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410B1 -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 Google Patents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7410B1 KR101747410B1 KR1020170021071A KR20170021071A KR101747410B1 KR 101747410 B1 KR101747410 B1 KR 101747410B1 KR 1020170021071 A KR1020170021071 A KR 1020170021071A KR 20170021071 A KR20170021071 A KR 20170021071A KR 101747410 B1 KR101747410 B1 KR 101747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bracket
- closing
- plate
- upw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장비에 대한 결합 또는 분리가 반 자동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는, 이송장비의 적재함 후단에 형성된 출입구 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끝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받침판, 상기 제1받침판의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받침판, 양단이 상기 이송장비와 개폐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구동부, 양단이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제2받침판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구동부,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상,하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개폐부와 상기 제1받침판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는, 이송장비의 적재함 후단에 형성된 출입구 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끝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받침판, 상기 제1받침판의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받침판, 양단이 상기 이송장비와 개폐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구동부, 양단이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제2받침판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구동부,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상,하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개폐부와 상기 제1받침판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 등의 이송장비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사용되는 트랙터 등을 화물차의 적재함에 실을 때는 적재함 후방의 도어를 열고, 적재함에 길이가 긴 판형태로 구성된 받침판을 경사지게 걸어놓은 후, 트랙터를 운전하여 트랙터가 상기 받침판을 타고 올라가서 적재함에 올라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트랙터를 적재함에 싣기 위해 사용되는 받침판은 고정이 불안할 뿐 아니라 폭이 좁아서, 트랙터의 운전이 서툴 경우, 트랙터가 받침판에서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중장비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제작됨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서 받침판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받침판을 제거하는 데도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명의 작업자가 동원되어야만 받침판을 설치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받침판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어쩔 수 없이 화물차에 받침판을 결합한 상태로 주행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받침판의 무게로 인해 화물차의 성능이 저하되고, 받침판으로 인해 화물차가 풍하중의 영향을 받아 주행 시 사고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송장비에 대한 결합 또는 분리가 반 자동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는, 이송장비의 적재함 후단에 형성된 출입구 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끝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받침판, 상기 제1받침판의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받침판, 양단이 상기 이송장비와 개폐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구동부, 양단이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제2받침판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구동부,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상,하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개폐부와 상기 제1받침판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받침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휠을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휠이 지면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을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는 걸이홈이 형성된 제1브라켓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부가 제1회전구동부에 의해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걸림부가 걸이홈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브라켓과 제1받침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측에 출입홀과 걸림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출입홀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고정홀이 형성된 제2브라켓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출입홀을 통과해 고정홀에 수용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락킹부를 회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상기 락킹부가 회동된 다음 상면이 걸림면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는, 제1회동구동부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면, 개폐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받침판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식이므로, 혼자서도 중하중물인 받침판을 개폐부에서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재함에 중장비를 싣지 않을 경우에 받침판을 개폐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이송장비가 주행 중 받침판으로 인해 풍하중의 영향을 받는 일이 발생되지 않으며, 받침판의 무게로 인해 이송장비에 무리가 가는 현상도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코너링이나 핸들링시에도 이송장비가 쉽게 전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개폐부와 제1받침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제1받침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제1받침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결합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개폐부와 제1받침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제1받침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제1받침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결합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개폐부와 제1받침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제1받침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제1받침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에 적용된 결합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1)는, 화물차 등의 이송장비(90)에 트랙터, 피복기, 배토기(이하 "중장비"라 함.) 등 다양한 종류의 중장비를 상차 하거나 하차 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부(10), 제1받침판(20), 제2받침판(30), 제1회동구동부(40), 제2회동구동부(50), 착탈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비(90)의 적재함(91) 바닥면 끝단에는 상기 개폐부(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안내판(9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동안내판(92)은 2개가 한 조로 구성되며, 개폐부(10)가 안정적인 구조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비(90)에는 상기 제1회동구동부(40)와 제2회동구동부(5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10)는 상기 적재함(91)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장비(90)의 적재함(91) 후단에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1부재(11), 제1디딤대(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부재(11)는 상기 회동안내판(92)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고, 중장비와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1)는 일정한 길이, 폭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이 적재함(91)에 설치된 회동안내판(92)의 사이에 힌지축(80)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힌지축(80)이 회동안내판(92)과 제1부재(11)를 순차적으로 관통함에 따라, 상기 제1부재(11)는 힌지축(80)이 관통한 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디딤대(12)는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제1부재(11)들의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제1부재(11)의 측면에 결합되어 중장비 및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케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디딤대(12)에는 흙이나 빗물 등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홀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홀은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알파벳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디딤대(12) 상에는 요철구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디딤대(12)를 통해 이동하는 중장비나 작업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판(20)은 상기 개폐부(10)와 함께 중장비 및 작업자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제2부재(21), 제2디딤대(22)로 구성된다.
