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396B1 -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396B1
KR101748396B1 KR1020160123327A KR20160123327A KR101748396B1 KR 101748396 B1 KR101748396 B1 KR 101748396B1 KR 1020160123327 A KR1020160123327 A KR 1020160123327A KR 20160123327 A KR20160123327 A KR 20160123327A KR 101748396 B1 KR101748396 B1 KR 10174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color filter
red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열
조일훈
이동규
박동아
양영열
이경규
지상운
허지원
이시우
Original Assignee
(주)지피엔이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피엔이,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지피엔이
Priority to KR102016012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34Mixtures of two or more pigments or dyes of the same type
    • C09B67/0039Mixtures of diketopyrrolopyrr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4Diketopyrrolopyrrol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6Preparation of organic pigments
    • C09B67/0065Preparation of organic pigments of organic pigments with only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안료는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와 이에 염화 술포닐 처리된 염료 형태의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유도체의 하이브리드화를 통해, 우수한 열 안정성 및 색 특성을 나타내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제공하며, 이를 채용함으로써, 특히 휘도 및 색선명도에 있어 탁월하고, 내구성이 높은 고품질의 칼라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Composite pigment and red pigment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향상된 휘도 및 콘트라스트비를 가지는 LCD 칼라필터용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적색 안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기 안료는 예로부터 착색제로서 알려져 있고, 각종 잉크나 도료는 물론, 최근에는 액정 칼라필터나 잉크젯용 잉크와 같은 높은 투명성이나 높은 콘트라스트비가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이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들 유기 안료의 분산 기술은, 최근 현저한 진보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제조의 합리화를 위해 안료 농도를 가능한 한 높게 하여 분산시키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안료의 농도를 높게 하면, 유동성, 분산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액정 칼라필터나 잉크젯 기록의 분야에서는 고견뢰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견뢰한 고급 안료를 사용하고, 보다 선명한 색상을 얻기 위해 견뢰한 고급 유기 안료를 보다 미세한 입자 직경이 될 때까지 분산시키는 것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급 유기 안료는 다른 안료와 비교하여 분산 안정성이 부족한 데다가, 미세화시킬수록 쉽게 응집을 일으켜 안정적인 분산체를 얻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안료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안료 자체의 처리(일예, 표면처리, 표면개질 등)나 안료에 양호한 젖음성(흡착성)을 갖는 안료 분산제, 계면활성제의 개발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일 예로, 특허문헌 1에는 산성 안료의 분산에 염기성기를 갖는 안료 분산제를 이용하고, 산-염기의 친화력에 의해 안료 표면에 안료 분산제를 흡착시켜, 양호한 분산 안정성을 얻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액정 칼라 필터나 잉크젯 인쇄의 분야에서 요구되는 추가적인 높은 투과율이나 콘트라스트를 실현하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액정 칼라필터에 적합한 색상이나 명도를 얻는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고급 안료 중에서도 특히 적색 안료로서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를 사용하면, 종래부터 적색 안료로서 사용되어 온 4,4'-디아미노-1,1'-비안 트라퀴논계 안료에 비해 대폭 개선된 특성이 얻어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다이케토피롤로피롤의 분광 투과 곡선이, 550 내지 600㎚ 부근에서 기울기의 큰 상승을 나타내는 것에 기초한 것으로, 특히 그 미립화 처리품을 사용하면 명도, Y 값의 향상 효과가 현저하나 추가적인 명도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액정 칼라필터에 대한 고콘트라스트화의 요망도 강해, 이를 위해서는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의 1차 입경을 가능한 한 미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미세화된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는 그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해, 결정성장이 용이하다는 성질을 가지므로, 칼라필터를 형성할 때의 가열 공정에서 결정화가 일어나, 이물(異物)이 발생하는 등의 공정상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허문헌 2 내지 3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와 적어도 하나의 특정 구조식의 다이아릴다이케토피롤로피롤 화합물과, 안료 유도체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고콘트라스트이면서 가열 공정에 의한 결정석출이 억제된 칼라필터용 착색 조성물이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액정 칼라필터 분야에서 요구되는 높은 투과율이나 콘트라스트를 실현 가능하였으나, 이들 역시 시간 경과에 따른 분산 안정성이 매우 저하되어, 2차 응집체에 의한 광 산란 영향으로 상용화에는 어려움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복합안료를 고안하였으며, 이를 채용함에 따라 액정 칼라필터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명암비, 고콘트라스트, 고휘도 특성의 구현이 