혼합물 6.0 kg, 비타민 혼합물 1.95 kg, 유화제 2.0 kg, 안정제 4.0 kg, 향료 0.05 kg을 배합하고, 200 ml의 레토르트 파우치에 충전하여, 레토르트 살균기(제1종 압력 용기, TYPE : RCS-4CRTGN, 히사카제작소사 제조)로 121℃, 20분간 살균하여, 본 발명의 감각 개선용 액상 영양 조성물 50 kg을 제조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감각 개선용 액상 영양 조성물에는, 모두 침전 등은 보이지 않고, 풍미에 이상은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이 감각 개선용 액상 영양 조성물에는, 100 g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10 mg 포함되어 있었다.
실시예 6
(감각 개선용 겔형 식품의 조제)
실시예품 2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2 g을 708 g의 탈이온수에 용해하고, 울트라 디스퍼서(ULTRA-TURRAX T-25; IKA 재팬사 제조)로 9500 rpm으로 30분간 교반 혼합했다. 이 용액에, 소르비톨 40 g, 산미료 2 g, 향료 2 g, 펙틴 5 g, 유청 단백질 농축물 5 g, 젖산칼슘 1 g, 탈이온수 235 g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200 ml의 치어팩에 충전하고, 85℃, 20분간 살균후, 마개로 밀봉하여, 본 발명의 감각 개선용 겔형 식품 5개(200 g 들이)를 조제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감각 개선용 겔형 식품에는, 모두 침전 등은 보이지 않고, 풍미에 이상은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이 감각 개선용 겔형 식품에는, 100 g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200 mg 포함되어 있었다.
실시예 7
(감각 개선용 음료의 조제)
산미료 2 g을 706 g의 탈이온수에 용해한 후, 실시예품 3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 4 g을 용해하고, 울트라 디스퍼서(ULTRA-TURRAX T-25; IKA 재팬사 제조)로 9500 rpm으로 30분간 교반 혼합했다. 멀티톨 100 g, 환원 물엿 20 g, 향료 2 g, 탈이온수 166 g을 첨가한 후, 100 ml의 유리병에 충전하고, 95℃, 15초간 살균후 마개로 밀봉하여, 감각 개선용 음료 10개(100 ml 들이)를 조제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감각 개선용 음료에는, 모두 침전은 보이지 않고, 풍미에 이상은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이 감각 개선용 음료에는, 100 g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이 400 mg 포함되어 있었다.
실시예 8
(감각 개선용 사료의 조제)
실시예품 3의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 2 kg을 98 kg의 탈이온수에 용해하고, TK 호모믹서(MARKII 160형; 특수기화공업사 제조)로 3600 rpm으로 40분간 교반 혼합하여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2 g/100 g 함유하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 용액을 얻었다. 이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 용액 10 kg에 대두박 12 kg, 탈지 분유 14 kg, 대두유 4 kg, 옥수수유 2 kg, 팜유 23.2 kg, 옥수수 전분 14 kg, 밀가루 9 kg, 밀기울 2 kg, 비타민 혼합물 5 kg, 셀룰로오스 2.8 kg, 미네랄 혼합물 2 kg을 배합하고, 120℃, 4분간 살균하여, 본 발명의 감각 개선용 개사육 사료 100 kg을 제조했다. 또한, 이 감각 개선용 개사육 사료에는, 100 g당,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이 200 mg 포함되어 있었다.
실시예 9
(감각 개선제(정제)의 조제)
표 14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후, 통상법으로 1 g으로 성형, 타정하여 본 발명의 감각 개선제를 제조했다. 또한, 이 감각 개선제 1 g 중에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100 mg 포함되어 있었다.
Figure 112013071862552-pct00014
실시예 10
(감각 개선용 화장품(로션)의 조제)
표 15에 기재되는 비율로 원료를 혼합하여, 감각 개선용 화장품(로션)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71862552-pct00015

Claims (9)

  1.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상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그 아미노산 조성 중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15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분획인 말초 감각 개선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1) 상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95 중량% 이상의 단백질과, 지방과, 회분을 포함하고,
    (2) 상기 단백질이, 소듐도데실술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SDS-PAGE) 환산 분자량이 3,000∼80,000 범위의 여러 종류의 단백질로 이루어지고,
    (3) 상기 단백질은 락토페린 및 락토퍼옥시다아제를 포함하며,
    (4) 상기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이, 염기성 아미노산을, 상기 단백질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15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초 감각 개선제.