상기 제2부재(21)는 상기 제1부재(11)와 동일하게 제작되고, 상기 제1부재(11)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1부재(11)의 끝단과 마주하게 된다.
상기 제2디딤대(22)는 상기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제3부재(31)들의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디딤대(1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받침판(30)은 상기 개폐부(10) 및 제1받침판(20)과 함께 중장비 및 작업자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제3부재(31), 제3디딤대(32)로 구성된다.
상기 제3부재(31)는 상기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와 동일하게 제작되고, 상기 제2부재(21)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2부재(21)의 끝단과 마주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제2받침판(30)은 양측 끝단은 상기 제1받침판(20)의 양측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2받침판(30)에는 제2받침판(3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휠(3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휠(33)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캐스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4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2받침판(30)이 상기 제1받침판(20)의 선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2받침판(30)을 구성하는 제3부재(31)의 상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휠(33)은 상기 제2받침판(30)에 결합되는 브라켓(331)을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331)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 및 제3부재(31)에 결합되는 키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2받침판(30)에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구동부(40)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이송장비(90)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힌지브라켓(93)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피스톤(41)의 끝단은 상기 개폐부(10)의 저면 중앙부분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힌지브라켓(13) 사이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동구동부(40)의 피스톤(41)이 확장되면 상기 개폐부(10)가 상기 힌지축(80)을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적재함(91)의 출입구를 막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1회동구동부(40)의 피스톤(41)이 수축되면 상기 개폐부(10)가 상기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적재함(91)의 출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2회동구동부(50)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받침판(20)의 저면 중앙부분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힌지브라켓(23) 사이에 힌지결합되고, 피스톤(51)의 끝단은 상기 제1받침판(20)과 제2받침판(30)에 링크구조로 연결설치된 힌지브라켓(34)의 사이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회동구동부(50)의 피스톤(51)이 확장되면 상기 제2받침판(30)이 상기 제1받침판(20)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펴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2회동구동부(50)의 피스톤(51)이 수축되면 상기 제2받침판(30)이 제1받침판(20) 측으로 회동되어 접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회동구동부(40) 및 제2회동구동부(50)에는 도시되지 않은 유선방식 또는 무선방식 제어장치(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는 상기 제어장치에 구비된 신축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1회동구동부(40) 및 제2회동구동부(50)가 각각 별도로 신축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1)는 제2받침판(30)이 제1받침판(20)에 밀착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제2회동구동부(50)의 피스톤(51)을 확장시키면 도 8과 같이 상기 제2받침판(30)이 개폐부(10) 및 제1받침판(20)과 상호 일직선이 되도록 펴지게 되고, 이후 제1회동구동부(40)의 피스톤(41)을 수축시키면 도 1과 같이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 및 제2받침판(30)이 상호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에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받침판(30)의 끝단이 지면에 닿게 된다.
이로 인해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 및 제2받침판(30)이 경사로를 형성하게 되어, 중장비가 상기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 및 제2받침판(30)을 따라 지면으로 내려가거나 적재함(91)으로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제1회동구동부(40)의 피스톤(41)을 확장시키면 도 8과 같이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 및 제2받침판(30)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이후 제2회동구동부(50)의 피스톤(51)을 수축시키면 다시 제2받침판(30)이 제1받침판(20)에 밀착되도록 회동되어 접히게 된다.