가능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JP 1979-037082 A WO 2009-081930 A1 JP 5258280 B2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로 미립화된 안료의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안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된 복합안료를 채용하여, 향상된 휘도 및 콘트라스트비를 가지는 LCD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합안료는 3,6-비스(아릴)-2,5-디하이드로-피롤로-피롤-1,4-다이온의 기본 골격구조를 가지는 안료 및 상기 기본 골격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염화 술포닐기를 포함하는 안료 유도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염화 술포닐기를 포함하는 안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3160167-pat00001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콕시 및 염화 술포닐에서 선택되거나 R1 내지 R3에서 선택되는 둘 또는 R4 와 R5는 서로 연결되어 융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 아릴, 아릴알콕시의 아릴 및 융합 고리는 염화 술포닐기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6 는 염화 술포닐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복합안료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미립화된 안료에 대해서도 높은 분산 안정성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광중합성 단량체, 가교제, 광중합 개시제, 유기안료, 용매 및 분산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고도로 미립화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안료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투과율, 고콘트라스트, 고명암비, 고휘도특성을 가지는 저막두께의 고품질 칼라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안료는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와 이에 염화 술포닐 처리된 염료 형태의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유도체의 하이브리드화를 통해, 우수한 열 안정성 및 색 특성의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현저하게 향상된 몰흡광계수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안료는 안료, 염료 등과의 상용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용매에 대한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안료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현저하게 향상된 색 특성, 특히 휘도 및 색선명도에 있어 탁월하고, 내구성이 높아 고품질의 칼라필터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콘트라스트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휘도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화 술포닐 처리된 염료 형태의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유도체를 이용하여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의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안료는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와 이에 염화 술포닐 처리된 염료 형태의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유도체의 하이브리드화를 통해, 우수한 열안정성 및 안료와의 우수한 상용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색 선명도의 구현이 가능할 뿐 아니라 열공정 후에도 휘도 및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지 않는 칼라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안료는 3,6-비스(아릴)-2,5-디하이드로-피롤로-피롤-1,4-다이온의 기본 골격구조를 가지는 안료 및 상기 기본 골격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염화 술포닐기를 포함하는 안료 유도체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안료는 안료, 염료 등과의 친화력이 우수하여, 고도로 미립화된 복합안료의 선명한 색상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료 유도체는 용해도 및 유기용제에 대한 친화력 특성으로 종래 술폰화처리된 안료 유도체 대비 놀랍게도 향상된 분산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안료의 안료 유도체는 우수한 색 특성, 특히 고휘도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측면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 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3160167-pat00002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콕시 및 염화 술포닐에서 선택되거나 R1 내지 R3에서 선택되는 둘 또는 R4 와 R5는 서로 연결되어 융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 아릴, 아릴알콕시의 아릴 및 융합 고리는 염화 술포닐기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6 는 염화 술포닐기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알킬", "알콕시"는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이하의 저급 알킬 또는 알콕시일 수 있으나 탄소수 8 이상의 고급 알킬 또는 알콕시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아릴"은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각 고리에 적절하게는 4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융합고리계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까지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용어, "염화 술포닐기"는 *-SO2Cl 또는 *-SO3Cl 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료 유도체는 하나 이상의 염화 술폰화기를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6-C20)아릴 및 (C6-C20)아릴(C1-C20)알콕시에서 선택되거나 R1 내지 R3에서 선택되는 둘은 서로 연결되어 융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4 와 