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178B1 -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 Google Patents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178B1
KR101747178B1 KR1020170009120A KR20170009120A KR101747178B1 KR 101747178 B1 KR101747178 B1 KR 101747178B1 KR 1020170009120 A KR1020170009120 A KR 1020170009120A KR 20170009120 A KR20170009120 A KR 20170009120A KR 101747178 B1 KR101747178 B1 KR 101747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bridge
pinion gear
con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재
Original Assignee
(주)동안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안기술 filed Critical (주)동안기술
Priority to KR102017000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의 교대와 거더 및 교각간의 협소 공간에 형성된 신축 유간을 점검자가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신축 유간 사이에 하나의 수직바를 이동시켜 협소 공간의 신축 유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다단 수직봉을 사용하여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MEASURING INSTRUMENT OF EXPANSION JOINT GAP FOR NARROW SPACE}
본 발명은 신축 유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량의 거더와 교대 및 교각간의 협소 공간에 형성된 신축 유간(Expansion Joint Gap)을 원거리에서 측정하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구조적으로 상부에는 차량 또는 사람이 이동하는 교량 거더와, 하부에는 교량 거더를 받치기 위한 교대 또는 교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구조물인 교량 거더와 교량 거더 사이에는 상호 이격되어 시공되고, 이격된 두 구조물 사이에 신축이음이 시공된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은 계절적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수축 및 팽창 작용에 적절하게 대응하여야 한다. 이때, 이러한 신축이음의 수축 및 팽창으로 발생되는 거리를 유간이라 한다. 이러한 유간은 그 변화량이 교량의 수명이나 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시로 점검하고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교량은 온도, 크리프, 건조 및 수축, 회전 등에 의하여 교량 상판이 이동하게 되어 교량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의 단위로 신축 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신축 이음장치는 온도변화, 건조수축, 활하중에 따른 상부구조의 신축을 원활하게 수용하고 상부구조 이음부에서 차량의 주행성을 확보하도록 교량의 이동량을 수용하는 기능과 교량 상부 구조물의 불연속부를 연속화시킴으로써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하지만 교량은 지반의 조건에 따라 예기치 못한 구조물의 이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교대 및 교각의 이동, 전도 또는 측방 유동, 과도한 크리프 및 건조 수축 등의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이동은 신축 이음장치의 협착 또는 유간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신축 허용한계를 수용하지 못하거나 초과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정 단부 받침의 파손, 구조물의 균열 및 파손, 신축 이음장치의 단차 발생 및 파손, 유간 과다로 인한 차량 파손 등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신축이음부의 유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점검자가 별개로 준비된 측정도구로 각각의 신축이음부 간격을 측정하여야 하므로 계측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과 차량통제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의 교대와 거더 사이에 형성된 신축 유간을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교대(10)와 거더(20) 및 교각간의 유간을 측정함에 있어서, 점검자가 손을 올려 줄자로 측정해야 하므로 측정이 용이하지 않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량의 신축이음 양단에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고, 측정하는 것이어서 측정 시간이 증가되고, 측정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허리를 숙이거나, 직접 신축이음에 접근하여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대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36897호에는 "교량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부에 신축 유간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는, 교량 상판 신축이음부의 간격이 안전 수치 이상 신축하였음을 교량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려주기 위하여, 교량 상판이 서로 마주하는 신축이음구간(55)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교량 상판(54)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감지센서(51)와, 상기 신축이음구간(55)에서 상기 교량 상판(54)과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교량 상판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감지바(52)를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로서, 상기 감지센서(51)와 케이블(57)을 통해 연결되어 교량 신축 시 상기 감지바(52)에 유동에 따라 발생되는 감지센서(51)의 전기신호로 인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는 점검신호등(53)이 도로 상에 설치된다.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코핑과 빔거더(54b) 사이에는 받침시설인 교좌장치(56)가 설치되고, 상기 빔거더(54b)의 상부에는 교량 슬래브(54a)가 형성되어 교량 상판(54)을 형성한다. 그리고 교좌장치(56)에 지지되는 하나의 교량 상판(54)과 이와 이웃하는 다른 교량 상판 사이에는 대기온도차에 따른 교량 상판 신축시 신축에 따른 보상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신축이음구간(50)이 마련되며, 이와 같은 신축이음구간(55)에는 교량 상판(54)의 신축변위시 그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안전진단 계측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에 따르면, 교량 신축이음부의 마주보는 양단부에 변위발생을 감지하는 센서 및 감지바를 설치하고 이상변위 발생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기신호는 케이블을 거쳐 도로상에 설치되는 신호수단을 통해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신축이음부의 간격이 안전 수치 이상 신축하였음을 교량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려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량 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필요가 없어서 교량점검에 따른 비용 및 인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의 경우, 감지센서 및 감지바가 교량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전기신호를 발생 및 감지하는 구성들이 필수적으로 기재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우며, 교량 신축이음마다 설치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56771호에는: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는, 교량의 수축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교량 신축이음의 유간거리 측정장치로서, 수직부재(60)의 하단에는 유간거리(D)를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에 밀착되도록 지침부재(70)가 구비되며, 수직부재(60)의 상부에는 교량 신축이음의 유간거리(D)가 측정되는 측정부재(80)가 구비되고, 지침부재(70)와 측정부재(80)는 가요성부재(90)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측정부재(80)를 조절하여 교량 신축이음의 유간거리(D)가 측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부재(60)의 하면에는 지지면(63)이 형성되어 수직으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며, 지지면(63)에는 개방 슬릿(63a)이 형성되어, 유간거리(D)를 측정하고자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의 상부에 지지면(63)이 밀착된 상태에서 신축이음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개방슬릿(63a)의 하부로 노출되게 지침부재(70)가 구비된다.