따라서, 별도로 마련된 받침판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운전자의 실수로 중장비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착탈부(60)는 이송장비(90)의 적재함(91)에 중장비를 싣을 경우에는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이송장비(90)의 적재함(91)에 중장비를 싣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브라켓(61), 걸림부(6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61)은 상기 개폐부(10)의 제1부재(11)와 제1받침판(20)의 제3부재(31) 중 어느 하나에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62)는 다른 하나의 끝단에 형성되어 제1브라켓(61)과 마주하는 형태가 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브라켓(61)이 제1부재(11)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62)는 제3부재(31)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브라켓(61)은 강성이 우수한 두 개의 금속판을 제1부재(11)들의 끝단에 각각 결합하므로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걸이홈(6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1)의 끝단과 마주하는 제3부재(31)의 끝단에는 두개 한 쌍을 이루면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고정판(2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62)는 상기 고정판(24)의 사이에 수평 결합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62)를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 핀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걸이홈(61a)은 알파벳 "U"자 형상으로 제작하므로서, 상기 걸림부(62)를 걸이홈(61a)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1)는, 상기와 같이 걸림부(62)가 걸이홈(61a)에 장착된 이후에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7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70)는 상기 제1브라켓(61)과 제1받침판(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브라켓(71)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락킹부(72)로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2브라켓(71)이 상기 제1브라켓(6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72)가 제1받침판(20)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브라켓(71)은 강성이 우수한 두 개의 금속판을 제1브라켓(61)의 일측면에 결합하므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61)의 걸이홈(61a)보다 낮은 곳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71)의 상측에는 출입홀(71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출입홀(71a)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고정홀(71b)이 형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71)의 상측에는 걸림면(711)이 형성된다.
상기 락킹부(72)는 상기 출입홀(71a)을 통해 고정홀(71b)에 수용되는 것으로, 총 2개가 상기 제1받침판(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72) 중 어느 하나는 도 6을 기준으로 가장 좌측에 위치된 제2부재(21)에 결합된 고정판(24)과 그 우측에 위치된 제2부재(21)에 결합된 고정판(2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가장 우측에 위치된 제2부재(21)에 결합된 고정판(24)과 그 좌측에 위치된 제2부재(21)에 결합된 고정판(24)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72)는 서포트 방식으로 그 길이가 가변되어 제2부재(21) 간의 간격에 상관 없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캉부(72)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락킹부재(721) 및 일부분이 상기 제1락킹부재(721)의 빈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양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며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락킹부재(7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재(721)와 제2락킹부재(722)의 일측에는 회동축(7211,7221)이 각각 형성되고, 제1,2락킹부재(721,722)가 결합되는 해당 고정판(24)에는 상기 회동축(7211,7221)의 회동을 안내하기 위한 회동안내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고정판(24)의 사이에 락킹부(72)를 수평배치 한 다음, 상기 제1락킹부재(721)와 제2락킹부재(72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회동축(7211,7221)을 상기 회동안내홀에 관통고정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축(7211,7221)은 회동안내홀을 관통하여 고정판(24)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되는 부분에는 링 형상의 스토퍼를 장착하므로서, 상기 제1락킹부재(721)와 제2락킹부재(72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고정판(24)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동축(7211,7221)에는 회동제어손잡이(73)가 설치되어, 상기 제1락킹부재(721)와 제2락킹부재(722)를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다.