R5는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6-C20)아릴 및 (C6-C20)아릴(C1-C20)알콕시 및 염화 술포닐기에서 선택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융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6 는 염화 술포닐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료 유도체는 다이케토피롤로피롤의 특정의 위치에 염화 술포닐기를 가짐으로써, 안료 유도체의 비대칭성을 극대화 할 뿐 아니라 분산특성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료 유도체는 이하 설명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당업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는 3,6-비스(아릴)-2,5-디하이드로-피롤로-피롤-1,4-다이온의 기본 골격구조를 가지는 안료를 용해하는 1공정; 이를 염화 술폰화하는 2공정; 염화 술폰화 처리된 안료 유도체를 결정화하는 3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공정 이후 결정화된 안료 유도체를 여과·수세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공정에서의 용매는 3,6-비스(아릴)-2,5-디하이드로-피롤로-피롤-1,4-다이온의 기본 골격구조를 가지는 안료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sulfonic acid, chlorosulfon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1공정은 상술된 용매에 균일하게 용해될 수 있도록 120 내지 150 ℃에서 4 내지 10시간 동안 가온 교반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안료의 용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Merck사의 TLC Silica-gel Plastic Sheet를 이용하여 TLC 측정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2공정은 상기 1공정에서 용해된 안료 용액을 70 내지 80 ℃로 하온한 후 염화티오닐(thionyl chloride)을 천천히 적하하고, 4 내지 10시간 동안 가온 교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공정을 통해, 염화 술포닐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료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유도체는 염화 술포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술포닐 또는 술포닐염을 포함하는 안료 유도체 대비 극성이 크고 용해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상술된 특성의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료 유도체는 염화 술포닐기가 비대칭적으로 치환되어 용매에 대한 극히 향상된 용해도를 가지며,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와의 하이브리드화를 통해 높은 내열성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복합안료의 결정 성장을 억제하여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3공정은 염화 술폰화 처리된 안료 유도체를 결정화 ?칭(quenching)하는 공정이다. 이는 낮은 온도의 물(0 내지 5 ℃) 또는 얼음물을 천천히 적가하는 공정일 수 있으며, 상기 3공정은 0 내지 10 ℃ 미만의 동결냉매를 포함하는 반응조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의 온도 컨트롤이 매우 중요하며, 물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물이 얼어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고, 물의 온도가 10 ℃ 이상의 영상으로 높아지면 염화 술폰화된 안료 유도체가 물과 반응하여 발열반응을 일으켜,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결정화 공정의 온도는 0 내지 10 ℃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 ℃ 미만의 범위로 조절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안료 유도체는 여과되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용매로 수세한 후 건조기에서 건조시키는 여과·수세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40 내지 80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료는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이케토피롤로피롤계 적색 안료로 3번 및 6번 탄소에 동시에 2-나프틸이 결합된 DPP 적색 안료, 1-나프틸이 결합된 DPP 적색 안료, 4-브로모페닐이 결합된 DPP 적색 안료, 4-헤속시페닐이 결합된 DPP 적색 안료, 4-(페닐메톡시)페닐이 결합된 DPP 적색 안료, 페닐이 결합된 DPP 적색 안료 및 바이페닐이 결합된 DPP 적색 안료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적색 안료일 수 있다(하기 구조 참조).
Figure 112016093160167-pat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안료는 미립자화될 수 있다. 이러한 미립자화를 통해 보다 우수한 취도 및 콘트라스트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립자화된 복합안료의 평균 직경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1 내지 200 nm 범위로 미립자화 처리된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1 내지 50 nm 범위로 고미립자화 처리된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안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안료 유도체를 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복합안료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향상된 분산성 및 내열성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고휘도 및 고콘트라스트의 칼라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우수한 분산 안정성으로 고분광 투과성 및 높은 Y값을 나타낼 수 있어, 고수준의 명도성 및 채도성이 요구되는 LCD 칼라필터에 적용 가능하며, 열공정 후에도 휘도, 콘트라스트 등의 색 특성 저하 없이 높은 색순도의 구현 및 색재현성이 우수하다. 