또한, 지침부재(70)는 교량의 신축이음 일측에 밀착 고정되는 제1 지침(71) 및 상기 제1 지침으로부터 유간거리(D)만큼 수평 이동하여 교량의 신축이음 타측에 밀착되는 제2 지침(72)을 포함하고, 수직부재(60)의 상부에는 교량 신축이음의 유간거리(D)가 측정되는 측정부재(80)가 구비되며, 지침부재(70)와 측정부재(80)가 연결되도록 수직부재(60) 내부에 마련된 공간부(61)에 가요성부재(90)가 구비된다.
가요성부재(90)는 절곡되는 가요성 바로 구성되며, 가요성 바는 상기 공간부(61)의 내면 일측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면서 하단에서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 홀(62)이 형성되며, 가요성 바가 고정된 가이드 홀(62)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가요성 바의 일측은 측정부재(8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지침(72)과 연결되어 측정부재(80)로부터 가해진 힘이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환되어 지침부재(70)에 전달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측정부재(80)를 조절하여 교량 신축이음의 유간거리(D)를 즉각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에 따르면,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를 가지고 교량의 신축이음의 유간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서서도 교량 신축이음의 유간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측정부재는 수직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는 하부에 위치한 교량 신축이음의 유간거리에 밀착한 뒤, 즉시 측정부재를 통하여 유간거리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간거리의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의 경우, 두 개의 지침(71, 72)을 사용하여 유간을 측정하며, 기계식으로 눈금을 확인해야 하므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56771호(출원일: 2015년 11월 23일), 발명의 명칭: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36897호(출원일: 2005년 11월 15일), 발명의 명칭: "교량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52769호(출원일: 2014년 6월 19일), 발명의 명칭: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89430호(출원일: 2014년 3월 14일), 발명의 명칭: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87489호(출원일: 2011년 10월 5일), 발명의 명칭: "유간 보정이 가능한 신축 이음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6-80147호(공개일: 2016년 7월 7일), 발명의 명칭: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량의 교대와 거더 및 교각간의 협소 공간에 형성된 신축 유간을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신축 유간 사이에 하나의 수직바를 이동시켜 협소 공간의 신축 유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다단 수직봉을 사용하여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는, 교량의 교대와 거더 및 교각간의 신축 유간을 측정하는 측정기에 있어서, 수평 하우징; 상기 수평 하우징 내에 탑재되어 모터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1 피니언 기어; 일측면에 랙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신축 유간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 점검자가 원거리에서 신축 유간 측정이 가능하도록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수평 하우징의 하부에 다단으로 체결되는 수직봉; 상기 수직바가 상기 신축 유간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측정한 신축 유간을 표시하는 측정값 표시기; 및 점검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봉의 하부에 체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바를 상기 신축 유간의 일 측단에 셋팅한 후, 상기 제1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여 상기 수평바에 체결된 수직바를 상기 신축 유간의 타 측단까지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신축 유간의 수평 이동변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바는 성형 플렉시블 수평바로서 상기 수평 하우징 내에서 평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180도 방향 전환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는, 상기 수평 하우징 내의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바가 수평 방향으로 180도 방향 전환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는 제2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수평 하우징 내에 탑재되고, 상기 랙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피니언 기어는 상기 수직바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순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는 신축 유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판 2개를 끼워 넣거나 볼트로 체결하는 연결장치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 및 상기 수평 하우징은 분리되고 조립할 경우 90도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 하우징과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 하우징 및 상기 손잡이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분리되고, 조립할 경우에 90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신축이 가능하고 하단에 미끄럼방지 그립이 부착되며, 기포로 수평을 조정할 수 있는 수준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측정값 표시기는 상기 손잡이 상부에 배치되는 디지털 미터기 또는 아날로그 미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의 교대와 거더 및 교각간의 협소 공간에 형성된 신축 유간을 점검자가 원거리에서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 유간 사이에 하나의 수직바를 이동시켜 협소 공간의 신축 유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다단 수직봉을 사용하여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의 교대와 거더 사이에 형성된 신축 유간을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부에 신축 유간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1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100)는, 교량의 교대와 거더 및 교각간의 신축 유간을 측정하는 측정기로서, 제1 피니언 기어(110), 제2 피니언 기어(120), 가이드바(130), 수평바(140), 수직바(150), 수직봉(160), 측정값 표시기(170), 손잡이(180) 및 수평 하우징(190)을 포함한다.