즉, 제1락킹부재(721)와 제2락킹부재(722)는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회동제어손잡이(73)를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회동시키면, 도 7(a)와 같이 상기 제1락킹부재(721)와 제2락킹부재(722)가 대략 90도 각도로 회동되어 출입홀(71a)을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회동제어손잡이(73)를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동시키면 도 7(b)와 같이 그 상면이 걸림면(711)에 걸려 출입홀(71a)을 통과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회동제어손잡이(73)를 통해 제1락킹부재(721)와 제2락킹부재(722)를 회동시켜 상기 제1받침판(20)이 개폐부(10)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받침판(20)을 개폐부(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1)는, 혼자서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을 매우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 및 제2받침판(30)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제1받침판(20)을 개폐부(1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제어장치의 신축조작스위치를 통해 제1회동구동부(40)의 피스톤(41)을 일부 수축시켜, 상기 지지휠(33)이 지면에 접촉되도록 제1받침판(20) 및 제2받침판(30)의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회동제어손잡이(73)를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동시켜 상기 락킹부(72)가 출입홀(71a)을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회동구동부(40)의 피스톤(41)을 완전히 수축시켜 개폐부(10)가 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면, 제1브라켓(61)도 함께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걸림부(62)가 걸이홈(61a)에서 인출됨에 따라, 제1받침판(20) 및 제1받침판(20)에 결합된 제2받침판(30)이 개폐부(1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1받침판(20) 및 제2받침판(30)이 개폐부(10)에서 분리되면, 지지휠(33)을 이용하여 제1받침판(20) 및 제2받침판(30)을 이동시켜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받침판(20)을 개폐부(10)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제1받침판(20) 및 제2받침판(30)을 개폐부(10)로 이동시켜 걸림부(62)가 고정홀(71b)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다음, 제1회동구동부(40)의 피스톤(41)을 확장시켜 개폐부(10)가 상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면, 제1브라켓(61)도 함께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걸이홈(61a)에 걸림부(62)가 수용됨에 따라, 제1받침판(20)이 개폐부(10)에 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0)가 상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락킹부(72)도 고정홀(71b)에 수용된다. 따라서, 회동제어손잡이(73)를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회동시켜 락킹부(72)를 회동시키면, 상기 락킹부(72)가 고정홀(71b)에서 인출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1)는 제1회동구동부(40) 작동시켜 개폐부(1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작동만으로 개폐부(10)와 제1받침판(20)을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으며, 지지휠(33)을 통해 분리된 제1받침판(20) 및 제1받침판(20)에 결합된 제2받침판(30)을 별도의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적재함(91)에 중장비를 싣지 않을 경우에 제1받침판(20)을 개폐부(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이송장비(90)가 주행 중 제1,2받침판(20,30)으로 인해 풍하중의 영향을 받는 일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1,2받침판(20,30)의 무게로 인해 이송장비(90)에 무리가 가는 현상도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코너링이나 핸들링시에도 이송장비(90)가 쉽게 전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10 : 개폐부
11 : 제1부재 12 : 제1디딤대
13,23,34,93 : 힌지브라켓 20 : 제1받침판
21 : 제2부재 22 : 제2디딤대
24 : 고정판 30 : 제2받침판
31 : 제3부재 32 : 제3디딤대
33 : 지지휠 331 : 브라켓
40 : 제1회동구동부 41,51 : 피스톤
50 : 제2회동구동부 60 : 착탈부
61 : 제1브라켓 61a : 걸이홈
62 : 걸림부 70 : 결합부
71 : 제2브라켓 71a : 출입홀
71b : 고정홀 711 : 걸림면
72 : 락킹부 721 : 제1락킹부재
7211,7221 : 회동축 722 : 제2락킹부재
73 : 회동제어손잡이 80 : 힌지축
90 : 이송장비 91 : 적재함
92 : 회동안내판
11 : 제1부재 12 : 제1디딤대
13,23,34,93 : 힌지브라켓 20 : 제1받침판
21 : 제2부재 22 : 제2디딤대
24 : 고정판 30 : 제2받침판
31 : 제3부재 32 : 제3디딤대
33 : 지지휠 331 : 브라켓
40 : 제1회동구동부 41,51 : 피스톤
50 : 제2회동구동부 60 : 착탈부
61 : 제1브라켓 61a : 걸이홈
62 : 걸림부 70 : 결합부
71 : 제2브라켓 71a : 출입홀
71b : 고정홀 711 : 걸림면
72 : 락킹부 721 : 제1락킹부재
7211,7221 : 회동축 722 : 제2락킹부재
73 : 회동제어손잡이 80 : 힌지축
90 : 이송장비 91 : 적재함
92 : 회동안내판
Claims (4)
- 이송장비의 적재함 후단에 형성된 출입구 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끝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받침판,
상기 제1받침판의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받침판,
양단이 상기 이송장비와 개폐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구동부,