또한, 다양한 안료, 염료와의 조합에서 역시 우수한 내구성 및 열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상술된 LCD 칼라필터용 이외에도 고광택성 및 높은 색순도가 요구되는 도료, 고투명성이 요구되는 필기용 잉크,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인쇄 잉크용 등으로써도 유용하게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3,6-비스(아릴)-2,5-디하이드로-피롤로-피롤-1,4-다이온의 기본 골격구조를 가지는 안료 및 상기 기본 골격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염화 술포닐기를 포함하는 안료 유도체를 포함하는 복합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3160167-pat00004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콕시 및 염화 술포닐에서 선택되거나 R1 내지 R3에서 선택되는 둘 또는 R4 와 R5는 서로 연결되어 융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 아릴, 아릴알콕시의 아릴 및 융합 고리는 염화 술포닐기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6 는 염화 술포닐기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안료의 사용량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안료를 5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복합안료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수한 분산성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으로도 효과적으로 고투과율, 고콘트라스트, 고명암비, 고휘도특성을 가지는 저막두께의 고품질 칼라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광중합성 단량체, 가교제, 광중합 개시제, 유기안료, 용매 및 분산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선상의 고분자 중합체로서 유기용제에 가용인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가시광영역의 400~700nm의 전 파장영역에 있어서 분광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바인더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 현상형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형태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산성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한 알칼리 가용성 비닐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광감도의 향상과 내용제의 개선을 목적으로,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측쇄에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의 도막이물(異物)이 발생하지 않고,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중의 안료의 안정성이 개선되어 바람직하다. 측쇄에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지 않는 직쇄상의 수지를 이용한 경우는, 수지와 복합안료가 혼재하는 액 중에서 복합안료가 수지에 트랩되기 어려워 자유도를 가짐으로써 복합안료 성분이 응집·석출되기 쉬운데, 측쇄에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수지와 복합안료가 혼재하는 액 중에서 복합안료가 수지에 트랩되기 쉽기 때문에, 내용제성 시험에 있어서, 색소가 용출되기 어려워, 복합안료 성분이 응집·석출되기 어렵고, 또한, 추가로 활성 에너지선으로 노광하고 막을 형성할 때에 수지가 3차원 가교됨으로써 복합안료 분자가 고정되고, 그 후의 현상공정에서 용제가 제거되어도 복합안료 성분이 응집·석출되기 어려워진다고 추정된다.
이때, 상기 바인더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복합안료를 바람직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10,000 내지 1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80,000의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수평균 분자량(Mn)은 5,000 내지 5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Mw/Mn의 값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는 광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라면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말산);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벤질메틸에테르,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불포화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예를 들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예를 들면,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친수성을 갖는 화합물(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2급 또는 3급의 알킬아크릴아미드, 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비닐이미다졸, 비닐트리아졸); 분지쇄 또는 직쇄의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기타, 상기 친수성을 갖는 화합물로서,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기, 인산부위, 인산에스테르 부위, 4급 암모늄염 부위, 에틸렌옥시쇄, 프로필렌옥시쇄, 술폰산기 등을 함유하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기의 수가 2 내지 14개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2-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프탈산,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기의 수가 2 내지 14개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교제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각종 광개시제 화합물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요오드염 화합물, 술포늄염 화합물, 유기할로겐 화합물, 옥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 적인 일예로는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부탄-1-온-2-이민,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옥탄-1-온-2-이민,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3-시클로펜틸프로판-1-온-2-이민, N-아세톡시-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1-이민, N-아세톡시-1-[9-에틸-6-{2-메틸-4-(3,3-디메틸-2,4-디옥사시클로펜타닐메틸옥시)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1-이민, N-아세톡시-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3-시클로펜틸프로판-1-이민, N-벤조일옥시-1-[9-에틸-6-(2-메틸벤조일)-H-카르바졸-3-일]-3-시클로펜틸프로판-1-온-2-이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부탄-1-온-2-이민,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옥탄-1-온-2-이민 