제1 피니언 기어(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하우징(190) 내에 탑재되어 모터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는 상기 수직바(150)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순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는 Φ20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모터(24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수평바(140)는 일측면에 랙 기어(14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에 치합되고,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바(140)는 성형 플렉시블 수평바로서 상기 수평 하우징(190) 내에서 평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180도 방향 전환되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바(140)는 10mm 두께(t)의 성형 플렉시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랙 기어(14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110, 120)와 치합된다.
제2 피니언 기어(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하우징(190) 내의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바(140)가 수평 방향으로 180도 방향 전환되어 이동하도록 랙 기어(141)와 치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피니언 기어(120)는 Φ20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무동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랙 기어(141)와 치합되어 상기 랙 기어(141)의 수평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바(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하우징(190) 내에 탑재되고, 상기 랙 기어(14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바(140)를 가이드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바(130)는 상기 랙 기어(14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5mm 두께(t)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바(150)는 상기 수평바(140)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신축 유간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150) 및 상기 수평 하우징(190)은 분리되고 조립할 경우 90도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 하우징(190)과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직바(150)는 100mm 높이(h)의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봉(160)은 점검자가 원거리에서 신축 유간 측정이 가능하도록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수평 하우징(190)의 하부에 다단으로 체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직봉(160)은 Φ20의 스테인리스로 형성될 수 있고, 0.5m~1.0m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봉일 수 있다.
측정값 표시기(170)는 상기 수직바(150)가 상기 신축 유간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측정한 신축 유간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값 표시기(170)는 상기 손잡이(180) 상부에 배치되는 디지털 미터기 또는 아날로그 미터기일 수 있다.
손잡이(180)는 점검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봉(160)의 하부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80)는 신축이 가능하고 하단에 미끄럼방지 그립(Grip)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수평 하우징(190) 및 상기 손잡이(180)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분리되고, 조립할 경우에 90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바(150)를 상기 신축 유간의 일 측단에 셋팅한 후,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를 구동하여 상기 수평바(140)에 체결된 수직바(150)를 상기 신축 유간의 타 측단까지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신축 유간의 수평 이동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니언 기어(110), 제2 피니언 기어(120), 가이드바(130), 수평바(140), 수직바(150), 수직봉(160), 측정값 표시기(170), 손잡이(180) 및 수평 하우징(190)을 포함하며, 또한, 배터리(210), 조작버튼(220), 수준기(230) 및 모터(2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직봉(160)을 다단으로 연장할 수 있다.
수평바(140)는 성형 플렉시블 수평바로서, 한쪽으로 수평 이동하고 상기 수평 하우징(190) 내에 설치되며, 예를 들면, 손잡이(180)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모터(240)가 구동하여 제1 피니언 기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바(140)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240)는 조작버튼(220)을 눌러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140)는 상기 수평 하우징(190) 내에서 평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180도 방향 전환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평 하우징(19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80)로부터 연장된 수직봉(160)과의 접합부에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가 설치되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는 상기 수평바(140)의 일측면에 형성된 랙 기어(141)와 치합하여 회전한다.
또한, 상기 수직바(150)는 신축 유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판 2개를 끼워 넣거나 볼트로 체결하는 연결장치(Insert)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또한, 원거리에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180) 끝단에 측정값 표시기(170), 예를 들면, 디지털 미터 또는 아날로그 미터가 설치된다.