  3. 제1항에 기재된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말초 감각 개선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가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및 판크레아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백질 분해 효소인 말초 감각 개선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말초 감각 개선제가, 온도 감각 및 통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개선 효과를 구비하는 말초 감각 개선제.
  6. 젖 또는 젖 유래의 원료를 양이온 교환 수지에 접촉시켜 염기성 단백질을 흡착시키고,
    상기 수지에 흡착된 분획을 염농도 0.1 M∼1.0 M의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얻어지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말초 감각 개선제의 제조 방법.
  7. 젖 또는 젖 유래의 원료를 양이온 교환 수지에 접촉시켜 염기성 단백질을 흡착시키고,
    상기 수지에 흡착된 분획을 염농도 0.1 M∼1.0 M의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얻어지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얻어,
    상기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말초 감각 개선제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가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및 판크레아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백질 분해 효소인 말초 감각 개선제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또는 젖 유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분해물을 배합한 말초 감각 개선용 사료.
KR1020137020954A 2011-01-26 2012-01-13 감각 개선제 KR101748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4441 2011-01-26
JP2011014441 2011-01-26
PCT/JP2012/050617 WO2012102100A1 (ja) 2011-01-26 2012-01-13 感覚改善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427A KR20140041427A (ko) 2014-04-04
KR101748907B1 true KR101748907B1 (ko) 2017-06-19

Family

ID=4658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954A KR101748907B1 (ko) 2011-01-26 2012-01-13 감각 개선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50064158A1 (ko)
EP (1) EP2668956A4 (ko)
JP (1) JP5993308B2 (ko)
KR (1) KR101748907B1 (ko)
CN (1) CN103370074B (ko)
AU (1) AU2012210013C1 (ko)
CA (1) CA2823505A1 (ko)
MY (1) MY162943A (ko)
TW (1) TWI562734B (ko)
WO (1) WO2012102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907B1 (ko) 2011-01-26 2017-06-19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감각 개선제
JP2013079216A (ja) * 2011-10-04 2013-05-02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感覚改善剤
JP6309202B2 (ja) * 2013-03-28 2018-04-11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タンパク質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901672A (fr) 1985-02-07 1985-08-07 Oleofina Sa Procede de purification de proteines du lait et de ses derives.
JPH0725800B2 (ja) 1987-04-10 1995-03-22 雪印乳業株式会社 硫酸エステル化物を用いて乳からラクトフエリンを分離、精製する方法
FR2616628B1 (fr) 1987-06-19 1989-09-29 Entremont Sa Procede pour extraire des proteines du lactoserum par adsorption et elution
SE8703625D0 (sv) 1987-09-18 1987-09-18 Kabivitrum Ab New medical use
CA2005600A1 (en) * 1988-12-20 1990-06-20 Cal-Henrik Heldin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
US5756686A (en) 1988-12-20 1998-05-26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Peptides derived from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
JPH0389629A (ja) * 1989-08-31 1991-04-15 Fujitsu Ltd アナログ―デジタルコンバータ
JP3962427B2 (ja) * 1990-07-13 2007-08-22 グロペップ リミテッド 成長促進剤
JP2947657B2 (ja) * 1991-02-27 1999-09-13 森永乳業株式会社 神経成長因子産生促進剤
CH684573A5 (de) 1991-11-25 1994-10-31 Inst Molecular Biology Inc Verwendung von Wachstumsfaktoren zur Herstellung eines Arzneimittels für die Wachstumsförderung von Säugetiernerven.