및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3-시클로펜틸프로판-1-온-2-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종이 바람직하고,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옥탄-1-온-2-이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상기 유기안료는 높은 투명성과 색선명도를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09466호 및 제10-2006-0043148호에 개시하고 있는 C.I. Pigment Red (적색색소) 1, 2, 3, 4, 5, 7, 9, 12, 14, 23, 38, 41, 42, 48, 48:1, 48:2, 48:3, 48:4, 48:5, 48:6, 49, 49:1, 51:1, 52:1, 52:2, 53, 53:1, 53:3, 57, 57:1, 57:2, 57:3, 58:2, 58:4, 63:1, 81, 81:1, 81:2, 81:3, 81:4, 81:5, 81:6, 88, 112, 122, 123, 144, 146, 148, 149, 150, 166, 168, 169, 170, 175, 176, 177, 178, 179, 184, 185, 187, 188, 190, 192, 194, 200, 200:1, 202, 206, 207, 208, 209, 210, 214, 216, 220, 221, 224, 242, 246, 247, 251, 253, 254, 255, 256, 257, 260, 262, 264, 270, 272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외 페릴렌계, 페리논계, 퀴나크리돈계, 퀴나크리돈 퀴논계, 안트라퀴논계, 안트안트론계, 벤즈이미다졸론계, 디스아조계, 아조계, 인단트론계, 프탈로시아닌계, 트리아릴카르보늄계, 디옥사진계, 아미노안트라퀴논계, 티오인디고계, 이소인돌린계, 이소인돌리논계, 피란트론계 또는 이소비오란트론계 적색 안료 또는 그들의 혼합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상기 분산제는 아민기 또는 암모늄솔트기를 안료 친화기로서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르본산에스테르계; 불포화 폴리아미드계; 폴리카르본산계; 폴리카르본산알킬아민염; 폴리아크릴계; 폴리에틸렌이민계, 폴리우레탄계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분산제로는 BYK-케미(BYK-Chemie)사의 디스퍼빅(disperbyk)-160, 디스퍼빅-161, 디스퍼빅-162, 디스퍼빅-163, 디스퍼빅-165, 디스퍼빅-168, 디스퍼빅-170, 디스퍼빅-171, 디스퍼빅-2000, 디스퍼빅-2001, 디스퍼빅-21116, LPN-21116, LPN-22102, LPN-6919, LPN-22251, LPN-22822, LPN-22900, LPN-22238, LPN-21715 및 LPN-22474; EFKA사의 EFKA-4046, EFKA-4047 및 EFKA-4340; 아베시아(AVECIA)사의 솔스퍼스(solsperse)-5000, 솔스퍼스-12000, 솔스퍼스-22000, 솔스퍼스-24000 및 솔스퍼스-32500; 및 아지노모토(AJINOMOTO)사의 PB-821, PB-822, PB-824 및 PB-827 등이 있다. 이들 분산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퍼빅-163은 디스퍼빅-162 보다 작은 분자량과 낮은 극성을 가져 일반 공업용 도료 및 고농도 착색제에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퍼빅-161, 디스퍼빅-162의 경우, 다양한 수지와의 상용성을 가지며, 디스퍼빅-167은 방향족 용매를 포함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산제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상술된 분산제의 첨가에 있어 주의할 점은 상기 분산제는 바인더 수지와 용매를 먼저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안료,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안료를 서서히 혼합해야만 한다. 이는 복합안료의 첨가 중에 Seed 형성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산제,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은 반드시 고속으로 교반하면서, 안료를 서서히 첨가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상기 용매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및 이들의 초산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다이아세톤알콜,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감마-부티로락톤, 에틸락테이트, 부틸락테이트, 자일렌, 부틸아세테이트 및 에틸피루베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상술된 조합 및 조성으로 고도로 미립화되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립화는 롤러밀(roller mill), 제트밀(jet mill), 수직비드밀(vertical-bead mill), 수평비드밀(horizontal-bead mill), 초음파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최종 평균 직경은 10 내지 200 nm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최종 밀도, 즉 상온(25 ℃)에서의 점도는 1 내지 50 cP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c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보다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내며, 통용의 안료 분산제와 병용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분산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채용함에 따라 명도 및 채도 등의 색선명도에 있어 탁월하고, 내구성이 높아 고휘도 특성, 고콘트라스트 특성을 가지는 칼라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시험예)
1.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평가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입자크기는 OTSUKA 사의 ELSZ-1000 입도분석기로 측정하였으며, 점도는 AND사의 SV-10으로 측정하였다.
2.색도 및 콘트라스트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한 후 80 ℃ 오븐에서 10분간 건조시켜 코팅 필름을 얻었다. 그런 다음, 코팅 필름을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100 mJ/cm2의 광량으로 노광하고 0.04% KOH현상액(계면활성제 0.12% 포함)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방식으로 60초 동안 현상한 후, 초순수로 세정하여 얻은 현상한 코팅 필름을 230℃ 오븐에서 20분간 열 경화(post-bake)하여 칼라필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는 MCPD-3000 색도계(오츠카사 제조)로 분광을 측정하고, C광원의 특성 함수를 이용하여 CIE의 XYZ 표색계에 있어서의 xy 색도 좌표(x, y)와 Y를 측정하였으며, 콘트라스트계 CT-1(츠보사카덴키사 제조)로 콘트라스트 값(최대휘도값/최소휘도값, blank값=20,000)을 측정하였다.