이때, 휴대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직바(150)와 상기 수평 하우징(190)은 분리되고, 조립할 경우 90도를 유지하며, 상기 수직바(150)는 소정의 높이를 확보하여 수평 하우징(190)과 일정거리 이상 이격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수평 하우징(190)과 손잡이(180)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분리되고 조립할 경우, 90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80)는 신축이 가능하고 하단에는 미끄럼방지 그립(Grip)이 부착되며 기포로 수평을 조정할 수 있는 수준기(2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150)를 상기 신축 유간의 일 측단에 셋팅한다. 다음으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를 구동하여 상기 수평바(140)에 체결된 수직바(150)를 상기 신축 유간의 타 측단까지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신축 유간의 수평 이동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신축 유간의 타 측단까지 이동시킨 수직바(150)의 최종 위치를 측정값 표시기(170)로 수평 이동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의 교대와 거더 및 교각간의 협소 공간에 형성된 신축 유간을 점검자가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신축 유간 사이에 하나의 수직바를 이동시켜 협소 공간의 신축 유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다단 수직봉을 사용하여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110: 제1 피니언 기어(Pinion Gear)
120: 제2 피니언 기어
130: 가이드바(Guide Bar)
140: 수평바
141: 랙 기어(Rack Gear)
150: 수직바
160: 수직봉
170: 측정값 표시기
180: 손잡이
190: 수평 하우징
210: 배터리
220: 조작버튼
230: 수준기
240: 모터

Claims (9)

  1. 교량의 교대와 거더 및 교각간의 신축 유간을 측정하는 측정기에 있어서,
    수평 하우징(190);
    상기 수평 하우징(190) 내에 탑재되어 모터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1 피니언 기어(110);
    일측면에 랙 기어(14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에 치합되고,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수평바(140);
    상기 수평바(140)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신축 유간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150);
    점검자가 원거리에서 신축 유간 측정이 가능하도록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수평 하우징(190)의 하부에 다단으로 체결되는 수직봉(160);
    상기 수직바(150)가 상기 신축 유간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측정한 신축 유간을 표시하는 측정값 표시기(170); 및
    점검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봉(160)의 하부에 체결된 손잡이(180)를 포함하되,상기 수직바(150)를 상기 신축 유간의 일 측단에 셋팅한 후,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를 구동하여 상기 수평바(140)에 체결된 수직바(150)를 상기 신축 유간의 타 측단까지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신축 유간의 수평 이동변위를 측정하며, 상기 손잡이(180)는 신축이 가능하고 하단에 미끄럼방지 그립(Grip)이 부착되며, 기포로 수평을 조정할 수 있는 수준기(2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40)는 성형 플렉시블 수평바로서 상기 수평 하우징(190) 내에서 평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180도 방향 전환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하우징(190) 내의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바(140)가 수평 방향으로 180도 방향 전환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랙 기어(141)와 치합되는 제2 피니언 기어(120); 및
    상기 수평 하우징(190) 내에 탑재되고, 상기 랙 기어(14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바(14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바(130)
    를 추가로 포함하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0)는 상기 수직바(150)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순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50)는 신축 유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판 2개를 끼워 넣거나 볼트로 체결하는 연결장치(Insert)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50) 및 상기 수평 하우징(190)은 분리되고 조립할 경우 90도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 하우징(190)과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하우징(190) 및 상기 손잡이(180)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분리되고, 조립할 경우에 90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 표시기(170)는 상기 손잡이(180) 상부에 배치되는 디지털 미터기 또는 아날로그 미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KR1020170009120A 2017-01-19 2017-01-19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KR101747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20A KR101747178B1 (ko) 2017-01-19 2017-01-19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20A KR101747178B1 (ko) 2017-01-19 2017-01-19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178B1 true KR101747178B1 (ko) 2017-06-19

Family

ID=5927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120A KR101747178B1 (ko) 2017-01-19 2017-01-19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178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637B1 (ko) 2017-09-25 2018-05-04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연결구조를 이용한 안전진단시 구조체 간격 확인 장치
KR101858001B1 (ko) * 2017-09-25 2018-06-28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안전진단용 보 간격 계측장치
KR101926827B1 (ko) 2018-03-16 2018-12-07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받침 지지와 연동한 길이확장 가능한 나사결합 방식 정밀 선형구동 타입 안전진단용 구조물 사이 간격 측정 장치
KR101926839B1 (ko) * 2018-03-16 2019-03-07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받침 지지형 연결구조를 이용한 안전진단시 구조체 간격 확인 장치