JPH05202098A (ja) 1992-01-29 1993-08-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乳質原料から生理活性物質の製造法
US5420112A (en) 1992-06-12 1995-05-30 Lewis; Michael 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ATE187889T1 (de) * 1992-06-12 2000-01-15 Cephalon Inc Vorbeugung und behandlung der peripheren neuropathie
JP3112637B2 (ja) 1994-09-30 2000-11-27 雪印乳業株式会社 骨強化剤
AUPQ878600A0 (en) * 2000-07-13 2000-08-03 Gropep Pty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ntact skin
US20030040475A1 (en) * 2001-01-16 2003-02-27 Yasuhiro Toba Agents for improving lipid metabolism and reducing high blood pressure
JP2003089629A (ja) * 2001-09-18 2003-03-28 Kakunai Juyotai Kenkyusho:Kk 新規化粧品、新規外用剤及び新規浴剤の製造方法
JP4568464B2 (ja) 2001-11-07 2010-10-27 雪印乳業株式会社 記憶障害予防治療剤
DK1545587T3 (da) * 2002-09-16 2011-05-09 Agennix Inc Lactoferrinsammensætninger og fremgangsmåder til behandling af diabetiske sår
US20040214750A1 (en) * 2003-04-28 2004-10-28 Georgiades Izolda M. Medicaments for healing skin conditions in humans
US20090270309A1 (en) 2005-10-14 2009-10-29 Jillian Cornish Use of lactoferrin fragments and hydrolysates
JP2007246413A (ja) * 2006-03-14 2007-09-27 Snow Brand Milk Prod Co Ltd 乳由来塩基性タンパク質含有組成物
JP5087297B2 (ja) * 2007-03-05 2012-12-05 森永乳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ロイキン−11産生促進剤
AR066354A1 (es) * 2007-05-01 2009-08-12 Genzyme Corp La terapia sistematica con factor-1 de crecimiento de tipo insulina reduce la neuropatia periferica diabetica y mejora la funcion renal en la nefropatia diabetica
EP2407175A1 (en) * 2007-09-07 2012-01-18 Meat & Livestock Australia Limited Agents with angiogenic and wound healing activity
DK2208734T3 (da) 2007-11-01 2012-05-14 Megmilk Snow Brand Co Ltd Levnedsmiddelmateriale til inhibering af dannelsen af osteoclast
NZ584888A (en) 2007-11-01 2012-08-31 Megmilk Snow Brand Co Ltd Bone-strengthening food material
KR101760758B1 (ko) * 2008-05-14 2017-07-24 애그리컬쳐 빅토리아 서비스 피티와이 엘티디 질병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안지오게닌 또는 안지오게닌 아고니스트의 이용
JP2012077018A (ja) 2010-09-30 2012-04-19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5955499B2 (ja) 2010-09-30 2016-07-20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748907B1 (ko) 2011-01-26 2017-06-19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감각 개선제
JP2013079216A (ja) * 2011-10-04 2013-05-02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感覚改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62734B (en) 2016-12-21
NZ613689A (en) 2015-09-25
TW201244644A (en) 2012-11-16
JPWO2012102100A1 (ja) 2014-06-30
CN103370074B (zh) 2015-09-02
EP2668956A4 (en) 2015-11-11
AU2012210013C1 (en) 2017-06-01
JP5993308B2 (ja) 2016-09-14
AU2012210013B2 (en) 2017-02-23
US9884095B2 (en) 2018-02-06
US20150374797A1 (en) 2015-12-31
WO2012102100A1 (ja) 2012-08-02
US20150064158A1 (en) 2015-03-05
CA2823505A1 (en) 2012-08-02
MY162943A (en) 2017-07-31
EP2668956A1 (en) 2013-12-04
CN103370074A (zh) 2013-10-23
KR20140041427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683B1 (ko) 감각 개선제
KR101748907B1 (ko) 감각 개선제
CN100528223C (zh) 皮肤胶原产生促进剂
JP6203724B2 (ja) 骨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タンパク質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208428B2 (ja) 美肌剤
JP5311804B2 (ja) 感覚改善剤
US10016481B2 (en) Sensation-improving agent
JP2009126787A (ja) 感覚改善剤
JP6395350B2 (ja) 筋萎縮防止剤
NZ613689B2 (en) Agent for improving deteriorated peripheral sensation due to aging and/or disease
NZ623006B2 (en) Sensation-improving agent
JP2012077016A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12077017A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12077015A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