3.내열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 평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는 JISICO사의 J-300M으로, 250℃ Bake 를 100분 동안 진행하여 내열성 측정을 하였으며, ATLAS사의 Suntest CPS+ 장비를 사용하였고, 조건은 Xe Lamp 22시간 조사하여 내광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Sigma-aldrich 사의 N-Methylpyrrolidone(NMP) 용제에 23℃에서 30분 동안 침지 하여, 내화학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내열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에 대한 평가는 준비된 시편의 측정위치에 임의 표시 후, 상기 장비로 L, a, b 값을 측정한 후 각각의 조건에 맞게 평가 진행 후, 동일 위치의 L, a, b 값을 다시 측정하여 △E*ab={(△L)2+(△a)2+(△b)2}1 / 2으로 계산하여 데이터 값을 산출 하였다.
(실시예 1)
250mL 3구 반응기에 Chlorosulfonic acid 144 mL를 넣은 후 교반하면서 Pigment Red 254 36.1 g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온도를 140 ℃로 맞춘 후 4시간 반응시켰다. 4시간 후 70 ℃로 맞춘 후 반응액에 dropping funnel을 이용하여 Thionyl chloride 50 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4시간 반응 후 500mL 비커에 얼음물을 넣고 반응액을 천천히 적가하며 교반하였다. 이때 quenching에 의한 결정화이므로 강산성 용액이 튀지 않도록 주의를 하여야 한다. 적가 완료 후 2시간 더 교반하고, 이를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기(oven, 60 ℃)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켜 고체 안료 유도체를 수득하였다(수율 = 90%).
IR spectra(㎝-1) 1100, 1200, 1600, 3300 ㎝-1 에서의 주요피크를 확인함으로써, 염화술포닐기로 개질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염화술포닐기를 나타내는 진동피크는 1340 ~ 1030 ㎝-1 범위에서 확인되었으며, -SO2 스트레칭 모드로 1100 ㎝-1 및 1200 ㎝-1 에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제조
자일렌,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 에테르아세테이트를 각각 3:1: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 100g에 바인더 수지 SPCG-19X (Showa Denko)(산가 110 KOH mg/g, Mw=10,000) 10g을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액에 분산제 DisperBYK-163 17 g을 투입하고, 30분간 상온 교반한 후 분산조제인 Solsperse 22000 1.5 g을 추가 투입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Pigment Red 254, Pigment Red 177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안료 유도체를 65:25:10로 혼합한 복합안료 22.5 g을 넣고 1시간 동안 기계적 교반기(mechanical stirrer)로 교반한 후, 이트륨지르코늄비드 0.1mm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액과 같은 부피로 첨가하여 2시간 동안 2500 rpm으로 분산시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삭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최종 평균 입도는 45 nm, 최종 평균 점도는 5.7 cP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색도 및 콘트라스트 평가와 내열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 평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Pigment Red 254, Pigment Red 177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안료 유도체를 65:25:10로 혼합한 복합안료 대신 Pigment Red 264로 혼합한 복합안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최종 평균 입도는 46 nm, 최종 평균 점도는 6.0cP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색도 및 콘트라스트 평가와 내열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 평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Pigment Red 254, Pigment Red 177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안료 유도체를 65:25:10로 혼합한 복합안료 대신 Pigment Red 254, Pigment Red 177 을 70:30으로 혼합한 안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최종 평균 입도는 45 nm, 최종 평균 점도는 5.7 cP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1일 이후 상분리 현상을 보였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색도 및 콘트라스트 평가와 내열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 평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Pigment Red 254, Pigment Red 177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안료 유도체를 65:25:10로 혼합한 복합안료 대신 실시예 1에서 염화술폰화 처리하기전 Pigment Red 254 안료에 술폰화 처리만한 안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최종 평균 입도는 45 nm, 최종 평균 점도는 6.0cP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은 1일 이후 상분리 현상을 보였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의 색도 및 콘트라스트 평가와 내열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 평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내었다.