KR101926840B1 (ko) * 2018-03-16 2019-03-07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시 나선방식을 이용한 구조 간격 측정이 가능한 받침 지지 길이확장형 계측장치
KR101957299B1 (ko) * 2018-10-08 2019-07-04 서현이앤씨 주식회사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와 이것에 사용되는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장치
CN110030897A (zh) * 2019-04-29 2019-07-19 一汽轿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间隙和段差的测量工具
KR102023878B1 (ko) * 2018-07-26 2019-09-23 (주)호원 측정 장치
KR102149309B1 (ko) * 2020-02-28 2020-08-28 이상범 휴대용 탄성받침 변형 측정장치
CN114543622A (zh) * 2022-03-23 2022-05-27 河南科平工程检测咨询有限公司 一种裂缝宽度测量单元及裂缝宽度测量设备
KR102537679B1 (ko) 2022-11-22 2023-05-3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교량 안전진단을 위한 신축조인트의 유간 측정장치
KR102563362B1 (ko) * 2022-11-25 2023-08-04 영동이앤지(주)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KR102588761B1 (ko) 2023-02-13 2023-10-16 (주)홍익기술단 교량 안전진단을 위한 신축조인트의 유간 측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683B1 (ko) * 2007-08-22 2008-02-18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교량용 안전진단시스템
KR100865675B1 (ko) 2008-07-28 2008-10-29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이동이 용이한 교량 상판의 변위측정 안전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683B1 (ko) * 2007-08-22 2008-02-18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교량용 안전진단시스템
KR100865675B1 (ko) 2008-07-28 2008-10-29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이동이 용이한 교량 상판의 변위측정 안전진단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001B1 (ko) * 2017-09-25 2018-06-28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안전진단용 보 간격 계측장치
KR101841637B1 (ko) 2017-09-25 2018-05-04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연결구조를 이용한 안전진단시 구조체 간격 확인 장치
KR101926827B1 (ko) 2018-03-16 2018-12-07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받침 지지와 연동한 길이확장 가능한 나사결합 방식 정밀 선형구동 타입 안전진단용 구조물 사이 간격 측정 장치
KR101926839B1 (ko) * 2018-03-16 2019-03-07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받침 지지형 연결구조를 이용한 안전진단시 구조체 간격 확인 장치
KR101926840B1 (ko) * 2018-03-16 2019-03-07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시 나선방식을 이용한 구조 간격 측정이 가능한 받침 지지 길이확장형 계측장치
KR102023878B1 (ko) * 2018-07-26 2019-09-23 (주)호원 측정 장치
KR101957299B1 (ko) * 2018-10-08 2019-07-04 서현이앤씨 주식회사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와 이것에 사용되는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장치
CN110030897A (zh) * 2019-04-29 2019-07-19 一汽轿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间隙和段差的测量工具
KR102149309B1 (ko) * 2020-02-28 2020-08-28 이상범 휴대용 탄성받침 변형 측정장치
CN114543622A (zh) * 2022-03-23 2022-05-27 河南科平工程检测咨询有限公司 一种裂缝宽度测量单元及裂缝宽度测量设备
CN114543622B (zh) * 2022-03-23 2024-04-05 河南科平工程检测咨询有限公司 一种裂缝宽度测量单元及裂缝宽度测量设备
KR102537679B1 (ko) 2022-11-22 2023-05-3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교량 안전진단을 위한 신축조인트의 유간 측정장치
KR102563362B1 (ko) * 2022-11-25 2023-08-04 영동이앤지(주)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KR102588761B1 (ko) 2023-02-13 2023-10-16 (주)홍익기술단 교량 안전진단을 위한 신축조인트의 유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178B1 (ko)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KR101779599B1 (ko) 교량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KR101041332B1 (ko) 변형률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변위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변위측정장치
JP2018072126A (ja) 支承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モニタリング方法
KR102074435B1 (ko) 시설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JP5206175B2 (ja) 変状計測装置
KR20060136002A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KR20070000032A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CN214502300U (zh) 一种桥梁伸缩缝检测平台
KR102300119B1 (ko) 교량 받침 이동량과 유간 거리 검측을 통한 교량 안전 진단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안전 진단 방법
CN218646262U (zh) 钢梁变形检测装置
CN205314140U (zh) 灌注桩孔底沉渣厚度检测装置
RU23083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ксировочных испытаний модели морского инженер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в опытовом бассейне
JP2018024489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異常検出装置
CN105568797B (zh) 钢轨检测装置
KR101701971B1 (ko) 교량 탄성받침의 전단변형량 측정장치
KR102176449B1 (ko) 안전진단시 박막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교량 받침장치 가동량 측정기
CN210981237U (zh) 一种监理用坡度检测装置
KR101867368B1 (ko)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EP3531086B1 (en) Conveyor system with weighing capability
CN216524659U (zh) 一种轨道交通桥梁扰度检测装置
KR100797341B1 (ko) 레일 폭 측정장치
KR200399594Y1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KR100463072B1 (ko) 교량의 신축량 측정계
CN107702634B (zh) 变形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