양단이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제2받침판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구동부,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회동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부와 상기 제1받침판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휠을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휠이 지면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을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는 걸이홈이 형성된 제1브라켓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부가 제1회전구동부에 의해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걸림부가 걸이홈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와 제1받침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브라켓과 제1받침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측에 출입홀과 걸림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출입홀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고정홀이 형성된 제2브라켓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출입홀을 통과해 고정홀에 수용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락킹부를 회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상기 락킹부가 회동된 다음 상면이 걸림면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1071A KR101747410B1 (ko) | 2017-02-16 | 2017-02-16 |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1071A KR101747410B1 (ko) | 2017-02-16 | 2017-02-16 |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7410B1 true KR101747410B1 (ko) | 2017-06-27 |
Family
ID=5951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1071A KR101747410B1 (ko) | 2017-02-16 | 2017-02-16 |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741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8268A (ko) * | 2019-04-03 | 2020-10-15 | 주식회사 태건특장 | 미끄럼방지 표면처리가 적용된 트럭용 접이식 발판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88725A (en) | 1998-10-27 | 1999-11-23 | Cole; Leslie W. | Foldable tailgate ramp for pickup trucks |
US20060232089A1 (en) * | 2005-04-19 | 2006-10-19 | Mark Drabik | Folding ramp system |
US8292565B1 (en) | 2008-03-14 | 2012-10-23 | James Bentley Ruff | A and R safety ramps |
KR101612505B1 (ko) * | 2015-02-05 | 2016-04-14 | 문상현 | 화물차용 승강받침대 |
-
2017
- 2017-02-16 KR KR1020170021071A patent/KR1017474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88725A (en) | 1998-10-27 | 1999-11-23 | Cole; Leslie W. | Foldable tailgate ramp for pickup trucks |
US20060232089A1 (en) * | 2005-04-19 | 2006-10-19 | Mark Drabik | Folding ramp system |
US8292565B1 (en) | 2008-03-14 | 2012-10-23 | James Bentley Ruff | A and R safety ramps |
KR101612505B1 (ko) * | 2015-02-05 | 2016-04-14 | 문상현 | 화물차용 승강받침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8268A (ko) * | 2019-04-03 | 2020-10-15 | 주식회사 태건특장 | 미끄럼방지 표면처리가 적용된 트럭용 접이식 발판장치 |
KR102230331B1 (ko) * | 2019-04-03 | 2021-03-23 | 주식회사 태건특장 | 미끄럼방지 표면처리가 적용된 트럭용 접이식 발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67049B2 (en) | Pallet lift | |
CN204184261U (zh) | 货物安置结构及包括该货物安置结构的车辆 | |
EP2610106B1 (en) | Container trailer | |
US9932078B1 (en) | Utility trailer | |
US20200223465A1 (en) | Collapsible locomotion platform and cart | |
US20090057320A1 (en) | Crate with collapsible wall | |
US8668210B2 (en) | Wheelbarrow configuration | |
US11643125B2 (en) | Dolly for attachment to a vehicle hitch | |
KR101747410B1 (ko) |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 | |
US6276738B1 (en) | Retractable tailgate assembly | |
KR101720005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탑차용 도어 개폐장치 | |
US2978128A (en) | Detachable gooseneck hydraulic connector for trailers | |
CN109501843A (zh) | 用于搬运周转箱的搬运车 | |
CN108860932A (zh) | 托盘箱 | |
CN210192560U (zh) | 装卸车设备 | |
CN202011590U (zh) | 气瓶推车 | |
CN201777179U (zh) | 可安装在卡车车斗上的储存系统 | |
KR101612505B1 (ko) | 화물차용 승강받침대 | |
CN211592567U (zh) | 定位销、定位装置及运输车 | |
EP3581462A1 (en) | Roll container | |
WO2018112483A1 (en) | Vehicle | |
CN208326766U (zh) | 轿运车飞机跳板新型伸缩式互锁销轴装置 | |
KR101256847B1 (ko) |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 |
CN220199869U (zh) | 一种托盘堆放支架 | |
US20070130847A1 (en) | Bridge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