색도
(Ry)
휘도
(RY)
콘트라스트값
실시예 2 0.3208 18.96 7,521
실시예 3 0.3202 18.21 7,195
비교예 1 0.3198 18.60 7,158
비교예 2 0.3203 18.73 7,325
*Rx = 0.6484
내열성 내광성 내화학성
실시예 2 2.00 2.87 2.15
실시예 3 2.52 2.91 2.84
비교예 1 2.11 2.95 2.21
비교예 2 2.12 2.95 2.24
*내열성, 내광성, 내화학성은 하기 조건에서 색차(△E*ab )로 평가됨.
-내열성; 250℃ / 100min
-내광성; Xe / 22hr
-내화학성; NMP / 23℃ / 30min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칼라필터(실시예 2)는 비교예 1 대비 약 102.0% 이상의 휘도와 105.1% 이상의 콘트라스트를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술폰화된 안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대비 103.6% 이상의 휘도와 102.7% 이상의 콘트라스트를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내열성, 내광성, 내화학성 처리 후의 색차 결과가 일반적인 칼라필터의 개발수준인 △E*ab < 3.0 값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요컨데, 본 발명에 따르면 열 경화 후에도 투명성과 색선명도(콘트라스트) 변화가 적고, 열 안정성 및 광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우수한 휘도를 가져 성능 및 효율이 높은 칼라필터를 제조공할 수 있어, 고수준의 명도성 및 채도성이 요구되는 LCD 칼라필터에 적용 가능할 뿐 아니라 고광택성 및 높은 색순도가 요구되는 도료, 고투명성이 요구되는 필기용 잉크,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인쇄 잉크용 등으로써도 유용하게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0)

  1. 3,6-디아릴피롤로[3,4-c]피롤-1,4(2H,5H)-다이온의 기본 골격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염화술포닐기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와 피그먼트 레드 254 및 피그먼트 레드 177을 혼합하고, 자일렌, 부틸아세테이트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테르아세테이트 혼합 용매 내에서 하이브리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평균 직경이 1 내지 50 ㎚이며, 우수한 휘도, 내구성 및 열 안정성을 나타내는 복합 안료를 제조하는 복합안료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7038643815-pat00008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콕시 및 염화 술포닐에서 선택되거나 R1 내지 R3에서 선택되는 둘 또는 R4 와 R5는 서로 연결되어 융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 아릴, 아릴알콕시의 아릴 및 융합 고리는 염화 술포닐기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6 는 염화 술포닐기이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안료 유도체를 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안료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안료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 광중합성 단량체, 가교제, 광중합 개시제, 유기안료, 용매 및 분산제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안료를 5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9. 제 6항에 있어서,
    25 ℃에서의 점도가 1 내지 50 cP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10. 제 6 항에 따른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칼라필터.
KR1020160123327A 2016-09-26 2016-09-26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KR10174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327A KR101748396B1 (ko) 2016-09-26 2016-09-26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327A KR101748396B1 (ko) 2016-09-26 2016-09-26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396B1 true KR101748396B1 (ko) 2017-06-16

Family

ID=59278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327A KR101748396B1 (ko) 2016-09-26 2016-09-26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39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3029B2 (ja) 着色組成物
JP4587059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5631008B2 (ja) 透明着色剤及び着色剤組成物、及びそれらの使用
JP5817028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KR101556099B1 (ko) 청색 프탈로시아닌 안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519411A (ja) キサンテン系紫色染料化合物、それを含む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カラーフィルター
JP6938871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15519412A (ja) トリアリールメタン青色染料化合物、それを含むカラーフィルター用青色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カラーフィルター
CN112601790B (zh) 卤化锌酞菁颜料、着色组合物及滤色器
JP7047679B2 (ja) 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4539477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KR101787338B1 (ko) 칼라 필터용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6536645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表面処理有機顔料、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TWI530535B (zh) An organic pigment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color filter
KR20190034820A (ko)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KR20110096442A (ko) 칼라필터용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2018123190A (ja) アゾメチン亜鉛錯体
KR101748396B1 (ko)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적색 안료 조성물
JP5743148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KR101785603B1 (ko) 고분자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JP2021086104A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20187157A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KR101815879B1 (ko) 칼라 필터용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597603B1 (ko) 염료 하이브리드 안료 유도체, 안료 분산 조성물, 감광성 착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1954701B1 (ko) 디스아조계 황색안료, 이를 포함하는 안료 분산액 및 감광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